KR20150116101A -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 - Google Patents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6101A KR20150116101A KR1020140040576A KR20140040576A KR20150116101A KR 20150116101 A KR20150116101 A KR 20150116101A KR 1020140040576 A KR1020140040576 A KR 1020140040576A KR 20140040576 A KR20140040576 A KR 20140040576A KR 20150116101 A KR20150116101 A KR 201501161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winch
- stinger
- tensile forc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3—Pipe-laying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35—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ipe during 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이 개시된다. 스팅거 지지 유닛은, 스팅거의 지지를 위해 상기 스팅거의 소정 위치에 일 단부 영역이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복수의 와이어에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 단부 영역을 고정하여 윈치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된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조작하는 복수의 윈치부; 및 상기 복수의 윈치부 각각에 대해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출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에 관한 것이다.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laying)하기 위한 부설선은 연해 또는 심해를 이동하며 선체에 마련된 파이프라인 부설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한다. 해저에 부설될 파이프라인은 부설선에서 단위 길이의 각 파이프섹션들이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해저에 투하된다.
이러한 부설선에서 파이프를 부설하는 방법으로는 S-lay, J-lay, Reel-lay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J-lay 방법은 부설선으로부터 파이프라인을 수직 또는 급경사를 가지는 램프를 따라 하강시켜 해저에 부설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수심이 깊은 심해에 부설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Reel-lay의 방법은 부설선에 설치된 릴(reel)에 감겨진 파이프라인이 풀리어 나가면서 해저에 파이프를 부설하는 방법으로 빠른 부설속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이에 비해, S-lay 방법은 파이프라인이 스팅거(stinger)라고 알려진 경사진 아치형 램프(ramp)를 통해 부설선으로부터 배출되어 심해로 하강됨으로써 해저에 부설되도록 하는 방법이며, 한국공개특허 제2013-0098624호(부양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이프 부설선과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방법) 등이 관련 발명으로 선출원되어 있다.
그러나 해상 상태나 파이프라인 설치 상태에 따라 스팅거의 출렁임이 발생될 수 있고, 이 경우 파이프라인 손상이 발생될 수 있어 파이프라인 부설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 부설을 위해 경사로를 제공하는 스팅거의 복수 위치를 와이어로 고정함으로써 해상 상태 및 파이프라인 설치 상태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스팅거의 출렁임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의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팅거 지지 유닛으로서, 스팅거(singer)의 지지를 위해 상기 스팅거의 소정 위치에 일 단부 영역이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복수의 와이어에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 단부 영역을 고정하여 윈치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된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조작하는 복수의 윈치부; 및 상기 복수의 윈치부 각각에 대해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출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팅거 지지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윈치부 각각은, 와이어의 타 단부 영역이 감겨져 고정되도록 드럼 형상을 가지는 상기 윈치; 상기 윈치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하는 모터; 및 상기 스팅거와 상기 윈치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된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인장력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인장력의 크기에 상응하는 인장력 센싱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팅거 지지 유닛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람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시각 정보 및 청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윈치부로부터 수신된 인장력 센싱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지정된 부설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부설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로 상기 알람 개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윈치부로부터 수신된 인장력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지정된 파단 임계값을 초과하는 인장력이 걸리는 와이어인 위험 와이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 와이어가 존재하면 상기 위험 와이어를 고정하는 윈치부에 포함된 모터로 와이어 권출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윈치부로부터 수신된 인장력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지정된 안정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인장력이 걸리는 와이어인 조정 대상 와이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정 대상 와이어가 존재하면 상기 조정 대상 와이어에 걸리는 인장력이 상기 안정 임계 범위에 해당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조정 대상 와이어를 고정하는 윈치부에 포함된 모터로 와이어 권출 또는 권취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 신호는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라인 부설을 위해 경사로를 제공하는 스팅거의 복수 위치를 와이어로 고정함으로써 해상 상태 및 파이프라인 설치 상태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스팅거의 출렁임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의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S-lay 방법을 이용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팅거 지지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팅거 지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팅거 지지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팅거 지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S-lay 방법을 이용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lay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기 위해서는 데드맨 앵커(D.A, Deadman Anchor)라는 고정점이 우선 해저에 설치된다.
이어서, 해저에 파이프라인(P)을 부설하기 위한 부설선(1)에서 단위 파이프라인을 용접하여 데드맨앵커와 연결한 후, 부설선(1)을 파이프라인 부설 방향으로 진행함과 동시에 파이프라인을 해상으로 내려놓는 과정으로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이 진행된다.
파이프라인이 부설선(1)을 떠나 해저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수심 및 파이프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200 내지 400m 정도의 구간에서 어디에도 지지되지 않는 이른바 프리스팬(free span) 구간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부설선(1)에는 파이프가 프리스팬 구간을 지나는 동안 파이프에 소정의 곡률과 각도를 형성하고 또한 파이프라인의 급격한 꺽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부설선의 선미부에 램프(ramp, 경사부위) 구간과 같은 특수한 설계 구조가 형성된다.
그러나 수심이 깊어지거나 동일한 수심이라도 파이프의 구경이 달라질 경우에는 램프 구간과 같이 부설선 자체의 설계만으로는 그 역할의 수행이 어렵게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파이프에 적절한 형태의 곡률을 주기 위한 구조물로서 스팅거(stinger)(2) 구조물을 선미부의 램프구간 끝단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스팅거(2)는 부설선(1)의 선미부의 끝단에 핀(pin) 타입으로 부착되어 해당 지역의 수심 조건, 파이프의 크기, 중량 등에 따라 각도와 길이를 조정하면서 파이프라인을 해저에 부설한다.
그러나 해상 상태나 파이프라인 설치 상태에 따라 스팅거(2)의 출렁임이 야기될 수 있고, 스팅거(2)가 소정의 크기 이상 요동되는 경우 해저에 부설할 파이프라인이 손상될 수 있어 파이프라인 부설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팅거 지지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팅거 지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팅거 지지 유닛은 복수의 윈치부(210-1, 210-2, ... , 210-n, 이하 상호 구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210으로 통칭함), 와이어(wire)(220-1, 220-2, ... , 220-n, 이하 상호 구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220으로 통칭함), 제어부(230) 및 알람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윈치부(220)는 윈치(252-1, 252-2, ... , 252-n, 이하 상호 구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252로 통칭함), 모터(254-1, 254-2, ... , 254-n, 이하 상호 구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254로 통칭함), 센서(256-1, 256-2, ... , 256-n, 이하 상호 구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256으로 통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252)는 일 단부 영역이 스팅거(2)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와이어(220)의 타 단부 영역을 감을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원통형의 드럼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윈치(2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220)의 권취(winding) 또는 권출(unwinding) 조작이 수행된다.
와이어(220)가 스팅거(2)의 소정 위치를 고정함에 있어 부설선(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을 고정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인장력으로 동일한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와이어(220)가 고정되는 스팅거(2)의 위치는 스팅거(2)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로부터 부설선(1)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모터(254)는 윈치(252)가 와이어(220)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모터(254)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은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230)로부터 후술되는 모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도록 구동되기 위한 동작 제어 수단이 모터(23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256)는 와이어(220)에 걸리는 인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인장력 측정 센서(tenstion sensor)일 수 있다. 센서(256)가 와이어(220)에 걸리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인장력 측정을 위한 최적의 설치 위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256)는 구비된 윈치부(210)에 대응되는 와이어(220)에 걸리는 인장력을 측정한 인장력 센싱 정보를 제어부(230)로 제공한다.
제어부(230)는 각 윈치부(210)에 구비된 센서(256)로부터 인장력 센싱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모터(254)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에 대한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 윈치부(210)의 모터(254)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각 윈치부(210)에 구비된 센서(256)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인장력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각 와이어(220)에 걸리는 인장력이 스팅거(2)의 지지를 위해 적절한 값이 되도록 각 모터(25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팅거(2)의 지지를 위해 적절한 인장력 크기는 최대 안정 임계값 및 최소 안정 임계값으로 규정된 안정 임계 범위로 미리 규정될 수 있고, 제어부(230)는 모터(254)의 권취/권출 동작 제어를 통해 각 와이어(220)에 걸리는 인장력이 안정 임계 범위에 속하는 크기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제어부(230)는 각 와이어(220)에 걸리는 인장력이 안정 임계 범위 내에서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윈치부(210)의 제어를 통해 와이어 권취/권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에 있어, 해당 지역의 수심 조건, 파이프의 크기, 중량 등에 따라 지정된 스팅거(2)의 각도가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유지됨을 전제로 함은 당연하다.
또한 수신된 인장력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와이어(220)에 걸리는 인장력이 미리 지정된 부설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부설되는 파이프라인의 손상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어부(230)는 알람부(240)로 알람 개시 신호를 출력하고, 알람부(240)는 알람 개시 신호에 상응하여 알람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부설선(1)에서 수행되는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이 중지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전술한 부설 임계값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예를 들어 조류, 파이프라인 무게 등)에 의해 지정된 스팅거(2) 각도가 유지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부설되는 파이프라인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다.
또한 수신된 인장력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와이어(220)에 걸리는 인장력이 미리 지정된 파단(破斷, break)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와이어의 파단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어부(230)는 파단 임계값을 초과하는 인장력 센싱 정보를 송신한 윈치부(210)의 모터(254)로 와이어를 권출하도록 하는 모터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파단 임계값은 스팅거(2)를 지지하는 와이어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스팅거 지지 유닛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3의 (a)는 부설선(1)과 스팅거(2)의 연결 구조를 측면 방향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부설선(1)과 스팅거(2)의 연결 구조를 상부 방향에서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스팅거(2)를 지지하기 위해 4개의 와이어(220-1, 220-2, 220-3, 220-4)가 스팅거(2)의 지정된 각 지점을 개별적으로 고정하고, 4개의 와이어(220-1, 220-2, 220-3, 220-4)는 개별적으로 4개의 윈치부(210-1, 210-2, 210-3, 210-4)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구조가 예시되었으나, 스팅거(2)를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220)의 수량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스팅거(2)를 지지하기 위해 와이어들(220-1, 220-2, 220-3, 220-4) 각각에 걸리는 인장력은 대응되는 윈치부(210-1, 210-2, 210-3, 210-4)에 구비된 센서(256)에 의해 측정되고, 측정된 각각의 인장력 센싱 정보는 제어부(230)로 제공된다.
제어부(230)는 입력된 각각의 인장력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지정된 부설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파단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부설 작업을 중단하도록 통지하기 위해 알람부(24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와이어(220) 권취/권출 동작 수행을 위해 각 윈치부(210) 내의 모터(254)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①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4 와이어(220-4)에 비해 제3 와이어(220-3)에 상대적으로 큰 인장력이 걸리게 되고, 각 센서(256)에서 검출된 인장력 센싱 정보가 제어부(230)로 제공된다. 이 경우, 스팅거(2)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1 와이어(220-1) 및 제2 와이어(220-2)에도 제4 와이어(220-4)보다 상대적으로 큰 인장력이 작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230)는 각 센서(256)로부터 수신되는 인장력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각 와이어(220-1, 220-2, 220-3, 220-4)에 걸리는 인장력이 미리 지정된 부설 임계값 또는/및 파단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제1 내지 제3 와이어(220-1, 220-2, 220-3)에 각각 걸리는 인장력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지정된 부설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제어부(230)는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의 중단을 위해 알람부(2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와이어(220-1, 220-2, 220-3)에 각각 걸리는 인장력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지정된 파단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제어부(230)는 와이어(220)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파단 임계값을 초과하는 인장력 센서 정보를 제공한 윈치부(210)의 모터(254)가 와이어 권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만일 파단 임계값이 부설 임계값보다 크게 설정된 경우라면, 파단 임계값을 만족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이 중지된 상태일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팅거 지지 유닛은 스팅거(2)의 복수 위치 각각을 와이어(220)를 이용하여 고정(즉, 스팅거(2)에 걸리는 하중의 일부를 와이어가 부담)함으로써 해상 상태나 파이프라인 설치 상태에 따라 스팅거(2)에 발생되는 요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스팅거(2)를 지지하는 와이어(220) 각각에 걸리는 인장력을 참조하여 파이프라인 부설 작업에 부적합한 상황인 경우 알람부(240)의 알람 처리를 통해 신속한 부설 작업 중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각 와이어(220)의 파단 방지를 위해 윈치부(210)들의 동작이 유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부설선
2 : 스팅거
210, 210-1, 210-2, 210-3, 210-4, 210-n : 윈치부
220, 220-1, 220-2, 220-3, 220-4, 220-n : 와이어
230 : 제어부 240 : 알람부
252-1, 252-2, 252-n : 윈치 254-1, 254-2, 254-n : 모터
256-1, 256-2, 256-n : 센서
210, 210-1, 210-2, 210-3, 210-4, 210-n : 윈치부
220, 220-1, 220-2, 220-3, 220-4, 220-n : 와이어
230 : 제어부 240 : 알람부
252-1, 252-2, 252-n : 윈치 254-1, 254-2, 254-n : 모터
256-1, 256-2, 256-n : 센서
Claims (5)
- 스팅거 지지 유닛으로서,
스팅거(singer)의 지지를 위해 상기 스팅거의 소정 위치에 일 단부 영역이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복수의 와이어에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 단부 영역을 고정하여 윈치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된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조작하는 복수의 윈치부; 및
상기 복수의 윈치부 각각에 대해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출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팅거 지지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치부 각각은,
와이어의 타 단부 영역이 감겨져 고정되도록 드럼 형상을 가지는 상기 윈치;
상기 윈치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하는 모터; 및
상기 스팅거와 상기 윈치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된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인장력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인장력의 크기에 상응하는 인장력 센싱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스팅거 지지 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팅거 지지 유닛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람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시각 정보 및 청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윈치부로부터 수신된 인장력 센싱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미리 지정된 부설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부설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로 상기 알람 개시 신호를 입력하는, 스팅거 지지 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윈치부로부터 수신된 인장력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지정된 파단 임계값을 초과하는 인장력이 걸리는 와이어인 위험 와이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 와이어가 존재하면 상기 위험 와이어를 고정하는 윈치부에 포함된 모터로 와이어 권출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팅거 지지 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윈치부로부터 수신된 인장력 센싱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지정된 안정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인장력이 걸리는 와이어인 조정 대상 와이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정 대상 와이어가 존재하면 상기 조정 대상 와이어에 걸리는 인장력이 상기 안정 임계 범위에 해당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조정 대상 와이어를 고정하는 윈치부에 포함된 모터로 와이어 권출 또는 권취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팅거 지지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0576A KR101589683B1 (ko) | 2014-04-04 | 2014-04-04 |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0576A KR101589683B1 (ko) | 2014-04-04 | 2014-04-04 |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6101A true KR20150116101A (ko) | 2015-10-15 |
KR101589683B1 KR101589683B1 (ko) | 2016-02-01 |
Family
ID=5435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0576A KR101589683B1 (ko) | 2014-04-04 | 2014-04-04 |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968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61484A (zh) * | 2021-12-09 | 2022-04-01 |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 一种深水托管架的自平衡调整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5081A (ko) * | 2011-12-09 | 2013-06-19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유압잭이 장착된 스팅거와 이를 이용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공법 |
KR20130073119A (ko) * | 2011-12-23 | 2013-07-0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고정프레임 타입 스팅거 각도조정 장치를 갖는 파이프라인 부설선 |
KR20130098624A (ko) | 2012-02-28 | 2013-09-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양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이프부설선과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방법 |
-
2014
- 2014-04-04 KR KR1020140040576A patent/KR1015896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65081A (ko) * | 2011-12-09 | 2013-06-19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유압잭이 장착된 스팅거와 이를 이용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공법 |
KR20130073119A (ko) * | 2011-12-23 | 2013-07-0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고정프레임 타입 스팅거 각도조정 장치를 갖는 파이프라인 부설선 |
KR20130098624A (ko) | 2012-02-28 | 2013-09-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양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이프부설선과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61484A (zh) * | 2021-12-09 | 2022-04-01 |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 一种深水托管架的自平衡调整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9683B1 (ko) | 2016-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41260B2 (en) | Cable fleet angle sensor | |
JP2019529227A (ja) | 水中車両の浮揚力制御のための再使用可能な浮揚力モジュール | |
CA2840274A1 (en) | Initiation of lightweight flexible pipelines and umbilicals | |
KR20120097390A (ko) | 능동 댐핑 제어를 통한 능동 히브 보상 | |
KR101589683B1 (ko) |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스팅거 지지 유닛 | |
US20090087267A1 (en) | Pipeline-Laying Vessel | |
US9567040B2 (en) | Tension-leg platform anchoring system | |
US20100098498A1 (en) | Anchor system for offshore dynamically positioned drilling platform | |
CA2976754C (en) | Direct tie-in of pipelines by added curvature | |
KR101524666B1 (ko) | 해상구조물의 라이저 홀딩 장치 | |
JP6823781B2 (ja) | 水上作業方法 | |
KR20190121565A (ko) | 선박리프트 플랫폼 설치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선박리프트 플랫폼의 설치 방법 | |
JP6443687B2 (ja) | ワイヤ張力調整装置 | |
KR20160016045A (ko) | 케이블 포설 기능을 지닌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 | |
KR20150009633A (ko) | 윈치의 와이어 로프 상태 감지 시스템 | |
KR101824153B1 (ko) | 해상 구조물의 자세 유지 시스템 | |
EP4388235A1 (en) | Method for deploying an elongate member and tensioner system | |
KR20140057842A (ko) | 해양구조물 롤링시 배관의 안정규격 계산방법 | |
WO2011154526A1 (en) | Method for laying a pipeline offshore using an s-lay system provided with a stinger having a plurality of roller boxes | |
JP2007069685A (ja) | ケーブルエンジ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敷設船 | |
JP3327892B2 (ja) | ケーブルエンジン | |
JP6429080B2 (ja) | ワイヤ張力調整装置 | |
KR20180000300U (ko) | 해양플랜트 타워의 와류기 진동 방지장치 | |
AU734646B3 (en) | Stabilisation of submarine elongate structures | |
WO2001001028A2 (en) | Stabilisation of submarine elongate struc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