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082A -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082A
KR20150116082A KR1020140040447A KR20140040447A KR20150116082A KR 20150116082 A KR20150116082 A KR 20150116082A KR 1020140040447 A KR1020140040447 A KR 1020140040447A KR 20140040447 A KR20140040447 A KR 20140040447A KR 20150116082 A KR20150116082 A KR 20150116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ure
concentration
fine dust
regression model
polmo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렬
박춘식
김신도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6082A/ko
Publication of KR2015011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12Pulmonary diseases

Abstract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정된 PM2.5의 농도 또는 실제측정된 PM2.5의 자료 정보를 활용하여, 천식환자의 폐기능 저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Estimation method of polmonary function insufficiency according to exposure on fine dust}
본 발명은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향후 초미세먼지에의 노출이 일반 비흡연 천식환자의 폐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통계적 모델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젤배출미세먼지(DEP) 호흡에 의한 발암성과 관련된 인간 역학 연구와 동물을 이용한 발암관련 독성 실험은 1980년에 시작되었다. 미국 환경부는 DEP는 대기 중 미세먼지 (PM)의 일부로 간주되므로, 대기 중 PM 자료를 이용하는 것은, DEP가 미치는 건강영향(폐암 발생이나 사망관련)에 대한 역학 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대부분 미세한 입자(<1.0 mm diameter)로 구성된 디젤미세먼지(DPM)는 독성학적으로 대기 중 미세 입자 혼합물의 중요한 성분으로 간주되고 있다. 일부 대규모 연구(예: Harvard Six Cities Study; American Cancer Society (ACS) Study; Adventist Health Study of Smog (AHSMOG))에서는 대기 중 미세 입자에의 만성 노출이, 증가된 건강영향(e.g., cardio respiratoryrelated deaths or hospital admissions) 위험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로 사용된다.
유럽의 경우에는 현재 자동차의 50 % 이상이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이동오염원 디젤 배출에 의한 건강영향 결과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평균 30세의 천식환자(남자 52%)를 대상으로 디젤 배기가스 노출에 따른 폐 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대조군 (공원 거리 노출 환자) 60명에 비교했을때, 비교군 (디젤 차량 거리 노출 환자)이 1초 노력호기량 (FEV)은 6.1% 감소, 강제호기량 (FVC)는 5.4% 감소함을 알 수 있다 (p<0.05).
덴마크에서 15~74세 노동자의 추적조사로서 디젤 노출에 따른 남성 트럭 운전자의 사망에 관한 추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1970년 11월 9일 전국적 인구 조사로부터 확인된 사망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 노출 집단은 트럭 운전자 또는 장거리 수송 사업자(14,225명)로 구성되었고, 비노출 집단은 화석연료 연소 생산물에 노출되지 않았고 작업과 관련된 신체적 조건, 인구 구성별 배경, 특징에서 트럭 운전자와 비슷하다고 여기는 직업 집단으로 선정된 모든 노동자가 포함되어 있다(3,024명). 디젤 배출물질에의 노출이 암으로 인한 사망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도 작업장 환경이 아닌 일반 환경에서 Black carbon 사분위수 범위가 증가할 때 FEV는 1.1% (95% CI -2.5~0.3%) 감소, FVC는 0.6% (95% CI -1.9~0.6%) 감소하여 폐기능이 저하됨을 보여준 연구가 있다.
또한 미국에서 성인(여성 100%)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도로 150m 외 거주자보다 도로 150m 내 거주자가 차량 노출(주도로까지 거리)에 따른 FEV 는 15.7ml(95% CI -34.4~2.9) 감소, FVC는 24.2ml(95% CI -46.2~-2.3) 감소하여 폐기능이 저하됨을 보고된 바 있다.
미국 EPA의 보고서는 여러 연구결과에서 보여준 노출-발암과의 관련성 (특히 작업환경에서의 노출과 폐암 발생, 비교위험도로서 1.2~2.6), 그리고 모든 통계적 결과가 다 유의한 것은 아니지만, 노출-발암 관계의 일관성, 그리고 폐암 발생의 단일물질로서의 기여도, 노출에 따른 생물학적 폐암발생 메커니즘의 발견 등을 종합하여, 결론적으로 디젤배출물질에의 직업적 노출은 건강영향, 특히 폐암발생, 인과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최근 영국에서는 실제로 디젤차량이 많은 도로변에 단기간 노출될 때 폐기능이 저감된다는 연구조사결과가 발표된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특정 이동오염원의 연료, 즉, 디젤의 건강영향에 대한 조사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디젤배출이 많은 고정오염원 (항구) 및 이동오염원 (선박, 기차, 차량)에 대한 유해물질 농도 정보의 부재와 지표물질의 미설정 어린이 등 민감집단을 대상으로 노출에 따른 건강영향에 대한 정보는 거의 미미하다.
관련 오염원의 위해도 저감 관리정책 도출을 위해서는, 노출 정보, 건강영향을 기반으로 한 위해성 평가 등을 통한 정량적 정보의 축적과 근거를 기반으로 한 관리정책의 도출이 필요하다.
국내에서의 대기오염관련 역학연구는 기준성 오염물질 즉, 오존 (O3), 미세먼지 (PM10), 일산화탄소 (CO), 이산화황 (SO2), 이산화질소(NO2)와 통계청 자료를 이용한 Mortality (사망률)와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연구가 많고, 그 다음이 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한 기준성 오염물질 농도와 Hospital admission (병원 외래 혹은 응급실) 방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있다.
국내의 연구에 있어서, 초미세먼지(PM2.5)의 건강영향을 나타낸 결과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지금까지의 거의 대부분의 연구는 사망, 질병유무 등 이항 변수(Yes/No 형태)만 사용되어 왔고,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위해성 관리 전략 제언을 위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6704호 (2012.11.23)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 중 PM2.5 농도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평가하고 그러한 PM2.5 농도에 따른 폐기능의 저하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한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먼지가 호흡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위해성 관리를 위한 전략 마련을 위한 기반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은, 추정된 PM2.5의 농도 또는 실제측정된 PM2.5의 자료 정보를 활용하여, 천식환자의 폐기능 저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출기간대별 PM2.5 단위 농도 증가에 따른 폐기능 % 악화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후 이동 오염원 관련 주요 오염물질의 건강영향에 대한 자료 기반 구축 혹은 자동차배출 오염물질 모니터링, 모델링, 관련 건강영향 평가시, 정량 혹은 정성적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론으로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근 기후변화와 이동오염원의 환경오염으로 인해 대기-생태계-삶의 질의 순환이 변하고 있고, 피드백 과정(레져용 디젤차량 증가)을 통해 심각한 악영향을 받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러한 체계적인 연구는 향후 관리정책의 마련을 통한 대기환경 감시전략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노출기간대별 PM2.5 단위 농도 증가에 따른 폐기능 % 악화의 관련성을 나타낸 표이다.
도 2는 환자의 방문회수별 환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환자의 방문회수별 FEV1 <= 80의 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반 천식 환자의 1초 강제 호기량(FEV1)과 PM2.5 노출 농도 관련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추정된 PM2.5의 농도 또는 실제측정된 PM2.5의 자료가 있을 경우에는 PM2.5의 자체 정보를 활용하여, 일반 천식환자의 폐기능 저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병원을 방문했을 때, 측정된 비흡연 환자의 폐기능 정도가, 지연효과를 고려한 (1일, 2일, ... 6일전) 대기중 PM2.5농도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지를 평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05년부터 2012년 사이, 순천향 부천병원을 방문한 비흡연 환자들을 대상으로 상기방법으로 모델링한 결과의 해석 및 향후 적용에 관한 부분에 한 한다.
<평가방법>
도시 대기오염 노출 수준과 순천향 부천병원 호흡기 내과 내원 환자의 FEV1 관련성 평가하기 위하여 정보를 정리하였다.
호흡기 내과 내원 환자의 정보를 살펴본 결과, 여성은 1363명 중 74명, 남성의 경우 1014명중 334명이 흡연자였으며, 여성의 FEV1은 87%, 남성의 FEV1은 흡연자는 77.1% 비흡연자는 80%의 결과를 보였다.
- 한국형 노출 반응 함수 도출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모델결과>
ln 1초강제 호기량 (T=0) = 1.1431 0.0006PM2.5 + 0.2180성별 + 0.0034BMI 0.0108폐기능 검사나이 0.0024기온 + 0.0003상대습도 - 0.0107SO 2 + 0.0020NO 2 + 0.0335CO + 0.0025O 3
ln 1초강제 호기량 (T=1) = 1.1702 0.0003PM2.5 + 0.2267성별 + 0.0029BMI 0.0105폐기능 검사나이 0.0019기온 - 0.0001상대습도 - 0.0067SO 2 + 0.0018NO 2 - 0.0042CO + 0.0015O 3
ln 1초강제 호기량 (T=2) = 1.1981 0.0004PM2.5 + 0.2273성별 + 0.0030BMI 0.0107폐기능 검사나이 0.0010기온 - 0.0006상대습도 - 0.0063SO 2 + 0.0015NO 2 + 0.0249CO + 0.0014O 3
ln 1초강제 호기량 (T=3) = 1.1538 0.0011PM2.5 + 0.2370성별 + 0.0031BMI 0.0106폐기능 검사나이 0.0011기온 + 0.0001상대습도 - 0.0049SO 2 + 0.0013NO 2 + 0.0228CO + 0.001O 3
ln 1초강제 호기량 (T=4) = 1.2199 0.0005PM2.5 + 0.2250성별 + 0.0033BMI 0.0108폐기능 검사나이 0.0007기온 - 0.0009상대습도 - 0.0042SO 2 + 0.0011NO 2 + 0.0124CO + 0.0017O 3
[참고 T=0,1,2,3,4는 병원 방문 당일, 하루전, 이틀전, 삼일전, 사일전 기상 및 대기질]
<건강위험도 예측>
도 1을 참조하면, 병원 방문전, 다른 기상상태나 대기질상태는 일정수준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병원 방문 삼일전 PM2.5가 1 / 증가할 경우, 1초강제호기량은 0.1% 감소하고, 동일한 형태로 다른 기상상태나 대기질 상태는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병원 방문 하루 전 SO2의 농도가 1 ppb 상승할 경우, 1초 강제 호기량 (FEV1)은 0.5% (95% CI: 0.2-0.96) 감소한다. O3는, 본 모델에서는 병원방문 하루 전의 단위 농도 상승이 폐기능이 악화가 아닌 호전적으로 기여하겠지만, 환자의 구성 을 달리해서 모델을 검증했을 때는 그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왔기 때문에, 본 서류에서는 그 의미를 더 이상 해석 하지 않았고 초미세먼지 PM2.5와 SO2의 건강영향에 집중하였다.
국내외의 다양한 배출원에서 PM2.5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작금의 현실을 비주어볼 때, 앞으로 닥쳐올 초미세먼지의 농도변화에 미리 대비하고 기상변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 성분에 대한 단백질 모니터링과 호흡기질환자의 건강영향 악화를 주의깊게 모니터링 해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부천지역에서 천식환자를 보호할 목적이라면, 이산화황의 농도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밝혀졌다. 통상적으로 호흡기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물질은 미세먼지와 오존이 많이 알려져 있었는데, 이 지역에서는 PM2.5와 SO2의 농도 상승이 폐기능 저하요인으로 강하게 대두되었으므로. 해당 오염물질 저감대책이나 민감집단 보호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2)

  1. 추정된 PM2.5의 농도 또는 실제측정된 PM2.5의 자료 정보를 활용하여, 천식환자의 폐기능 저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
  2. 제 2항에 있어서,
    노출기간대별 PM2.5 단위 농도 증가에 따른 폐기능 % 악화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
KR1020140040447A 2014-04-04 2014-04-04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 KR20150116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47A KR20150116082A (ko) 2014-04-04 2014-04-04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47A KR20150116082A (ko) 2014-04-04 2014-04-04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82A true KR20150116082A (ko) 2015-10-15

Family

ID=5435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447A KR20150116082A (ko) 2014-04-04 2014-04-04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608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6979A (zh) * 2017-12-21 2018-06-01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基于modis和机器学习模型融合的pm2.5反演方法
KR102088296B1 (ko) 2019-07-25 2020-05-29 백정현 대기질 데이터에 기초한 질병 상관 관계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00078240A (ko) 2018-12-21 2020-07-0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오염물질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공기오염물질 노출 확인 방법
KR20200078245A (ko) 2018-12-21 2020-07-0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오염물질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공기오염물질 노출 확인 방법
KR20200078235A (ko) 2018-12-21 2020-07-0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오염물질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공기오염물질 노출 확인 방법
KR20210062513A (ko) * 2019-11-21 2021-05-3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기반 미세먼지 정보 처리 고도화를 위한, 보간 및 이상데이터 탐지 및 수정 시스템
KR102413448B1 (ko) 2021-10-19 2022-06-27 주식회사 티알 Ai 시스템이 포함된 호흡기 질환 검진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6979A (zh) * 2017-12-21 2018-06-01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基于modis和机器学习模型融合的pm2.5反演方法
CN108106979B (zh) * 2017-12-21 2020-05-19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基于modis和机器学习模型融合的pm2.5反演方法
KR20200078240A (ko) 2018-12-21 2020-07-0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오염물질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공기오염물질 노출 확인 방법
KR20200078245A (ko) 2018-12-21 2020-07-0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오염물질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공기오염물질 노출 확인 방법
KR20200078235A (ko) 2018-12-21 2020-07-0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오염물질 노출 여부 확인용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공기오염물질 노출 확인 방법
KR102088296B1 (ko) 2019-07-25 2020-05-29 백정현 대기질 데이터에 기초한 질병 상관 관계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10062513A (ko) * 2019-11-21 2021-05-3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기반 미세먼지 정보 처리 고도화를 위한, 보간 및 이상데이터 탐지 및 수정 시스템
KR102413448B1 (ko) 2021-10-19 2022-06-27 주식회사 티알 Ai 시스템이 포함된 호흡기 질환 검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6082A (ko) 다중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초미세 먼지 노출에 따른 폐기능 저하 예측방법
Clay et al. Recent increases in air pollution: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mortality
Suglia et al. Association between traffic-related black carbon exposure and lung function among urban women
Garshick et al. Lung cancer and elemental carbon exposure in trucking industry workers
Nie et al. Exposure to traffic emissions throughout life and risk of breast cancer: the Western New York Exposures and Breast Cancer (WEB) study
Knibbs et al. Effect of cabin ventilation rate on ultrafine particle exposure inside automobiles
Geravandi et al. Sulfur and nitrogen dioxide exposure and the incidence of health endpoints in Ahvaz, Iran
Marinello et al. Roadway tunnels: A critical review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and vehicular emissions
Cleary et al.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exposures and impacts on respiratory outcomes in River Rouge and Dearborn, Michigan
De Bruin et al. Personal carbon monoxide exposure levels: contribution of local sources to exposures and microenvironment concentrations in Milan
Kobza et al. Do the pollution related to high-traffic roads in urbanised areas pose a significant threat to the local population?
Aslam et al. Role of ambient air pollution in asthma spread among various population groups of Lahore City: a case study
Harik et al. Is in-cabin exposure to carbon monoxid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amplified by the vehicle’s self-pollution potential? Quantifying the rate of exhaust intrusion
Tham et al. The role of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on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 older people: an epidemiological perspective
Valberg Is PM more toxic than the sum of its parts? Risk-assessment toxicity factors vs. PM-mortality “effect functions”
Huang et al. The impact of air pollution on COVID-19 pandemic varied within different cities in South America using different models
Zhao et al. Evaluation of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personal cumulative exposure dose, and aerosol transmission risk levels inside urban buses in Dalian, China
El-Zein et al. Did a ban on diesel-fuel reduce emergency respiratory admissions for children?
Patterson et al. Effects of diesel engine emission controls on environmental equity and justice
Lin et al. Residential proximity to large airports and potential health impacts in New York State
Jung et al. Characteristics of peak exposure to black carbon pollution in school, commute and home environments among school children in an urban community
Tseng et al. Associations between children's exposure to PM2. 5 and their serum inflammatory responses in taiwan
Mitsakou et al. Updated mortality burden estimates attributable to air pollution
Mohd Firdaus et al.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ants (PM10, CO2 and CO) and respiratory health effects among long distance express bus drivers
Chaudhry et al. Exploring the influence of ventilation settings and fan strength on passenger car in-cabin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