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046A -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046A
KR20150116046A KR1020140040217A KR20140040217A KR20150116046A KR 20150116046 A KR20150116046 A KR 20150116046A KR 1020140040217 A KR1020140040217 A KR 1020140040217A KR 20140040217 A KR20140040217 A KR 20140040217A KR 20150116046 A KR20150116046 A KR 20150116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mall base
handover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587B1 (ko
Inventor
최성우
김일규
방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587B1/ko
Priority to US14/676,396 priority patent/US20150289172A1/en
Publication of KR2015011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송신 단말은 다른 소형셀에 속한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수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 기지국의 정보를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에 소형 기지국으로부터의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서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후에 목적 소형 기지국을 통해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본 발명은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셀에 속한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데이터 트래픽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증가하는 무선 트래픽을 해결하기 위해서, 단일 망이 아닌 여러 계층의 무선 통신망이 보급되고 있다. 다중 계층의 네트워크 즉,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에서 상호간 데이터 전송 및 간섭 해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종 네트워크는 커버리지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셀들이 혼재되어 운영되는 네트워크이다. 작은 커버리지의 소형셀 네트워크는 기지국과 각 단말 사이의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고효율의 성능을 보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비용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피코셀, 소형셀, 무선 릴레이 등이 소형셀에 속하며, 소형셀에는 소형셀을 관리하는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소형 기지국은 고유의 셀 커버리지를 가지고 있다. 피코셀과 팸토셀은 소형 기지국을 통해서 유선으로 백본망에 연결된다. 반면 무선 릴레이는 매크로 기지국에 무선 연결된다. 무선 릴레이와 매크로 기지국간의 통신 연결은 백홀 링크라하고, 단말과 릴레이 노드의 연결은 액세스 링크라 한다.
매크로셀에 여러 종류의 소형셀이 존재할 경우, 각 소형셀은 각자 관장할 단말에 대해서 기지국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스케쥴링을 통해서 상향/하향 액세스 링크를 관리한다.
이러한 이종 네트워크 환경은 셀의 구성 환경이 유동적이다. 무선 릴레이 같은 경우는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할 경우 셀 영역이 겹칠 수 있으며, 한 단말은 여러 가지 셀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셀 영역이 겹치더라도 서비스 받는 단말은 한 개의 셀에 연결된다. 단말이 서비스 받고 있는 셀을 변경하는 것이 핸드오버이며,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은 소형셀과 매크로셀간 핸드오버와 소형셀과 소형셀간 핸드오버를 할 수 있다.
무선릴레이에 속한 단말은 액세스링크와 백홀링크를 거쳐 백본망에 접속하고, 팸토셀이나 피코셀에 속한 단말은 소형기지국을 통해서 백본망에 접속한다. 같은 매크로 셀 내부의 서로 다른 무선릴레이에 속한 단말은 백본망을 거치지 않고, 매크로 기지국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매크로 셀 내부 서로 다른 소형셀에 속한 단말 사이의 통신을 생각해보자. 서로 다른 소형셀의 단말간 통신은 매크로 기지국/백본망을 거치는 경우와 단말간 직접통신을 하는 경우가 있다.
매크로 기지국/백본망을 거치는 경우를 살펴보면, 소형셀에 연결된 단말이 같은 매크로 셀 내부에 있는 다른 소형셀의 단말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은 단순하지 않다. 송신 단말은 자신이 속한 소형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소형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무선) 또는 백본망(유선)으로 데이터를 보낸다. 매크로 기지국 또는 백본망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그 소형 기지국은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보낸다. 이러한 전송 과정은 매크로 기지국 또는 백본망을 거치므로, 단순한 단말간 일대일 전송을 위해서 부가적인 부하를 발생시킨다. 데이터 기준으로 4홉이 발생한다. 그리고 각 전송에서 에러 제어를 위한 재전송 기능과 프로세싱 딜레이 등을 생각하면 상당한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면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단말간 직접 통신 과정은 전송 측면에서 새로운 프로토콜이 필요하므로 고려중인 이종 네트워크에서는 적용이 힘들다. 따라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통한 전송은 액세스 링크만 구현하고 있는 단말에서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서로 다른 소형셀에 연결된 단말간 데이터를 쉽게 전송할 수 있는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송신 단말이 다른 소형셀에 속한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토대로 상기 소형 기지국에 의해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후에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이 데이터를 다른 소형셀에 속한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송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송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에, 상기 송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송신 단말로 상기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송신 단말과 연결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이 데이터를 다른 소형셀에 속한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수신부, 핸드오버 결정부, 그리고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핸드오버 결정부는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송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송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에,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송신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결정부는 인접 셀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송신 단말에서 다른 소형셀에 속한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핸드오버 수행부, 그리고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는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확인하고,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에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와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전송하고, 상기 소형 기지국에 의해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이 검색되고, 상기 소형 기지국에 의해 상기 인접셀의 수신세기를 토대로 상기 단말이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이종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소형셀에 속한 단말끼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때 매크로 기지국이나 백본망에 발생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종 네트워크의 전송 용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서로 다른 소형셀에 연결된 단말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반적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소형셀에 연결된 단말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소형셀에 연결된 단말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종 네트워크는 하나의 매크로셀(10) 내에 복수의 소형셀(21, 22)을 포함한다.
매크로셀(10)은 넓은 셀 커버리지 예를 들면, 1km 내외의 커버리지를 가지고, 소형셀(21, 22)은 매크로셀(10)의 커버리지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가진다. 예를 들어, 소형셀(21, 22)은 커버리지가 10~20m 정도인 셀로, 피코셀, 펨토셀이나 중계 노드(relay) 등이 있을 수 있다. 소형셀(21, 22)은 매크로셀(10)로부터 단말(300)이 제공받는 서비스의 품질이 좋지 않은 경우 해당 지역의 단말(300)에게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된다.
매크로셀(10)은 매크로셀(10)을 관리하는 매크로 기지국(100)을 포함한다. 매크로 기지국(100)은 매크로 기지국(100)에 연결된 단말(330)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형셀(21, 22)은 각각 소형셀(21, 22)을 각각 관리하는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셀(21, 22)이 중계 노드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소형셀(21, 22)을 관리하는 기지국은 중계 노드(210, 220)가 된다. 중계 노드(210, 220)는 매크로 기지국(100)에 백홀 링크를 통해 무선 연결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셀(21)이 피코셀 또는 펨토셀인 경우, 소형셀(21, 22)을 관리하는 소형 기지국(210', 220')은 유선으로 백본망에 연결된다.
중계 노드(210, 220) 또는 소형 기지국(210', 220')은 각각 연결된 단말(310, 320)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310, 320, 330)은 매크로 기지국(100) 또는 소형 기지국(210, 210', 220, 220')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도 3은 서로 다른 소형셀에 연결된 단말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반적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소형셀(21)에 속한 단말(310)이 소형셀(22)에 속한 단말로 데이터(320)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310)은 자신이 속한 중계 노드(21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S310), 중계 노드(210)는 매크로 기지국(100)으로 데이터를 보낸다(S320). 매크로 기지국(100)은 중계 노드(220)로 데이터를 보내고(S330), 중계 노드(220)는 단말(320)로 데이터를 보낸다(S340). 이와 같이, 소형셀(21)에 속한 단말(310)이 소형셀(22)에 속한 단말(3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기준으로 4홉이 발생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이종 네트워크에서 소형셀(21)에 속한 단말(310)이 소형셀(22)에 속한 단말로 데이터(320)를 전송하려면, 우선 단말(310)은 자신이 속한 소형 기지국(2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소형 기지국(210')는 백본망으로 데이터를 보낸다. 백본망은 소형 기지국(220')로 데이터를 보내고, 소형 기지국(220')은 단말(320)로 데이터를 보낸다. 이와 같이, 소형셀(21)에 속한 단말(310)이 소형셀(22)에 속한 단말(3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기준으로 4홉이 발생한다.
아래에서는 이종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소형셀(21, 22)에 속한 단말(310, 320)이 데이터를 쉽게 전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소형셀에 연결된 단말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종 네트워크로는 도 1에 도시된 이종 네트워크를 도시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단말(310)은 전송할 데이터의 목적지인 단말(320)의 위치를 찾기 위해, 검색 정보를 중계 노드(210)로 전달한다(S410). 검색 정보는 단말(320)의 정보로서, 중계 노드(210)을 거쳐 매크로 기지국(100)으로 전달된다(S420).
매크로 기지국(100)은 검색 정보를 토대로 단말(320)을 검색하고, 단말(320)이 소형셀(22)에 속한다는 것을 중계 노드(210)에게 알려준다(S430).
중계 노드(210)는 단말(310)이 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판단한다.
중계 노드(210)는 단말(310)이 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하면 단말(310)에게 소형셀(22)로 핸드오버를 명령한다(S440).
단말(310)은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서 소형셀(22)로 핸드오버한다.
단말(310)은 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가 성공하면, 중계 노드(210)와의 연결을 끊고 중계 노드(220)로 접속한다.
단말(310)은 상향링크를 통해 중계 노드(22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450).
중계 노드(220)는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다음 스케쥴링에서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수신했던 데이터를 하향링크를 통해서 단말(320)로 전송한다(S460).
중계 노드(220)는 임시적으로 단말(310)과 연결을 설정한 것이므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단말(310)을 원래 위치인 소형셀(21)로 핸드오버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중계 노드(210)는 단말(310)이 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310)에게 소형셀(22)로 핸드오버 불가능을 알린다. 그러면, 단말(310)은 도 3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데이터를 중계 노드(210)로 전송한다. 중계 노드(210)로 전송된 데이터는 매크로 기지국(100)과 중계 노드(220)를 거쳐서 단말(320)로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소형셀에 연결된 단말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종 네트워크로는 도 2에 도시된 이종 네트워크를 도시하였다.
도 5를 참고하면, 단말(310)은 전송할 데이터의 목적지인 단말(320)의 위치를 찾기 위해 검색 정보를 소형 기지국(210')으로 전달한다(S510). 검색 정보는 소형 기지국(210')을 거쳐 백본망으로 전달된다(S520).
백본망은 단말(320)이 소형셀(22)에 속한다는 것을 소형기지국(210')에 알려준다(S530).
소형기지국(210')은 단말(310)이 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판단한다.
소형기지국(210')은 단말(310)이 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하면 단말(310)에게 소형셀(22)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S540).
단말(310)은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서 소형셀(22)로 핸드오버한다.
단말(310)은 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가 성공하면, 소형기지국(210')과의 연결을 끊고 소형기지국(220')에 접속한다.
단말(310)은 상향링크를 통해서 소형기지국(22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550).
소형기지국(220')은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다음 스케쥴링에서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데이터를 하향링크를 통해서 단말(320)로 전달한다(S560).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단말(310)은 소형셀(22)에 남아 있거나, 소형셀(21)로 복귀할 수 있다. 단말(310)은 소형셀(21)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다시 소형셀(21)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소형셀(21)로의 핸드오버 판단은 소형기지국(220')이 결정한다. 소형기지국(220')은 임시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단말(310)과 연결을 설정한 것이면, 단말(310)로 바로 소형셀(21)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고, 단말(310)로 계속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면 단말(310)과의 연결을 유지한다.
한편, 소형기지국(210')은 단말(310)이 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310)에게 소형셀(22)로 핸드오버 불가능을 알린다. 그러면, 단말(310)은 데이터를 소형기지국(210')으로 전송한다. 소형기지국(210')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백본망과 소형기지국(220')을 거쳐 단말(32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동일 셀의 단말간 통신은 다른 셀의 단말간 통신보다 전체 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셀과 통신을 위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는 매크로 기지국(100)을 거치거나 백본망을 거쳐야 하는데, 동일 셀에 속하면 해당 기지국(도 4의 220, 도 5의 220')만 거친다.
즉 일반적으로 핸드오버는 서비스 받는 셀을 변경하고, 연결(connectivity)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310)이 접속을 원하는 목적셀이 발생하면, 그 목적셀로 핸드오버를 하는데, 이때 목적셀의 기지국은 셀 그룹 멤버에 단말(310)을 등록함으로써, 셀 그룹 멤버 내의 단말은 해당 기지국만 거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310)은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해당 기지국(도 4의 220, 도 5의 220')으로 전송하고, 단말(320)은 하향링크로 수신한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100)이나 백본망을 거치지 않으므로 전체 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310)과 연결되어 있는 소형 기지국(2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중계 노드(210) 또한 이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소형기지국(210')은 기존의 핸드오버 방법과 달리 새로운 핸드오버 판단 기준을 가진다. 기존의 핸드오버의 판단 기준은 인접셀의 신호 세기로서, 서빙셀보다 신호세기가 큰 인접셀이 존재하는 경우에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소형기지국(210')은 목적 소형셀(예를 들면, 22)로 연결하기 위한 필요성이 우선하고, 그 이후 신호 세기를 판단함으로써 목적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목적 소형셀(22)의 신호 세기로부터 단말(310)과 목적 소형셀(22)이 연결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일시적으로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목적 소형셀(22)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
소형기지국(210')은 각 단말로부터 인접셀의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접셀의 신호세기를 저장한다(S610). 이를 위해 소형기지국(210')에 연결된 단말은 인접셀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수시로 소형기지국(210')에 보고한다. 인접셀의 신호 세기는 인접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소형기지국(210')은 단말(310)로부터 데이터의 목적지인 목적 단말(320)의 정보를 수신한다(S620).
소형기지국(210')은 목적 단말(320)이 속한 목적 소형셀의 정보를 검색한다(S630). 소형기지국(210')은 백본망으로 목적 단말(320)의 정보를 전달하고 백본망으로부터 목적 단말(320)이 속한 목적 소형셀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소형기지국(210')은 인접셀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목적 소형셀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결정한다(S640). 이를 위해 소형기지국(210')은 인접셀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목적 소형셀의 신호 세기가 임계 값보다 큰지 판단한다. 이때 임계 값은 단말(310)과 연결 가능한 최소한의 신호 세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소형기지국(210')은 목적 소형셀의 신호 세기가 임계 값보다 큰 경우에, 목적 소형셀과 단말(310)이 연결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310)로 목적 소형셀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한다(S650).
단말(310)은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목적 소형셀(22)로 핸드오버하여 목적 소형셀(22)의 소형기지국(22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단말(310)은 원래 소형셀(21)로 복귀하거나 목적 소형셀(22)에서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목적 소형셀(22)의 소형기지국(220')은 단말(310)을 소정의 목적을 위해서 일시적으로 연결한 경우 원래 소형셀(21)로 복귀하도록 원래 소형셀(21)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700)는 수신부(710), 핸드오버 수행부(720) 및 송신부(7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700)는 단말(310)에 포함될 수 있다.
수신부(710)는 소형 기지국(210 또는 210')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다.
핸드오버 수행부(720)는 소형 기지국(210 또는 210')으로부터 전송할 데이터의 목적지인 목적 단말(320)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기지국(220 또는 220')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면, 목적 소형기지국(220 또는 220')으로 핸드오버한다.
송신부(730)는 전송할 데이터의 목적지인 목적 단말(320)의 정보를 소형 기지국(210 또는 2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송신부(730)는 목적 소형기지국(220 또는 220')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목적 소형기지국(220 또는 22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송할 데이터가 다른 소형셀에 존재하는 경우, 핸드오버 수행부(720)는 다른 소형셀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소형 기지국(210 또는 210')으로부터 확인한 후 핸드오버가 가능하면 핸드오버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800)는 수신부(810), 핸드오버 결정부(820) 및 송신부(8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800)는 소형셀(21, 22)의 기지국에 포함될 수 있다.
수신부(810)는 단말(310)로부터 전송할 데이터의 목적지인 목적 단말(320)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810)는 백본망 또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목적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셀(22)의 정보를 수신한다.
핸드오버 결정부(820)는 목적 소형기지국(220 또는 220')으로 단말(310)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판단하고, 목적 소형기지국(220 또는 220')으로 단말(310)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에,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부(830)를 통해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결합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프로세서가 핸드오버 수행부(720) 또는 핸드오버 결정부(820)의 기능을 수행하고, 송수신기(transceiver)가 수신부(710 또는 810) 및 송신부(730 또는 8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송신 단말이 다른 소형셀에 속한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토대로 상기 소형 기지국에 의해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결정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후에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송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이 데이터를 다른 소형셀에 속한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송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송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에, 상기 송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송신 단말로 상기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5항에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송신 단말과 연결을 재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송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이 데이터를 다른 소형셀에 속한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송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송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에,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핸드오버 결정부, 그리고
    상기 송신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을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결정부는 인접 셀의 신호 세기로부터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핸드오버 결정부는 백본망 또는 매크로 기지국을 통해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의 정보를 획득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1. 소형셀의 소형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송신 단말에서 다른 소형셀에 속한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가능한지 확인하고,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에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수행부, 그리고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와 인접 셀의 신호 세기를 전송하고,
    상기 소형 기지국에 의해 상기 수신 단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이 검색되고, 상기 소형 기지국에 의해 상기 인접셀의 수신세기를 토대로 상기 단말이 상기 목적 소형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0140040217A 2014-04-03 2014-04-03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153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17A KR102153587B1 (ko) 2014-04-03 2014-04-03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4/676,396 US20150289172A1 (en) 2014-04-03 2015-04-0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217A KR102153587B1 (ko) 2014-04-03 2014-04-03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46A true KR20150116046A (ko) 2015-10-15
KR102153587B1 KR102153587B1 (ko) 2020-09-09

Family

ID=5421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217A KR102153587B1 (ko) 2014-04-03 2014-04-03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89172A1 (ko)
KR (1) KR102153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4168A1 (en) * 2015-08-12 2023-01-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1665A (ja) * 2009-01-21 2010-08-05 Kddi Corp 異なるセッション制御サーバに基づく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間の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2244609A (ja) * 2011-05-24 2012-12-10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0886B2 (en) * 2004-01-09 2008-07-15 Siemens Communications, Inc. Call hand-over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923267B2 (en) * 2006-06-30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igh speed peer-to-peer connectivity between wireless devices
WO2015065352A1 (en) * 2013-10-30 2015-05-07 Hitachi, Ltd. Mobility management for small cell deployment in long term evolu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1665A (ja) * 2009-01-21 2010-08-05 Kddi Corp 異なるセッション制御サーバに基づく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間のハンドオーバ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2244609A (ja) * 2011-05-24 2012-12-10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89172A1 (en) 2015-10-08
KR102153587B1 (ko)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261B2 (en) Path selection method and device
CN104170465B (zh) 实现多个空中接口的小型小区
US8548476B2 (en) Method of managing X2 interface, handover method,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nd apparatus
EP28937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macro base station and small cell bas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194474B2 (en) Communications network
US20150155930A1 (en) Method and Relay Node for Implementing Multiple Wireless Backhauls
US10299170B2 (en) Gateway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WO2016161759A1 (zh) 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JP2010524367A (ja) 無線中継局の接続関係終止の方法
WO2011160460A1 (zh) 获取相邻小区信息方法及网络
KR2015002224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립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4041118A (zh) 无线网络中的高速切换
CN102572946B (zh) 一种无线通信系统中基站服务质量保证方法和装置
CN107580347B (zh) 控制终端设备切换方法及终端设备
US10560913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quisition of control node information
US20120264430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of base station, relay station and terminal
JP7099556B2 (ja) 無線バックホールを確保する方法、子基地局、親基地局、並びに子基地局及び親基地局における方法
WO2012142823A1 (zh) 小区切换方法、设备及系统
JP2023076736A (ja) 中継伝送路を含んだハンドオーバが実行され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装置、基地局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03309A (ko) 통신 시스템
US20150124762A1 (en) Method for reducing overhead of control signal during connection of plural lte base stations
US20140080486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US9344928B2 (en) Neighbouring cell optimiz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50099522A1 (en) Method for avoiding small cell interference during connection of plural lte base stations
KR102153587B1 (ko)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