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695A -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695A
KR20150114695A KR1020140039188A KR20140039188A KR20150114695A KR 20150114695 A KR20150114695 A KR 20150114695A KR 1020140039188 A KR1020140039188 A KR 1020140039188A KR 20140039188 A KR20140039188 A KR 20140039188A KR 20150114695 A KR20150114695 A KR 20150114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put
button
mode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171B1 (ko
Inventor
김호성
김우석
정호은
Original Assignee
김호성
김우석
정호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성, 김우석, 정호은 filed Critical 김호성
Priority to KR102014003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1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 {TERMINAL HAVING TRANSPARENCY ADJUSTABLE INPUT MEANS AND INPUT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한된 화면에서 텍스트 영역이 버튼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버랩되어 보여질 수 있도록 가상 키보드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기술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휴대용 디지털 기기들은 입력 수단으로서 키보드를 채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지원한다. 일반적인 키보드는 많은 개수의 버튼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통해 키보드의 버튼들을 화면에 그래픽으로 가상 구현하는 경우, 이러한 버튼들은 종류가 많아 화면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며, 버튼들이 불투명하여 제한된 화면에서 텍스트 영역을 상당히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제한된 화면에서 텍스트 영역이 버튼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버랩되어 보여질 수 있도록 가상 키보드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창 위에 제1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제2 창과 제1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버튼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visibility) 속성을 'invisible'로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며, 제1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제1 창과 제2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서 이동 모드에서 버튼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visible'로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알파 채널(alpha channel) 및 RGB(red, green, blue)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 내 다수 개의 버튼의 표기, 경계선 및 백그라운드, 해당 다수 개의 버튼의 그룹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의 색상 및 투명도를 설정하는 버튼 색상 및 투명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창에는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메뉴바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서, 상기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 수행 과정은, 제2 창 위에 제1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제2 창과 제1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버튼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invisible'로 설정하는 과정과, 제1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제1 창과 제2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서 이동 모드에서 버튼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visible'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서, 알파 채널 및 RGB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 내 다수 개의 버튼의 표기, 경계선 및 백그라운드, 해당 다수 개의 버튼의 그룹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의 색상 및 투명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서, 상기 제1 창에는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메뉴바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과,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3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과,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3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한된 화면에서 텍스트 영역이 버튼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버랩되어 보여질 수 있도록 가상 키보드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버튼 색상 및 투명도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가상 키보드 또는 메뉴바 내 다수 개의 버튼을 도시한 예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을 도시한 다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알파 채널(alpha channel)을 이용하여 가상 키보드 및 메뉴바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버튼에 대한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종래 불투명 버튼들에 의해 가려졌던 텍스트 영역을 보이게 하여 작업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단말기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MP3 플레이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터치스크린(100), 제어부(110), 버튼 색상 및 투명도 설정부(120),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100)는, 3개의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 및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과, 상기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3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제1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되고, 제2 창 위에 제3 창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키보드는 문자 또는 숫자 버튼들과, 제1 기능 버튼들(예를 들어, del버튼, ins버튼, enter버튼, ctrl버튼, alt버튼 등)을 포함하고, 메뉴바는 제2 기능 버튼들(예를 들어, File버튼, Edit버튼, Tool버튼, Table버튼, Window버튼, Help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 예를 들어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또는 더블 터치)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100)을 제어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2 창 위에 제3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2 창과 제3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버튼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visibility) 속성을 'invisible'로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10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제3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3 창과 제2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서 이동 모드에서 버튼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visible'로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100)을 제어한다.
상기 버튼 색상 및 투명도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색상 값 및 투명도 값 입력에 따라 알파 채널(alpha channel) 및 RGB(red, green, blue)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 및 메뉴바 내 다수 개의 버튼의 색상 및 투명도를 설정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터치스크린(100)는, 2개의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 및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1 창,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창 위에 제1 창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제2 창 위에 제1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2 창과 제1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버튼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invisible'로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제1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1 창과 제2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서 이동 모드에서 버튼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visible'로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1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버튼 색상 및 투명도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201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버튼 색상 및 투명도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201단계에서, 버튼 색상 및 투명도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은 203단계에서 가상 키보드 또는 메뉴바 내 다수 개의 버튼의 색상 값 및 투명도 값을 입력받기 위한 색상 및 투명도 설정창을 표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205단계에서 버튼의 색상 값 및 투명도 값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버튼의 색상 값 및 투명도 값은, 알파 채널 및 RGB 채널을 이용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가상 키보드 또는 메뉴바 내 다수 개의 버튼은 각각, 도 4와 같이, 해당 버튼의 기능을 표현하는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그림(이하, '표기'라 칭하기로 함)과, 해당 버튼의 영역을 나타내는 테두리 선(이하, '경계선'이라 칭하기로 함)과, 해당 버튼의 영역에서 표기와 경계선을 제외한 부분(이하, '백그라운드'라 칭하기로 함)으로 구성된다. 가상 키보드 내 다수 개의 버튼의 그룹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키보드 프레임'이라 칭하고, 메뉴바 내 다수 개의 버튼의 그룹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을 '메뉴 프레임'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가상 키보드 또는 메뉴바 내 다수 개의 버튼의 표기, 경계선, 백그라운드, 키보드 프레임, 메뉴 프레임의 색상 및 투명도는, 알파 채널, 적색 채널(red channel), 녹색 채널(green channel), 청색 채널(blue channel)을 각각 8비트(bit)로 표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16진수를 사용하여 0x00에서 0xff까지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의 표기를 노란색 불투명으로 설정하고자 할 경우, 해당 버튼 표기의 색상 및 투명도는 '0x40ffff00'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0x'는 16진수임을 나타내고, 그 다음 '40'은 투명도 값을 나타내며, '00'에 가까운 투명도 값은 완전투명함을 의미하고 'ff'에 가까운 투명도 값은 불투명함을 의미한다. 그 다음 'ff'는 적색 값을 나타내고, 그 다음 'ff'는 녹색 값을 나타내며, 마지막 '00'은 청색 값을 나타낸다.
상기 205단계에서, 버튼의 색상 값 및 투명도 값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은 207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값으로 가상 키보드 또는 메뉴바 내 다수 개의 버튼의 색상 및 투명도를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에 다양한 키보드가 제공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익숙하지 않은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버튼의 위치와 내용을 충분히 익히기 전까지는 버튼의 표기, 경계선, 백그라운드, 키보드 프레임, 메뉴 프레임을 모두 불투명으로 설정하여 버튼의 위치와 내용이 분명히 보이도록 하여 사용하고, 가상 키보드에 익숙해지면, 키보드 프레임, 메뉴 프레임을 완전히 투명으로 설정하고 표기, 경계선, 백그라운드를 적절한 수준의 투명으로 설정하거나, 표기, 경계선, 백그라운드, 키보드 프레임, 메뉴 프레임을 모두 높은 수준의 투명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텍스트 영역 내 원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텍스트 영역을 드래그하여 영역을 지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영역을 터치할 필요가 있다. 상기 도 2와 같이, 버튼의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경우, 버튼이 불투명하지 않아 넓은 영역의 텍스트를 볼 수 있으나, 버튼이 차지하는 영역의 텍스트에 대해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경우 버튼의 터치 이벤트와 중복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 예를 들어, 롱 터치(또는, 더블 터치) 입력에 따른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버튼이 없는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모든 버튼의 작동을 중지하게 하고, 모든 버튼의 작동이 중지된 상황에 버튼이 없는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모든 버튼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303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03단계에서,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305단계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 및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과,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3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7단계에서 제2 창 위에 제3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제2 창 위에 제3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319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307단계에서, 제2 창 위에 제3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309단계에서 제2 창과 제3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버튼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visibility) 속성을 'invisible'로 설정한다. 즉, 버튼이 화면에 보이지 않도록 숨기되 공간은 차지하도록 설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11단계에서 커서 이동 모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커서 이동 모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315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311단계에서, 커서 이동 모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313단계에서 제2 창 상에서 터치 입력 발생 위치로 커서를 이동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15단계에서 제3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15단계에서, 제3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31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315단계에서, 제3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317단계에서 제3 창과 제2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서 이동 모드에서 버튼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visible'로 설정한다. 즉, 버튼이 화면에 보이도록 설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19단계에서 버튼 입력 모드에서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19단계에서, 버튼 입력 모드에서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307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319단계에서, 버튼 입력 모드에서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321단계에서 제2 창 상에서 해당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307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을 도시한 다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501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503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503단계에서, 문자 입력 모드로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505단계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 및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507단계에서 제2 창 위에 제1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507단계에서, 제2 창 위에 제1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519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507단계에서, 제2 창 위에 제1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509단계에서 제2 창과 제1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버튼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visibility) 속성을 'invisible'로 설정한다. 즉, 버튼이 화면에 보이지 않도록 숨기되 공간은 차지하도록 설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511단계에서 커서 이동 모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511단계에서, 커서 이동 모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515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511단계에서, 커서 이동 모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513단계에서 제2 창 상에서 터치 입력 발생 위치로 커서를 이동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515단계에서 제1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515단계에서, 제1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511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515단계에서, 제1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517단계에서 제1 창과 제2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서 이동 모드에서 버튼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visible'로 설정한다. 즉, 버튼이 화면에 보이도록 설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519단계에서 버튼 입력 모드에서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519단계에서, 버튼 입력 모드에서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507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상기 519단계에서, 버튼 입력 모드에서 버튼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은 521단계에서 제2 창 상에서 해당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507단계로 돌아가 이하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은, 가상 키보드의 투명도를 조절함으로써, 제한된 화면에서 텍스트 영역이 버튼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버랩되어 보여질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작업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터치스크린
110: 제어부
120: 버튼 색상 및 투명도 설정부
130: 저장부

Claims (10)

  1.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창 위에 제1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제2 창과 제1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버튼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visibility) 속성을 'invisible'로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며,
    제1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제1 창과 제2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서 이동 모드에서 버튼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visible'로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알파 채널(alpha channel) 및 RGB(red, green, blue)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 내 다수 개의 버튼의 표기, 경계선 및 백그라운드, 해당 다수 개의 버튼의 그룹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의 색상 및 투명도를 설정하는 버튼 색상 및 투명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창에는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메뉴바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5.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 수행 과정은,
    제2 창 위에 제1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제2 창과 제1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버튼 입력 모드에서 커서 이동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visibility) 속성을 'invisible'로 설정하는 과정과,
    제1 창 위에 제2 창이 배치된 상태에서,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제1 창과 제2 창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서 이동 모드에서 버튼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버튼의 가시도 속성을 'visible'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알파 채널(alpha channel) 및 RGB(red, green, blue)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 내 다수 개의 버튼의 표기, 경계선 및 백그라운드, 해당 다수 개의 버튼의 그룹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의 색상 및 투명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창에는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메뉴바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
  9.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과,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3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10.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 설정된 투명도의 다수 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창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버튼에 할당된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창과,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의 좌표 값을 획득하는 제3 창을 순서대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텍스트 영역에 대한 토글을 위한 입력에 따라 버튼 입력 모드와 커서 이동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 방법.
KR1020140039188A 2014-04-02 2014-04-02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 KR10165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188A KR101653171B1 (ko) 2014-04-02 2014-04-02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188A KR101653171B1 (ko) 2014-04-02 2014-04-02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695A true KR20150114695A (ko) 2015-10-13
KR101653171B1 KR101653171B1 (ko) 2016-09-02

Family

ID=5434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188A KR101653171B1 (ko) 2014-04-02 2014-04-02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13B1 (ko) * 2018-10-02 2020-03-02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780A (ko) * 2007-01-20 2008-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20100103275A (ko) * 2009-03-13 2010-09-27 유비벨록스(주)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JP2013098826A (ja) * 2011-11-02 2013-05-20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KR101294458B1 (ko) * 2012-03-26 2013-08-07 주식회사 유비온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780A (ko) * 2007-01-20 2008-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20100103275A (ko) * 2009-03-13 2010-09-27 유비벨록스(주)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JP2013098826A (ja) * 2011-11-02 2013-05-20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KR101294458B1 (ko) * 2012-03-26 2013-08-07 주식회사 유비온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텍스트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13B1 (ko) * 2018-10-02 2020-03-02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171B1 (ko)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7569B (zh) 一种智能手机多窗口显示方法和装置
US9342239B2 (en) Virtual interface devices
EP2966554A1 (en) Terminal and terminal operating method
US20100207870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symbol in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CN104317487A (zh) 环形菜单的显示方法和显示装置
CN10414279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AU2013348880A1 (en) Split-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WO2009157560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CN105117002B (zh) 一种智能手表的表冠及智能手表的操作方法
US2021001159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to Navigate Between Windows
WO2016107462A1 (zh) 一种信息输入方法、装置及智能终端
CN103577033B (zh) 一种输入法面板的设置方法和系统
WO2023125425A1 (zh) 一种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963143B2 (en) Data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JP6330348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653171B1 (ko)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기 및 이의 입력 방법
JP2021526272A (ja) モバイル端末のシステムインターフェースを設定する方法、装置、媒体及びデバイス
US201403311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WO2018112951A1 (zh) 头戴式显示设备及其内容输入方法
CN104714739A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710275B1 (ko) 판서 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 시스템
CN104461234B (zh) 一种行动装置上快速切换页面的方法
TW201514832A (zh) 調整畫面顯示的系統及方法
WO2016188215A1 (zh) 一种触摸屏的信息输入的方法及装置
KR100635919B1 (ko) 숫자키를 이용한 커서 이동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