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664A -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 - Google Patents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664A
KR20150114664A KR1020140039080A KR20140039080A KR20150114664A KR 20150114664 A KR20150114664 A KR 20150114664A KR 1020140039080 A KR1020140039080 A KR 1020140039080A KR 20140039080 A KR20140039080 A KR 20140039080A KR 20150114664 A KR20150114664 A KR 2015011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olor
character
vowel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5809B1 (en
Inventor
강병호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9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809B1/en
Publication of KR2015011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8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 which increases learning effect by learning korean character by morphology according to a creating principle of korean character, easily knowing consonants and vowels associated with a color and learning and recognizing the creating principle of korean character through color change by a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wherein the material comprises: a character display unit which displays characters consisting of consonants, vowels and one syllable combined by consonants or vowels korean character ; and a backlight display unit which determines colors depending on types of consonants and vowels which form characters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and paints circumference of each character display unit by the determined color.

Description

한글 학습 교재{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

본 발명은 한글을 제자원리에 따라 형태적으로 학습하되, 색상과 연관시켜 자음과 모음을 쉽게 구분하며 숙지하게 하고,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의한 한글의 제자원리를 색상변화로 인지하며 학습하게 함으로써, 한글 학습 효과를 높인 한글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eaches Hangul in a morphological wa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discipleship, and makes it easy to distinguish consonants and vowels by associating them with colors, and to learn the principle of Hangul's disciples by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 And the Hangul learning material which enhances the learning effect of Hangul.

한글을 학습시키기 시작하는 유아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분석적 사고보다는 직감적 사고가 발달하는 시기라는 근거에 의해서, 모음과 자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글자를 행과 열을 맞춰 나열하여 낱말로 익히게 하는 교재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글자를 보다 쉽게 학습하도록 동물이나 물건의 이미지와 그 명칭을 병기하되, 명칭에 포함된 글자 중에 특정 글자를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강조한 글자를 이미지 및 명칭과 연관시켜 학습하게 하였다. 이러한 학습방식의 교재는 등록특허 제10-1118054호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문장을 완성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In the case of a child who starts to learn Hangul, he or she learns a plurality of letters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vowels and consonants by arranging rows and columns in a word, based on the fact that intuitive thinking is developed rather than analytical thinking in general In order to learn letters more easily, the images and names of animals and objects were described, but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names were emphasized and emphasized so that the emphasized letters were related to the images and names. The textbook of this learning method was also used to complete sentences as shown in Patent No. 10-1118054.

하지만, 한글은 모음과 자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만드는 음운문자로서, 모음과 자음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글자의 개수가 매우 많다. 이에 따라, 글자 하나하나를 발음하며 학습한다는 것은 음운문자인 한글을 학습하는데 비효율적이다.However, Hangul is a phonetic alphabet that combines vowels and consonants to make one syllable, and the number of letters is made up of a combination of vowels and consonants. Thus, learning to pronounce each letter is ineffective in learning Hangul, a phonetic character.

한편, 한글 학습 교재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을 분석적으로 편성하여 학습시키는 교재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학습 방식으로서 등록특허 제10-1238744호는 xy좌표 평면상에서 초성 자음을 x축의 (+) 눈금에 배치하고 중성 모음을 y축의 (+) 눈금에 배치하고 종성 자음을 y축의 (-) 눈금에 배치하여서, 자음과 모음의 조합인 글자를 1사분면과 4사분면의 좌표와 연관시켜 학습하게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학습 교재는 단순히 자음과 모음을 보여주고,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글자와 연관성을 학습하게 한다고 하더라도, 분석적 사고 능력이 낮은 유아에게는 비효율적 학습 방식이라 하겠다.On the other hand, in the Hangul learning materials, there may be a textbook which learns consonant and vowel by organizing analytically. As a learning method related there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238744 discloses a method of arranging consonant consonants on the (+) scale of the x axis on the xy coordinate plane, arranging the neutral vowels on the (+) scale of the y axis, , And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was studied in relation to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and fourth quadrants. However, even if these learning materials simply show consonants and vowels, and they learn to associate letters with vowels and vowels, it is an inefficient learning method for infants with low analytical thinking ability.

KR 10-1238744 B1 2013.02.26.KR 10-1238744 B1 2013.02.26. KR 10-1118054 B1 2012.02.13.KR 10-1118054 B1 2012.02.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학습 교재의 비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발명으로서, 음운문자인 한글의 제자원리에 따라 자음과 모음의 형상 및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의한 글자의 구성 방식을 학습하게 하되, 분석 능력이 낮은 유아라도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의한 글자 생성 원리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는 한글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inefficiency problem of the conventional learn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eaches a method of configuring letters by combining consonant and vowel shapes and consonants and vowels in accordance with the discipleship principle of a phonetic charac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Hangul learning material that can naturally comprehend the principle of character generation by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even in infants with low analytical 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글 학습 교재에 있어서,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자모음이 결합된 1음절 글자로 이루어지는 글자를 표기한 글자표시부; 및 글자표시부의 글자를 형성하는 자모음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결정하고, 결정한 색상으로 각 글자표시부의 둘레를 색칠하여 표시한 후광표시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ul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a character display unit displaying a character consisting of one syllable character combined with a consonant, a vowel, or a vowel; And a halo display unit for determining a color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a slave bar that forms characters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and coloring the periphery of each character display unit with the determined color.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자음 및 모음의 종류별로 색상을 할당하여 자음으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와 모음으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에 대한 색상으로 결정하고, 자음에 할당된 색과 모음에 할당된 색을 합성한 혼합색을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1음절 글자에 대한 색상으로 결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is determined by the color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including the character display unit composed of consonants and the vowel by assigning the color to each type of consonant and vowel, and the color assigned to the consonant and the color assigned to the vowel are combined And the color of the one syllable character combined with consonant and vowel is determined.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천지인 삼재를 형상화한 모음 기본자 "ㆍ", "-", "l" 에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할당하여, 모음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의 종류별로 각각 할당된 색상을 혼합하되, 모음에 포함된 종류별 모음 기본자의 개수에 비례하는 양을 혼합한 색상을 모음에 대한 색상으로 하여 결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s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are respectively assigned different colors to the vowel basic characters ""," - ", and "l " And a color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vowel basic characters included in the vowels, as colors for the vowels.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천지인 삼재를 형상화한 모음 기본자 "ㆍ", "-", "l"에 R(red), G(green), B(blue)를 일대일로 할당하고, 자음을 3개의 분류군으로 분류하여 3개의 분류군에 R(red), G(green), B(blue)를 일대일로 할당하여서, 글자표시부의 글자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 및 자음 중에서 R(red)을 할당받은 개수, G(green)를 할당받은 개수, 및 B(blue)를 할당받은 개수에 비례하여 R(red), G(green), B(blue)를 혼합한 혼합색으로 결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s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are assigned one by one to R (red), G (green), and B (blue) to the vowel basic characters "ㆍ", "-" (Red), G (green), and B (blue) are assign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to the three taxa classified as the taxa, and the number of the vowel basic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and the number assigned to R (red) G (green), and B (blu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G (green) allocated and B (blue).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상기 자음을 14개의 자음 기본자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하고, 14개 자음 기본자를 3개의 분류군으로 분류하여 3개의 분류군에 R(red), G(green), B(blue)를 일대일로 할당하여서, 글자표시부의 글자에 포함된 자음에 대해서 자음 기본자가 할당받은 색상을 혼합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indicates that the consonant is composed of 14 consonant basic characters a, b, c, d, k ,,,,,,,,,,, (Red), G (green), and B (blue) are assigned to the three taxa in a one-to-one manner, and the colors obtained by mixing the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 display are obtained .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글자표시부의 글자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 및 자음 기본자 중에서 R(red)을 할당받은 개수, G(green)를 할당받은 개수, 및 B(blue)를 할당받은 개수 중에 최대치에 대응되는 색상에 RGB 코드의 색상별 코드값으로 허용되는 최대코드값을 부여하고, 나머지 색상에는 최대치에 대한 비율을 최대코드값에 곱셈하여 얻는 값을 부여하여서 획득하는 RGB코드로 표현한 색상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includes a number assigned to R (red), a number assigned G (green), and a number assigned to B (blue) among the vowel primer and consonant primer included in the letters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And the maximum code value allowed by the color code of the RGB code is given to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color value and the maximum code value is multiplied by the ratio of the maximum value to the remaining color, .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상기 모음 기본자에 대해 "ㆍ"에 B(blue)를 할당하고, "-"에 G(green)를 할당하고, "l"에 R(red)을 할당하며, 상기 자음 기본자에 대해 ㄱ, ㄴ, ㄷ, ㅅ, ㅇ에 B(blue)를 할당하고, ㄹ, ㅁ, ㅈ, ㅎ, ㅋ, ㅌ 에 G(green)를 할당하고, ㅂ, ㅍ, ㅊ 에 R(red)을 할당하여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is assigned to B (blue) to " ㆍ "for the vowel basic character, G (green) to" - ", R We assign B (blue) to a, b, c, o, and G (green) to d, r, red) is assign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상기 후광표시부는 글자표시부의 외곽선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로 이격된 지점까지 인쇄되어 글자표시부를 확대한 이미지로 보이게 하고, 글자표시부의 외곽선에서 멀어질수록 차츰 엷게 표시되도록 바림(gradation)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backlight display unit may be printed until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line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so as to make the character display unit appear as an enlarged image, and grad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character display unit is gradually tapered away from the outline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

상기 글자표시부는 자모음의 획 모양에 대응되는 캐릭터 또는 사물 이미지로 각 획을 인쇄하여 글자를 표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haracter display unit prints each stroke with a character or obje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stroke shape of the slave bar, and displays the charact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글자에 포함된 자음과 모음의 종류에 따라 색상이 결정되는 후광표시부를 글자의 외곽을 감싸도록 구비하므로, 단순히 글자에 포함되는 자모음의 형상을 이해하고 자음과 모음의 배치에 따라 글자가 달라지는 제자원리를 이해하도록 강요하며 학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음과 모음을 색상과 연관시켜 쉽게 숙지하게 하고,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글자를 보여줄 시에 자음에 할당한 색상과 모음에 할당한 색상의 혼합에 의해 색상 변화를 주어서, 제자원리에 따른 형태적 체계의 변화뿐만 아니라 색상 변화를 병행하여 한글을 보다 쉽게 접하며 흥미를 갖고 학습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cklight display unit, in which color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sonants and vowels included in letters,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character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hape of the vowel included in the letters,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consonants and vowels by associating them with colors and to assign letters to consonants when they show the letters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By giving a color change by a mixture of colors assigned to one color and a vowel, not only the change of the morphological system according to the disciple principle, but also the change of color are performed in parallel to make Hangul more accessible and interest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에 형성되는 자음, 모음 및 1음절 글자의 표기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에 있어서, 후광표시부의 색상을 결정하기 위해 모음 기본자와 자음 기본자에 색상을 할당한 색상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에 있어서, 모음 기본자를 캐릭터로 표시한 페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에 있어서, 모음 기본자를 이용하여 형성한 모음을 표시한 페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에 있어서, 1음절 글자인 '개'의 형성 과정을 표시한 페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에 있어서, 1음절 글자인 '말'의 형성 과정을 표시한 페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에 있어서, 1음절 글자인 '손', '뱀', '눈' 및 '알' 을 표시한 페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에 있어서, '공' 자를 회전시켜 '운' 자가 됨을 표시한 페이지.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notational shapes of consonants, vowels, and one syllable characters formed in a Hangul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lor table in which a color is assigned to a vowel basic character and a consonant basic character in order to determine a color of a backlight display unit in a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ge showing a character of a vowel basic character in a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vowel formed by using a vowel basic character in a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syllable', which is one syllable character, in a Hangul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syllable', which is a syllable character, in a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ingle syllable character 'hand', 'snake', 'eye', and 'egg'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of a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all' is rotated to indicate 'clou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에 형성되는 자음, 모음 및 1음절 글자의 표기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음인 'ㄱ'의 표기 형상을 도시한 도면(a)과, 모음인 'ㅏ'의 표기 형상을 도시한 도면(b)과, 자음인 'ㄱ'에 모음인 'ㅏ'를 결합한 1음절 글자인 '가'의 표기 형상을 도시한 도면(c)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notational shapes of consonant, vowel, and one syllable character formed in a Hangul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notation shape of 'A' (C) showing the notation shape of a syllable character 'a' which combines the notation "a" of the consonant "a" and the vowel "a" of the consonant "a" Respectively.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는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자모음이 결합된 1 음절 글자로 이루어지는 글자를 표기한 글자표시부(10)를 포함하여서,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1음절 글자를 학습하게 하되, 글자표시부(10)의 글자를 형성하는 자모음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결정하여 결정한 색상으로 각 글자표시부(10)의 둘레를 색칠하여 표시한 후광표시부(20)를 더욱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Hangul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acter display unit 10 that displays a character made up of one syllable character combined with a consonant, a vowel, or a syllable of Hangul, A syllable character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colo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yllable that forms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and the syllable display unit 20, which is displayed by coloring the perimeter of each character display unit 10, .

여기서, 상기 후광표시부(20)는 글자표시부(10)의 외곽선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의 이격된 지점까지 인쇄되며, 이에 따라, 글자표시부(10)를 확대한 이미지로 보이는 배경 이미지가 된다. 즉, 글자표시부(10)의 글자를 형성하는 각 획에 테두리를 두른 것으로 보이게 된다.Here,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is printed up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line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thereby forming a background image that is an enlarged image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 That is, each stroke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0 appears to have a border.

그런데, 하기의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글 학습을 위한 교재는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에 연관된 그림 위에 글자표시부(10)를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후광표시부(20)는 바림(gradation)하여서, 글자표시부(10)의 외곽선에서 멀어질수록 차츰 엷게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후광표시부(20)를 바림함으로써, 상기 후광표시부(20)로 표시된 면에 도시되는 그림은 글자표시부(10)의 외곽선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선명하게 보여지고, 상기 후광표시부(20)를 벗어난 면에서는 원래의 그림이 그대로 보여진다.However, as shown in FIGS. 3 to 8, the textbook for learning Hangul may include a character display unit 10 on a picture associated with a story having a storyline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is gradated so that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gradually becomes thinner as the distance from the outline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increases. As a result, the imag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is displayed more clearly as it is farther from the outline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and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On the other hand, the original picture is seen as it is.

그리고, 글자표시부(10)의 외곽선을 따라 인쇄되는 상기 후광표시부(20)의 폭, 즉, 글자표시부(10)의 외곽선으로부터 후광표시부(20)의 외곽선까지의 거리는 글자표시부(10)의 글자를 구성하는 획의 폭에 따라 교재 제작자가 적절하게 선정하면 되지만, 상기 후광표시부(20)를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볼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The width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printed along the outline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outline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to the outline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The manufacturer of the textbook can appropriately select the strok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trokes to be formed, but it should be such that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can be visually and clearly seen.

상기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은 글자표시부(10)로 표기된 글자를 구성하는 자음 및 모음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색상으로서, 자음의 종류별로 미리 설정된 색상을 할당하고 모음의 종류별로 미리 설정된 색상을 할당하여서,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10)에 대해서는 글자표시부(10)의 자음에 할당된 색상으로 결정되고, 모음만으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10)에 대해서는 글자표시부(10)의 모음에 할당된 색상으로 결정된다.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is a color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onant and vowel constituting the character represented by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and is a color previously set for each type of consonant,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0 of only the consonant is determined as the color assigned to the consonant of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0 and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0 composed of only the vowel is determined as the color assigned to the collection of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0 .

또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1음절 글자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10)에 대한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은 글자표시부(10)에 포함된 자음에 할당된 색과 글자표시부(10)에 포함된 모음에 할당된 색을 합성한 혼합색으로 결정된다.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composed of one syllable character combined with the consonant and vowel is determined by the color assigned to the consonant included in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and the color The color assigned to the vowel is determined as a composite color.

그리고, 한글의 경우에 1음절 글자는 초성 및 중성으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즉, 초성에 자음이 오지만, 자음으로 이루어진 종성이 포함되어 글자를 형성한다. 이에, 종성이 포함된 1음절 글자로 이루어지는 글자표시부(10)에 대해서는, 초성의 자음에 할당된 색상과, 중성의 모음에 할당된 색상과, 종성의 자음에 할당된 색상을 합성한 혼합색으로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을 결정한다.
In the case of Hangul, one syllable character is also formed as a pre- and a neutral, but it is also formed as a pre-, intermediate, and longitudinal. In other words, consonants are produced in the beginning, but the consonants consist of consonants to form letters. Thus, for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formed of one syllable character including the consonant, the color assigned to the consonant consonant, the color assigned to the neutral vowel, and the color assigned to the consonant consonant are combined to generate a halo The color of the display unit 20 is determined.

그런데, 한글의 제자원리에 따르면, 모음의 경우에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형상화한 모음 기본자 "ㆍ", "-", "l"를 만들고, 모음 기본자를 바탕으로 초출자, 재출자, 합용자 및 이 ㅣ 상합자를 만들었다. 즉, 모음은 모음 기본자 "ㆍ", "-", "l"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합용하여 생성되고, 두개의 모음을 결합한 합용병서(合用竝書, 예:ㅘ,ㅞ)도 만들어 사용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discipleship principle of Hangul, in the case of vowel, we make the vowel basic characters "ㆍ", "-", "l" which symbolize the third person of 天地 人 (三地) Re-investors, partners, and partners. In other words, vowels are created by using the vowel basics "ㆍ", "-", and "l" singly or in combination, and they also make use of combined vowels combining two vowels (eg, ㅘ, ㅞ) do.

또한, 현재 국어 문법에 있어서 자음의 경우, 14개의 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을 자음 기본자로 하고, 자음 기본자를 병서(竝書)하여 각자병서(各字竝書, 예:ㄲ)와 합용병서(合用竝書, 예:ㄳ)도 사용하게 되어 있다.In the current Korean grammar, in the case of consonants, it is assumed that consonants of 14 consonants, ㄱ, ㄴ,,, ㅁ, ㅁ, ㅅ,,,, They should also use their sicknesses (eg, ㄲ) and common sickness books (eg, ㄳ).

즉, 한글을 형상적으로 보면, 모든 사용되는 한글의 글자는 모음 기본자와 자음 기본자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한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유아에서 있어 모음 기본자와 자음 기본자를 형태적으로 인지하고, 모음 기본자와 자음 기본자의 결합에 의한 제자원리를 자연스럽게 이해하면서 한글을 익히게 하는 것이 좋다.In other words, when we look at the form of Hangul in a formal way, it can be said that all used Hangul characters are formed by vowel basic and consonant primitive. Therefore, in infants who begin to learn Hangul, It is good to learn Hangul while naturally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disciples by combination of vowel basic and consonant basic.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글의 자음 및 및 모음을 각각 자음 기본자 및 모음 기본자로 세분화하여 색상을 할당하고, 자음 기본자 및 모음 기본자 연관된 색상으로 상기 후광표시부(20)를 구성함으로써, 모음 기본자 또는 자음 기본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글자의 제자원리를 색상과 연관시켜 인지하게 하며, 이를 위해서, 도 2에 도시한 색상표과 같이 모음 기본자 및 자음 기본자를 기본자로 하여 색상을 할당하였다.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re subdivided into consonant primaries and vowel primers, respectively, and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is configured with colors associated with the consonant primaries and vowel primers, In order to recognize the discipleship principle of a character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basic character or the consonant basic character, the color is assigned to the vowel basic character and the consonant basic character as the color table shown in Fig. 2 .

도 2를 살펴보면, 모음에 사용되는 기본획인 모음 기본자에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할당하여서, 모음에 대한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은 모음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의 종류별로 각각 할당된 색상을 혼합한 색상으로 결정한다. 이때, 모음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모음 기본자가 복수 개로 포함된 모음이 있을 수 있으므로, 모음에 포함된 각각의 모음 기본자의 개수에 비례하는 양을 혼합하여 얻는 색상을 모음에 대한 후광표시부(20)의 색상으로 결정한다. 즉, 모음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에 대해 각각 할당된 색상을 동일 양으로 혼합하여서, 동일한 모음 기본자가 복수 개로 포함되면 포함된 개수에 비례하는 양이 혼합되게 하므로, 많은 개수가 포함된 모음 기본자일수록 그 색상의 영향이 혼합색에 더 크게 미치게 한다.Referring to FIG. 2, different colors are allocated to the basic primitive bar, which is a basic stroke used in the vowel, so that the colors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for the vowels are mixed with the colors assigned to the vowel basic types included in the vowel It is determined by one color. In this case, since there may be a vowel containing a plurality of the same vowel basics depending on the vowel types, a color obtained by mixing amoun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vowel basic characters included in the vowel is calculated by using 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It is decided by color. In other words, when the same color is assigned to each of the colors of the vowel primer included in the vowel, if the same vowel basic is included in a plurality, the amoun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vowels are mixed, The more the effect of the color becomes larger in the mixed colo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RGB 코드의 색상인 R(red), G(green), B(blue)를 모음 기본자 "ㆍ", "-", "l"에 일대일로 할당하였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R (red), G (green), and B (blue), which are colors of RGB codes used to represent colors as digital data, quot ;, "- ", and" l "

RGB 코드는 빛의 삼원색인 R(red), G(green), B(blue)를 다양한 비율과 강도로 혼합하여 모니터에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상코드로서, R(red), G(green), B(blue) 순서로 좌표가 설정되어 있고, 0에서 255까지 허용되는 숫자로 각 좌표에 표기하며, 색상의 구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색상을 혼합할수록 밝아지는 가산혼합방식을 취한다. RGB code is a color code used to implement colors on monitors by mixing R (red), G (green), and B (blue), which are three primary colors of light, in various ratios and intensities, and R (red), G ), And B (blue). The coordinates are set in the order of 0 to 255, and the additive mixing method is adopted in which the colors become brighter as the colors are mixed.

일반적으로, R(red), G(green), B(blue)의 각 좌표에 표기할 코드값을 2자리의 16진수로 표시하고, R(red), G(green), B(blue) 순서로 연결하여 6자리 16진수로 RGB 코드를 표현하지만, 하기의 설명에서는 R(red), G(green), B(blue) 순서의 좌표인 (R 코드, G 코드, B 코드)로 표현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B(blue)의 RGB 코드는 (0,0,255), G(green)의 RGB 코드는 (0,255,0), R(red)의 RGB 코드는 (255,0,0)로 표현되며, 여기서 '255'의 숫자는 각 색상별 코드값으로 허용되는 최대코드값으로 16진수로는 'FF'로 표시한다.Generally, the code values to be displayed in each coordinate of R (red), G (green), and B (blue) are represented by 2-digit hexadecimal numbers, and R (red), G (green) (R code, G code, B code) in the order of R (red), G (green) and B (blue) do. 2, the RGB codes of B (blue) are (0,0,255), the RGB codes of G (green) are (0,255,0), and the RGB codes of R , 0), where '255' is the maximum allowable code value for each color and 'FF' for hexadecimal.

일반적으로, 아기가 커가면서 발달하는 시각 능력은 처음에 원형에서 점차 좌우 및 상하로 변형된 형태를 인지하고, 그런 다음에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형태를 인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enerally, it is known that the visual ability that the baby develops as it grows becomes aware of deformed shapes gradually increasing from left to right and up and down from the original shape, and then recognizing geometrically complex shapes.

이에,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상을 B(blue), G(green), R(red)의 순서로 배열한 후, 모음 기본자를 "ㆍ", "-", "l" 의 순서로 배열하여 일대일로 색상을 할당함으로써, "ㆍ"에 B(blue)이 할당되게 하고, "-"에 G(green)이 할당되게 하고, "l"에 R(red)이 할당되게 하였다.2, the color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B (blue), G (green), and R (red), and the vowel basic character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 "-" So that B (blue) is assigned to "ㆍ", G (green) is assigned to "-", and R (red) is assigned to "l".

자음 기본자의 경우에는, 자음을 3개의 분류군으로 분류하여 3개의 분류군에 R(red), G(green), B(blue)를 일대일로 할당하였다. 이때, 자음 기본자는 자음을 구성하는 획의 수 또는 복잡성에 근거하여, 획의 수가 적고 단순한 자음부터 획의 수가 크고 복잡한 자음까지 순서를 정하여 순서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정하였다. 다음으로, 색상을 B(blue), G(green), R(red)의 순서로 배열하여 일대일로 색상을 할당하였다.In the case of the consonant primitive, conson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axa, and R (red), G (green) and B (blue) were assigned one to one to the three taxa. At this time, the consonant primitive sets three consecutive groups of consonants based on the number or complexity of the consonants constituting the consonants. Next, the color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B (blue), G (green), and R (red), and colors are assigned one to 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음 기본자 중에 ㄱ, ㄴ, ㄷ, ㅅ, ㅇ을 자음 1그룹으로 하여 B(blue)를 할당하고, ㄹ, ㅁ, ㅈ, ㅎ, ㅋ, ㅌ 를 자음 2그룹으로 하여 G(green)를 할당하고, ㅂ, ㅍ, ㅊ 를 자음 3그룹으로 하여 R(red)을 할당하였다.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따르면 ㄱ, ㄴ, ㅁ, ㅅ, ㅇ 을 기본 자음으로 하고, 기본 자음에 가획하여 나머지 자음을 생성한다고 알려졌으므로, ㄱ, ㄴ, ㅁ, ㅅ, ㅇ을 자음 1그룹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ㄷ을 자음 2그룹에 편입하는 대신에 ㅁ 을 자음 1그룹으로 편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아의 입장에서 단순히 형상만 보면 ㄷ 에 l 을 가획하여 ㅁ 을 만드는 것으로 인지하게 되므로, ㄷ을 자음 1그룹으로 하고 ㅁ을 ㄷ보다 복잡한 자음 2그룹으로 하였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up of consonants is divided into consonant groups A, b, c, And G (green), and R (red) is assigned to three groups of consonant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discipline of Hunminjeongeum, it is known that a, b, ㅁ, ㅅ, ㅇ are basic consonants, and it is known to produce the remaining consonants by constructing basic consonants. It is possible. That is, instead of incorporating c into consonant 2 group, it is also possible to incorporate ㅁ into a group of consonants 1.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recognized that a child is formed by simply forming a letter l in the form of a letter c, the letter c is made into a group of consonants 1 and the group of letters c is made into a group of two more complicated consonants.

상기와 같이 모음 기본자와 자음 기본자에 R(red), G(green), B(blue)를 할당함으로써, 글자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모음 기본자와 자음 기본자는 B(blue)를 할당받은 B 그룹과, G(green)를 할당받은 G 그룹과, R(red)을 할당받은 R 그룹으로 나뉘고, 글자의 복잡도는 B(blue), G(green), R(red)의 순서로 점차 높아진다. By assigning R (red), G (green), and B (blue) to the vowel primer and consonant primer as described above, all the vowel basic and consonant primers used to construct the letters are assigned B G (green), R (red), and B (blue), G (green) and R (red) .

여기서, 색상을 할당하기 위한 B(blue), G(green), R(red)의 순서는 유아가 좋아하는 색의 순서를 조사하여 조사 결과에 따른 순서로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order of B (blue), G (green), and R (red) for assigning colors can b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order of colors preferred by the infant and determining the ord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자로 선정한 모음 기본자와 자음 기본자에 색상을 할당함으로써, 글자표시부(10)에 대한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은 글자표시부(10)의 글자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 및 자음 기본자 중에서 R(red)을 할당받은 개수, G(green)를 할당받은 개수, 및 B(blue)를 할당받은 개수에 비례하여 R(red), G(green), B(blue)를 혼합한 혼합색으로 결정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for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is assigned to the vowel basic character and the consonant basic character selected as the basic character, (Red), G (green), and B (blue) in proportion to the numbers assigned to R (red), G (green), and B ) Are mix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s follows.

글자표시부(10)의 글자가 모음 기본자이거나 아니면 자음 기본자일 경우에 도 2를 참조하여 기본자에 할당된 색상으로 결정한다.When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is a vowel basic character or a consonant basic character, the color assigned to the basic character is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Fig.

글자표시부(10)의 글자가 2개 이상의 모음 기본자가 조합하여 형성된 모음인 경우에, 모음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의 종류별로 각각 할당된 색상을 혼합하되, 모음에 포함된 종류별 모음 기본자의 개수에 비례하는 양을 혼합한 색상으로 결정한다.In the case where the letters of the letter display unit 10 are vowels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vowel basic characters, the colors assigned to the vowel basic characters included in vowels are mixed, It is decided by the mixed color.

글자표시부(10)의 글자가 2개 이상의 자음 기본자를 조합하여 형성한 자음인 경우에, 그 자음이 각자병서에 의한 자음이거나 또는 합용병서이지만 동일 그룹에 속하여 동일 색상을 할당받은 자음 기본자를 조합하여 형성한 자음이면 도 2를 참조하여 할당된 색상으로 결정한다. 합용병서이면서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할당받은 자음 기본자를 조합하여 형성한 자음이면 각각의 색상을 혼합하여 얻은 색상으로 결정한다.When the letters of the letter display unit 10 are consonants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consonant basic characters, the consonants of the same group are assigned to consonants of the same group, If the formed consonant is a consonant, the color assigned with reference to FIG. 2 is determined. Consonants formed by combining consonant primaries assigned to different colors belonging to different groups are used to determine the color obtained by mixing the respective colors.

글자표시부(10)의 글자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형성한 1음절 글자이면, 글자표시부(10)의 글자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 및 자음 기본자 중에서 R(red)를 할당받은 모음 기본자의 개수와 자음 기본자의 개수를 합한 R그룹 소속 개수, G(green)를 할당받은 모음 기본자의 개수와 자음 기본자의 개수를 합한 G그룹 소속 개수, 및 B(blue)를 할당받은 모음 기본자의 개수와 자음 기본자의 개수를 합한 R그룹 소속 개수에 비례하는 양의 R(red), G(green), B(blue)를 혼합하여 얻는 혼합색으로 결정한다.
If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is a one-syllable character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consonant and a vowel, the number of vowel basic characters allocated to R (red) among the vowel basic character included in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and the consonant basic character And the number of vowel primers allocated to B (blue), and the number of consonant bases allocated to B (blue), and the number of consonant bases allocated to B (Red), G (green), and B (blu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 groups belonging to the total number of groups.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음 기본자 및 자음 기본자의 종류별로 B(blue), G(green), R(red)을 할당한 후, 모음 기본자 또는 자음 기본자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글자표시부(10)에 대한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은 다음과 같이 RGB 코드로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fter assigning B (blue), G (green), and R (red) to the vowel basic character and the consonant basic vowel, a character display unit 10 can be obtained by RGB codes as follows.

먼저, 글자표시부(10)의 글자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모든 모음 기본자 및 자음 기본자를 추출하고, 추출한 모든 모음 기본자 및 자음 기본자 중에서 R(red)을 할당받은 R그룹 소속 개수, G(green)를 할당받은 G그룹 소속 개수, 및 B(blue)를 할당받은 B그룹 소속 개수를 각각 산출하여 그 개수가 최대치인 색상에게 RGB코드(R, G, B)의 색상별 코드값으로 허용되는 최대코드값을 부여하고, 나머지 색상에 대해서는 최대치에 대한 비율, 즉, 그 색상을 할당받은 개수를 최대치로 나누어 얻는 비율을 최대코드값에 곱셈하여 얻는 값을 부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얻는 색상별 코드값으로 표시되는 RGB 코드를 후광표시부(20)의 RGB 코드로 한다. 여기서, 최대코드값은 RGB 코드에 사용되는 '255' 이고, 16진수로 표현한다면 'FF'가 된다.First, all the vowel basic characters and consonant primaries used for constructing the letters of the letter display unit 10 are extracted, and the number of the R groups assigned to R (red) among the extracted vowel basic characters and consonant basic characters, G ( green), and the number of belonging B groups to which blue (B) has been allocated, are calculated, and the color having the maximum number of colors is allowed as the code value of the RGB code (R, G, B) A maximum code value is given to the maximum code value, and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maximum code value by the rate obtained by dividing the ratio of the max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that is, the number of the colors assigned thereto by the maximum value. Then, the RGB code represented by the code value for each color thus obtained is set as the RGB code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 Here, the maximum code value is '255' used for the RGB code and 'FF' for the hexadecimal number.

아래의 표 1,2는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을 RGB 코드로 얻은 구체적인 예를 보여준다.Tables 1 and 2 below show specific examples of obtaining the hue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in RGB code.

글자letter 기본자Basic character 기본자별 색상Colors by default 최대치를 갖는 색상Color with maximum value RGB 코드RGB code A ㅣ, ㆍㅣ, ㆍ R, BR, B R 또는 BR or B (255,0,255)(255,0,255) l, ㆍ, ㆍl, R, B, BR, B, B BB (127,0,255)(127,0,255) ㆍ, lㆍ, l B, RB, R B 또는 RB or R (255,0,255)(255,0,255) ㆍ, ㆍ, lㆍ, ㆍ, l B, B, RB, B, R BB (127,0,255)(127,0,255) ㆍ, ㅡㆍ, ㅡ B, GB, G B 또는 GB or G (0,255,255)(0,255,255) ㆍ, ㆍ, ㅡㆍ, ㆍ, ㅡ B, B, GB, B, G BB (0,127,255)(0,127,255) ㅡ, ㆍㅡ, ㆍ G, BG, B G 또는 BG or B (0,255,255)(0,255,255) ㅡ, ㆍ, ㆍㅡ, ㆍ, ㆍ G, B, BG, B, B BB (0,127,255)(0,127,255) ㆍ, ㅡ, l, ㆍㆍ, -, l, ㆍ B, G, R, BB, G, R, B BB (127,127,255)(127, 127, 255)

표 1은 모음으로만 이루어지는 글자에 대한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을 RGB 코드로 얻은 예이다. 표 1에 예시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는 하기의 도 4에 도시한 한글 학습 교재에 사용된 글자이다. Table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ue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for the character consisting of vowels is obtained by the RGB code. The words "a", "ㅑ", "ㅓ", "ㅕ", "ㅗ", "ㅛ", "ㅜ" and "ㅠ" shown in Table 1 are used in the Hangul learning materials shown in FIG. 4 It is the letter.

표 1에서 'ㅏ'는 모음 기본자 ㆍ 및 l 의 결합으로 된 모음이고, ㆍ 및 l 에 색상은 각각 B(blue) 및 R(red)이므로, R(Red)을 할당받은 개수 및 B(blue)를 할당받은 개수는 동일하게 1이다. 따라서, 최대치는 1이고, R(Red) 및 B(blue)에 각각 '255'의 코드값을 갖고 G(green)은 없으므로 0의 코드값을 갖는 (255,0,255)의 RGB 코드로 표현한다.In Table 1, 'a' is a combination of a vowel basic character and a combination of l, and since the colors are respectively B (blue) and R (red), the number assigned to R (Red) ) Is 1 in the same number. Therefore, since the maximum value is 1, and R (Red) and B (blue) have a code value of 255 and G (green) are not present, they are represented by RGB codes of (255,0,255) having a code value of 0.

다른 예를 설명하면, 표 1에서 'ㅘ'는 모음 기본자 ㆍ, ㅡ, l, ㆍ 의 결합으로 된 모음이므로, 각각의 기본자에 대한 색상은 B, G, R, B이고, B(Blue)를 할당받은 개수가 2 로서 가장 많다. 따라서, 최대치는 2이고, B(Blue) 색상 코드값은 255가 되며, R(red)를 할당받은 개수 및 G(green)를 할당받은 개수는 각각 1개이므로, R(red) 색상 코드값 및 G(green) 색상 코드값은 동일하게 255x(1/2)=127이 된다. 여기서, 색상 코드값을 계산할 시에는 소수점 이하를 버림하여서 정수의 값으로 얻었다. 이에, 'ㅘ'에 대한 RGB 코드는 (127,127,255)가 된다.In other words, 'ㅘ' in Table 1 is a combination of vowel bases å, æ, l, å, so the colors for each basic þ are B, G, R, B and B ) Is assigned to the most number of 2. Therefore, the maximum value is 2, the B (blue) color code value is 255, and the number assigned to R (red) and the number assigned to G (green) are one, The G (green) color code value equals 255x (1/2) = 127. Here, when the color code value is calculated, a value less than a decimal point is discarded and obtained as an integer value. Thus, the RGB code for 'ㅘ' is (127,127,255).

글자letter 기본자Basic character 기본자별 색상Colors by default 최대치를 갖는 색상Color with maximum value RGB 코드RGB code dog ㄱ,l,ㆍ,lL, l, l B,R,B,RB, R, B, R B 또는 RB or R (255,0,255)(255,0,255) Words ㅁ,l,ㆍ,ㄹㅁ, l, ㆍ, d G,R,B,GG, R, B, G GG (127,255,127)(127, 255, 127) hand ㅅ,ㆍ,ㅡ,ㄴㅅ, ㆍ, ㅡ, b B,B,G,BB, B, G, B BB (0,85,255)(0, 85, 255) snake ㅂ,l,ㆍ,l,ㅁL, l, ㆍ, l, ㅁ R,R,B,R,GR, R, B, R, G RR (255,85,85)(255, 85, 85) Eye ㄴ,ㅡ,ㆍ,ㄴB, ㅡ, ㆍ, b B,G,B,BB, G, B, B BB (0,85,255)(0, 85, 255) egg ㅇ,l,ㆍ,ㄹㅇ, l, ㆍ, d B,R,B,GB, R, B, G BB (127,127,255)(127, 127, 255) ball ㄱ,ㆍ,ㅡ,ㅇA, ㆍ, ㅡ, ㅇ B,B,G,BB, B, G, B BB (0,85,255)(0, 85, 255) luck ㅇ,ㅡ,ㆍ,ㄴㅇ, ㅡ, 揃, ㄴ B,G,B,BB, G, B, B BB (0,85,255)(0, 85, 255)

표 2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1음절 글자에 대한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을 RGB 코드로 얻은 예이다. 표 2에 예시한 글자는 "개", "말", "손", "뱀", "눈", "알", "공", "운" 이며, 하기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한글 학습 교재에 사용된 글자이다. Table 2 is an example in which 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for the one syllable character combined with the consonant and vowel is obtained by the RGB code. The characters illustrated in Table 2 are "dog", "horse", "hand", "snake", "eye", "egg", "ball" It is the letter used in learning materials.

예를 들어, 표 2에 예시한 글자 "개"는 기본자 ㄱ,l,ㆍ,l 으로 구성되므로, 기본자별 색상은 B,R,B,R 이고, "개"에 포함된 기본자 중에 B(blue)를 할당받은 기본자의 개수와 R(red)을 할당받은 기본자의 개수가 동수로서 2이며, G(green)를 할당받은 기본자는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다. 따라서, 최대치는 2이고, 최대치에 대응되는 색상은 B(blue)와 R(red)이므로, "개"에 대한 RGB 코드는 B(Blue) 색상 코드값과 R(red) 색상 코드값이 각각 '255'이고 G(green) 색상 코드값이 '0'인 (255, 0, 255)이다.For example, since the letters "dog" illustrated in Table 2 are composed of basic letters a, l, and l, the colors of the basic letters are B, R, B, and R, and among the basic letters included in " the number of basic characters allocated to blue (blue) and the number of basic characters allocated to R (red) are equal to 2, and the basic characters allocated to G (green) are not included. Therefore, since the maximum value is 2 and the h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is B (blue) and R (red), the RGB code for "dog" 255 'and the G (green) color code value is' 0' (255, 0, 255).

다른 예로서, 표 2에 예시한 글자 "말"은 기본자 ㅁ,l,ㆍ,ㄹ 로 구성되므로, 기본자별 색상은 G,R,B,G이고, "말"에 포함된 기본자 중에 G(green)를 할당받은 기본자의 개수가 2 로서 가장 많으며, B(blue)를 할당받은 기본자의 개수와 R(red)을 할당받은 기본자의 개수는 각각 1개이다. 따라서, 최대치는 2이고, 최대치에 대응되는 색상은 G(green)이므로, G(green) 색상 코드값은 '255' 이고, B(Blue) 색상 코드값은 B(blue)를 할당받은 기본자의 개수인 1을 최대치 2로 나누고 255 를 곱셈하여서 255x(1/2)=127이 되며, R(red) 색상 코드값도 동일하게 255x(1/2)=127이 되며, 이에, "말"에 대한 RGB 코드는 (127, 255, 127)이 된다.As another example, since the letter "horse" exemplified in Table 2 is composed of basic letters l, l, and d, the colors of the basic letters are G, R, B and G, and among the basic letters included in " the number of basic characters allocated to green is 2, and the number of basic characters allocated to B (blue) and the number of basic characters allocated to R (red) are 1, respectively. Therefore, since the maximum value is 2 and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is G (green), the G (green) color code value is 255 and the B (blue) color code value is the number of basic characters assigned B (1/2) = 127, and the R (red) color code value is also 255x (1/2) = 127, so that the value of " The RGB codes are (127, 255, 127).

이와 같이 글자표시부(10)의 글자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 또는 자음 기본자에 따라,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을 정량적인 값인 RGB 코드로 획득함으로써, 글자표시부(10)에 대응되는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을 정확하게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hue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is acquired by the RGB code, which is a quantitative value, according to the vowel basic character or consonant basic character included in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20) can be accurately obtained and displayed.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를 책의 형태로 제작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한글의 제자원리 설명을 동화 속 이야기로 엮어 그림책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각 페이지에는 이야기 및 제자원리 설명을 문장으로 표시한 문장표시부(40)와 이야기에 관련된 그림을 표시한 그림표시부(30)가 있으며, 여기서, 후광표시부(20)로 둘레를 색칠한 글자표시부(10)는 그림표시부(30)에 표시된다.FIGS. 3 to 8 are diagrams showing a production of a Hangul learn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book, in which a description of the discipleship principle of Hangul is formed into a story in a fairy tale, A sentence display unit 40 for displaying a disciple principle explanation in a sentence and a picture display unit 30 for displaying a picture related to a story are shown.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which is colored by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30).

먼저, 도 3은 모음 기본자를 표시한 3개의 페이지로서, 도 3 (a)에 도시한 페이지에는 모음의 기본 획을 이루는 모음 기본자 "ㆍ", "-", "l" 에 서로 다르게 할당한 캐릭터 이미지(10')가 인쇄되어 있고, 각 캐릭터 이미지(10')의 둘레를 상기 도 2의 색상표에 따라 할당된 색상으로 인쇄한 후광표시부(20')도 표시되어 있다. 다음 페이지인 도 3 (b)에는 모음 기본자 "ㆍ"에 할당된 캐릭터 이미지가 "ㆍ"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표기된 글자표시부(10)가 인쇄되고, "ㆍ"에 할당된 색상으로 구성된 후광표시부(20)도 인쇄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 페이지인 도 3 (c)에는 모음 기본자 "-" 및 "l" 에 각각 할당된 캐릭터 이미지를 각각 변형하여 "-" 및 "l"의 형상으로 표기된 글자표시부(10)가 인쇄되고, 할당된 색상의 후광표시부(20)도 각각의 글자표시부(10)에 인쇄된다. 즉, 상기 도 3을 살펴보면, 유아에게 친숙한 캐릭터 이미지(10')를 소개하고, 그 캐릭터 이미지(10')를 변형하여 모음 기본자 "ㆍ", "-", "l"를 형상적으로 인지하게 한다. 이때, 각각의 모음 기본자에 대응되는 색상의 후광표시부(20)도 인쇄되어 있으므로, 모음 기본자 "ㆍ", "-", "l"를 단순히 형상적으로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캐릭터 이미지 및 색상과 연관시켜 인지하므로, 모음 기본자를 반복적으로 학습시키지 아니하여도 쉽게 숙지하고, 페이지를 넘기면서 학습할 때 숙지한 모음 기본자를 잊지 아니하고 학습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이미지(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사용되는 캐릭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아에게 친숙한 사물 이미지를 사용하여도 된다.First, FIG. 3 shows three pages showing a vowel basic character. In the page shown in FIG. 3 (a), vowel basic characters "ㆍ", "-" and "l" A character image 10 'is printed, and a halo display unit 20' is also displayed in which the periphery of each character image 10 'is printed in the color assigned according to the color table of FIG. 3 (b), which is the next page, shows a character display unit 10 in which the character image assigned to the vowel basic character "" is transformed into a shape of" (20) is also printed. 3 (c), which is the next page, each of the character images assigned to the vowel basic characters "-" and "l " ,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of the assigned color is also printed on each character display unit 10. [ In other words, referring to FIG. 3, a character image 10 'familiar to a child is introduced, and the character image 10' is modified to recognize the vowel basic characters "ㆍ", "-" . At this time, since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of the color corresponding to each vowel basic character is also printed, the vowel basic characters ""," - ", and " So that they can easily learn even if they do not learn vocabulary repetition repeatedly, so that they can learn without forgetting the learned vocabulary when learning while turning over the page. Here, the character image 10 'is not limited to the characters used in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 image familiar to a child may be used.

다음으로, 도 4는 모음 기본자를 이용하여 형성한 모음을 표시한 2개의 페이지로서, 도 4 (a)에는 모음 기본자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10)를 서로 결합한 모음 'ㅏ', 'ㅓ', 'ㅗ', 'ㅜ' 자가 인쇄되어 있되, 각 글자표시부(10)는 모음 기본자의 종류에 할당된 색상의 후광표시부(20)가 인쇄되어 있다. 즉, 도 4 (a)에 도시한 페이지에서는 2개 이상의 모음 기본자를 결합하여 모음을 생성하는 과정을 한글 제자원리에 입각하여 형태적으로 인지하며 학습하게 되고, 이때, 각 모음 기본자에 할당된 색상을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모음이 완성되기 전의 과정, 즉, 모의 생성과정을 더욱 쉽게 숙지하게 한다. 그런 다음에 도 4 (b)에 도시한 페이지를 보여준다. 도 4 (b)에는 표 1에 예시한 모음 "ㅏ", "ㅑ", "ㅓ", "ㅕ", "ㅓ", "ㅛ", "ㅜ", "ㅠ" 으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10)가 각각 인쇄되어 있고, 각각 글자표시부(10)에 대한 후광표시부(20)는 기본 모음자에 할당된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표 1에서 보여준 RGB 코드에 따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이에, 2개 이상의 모음 기본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모음이 생성되었음을 형태적으로 인지하면서 색상 변화로도 인지하게 된다.Next, FIG. 4 shows two pages displaying a vowel formed by using a vowel basic character. In FIG. 4 (a), vowels "a", " And 'T' are printed, and each character display unit 10 displays a backlight display unit 20 of a color assigned to the type of the vowel basic character. That is, in the page shown in FIG. 4 (a), the process of generating a vowel by combining two or more vowel basics is morphologically learned based on the Hangul disciple principle. At this time, By showing the color as it is, it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the process before the vowel is completed, that is, the process of creating a mock. Then, the page shown in Fig. 4 (b) is shown. 4 (b) shows a character display unit 10 composed of the vowels "a", "ㅑ", "ㅓ", "ㅕ", "ㅓ", "ㅛ", " And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for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is not displayed in a color assigned to the basic vowel but is displayed in a color according to the RGB code shown in Table 1. [ Thus, it is recognized that the new vowel is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vowel basics, and is recognized by the color change.

도 5 내지 도 8은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1음절 글자를 글자표시부(10)로 인쇄한 페이지이다.5 to 8 are pages in which one-syllable characters combined with a consonant and a vowel are printed by the letter display unit 10. Fig.

도 5는 1음절 글자인 '개'의 형성 과정을 표시한 2개의 페이지로서, 먼저, 도 5 (a)에는 삼지창 이미지와 여의봉 이미지로 각각의 획을 형성한 'ㄱ'자의 글자표시부(10)가 인쇄되어 있고, 글자표시부(10)의 둘레를 감싸는 후광표시부(20)는 'ㄱ'자에 할당된 B(blue) 색상으로 인쇄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 페이지인 도 5 (b)에는 'ㄱ'자와 'ㅐ'자가 결합한 '개'자의 글자표시부(10)가 인쇄되고, 글자표시부(10)의 둘레를 감싸는 후광표시부(20)는 표 2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RGB 코드 (255,0,255)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인쇄되어 있다.FIG. 5A shows a character display unit 10 of 'A' characters forming a stroke with a triangular image and a barb image, and FIG. 5B shows two pages indic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 And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10 is printed in a blue color assigned to the letter 'A.' 5 (b), which is the next page, prints a character display portion 10 of 'dog' combined with 'a' and 'ㅐ', and the backlight display portion 20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haracter display portion 10 displays 2,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RGB codes (255, 0, 255) is printed.

도 6은 1음절 글자인 '말'의 형성 과정을 표시한 3개의 페이지로서, 먼저, 도 6 (a)에는 삼지창 이미지와 여의봉 이미지로 각 획을 형성한 'ㅁ'자의 글자표시부(10)가 'ㅁ'자에 할당된 G(green) 색상의 후광표시부(20)와 함께 인쇄되어 있다. 다음 페이지인 도 6 (b)에는 'ㄹ'자의 형성과정이 인쇄되어 있는데, 먼저 'ㄴ'자(11)에 'ㅡ'자(12)를 가획하여 'ㄷ'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고, 'ㄷ'에 'ㄱ'자를 결합하여 'ㄹ'자의 글자표시부(10)를 형성하였음 보여준다. 'ㄷ'자와 'ㄹ'에 대한 후광표시부(20)는 각각 할당된 색상으로 인쇄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 도 6 (c)에는 'ㅁ', 'ㅏ' 및 'ㄹ'이 결합된 '말'자의 글자표시부(10)가 인쇄되어 있고, '말'자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10)의 둘레를 감싸는 후광표시부(20)는 표 2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RGB 코드 (127,255,127)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인쇄되어 있다.FIG. 6 shows three pages indicating the formation process of a 'syllable', which is a syllable character. First, in FIG. 6 (a), a character display unit 10 of ' And is printed together with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of G (green) color assigned to "Kl". 6 (b), which is the next page, shows tha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d' character is printed. First, the 'ㅡ' character 12 is formed in the 'b' character 11, And 'a' are combined with 'c' to form the character display part 10 of 'd'.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for 'c' and 'd' is printed in the assigned color. Next, in FIG. 6 (c), a character display portion 10 of a 'horses' having a combination of' ks', 'a' and 'd' is printed, and the periphery of the character display portion 10 made of ' The surrounding backlight display unit 20 is printed in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RGB codes 127, 255, and 127 as shown in Table 2.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1음절 글자의 형성과정을 형태적으로 인지하면서, 색상 변화로도 인지하게 되므로, 유아가 보다 쉽게 인지하며 학습하게 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process of forming a one-syllable character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consonant and vowel is morphologically recognized, .

도 7은 1음절 글자인 '손', '뱀', '눈' 및 '알' 자의 글자표시부(10)을 각각 인쇄한 페이지로서, '손'자가 인쇄된 인쇄한 도 7 (a), '눈'자가 인쇄된 인쇄한 도 7 (c) 및 '알'자가 인쇄된 인쇄한 도 7 (d)는 각각 표 2에서 보여준 RGB 코드의 색상으로 후광표시부(20)를 인쇄하였다. 도 7 (b)에 도시한 페이지에서는 '뱀'자를 구성하는 'ㅂ', 'ㅐ' 및 'ㅁ'자의 글자표시부(10)가 결합되어 있되, 후광표시부(20)의 색상은 'ㅂ', 'ㅐ' 및 'ㅁ'별로 각각 대응되는 색상으로 되어 있다. 즉, 도 4 (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는 1음절 글자에 대해서도 자음과 모음에 각각 대응되는 색상을 그대로 보여주어 자음과 모음의 결합 과정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생략하였지만 도 7 (b)에 도시한 페이지에 이어지는 다음 페이지에는 '뱀'자에 대응되는 RGB 코드(255,85,85)의 색상으로 인쇄한 후광표시부(20)를 '뱀'자의 글자표시부(10)와 함께 보여주는 것이 좋다.7A and 7B are respectively a page printed with one syllable characters' hand ',' snake ',' eye 'and' (C) of FIG. 7 (c) and FIG. 7 (d) of FIG. 7 (d) printed with the letters "R" print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in the colors of the RGB codes shown in Table 2, respectively. In the page shown in FIG. 7 (b), the character display units 10 of 'sn', 'ㅐ', and 'ㅁ' are combined and the colors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20 are ' 'And' ㅁ ', respectively. That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 the one-syllable character composed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can also show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s they are, thereby recognizing the combining process of the consonant and vowel. 7, the next page following the page shown in FIG. 7 (b) is displayed with the characters of the "snake" character printed on the color of the RGB code 255, 85, 85 corresponding to the " It is preferable to show it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10.

도 8은 '공' 자를 회전시켜 '운' 자가 됨을 표시한 페이지로서, '공'자의 글자표시부(10-2)와 '운'자의 글자표시부(10-1)가 한 페이지에 인쇄되어 있고, '공'자와 '운'자에 대한 후광표시부(20-1, 20-2)의 색상은 RGB 코드가 (0,85,255)로서 동일하다. 즉, 한글은 글자를 180°회전시키면 회전 전과 상이하면서 한글로 사용될 수 있는 글자가 되기도 하는데, 이때, 후광표시부의 색상 변화가 없음을 보여줌으로써, 서로 상이한 글자를 동일한 색상으로 연관시켜 숙지하게 할 수 있다.FIG. 8 is a page showing that the character is rotated by rotating the 'ball'. The character display portion 10-2 of the 'ball' and the character display portion 10-1 of the ' The colors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s 20-1 and 20-2 for the 'ball' and 'cloud' are the same as the RGB codes (0, 85, 255). In other words, if the character is rotated by 180 °, the character of Hangul can be used as Hangul while being rotated by 180 °. At this time, by showing that there is no color change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교재는 상기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여준 바와 같이 글자를 단순히 형태적으로 인지하며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글자를 형성하는 자음 및 모음의 종류에 할당된 색상과 연관시켜 인지함으로써, 글자를 익히기 시작하는 유아에게 보다 친숙하고, 인간이 갖는 시각을 다각도로 활용하며 글자를 익히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learning material is not merely morphologically recognizing and learning letters a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drawings, but also recognizing consonants and vowels By recognizing the color associated with the typ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by familiarizing the child who starts to learn the letters more, using the human vision in various angles and learning the lette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 / RTI >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글자표시부
20 : 후광표시부
30 : 그림표시부
40 : 문장표시부
10:
20:
30: Picture display
40: sentence display section

Claims (9)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자모음이 결합된 1음절 글자로 이루어지는 글자를 표기한 글자표시부;
글자표시부의 글자를 형성하는 자모음의 종류에 따라 색상을 결정하고, 결정한 색상으로 각 글자표시부의 둘레를 색칠하여 표시한 후광표시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재.
A character display unit displaying a character consisting of one syllable character combined with a consonant, a vowel or a syllable of Hangul;
A halftone display unit for determining the hu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agas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and coloring the perimeter of each character display unit with the determined color;
And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자음 및 모음의 종류별로 색상을 할당하여 자음으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와 모음으로 이루어진 글자표시부에 대한 색상으로 결정하고,
자음에 할당된 색과 모음에 할당된 색을 합성한 혼합색을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1음절 글자에 대한 색상으로 결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Consonants, and vowels to determine the color of a character display unit consisting of a character display unit composed of consonants and a vowel,
The color of the mixed color of the color assigned to the consonant and the color assigned to the vowel is determined by the color of the one syllable character combined with consonant and vowe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천지인 삼재를 형상화한 모음 기본자 "ㆍ", "-", "l" 에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을 할당하여, 모음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의 종류별로 각각 할당된 색상을 혼합하되, 모음에 포함된 종류별 모음 기본자의 개수에 비례하는 양을 혼합한 색상을 모음에 대한 색상으로 하여 결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 "-", and "l", which represent the three elements of the sky, are mixed with colors assigned to the types of the vowel basic characters included in the vowels, And the color of the vowel is determined by mixing color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vowel primer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천지인 삼재를 형상화한 모음 기본자 "ㆍ", "-", "l"에 R(red), G(green), B(blue)를 일대일로 할당하고,
자음을 3개의 분류군으로 분류하여 3개의 분류군에 R(red), G(green), B(blue)를 일대일로 할당하여서,
글자표시부의 글자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 및 자음 중에서 R(red)을 할당받은 개수, G(green)를 할당받은 개수, 및 B(blue)를 할당받은 개수에 비례하여 R(red), G(green), B(blue)를 혼합한 혼합색으로 결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R (red), G (green), and B (blue) are assigned one by one to the vowel basic characters "ㆍ", "-"
Conson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axa, and R (red), G (green), and B (blue) were assigned one to one to three taxa,
(Red), G (red), and G (r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assigned to R (red), G (green), and B green) and B (blue) mixed colo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상기 자음을 14개의 자음 기본자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으로 하고, 14개 자음 기본자를 3개의 분류군으로 분류하여 3개의 분류군에 R(red), G(green), B(blue)를 일대일로 할당하여서, 글자표시부의 글자에 포함된 자음에 대해서 자음 기본자가 할당받은 색상을 혼합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The conson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onsonant basic groups, a, b, c, d, ㅁ,,,,,, And the color of the consonants included in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is obtained by mixing R (red), G (green), and B (blue)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글자표시부의 글자에 포함된 모음 기본자 및 자음 기본자 중에서 R(red)을 할당받은 개수, G(green)를 할당받은 개수, 및 B(blue)를 할당받은 개수 중에 최대치에 대응되는 색상에 RGB 코드의 색상별 코드값으로 허용되는 최대코드값을 부여하고, 나머지 색상에는 최대치에 대한 비율을 최대코드값에 곱셈하여 얻는 값을 부여하여서 획득하는 RGB코드로 표현한 색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The number assigned to R (red), the number assigned G (green), and the number assigned to B (blue) among the vowel basic characters and the consonant basic characters contained in the letters of the letter display unit, RGB A color code represented by an RGB code obtained by giving a maximum code value as a code value for each color of a code and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a maximum code value by a ratio to a maximum valu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광표시부의 색상은
상기 모음 기본자에 대해 "ㆍ"에 B(blue)를 할당하고, "-"에 G(green)를 할당하고, "l"에 R(red)을 할당하며, 상기 자음 기본자에 대해 ㄱ, ㄴ, ㄷ, ㅅ, ㅇ에 B(blue)를 할당하고, ㄹ, ㅁ, ㅈ, ㅎ, ㅋ, ㅌ 에 G(green)를 할당하고, ㅂ, ㅍ, ㅊ 에 R(red)을 할당하여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lor of the backlight display unit
(Red) is assigned to "l ", and the letter " a " is assigned to " We assign B (blue) to b, c, o and assign G (green) to d, ㅁ, ㅁ, ㅎ, ㅇ and assign R (red) to b, The Korean version of the textbook.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광표시부는
글자표시부의 외곽선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로 이격된 지점까지 인쇄되어 글자표시부를 확대한 이미지로 보이게 하고,
글자표시부의 외곽선에서 멀어질수록 차츰 엷게 표시되도록 바림(gradation)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cklight display unit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is printed from the outline of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to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displayed as an enlarged image,
And grad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outline of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gradually becomes thinn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표시부는 자모음의 획 모양에 대응되는 캐릭터 또는 사물 이미지로 각 획을 인쇄하여 글자를 표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교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haracter display unit prints each stroke with a character or obje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stroke shape of the slave bar, and displays a character.
KR1020140039080A 2014-04-02 2014-04-02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 KR1015758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080A KR101575809B1 (en) 2014-04-02 2014-04-02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080A KR101575809B1 (en) 2014-04-02 2014-04-02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664A true KR20150114664A (en) 2015-10-13
KR101575809B1 KR101575809B1 (en) 2015-12-08

Family

ID=5434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080A KR101575809B1 (en) 2014-04-02 2014-04-02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8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0410A (en) * 2016-11-02 2018-05-08 史东华 Korean learning device and Korean learning method based on play with wor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4074B2 (en) 2006-12-25 2011-11-09 クラリオン株式会社 Map display device
KR101042596B1 (en) 2010-10-19 2011-06-20 윤창요 Korean teaching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0410A (en) * 2016-11-02 2018-05-08 史东华 Korean learning device and Korean learning method based on play with wo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809B1 (en)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dwards Color: a course in mastering the art of mixing colors
Overmann Finger-counting in the Upper Palaeolithic
KR101867149B1 (en) Number studying display device for children, number studying system medium, number studying method and publication for number studying
Zajonc Goethe’s theory of color and scientific intuition
KR101575809B1 (en) Teaching material for korean character
Hirschler et al. How much colour science is not too much?
Dodgson What is the “opposite” of “blue”? The language of colour wheels
Nowotny The construction of certain Seals and Characters in the work of Agrippa of Nettesheim
US20220044592A1 (en) Scripor alphabet - method for representing color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blind people
KR20160069649A (en) Instructional material using photosensitive ink
Trogu Counting But Losing Count: the legacy of Otto Neurath's Isotype charts
JP6608243B2 (en) Text learning materials
KR20150066417A (en) Apparatus for froming characters and method thereof
Holzschlag Color for websites
Bookbinder Art and reading
Xerri Teacher creativity as combinatory play
KR101852614B1 (en) Teaching materials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teaching materials
Toktorova et al. THE ROLE OF COLORS IN TEACHING OF ENGLISH VOCABULARY
RU2058597C1 (en) Method for exposition of morphology of language during initial stage of grammar learning
KR20150029448A (en) Apparatus for forming characters and method thereof
Yuan The application of Sapir-Whorf hypothesis in English teaching in China
CN1469328A (en) Method for instructing hieroglyph writing utilizing colour code sequence
Souza Light and painting: an experiment to cinema students
KR20150088933A (en) Method for teaching an order of making strokes in writing characters using Gradation
Rider Traditional Magic Spells for Protection and Healing. By Claude Lecouteux. Translated by Jon E. Graham. Rochester, VT: Inner Traditions, 2017. 328 pp. Illus.£ 25.00 (hbk). ISBN 978-1-62055-621-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