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070A -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070A
KR20150114070A KR1020140037719A KR20140037719A KR20150114070A KR 20150114070 A KR20150114070 A KR 20150114070A KR 1020140037719 A KR1020140037719 A KR 1020140037719A KR 20140037719 A KR20140037719 A KR 20140037719A KR 20150114070 A KR20150114070 A KR 20150114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moking
air
unit
scroll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완일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씨
Priority to KR102014003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070A/ko
Publication of KR2015011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연부스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입구 도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된 여과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흡연실과 방풍실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흡연실과 방풍실 사이에는 내부 도어와 경계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입구 도어 및 내부 도어의 이중구조 및 흡연실과 방풍실을 구분함에 따라 흡연실 내부의 담배연기가 외부를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비흡연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Air purifying apparatus for smoking booth}
본 발명은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연부스에 설치되어 담배 연기 등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우리나라의 성인남성 흡연율은 2010년을 기준으로 39.6%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정, 사무실, 음식점, 길거리 등에서 간접흡연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수의 흡연자들도 간접흡연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현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에 관한 법적/제도적 규제는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관리/규제의 어려움과 흡연자의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공공연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있는 반면, 건물의 실내에 비하여 공공장소에서는 별도의 흡연구역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 흡연자가 쉽게 공공장소에서 흡연을 하게 되고, 이로써 비흡연자가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흡연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있다.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구역은 밀폐된 공간을 선택하여 흡연을 유도하거나 밀폐되지 않은 공간을 인위적으로 구분하여 흡연을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밀폐된 흡연실의 경우 연기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흡연자의 직간접 피해가 크고 쾌적한 상태에서 흡연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방된 흡연실은 연기가 배출되어 비흡연자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도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흡연자의 건강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흡연자는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 규제를 지키면서도 자신의 흡연욕구를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충족시킬 수 있는 흡연부스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흡연부스에는 담배 연기 등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와 관련한 기술로는 하기 특허문헌 1의 "흡연부스의 공기정화장치"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흡연부스의 공기정화장치는 산소와 혼합된 탈취개스를 발생하는 탈취제발생기와, 상기 탈취제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탈취개스를 유입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취개스 유입관과, 상기 흡연부스의 외벽에 설치고정되어 상기 탈취제발생기로부터 발생된 탈취개스를 상기 탈취개스 유입관을 통해 유입하여 흡연공간내부로 분사하는 탈취개스 분사관과, 상기 흡연부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탈취개스 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된 탈취개스와 담배연기를 흡입하여 연기제거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연부로 구성되어 그 구성이 복잡하고 장치의 전반적인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흡연부스의 제조원가 상승 및 흡연부스의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하는 부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한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3-0106522호(2013.09.30.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연부스에 설치되어 대배 연기 등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는,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에 따르면, 팬 필터 유닛과 향균탈취 유닛에 의해 협소한 공간인 흡연 부스에 설치하여 담배 연기 등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 필터 유닛과 향균탈취 유닛에 의해 2회 이상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팬 필터 유닛에 의해 흡엽부스의 내부 공기는 흡입되어 흡연부스의 내부는 음압(-)을 유지하여 흡연부스의 도어 개방시에 상대적으로 양압(+)인 외부 청정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담배연기의 배출은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의 기류 흐름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의 기류 흐름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A)는, 흡연부스의 내부 공기를 흡입 및 여과하는 팬 필터 유닛(100)과, 상기 팬 필터 유닛(100)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향균탈취 유닛(200) 및 상기 팬 필터 유닛(100)과 향균탈취 유닛(200)을 연결하는 스크롤 덕트(3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향균탈취 유닛(200)은 향균탈취용액이 담기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에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디스크(220) 및 상기 디스크(220)를 구동시키는 기어드 모터(2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220)는 브라켓(240)에 의해 본체(210)에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크(220)와 브라켓(240)은 회전축(241)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디스크(220)는 회전축(241)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더욱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 디스크(241)는 2열로 구성된 회전축(241)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220)는 타공(221)이 형성된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타공(221) 및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디스크(220)에 의해 경량화 및 향균탈취용액에 대한 부식성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디스크(220)를 기어드 모터(230)로 구동하여 공기가 이송될 때 최적의 회전율을 적용하여 오염 공기와 항균탈취용액의 교반을 극대화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에는 스크롤 덕트(300)와 연결되는 입구(211)와 여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2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210)는 직육면체로서 정면과 배면의 일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오염 공기 및 여과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팬 필터 유닛(100)은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는 펀칭 플레이트(120)와, 상기 펀칭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리 필터(미도시), 카본 필터(130,Carbon Filter), 헤파 필터(140,HEPA Filter)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팬(151)이 구비된 구동모터(15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카본 필터(130)와 헤파 필터(140)의 조합으로 담배 연기 등의 오염된 공기의 미세 먼지 및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카본 필터(130)와 헤파 필터(140) 이외에 흡입부 전단에 프리 필터를 적용하여 큰 입자의 오염물질을 미리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팬(151)을 구비한 구동모터(150)는 BLDC Backward Fan을 적용하며, BLDC Backward Fan의 경우 일반적인 AC Fan보다 효율성이 우수하며 협소한 공간에서 정압을 형성하여 공기를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구동모터(150)는 Fan Speed를 가변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서 구동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롤 덕트(300)는 구동모터(150)를 중심으로 반경이 커지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팬 필터 유닛(100)과 향균탈취 유닛(200)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크롤 덕트(300)는 사선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크롤 덕트(300)의 나선형 부위는 케이싱(100) 내부의 팬(151)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팬(151)을 감싸고 있는 스크롤 덕트(300)는 스크롤 형상으로 구현하여 기류 이송 능력을 최적화 하였으며, 손실되는 풍량과 정압을 최소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 필터 유닛(100)과 향균탈취 유닛(200)에 의해 협소한 공간인 흡연 부스에 설치하여 담배 연기 등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게 된다.
또한, 팬 필터 유닛(100)과 향균탈취 유닛(200)에 의해 2회 이상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팬 필터 유닛(100)에 의해 흡엽부스의 내부 공기는 흡입되어 흡연부스의 내부는 음압(-)을 유지하여 흡연부스의 도어 개방시에 상대적으로 양압(+)인 외부 청정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담배연기의 배출은 방지되는 효과가 부차적으로 발생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100 - 팬 필터 유닛
200 - 향균탈취 유닛 300 - 스크롤 덕트

Claims (8)

  1. 흡연부스의 내부 공기를 흡입 및 여과하는 팬 필터 유닛;
    상기 팬 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향균탈취 유닛; 및
    상기 팬 필터 유닛과 향균탈취 유닛을 연결하는 스크롤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균탈취 유닛은,
    향균용액이 담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를 구동시키는 기어드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타공이 형성된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스크롤 덕트와 연결되는 입구와 여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필터 유닛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는 펀칭 플레이트와, 상기 펀칭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리 필터, 카본 필터, 헤파 필터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팬이 구비된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덕트는 구동모터를 중심으로 반경이 커지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팬 필터 유닛과 향균탈취 유닛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크롤 덕트는 사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덕트의 나선형 부위는 케이싱 내부의 팬을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1020140037719A 2014-03-31 2014-03-31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20150114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719A KR20150114070A (ko) 2014-03-31 2014-03-31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719A KR20150114070A (ko) 2014-03-31 2014-03-31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070A true KR20150114070A (ko) 2015-10-12

Family

ID=5434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719A KR20150114070A (ko) 2014-03-31 2014-03-31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0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3390A (zh) * 2022-01-27 2022-04-29 四川大学 一种职业卫生安全用防毒通风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3390A (zh) * 2022-01-27 2022-04-29 四川大学 一种职业卫生安全用防毒通风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0325B (zh) 纤薄型空气处理设备
US7998231B2 (en) Air purifier
JP2008012059A (ja) 空気清浄機
KR20190126977A (ko)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
CN103411273A (zh) 医用空气净化器
KR101326781B1 (ko) 자체 정화 흡연 부스
KR102170721B1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CN104990153B (zh) 一种空气净化加湿方法和空气净化加湿器
KR101366604B1 (ko)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
KR20170084863A (ko) 공기정화형 시스템 흡연부스
KR20190010053A (ko) 공기 여과 설비를 갖는 흡연 부스
KR20150103483A (ko) 지능형 흡연실
KR100773791B1 (ko) 공기청정기
KR20150114070A (ko) 흡연부스용 공기정화장치
JP2002059028A (ja) 空気浄化装置
JP2006017359A (ja) 空気清浄機
KR20090026981A (ko) 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CN203628847U (zh) 可加湿的室内空气净化器
KR20170090256A (ko) 흡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JP2002369868A (ja) 空気清浄装置
KR20130020164A (ko) 푸시팬과 풀팬 혼합형 공기청정시스템
KR20150086660A (ko) 제연 시스템용 미스트 스크린장치
KR101715034B1 (ko) 공기정화기
KR200332364Y1 (ko) 천장부착형 공기청정기
KR100654734B1 (ko)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내부 배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