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55A - 음향 신호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신호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55A
KR20150113655A KR1020140037959A KR20140037959A KR20150113655A KR 20150113655 A KR20150113655 A KR 20150113655A KR 1020140037959 A KR1020140037959 A KR 1020140037959A KR 20140037959 A KR20140037959 A KR 20140037959A KR 20150113655 A KR20150113655 A KR 20150113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rest
input
providing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727B1 (ko
Inventor
진호
김종백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727B1/ko
Priority to US14/674,459 priority patent/US9979492B2/en
Priority to PCT/KR2015/003145 priority patent/WO2015152597A1/en
Publication of KR2015011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04M1/215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by non-intrusive coupling means, e.g. acoustic coup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한 디바이스가 가진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정보 수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를 이용하여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객체 정보는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 신호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By Using Sound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한 디바이스가 가진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되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TV(smart TV), 휴대 전화기, 휴대용 컴퓨터(laptop), PC 등이 널리 보급되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는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보급됨에 따라서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 등과 같은 정보를 한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종래에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디바이스들 간에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TM 통신 방식)을 연결하고, 연결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였다. 또는 한 디바이스가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정보를 다운로드하였다.
그러나,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통신 설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정보를 검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할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특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공유할 정보를 선택하지 않고도 공유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 설정이나 정보 검색의 과정 없이 근거리의 디바이스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정보 수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를 이용하여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객체 정보는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이고,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선택된 컨텐트를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은, 제 1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결정된 관심 정보는 생성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물리적 움직임을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싱부를 이용하여 획득된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제 2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은, 결정된 관심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서버로부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수신된 객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버에 대한 요청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서버에 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은, 관심 정보를 수신할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은, 제 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관심 정보 결정 버튼을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관심 정보 결정 버튼을 이용하여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음향 신호에 포함된 상기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다운로드된 관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객체 정보는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정보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요청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서버에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관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서버에 전송되는 요청은 획득된 인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신호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정보 공유 방법은 그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 경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제공 디바이스, 정보 수신 디바이스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와, 서버가 상기 업로드된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와,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를 이용하여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음향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가 정보 수신 디바이스에 관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객체 정보는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이고,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선택된 컨텐트를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은, 제 1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결정된 관심 정보는, 생성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물리적 움직임을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싱부를 이용하여 획득된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제 2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요청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제 1 인증 정보를 서버에 더 전송하고, 관심 정보에 대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제 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 2 인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서버가 관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1 인증 정보와 정보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2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관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공유 방법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관심 정보 결정부 및 결정된 관심 정보와 관련된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객체 정보는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이고, 관심 정보 결정부는 선택된 컨텐트를 관심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정보 결정부는 제 1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결정된 관심 정보는 생성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따.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물리적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센싱부를 이용하여 제 2 입력을 수신하며, 음향 출력부는 제 2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는, 결정된 관심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음향 출력부는 수신된 객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서버에 대한 요청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서버에 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는 관심 정보를 수신할 정보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는 제 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관심 정보 결정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입력은 입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관심 정보 결정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디바이스는,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음향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 정보 획득부와,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통신부 및 다운로드된 관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객체 정보는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정보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는 서버에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관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통신부는 서버에 입력된 인증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신호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그룹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정보 수신 디바이스는 그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 경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관심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을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를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를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파일을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서 관심 정보를 결정하고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등록된 디바이스에 관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 또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관심 정보”는 디바이스들 간에 공유될 대상이 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관심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위치 정보(예를 들어, URL 정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 및 정보 수신 디바이스는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디바이스 또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는 스마트폰(smart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TV(smart TV), 휴대 전화기, 휴대용 컴퓨터(laptop), P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 및 정보 수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종류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이종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관심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관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결정된 관심 정보를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 영역(100)을 캡쳐(capture)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캡쳐”는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 내의 이미지를 이진 파일(binary file)로 저장하거나 클립보드(clipboard)에 저장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캡쳐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캡쳐된 이미지(100)를 관심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캡쳐된 이미지(100)가 관심 정보로 결정됨에 따라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캡쳐된 이미지(100)를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제공 받은 이미지(10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가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210). 제 1 입력은 사용자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키패드(key pad)를 통해 입력된 키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저장되어 있거나,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컨텐트에 관련된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또는 파일 목록과 같은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다만, 제 1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입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을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관심 정보 결정 버튼을 이용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동영상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공유 버튼(8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공유 버튼(800)은 동영상을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업로드 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공유 버튼(800)을 관심 정보 결정 버튼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가 공유 버튼(800)을 선택하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동영상을 스트리밍하기 위한 URL(100-1)을 관심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를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컨텐트에 포함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 텍스트(910)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1)의 입력에 따라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선택된 텍스트(910)에 대해 복사하기(copy) 또는 잘라내기(cut)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 텍스트(910)를 클립보드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텍스트(100-2)를 관심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를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캡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을 이용하여 화면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캡쳐함에 따라서, 캡쳐된 이미지(100-3)를 관심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파일을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1)의 입력에 따라 파일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100-4)을 관심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제 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20). 제 2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가 S230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일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제 2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서, S2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입력은 사용자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를 들고 흔들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센싱부가 감지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물리적 움직임을 제 2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움직임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 2 입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22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230). 여기서, 음향 신호는 관심 정보와 관련된 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는 음향 신호를 수신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가 관심 정보를 식별하고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는 관심 정보에 대해 부여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와 관련하여 객체 정보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되므로, 본 단락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음향 신호가 사용자에게 소음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주파수가 최대 가청 주파수 이상인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최대 가청 주파수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최대 주파수를 의미한다. 최대 가정 주파수는 16 KHz일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는 20KHz 이하의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피커가 구비되므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16KHz~20K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관심 정보를 수신할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이 경우, S230 단계에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로 설정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 대한 식별 정보인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 대한 식별 정보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의 맥 주소(MAC address)와 같은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음향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디코딩의 결과로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2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음향 신호에 포함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다르면, 객체 정보는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가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의 식별 정보가 그룹 식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미도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의 식별 정보가 그룹 식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수신된 음향 신호를 무시하고 S330 단계 및 S340 단계를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의 식별 정보가 그룹 식별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S330 단계 및 S3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그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 경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할수 있다(S33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객체 정보에 포함된 객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정보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서버에 객체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게 관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객체 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나 프로토콜(protocol)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심 정보를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다운로드된 관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4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관심 정보의 형태에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 관심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정보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스피커를 통해 관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관심 정보가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URL에 따른 웹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관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100)를 결정할 수 있다(S510). 제 1 입력은 사용자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키패드(key pad)를 통해 입력된 키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저장되어 있거나,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컨텐트에 관련된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또는 파일 목록과 같은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다만, 제 1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입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을 관심 정보(100)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관심 정보(100) 결정 버튼을 이용하여 관심 정보(100)를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동영상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공유 버튼(8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공유 버튼(800)은 동영상을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업로드 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공유 버튼(800)을 관심 정보(100) 결정 버튼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가 공유 버튼(800)을 선택하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동영상을 스트리밍하기 위한 URL(100-1)을 관심 정보(100)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를 관심 정보(100)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컨텐트에 포함된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 텍스트(910)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1)의 입력에 따라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선택된 텍스트(910)에 대해 복사하기(copy) 또는 잘라내기(cut)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 텍스트(910)를 클립보드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텍스트(100-2)를 관심 정보(100)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를 관심 정보(100)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캡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2)을 이용하여 화면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캡쳐함에 따라서, 캡쳐된 이미지(100-3)를 관심 정보(100)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파일을 관심 정보(100)로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1)의 입력에 따라 파일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이 선택되는 경우,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100-4)을 관심 정보(100)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S510 단계에서 결정된 관심 정보(100)를 서버(500)에 업로드할 수 있다(S52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5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500)는 업로드된 관심 정보(100)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는 업로드된 관심 정보(100)에 대하여 객체 식별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서버(500)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와 객체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정보(100)에 대한 색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500)는 관심 정보(100)에 대해 부여된 객체 식별 정보를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500)는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권을 확인하기 위한 토큰(token)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전술된 프로세스는 서버(500)가 객체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면, 객체 식별 정보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서버(500)가 객체 식별 정보 및 토큰을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전송한 경우, 서버(500)는 정보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폴링 메시지(polling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520 단계에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관심 정보(100) 자체가 아닌 관심 정보(100)의 메타데이터를 서버(5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관심 정보(100)의 메타데이터는 관심 정보(100)를 지적으로 통제하고 구조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보 유형을 정리한 2차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관심 정보(100)가 동영상인 경우, 관심 정보(100)의 메타데이터는 동영상의 타이틀(title), 관심 정보(100)의 크기(size), 재생 시간 또는 관심 정보(100)에 연결하기 위한 URL 등이 메타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S530). 여기서, 음향 신호(420)는 관심 정보(100)와 관련된 객체 정보(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410)는 음향 신호(420)를 수신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가 관심 정보(100)를 식별하고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410)는 관심 정보(100)에 대해 부여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와 관련하여 객체 정보(410)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되므로, 본 단락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음향 신호(420)가 사용자에게 소음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주파수가 최대 가청 주파수 이상인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최대 가청 주파수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최대 주파수를 의미한다. 최대 가정 주파수는 16 KHz일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는 20KHz 이하의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피커가 구비되므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16KHz~20K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토큰이 있는 경우,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토큰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530 단계에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제 2 입력이 입력된 경우에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물리적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관심 정보(100)가 선택된 상태에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를 흔들면 관심 정보(100)를 공유하기 위한 음향 신호(420)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입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420)를 수신할 수 있다(S535).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음향 신호(420)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수신된 음향 신호(420)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디코딩의 결과로 음향 신호(420)에 포함된 객체 정보(41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 정보(410)는 관심 정보(1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410)는 관심 정보(100)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관심 정보(100)를 서버(500)에 업로드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를 식별하기 위한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정보(100)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는 관심 정보(100)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객체 정보(410)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서버(500)에 관심 정보(100)를 요청할 수 있다(S540). S540 단계에서 서버(500)에 전송되는 요청(430)은 음향 신호(420)로부터 획득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535 단계에서 수신된 음향 신호(420)에 토큰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S540 단계에서 서버(500)에 전송되는 요청은 음향 신호(420)에 포함된 토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로부터 요청을 수신한 서버(500)는 수신된 객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관심 정보(100) 또는 관심 정보(100)의 메타데이터를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로 전송할 수 있다(S550). 여기서, 서버(500)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로부터 수신된 토큰을 이용하여 수신된 요청이 유효(valid)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500)는 관심 정보(100)를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로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수신 확인 메시지(receive notification)를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로 전송할 수 있다. 관심 정보(100)를 수신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수신된 관심 정보(10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7은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710). 제 1 입력은 사용자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키패드(key pad)를 통해 입력된 키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저장되어 있거나,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컨텐트에 관련된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또는 파일 목록과 같은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다만, 제 1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 1 입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을 이용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S720). 여기서, 음향 신호(420)는 관심 정보(100)와 관련된 객체 정보(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410)는 음향 신호(420)를 수신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가 관심 정보(100)를 식별하고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410)는 관심 정보(100)에 대해 부여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와 관련하여 객체 정보(410)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되므로, 본 단락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음향 신호(420)가 사용자에게 소음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주파수가 최대 가청 주파수 이상인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최대 가청 주파수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최대 주파수를 의미한다. 최대 가정 주파수는 16 KHz일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는 20KHz 이하의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피커가 구비되므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16KHz~20K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토큰이 있는 경우,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토큰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S720 단계에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제 2 입력이 입력된 경우에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물리적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음향 신호(420)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관심 정보(100)가 선택된 상태에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를 흔들면 관심 정보(100)를 공유하기 위한 음향 신호(420)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입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신호(420)는 근거리 무선 통신(60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600)은 블루투스TM(BluetoothTM),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또는 지그비(Zigbee)와 같이 일정 거리 이내에서 복수의 디바이스 간에 수행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연결 정보는 한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근거리 무선 통신(600)을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결 정보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나 프로토콜(protocol)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의해 발생된 음향 신호(420)를 수신할 수 있다(S730).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음향 신호(420)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수신된 음향 신호(420)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디코딩의 결과로 음향 신호(420)에 포함된 객체 정보(410)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 정보(410)는 관심 정보(1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410)는 관심 정보(100)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관심 정보를 서버(500)에 업로드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를 식별하기 위한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심 정보(1000)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600)을 연결하고 관심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음향 신호(420)에 포함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근거리 무선 통신(600)을 연결할 수 있다(S740). 정보 수신 디바이스는 S740 단계에서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600)을 통해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관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750). S750 단계에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전송되는 요청은 음향 신호(420)로부터 획득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로부터 요청을 수신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근거리 무선 통신(600)을 이용하여 관심 정보 또는 관심 정보의 메타데이터를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로 전송할 수 있다(S760). 관심 정보를 수신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수신된 관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일부 실시 예에 따라서 관심 정보를 결정하고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관심 정보를 결정하고 공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영역 선택 버튼(122), 텍스트 선택 버튼(123) 및 보안 모드 버튼(124)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 선택 버튼(122)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관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 버튼이다. 텍스트 선택 버튼(123)은 컨텐트 내의 텍스트를 선택함으로써 관심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 버튼이다. 보안 모드 버튼(124)은 관심 정보 공유 시 보안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 버튼이다. 보안 모드는 도 16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1)에 포함된 버튼들(122, 123, 124) 중 영역 선택 버튼(122)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1)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화면 상의 일부 영역(131)을 선택하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일부 영역(131)내에 포함된 화면을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생성된 이미지를 관심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41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410)는 명령어(410-1), 사용자 식별 정보(410-2), 디바이스 식별 정보(410-3), 객체 식별 정보(410-4), 개인 식별 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설정 여부(410-5) 및 토큰(410-6)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410-1)는 객체 정보(410)를 획득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가 관심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410-2)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디바이스 식별 정보(410-3)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식별 정보(410-4)는 공유될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식별 번호는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여된 보안 번호를 의미한다. 개인 식별 번호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개인 식별 번호 설정 여부(410-5)는 보안 보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개인 식별 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서 개인 식별 번호를 입력한 후 관심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토큰(410-6)은 관심 정보를 공유함에 있어서 토큰을 보유한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문자열에서 구분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41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객체 정보(410)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410-7), 객체 정보(410)의 길이(410-8), 컨텐트의 위치 정보(410-9), 스크랩 유형(410-10), 컨텐트 유형(410-11) 및 컨텐트 URL(410-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식별 정보(410-7)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410)의 길이(410-8)는 객체 정보(410)가 가지는 길이(예를 들어, 10 byte)를 의미한다.
객체 정보(410)의 길이(410-8)는 객체 정보(410)를 수신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가 객체 정보(410)가 전부 수신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컨텐트의 위치 정보(410-9)는 관심 정보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컨텐트의 위치 정보(410-9)의 값이 0인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관심 정보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의 위치 정보(410-9)의 값이 1인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관심 정보가 서버(500)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크랩 유형(410-10)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가 관심 정보를 결정한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값이 0인 스크랩 유형(410-10)은 관심 정보가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로 결정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값이 1인 스크랩 유형(410-10)은 관심 정보가 사용자가 공유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서 관심 정보로 결정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값이 2인 스크랩 유형(410-10)은 관심 정보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클립보드에 저장되었던 정보인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값이 3인 스크랩 유형(410-10)은 관심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임을 나타낼 수 있다.
컨텐트 유형(410-11)은 관심 정보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컨텐트 유형(410-11)의 값에 따라서 관심 정보가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또 연결 정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컨텐트 유형(410-11)에 따라서 관심 정보의 출력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컨텐트 URL(410-12)은 관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URL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410)에 컨텐트 URL(410-12)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컨텐트 URL(410-12)을 이용하여 관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개인 식별 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사용자(1)는 보안 모드 설정 버튼(161)을 이용하여 관심 정보를 보안 모드로 공유할 수 있다.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객체 정보(410)를 음향 신호(420)를 이용하여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관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개인 식별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S520 단계에서 서버에 개인 식별 번호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535 단계에서 음향 신호가 수신되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사용자로부터 개인 식별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서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개인 식별 번호를 더 전송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서버(500)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로부터 수신된 개인 식별 번호와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로부터 수신된 개인 식별 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인 식별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서버(500)는 S550 단계에서 관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S730 단계에서 음향 신호가 수신되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사용자로부터 개인 식별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S750 단계에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개인 식별 번호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설정된 개인 식별 번호와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로부터 수신된 개인 식별 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인 식별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S760 단계에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관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가 개인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410)를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사용자로부터 개인 식별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가 객체 정보(410)에 포함된 개인 식별 번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개인 식별 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인 식별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가 S540 단계 또는 S750 단계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일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개인 식별 번호는 패턴 입력이나 비밀번호와 같은 다른 보안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7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등록된 디바이스에 관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사용자가 디바이스 목록(170) 중에서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목록(170)에 포함된 기기들인 My Phone(171), PC1(172-1), PC2(172-2), Tablet1(172-3) 중에서 My Phone(171) 및 PC1(172-1)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My Phone(171)이 관심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인 경우, My Phone(171)은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룹 식별 정보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의 그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낸다. PC1(172-1), PC2(172-2) 및 Tablet1(172-3)은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가 아닌 PC2(172-2) 및 Tablet(172-3)은 수신된 음향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PC1(172-1)는 수신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서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도 4의 서버(50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아닌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서버(500)에 등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음향 신호를 수신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정보 수신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요청에 포함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가 서버(5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서버(500)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로 관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일부 실시 예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가 태블릿 PC이고,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시계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사용자(1)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표시된 화면에 대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터치 입력의 궤적(181)을 제 1 입력으로 인식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터치 입력의 궤적(181)에 기초하여 화면의 일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결정된 영역 내의 화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관심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터치스크린에 손가락 끝을 접촉하고 손가락을 오므리는 제스처를 사용자(1)가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제스처를 제 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스처가 입력되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음향 신호를 수신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관심 정보로 결정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가 화면을 움켜쥐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화면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로 전송되는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9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0)는 입력부(1100), 출력부(1200), 통신부(1500), 메모리(1700) 및 제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 또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도 19에 도시된 단말기(1000)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9는 일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 또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도 19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다른 유사한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입력부(1100)는 단말기(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19에서 입력부(1100) 및 출력부(1200)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부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부(1100) 및 출력부(1200)는 하나의 하드웨어적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100)는 센싱부(1400) 및 A/V입력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단말기(1000)의 상태 또는 단말기(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부(12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단말기(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0)는 단말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단말기(10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500)는 단말기(1000)와 외부 기기(미도시)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단말기(10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단말기(1000)로 입력되거나 단말기(10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User Interface)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단말기(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단말기(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단말기(10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메시지 발생,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0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입력부(1100-1), 음향 출력부(1220-1) 및 관심 정보 결정부(1300-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0-1)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에 대한 제 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입력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은 텍스트 선택, 파일 선택, 영역 선택 및 클립보드 저장 명령과 같은 입력일 수 있다.
관심 정보 결정부(1300-1)는 입력부(1100-1)를 통해 입력된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정보 결정부(1300-1)는 도 19의 제어부(1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정보는 제 1 입력의 형태에 따라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1)는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객체 정보는 관심 정보와 관련된 정보이다. 객체 정보는 음향 신호를 수신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가 관심 정보를 식별하고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음향 출력부(1220-1)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부(1220-1)는 입력부(1100-1)를 통해 제 2 입력이 입력된 경우에 음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입력은 사용자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를 들고 흔들면,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는 센싱부가 감지한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물리적 움직임을 제 2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움직임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도 2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입력부(1100-2), 통신부(1500-2), 디스플레이부(1210-2) 및 객체 정보 획득부(1300-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0-2)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로부터 발생된 음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는 도 19의 마이크로폰(1620)을 이용하여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객체 정보 획득부(1300-2)는 입력부(1100-2)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객체 정보 획득부(1300-2)는 음향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에 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 획득부(1300-2)는 객체 정보에 포함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에 다르면, 객체 정보는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정보가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객체 정보 획득부(1300-2)는 수신 디바이스(1000-2)의 식별 정보가 그룹 식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의 식별 정보가 그룹 식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객체 정보 획득부(1300-2)는 수신된 음향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반대로, 정보 수신 디바이스(1000-2)의 식별 정보가 그룹 식별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객체 정보 획득부(1300-2)는 음향 신호에 포함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1500-2)를 통해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통신부(1500-2)는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정보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1500)는 서버에 객체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500-2)는 서버로부터 관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500)는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객체 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나 프로토콜(protocol)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통신부(15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심 정보를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0-1)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2)는 다운로드된 관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210-2)는 다른 출력 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RAM과 같은 휘발성 및 ROM 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저장 매체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8)

  1.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정보 수신 디바이스에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를 이용하여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이고,
    상기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제 1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관심 정보는,
    상기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물리적 움직임을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싱부를 이용하여 획득된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결정된 관심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객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보 공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버에 대한 관심 정보의 요청 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서버에 더 전송하는, 정보 공유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할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제 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관심 정보 결정 버튼을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정보 결정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10.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정보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향 신호에 포함된 상기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관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인, 정보 공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서버에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요청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 전송되는 요청은 상기 획득된 인증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그룹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그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유 방법.
  16. 정보 제공 디바이스, 정보 수신 디바이스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업로드된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포함된 음향 출력부를 이용하여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가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에 상기 관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이고,
    상기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제 1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관심 정보는,
    상기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유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물리적 움직임을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싱부를 이용하여 획득된 제 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공유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요청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제 1 인증 정보를 서버에 더 전송하고,
    상기 관심 정보에 대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제 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관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1 인증 정보와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 2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관심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공유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할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공유 방법.
  23.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제 1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결정하는 관심 정보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관심 정보와 관련된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이고,
    상기 관심 정보 결정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트를 관심 정보로 결정하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 결정부는,
    상기 제 1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결정된 관심 정보는,
    상기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물리적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제 2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는,
    상기 결정된 관심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수신된 객체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서버에 대한 관심 정보의 요청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서버에 더 전송하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할 정보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정보 제공 디바이스.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관심 정보 결정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관심 정보 결정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인, 정보 제공 디바이스.
  32. 정보 수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음향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객체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 정보 획득부;
    상기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다운로드된 관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관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정보는,
    상기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내에 포함된 화면을 캡쳐(capture)한 이미지인, 정보 수신 디바이스.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서버에 상기 객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사용자 식별 정보,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상기 요청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에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를 더 전송하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그룹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는 상기 그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정보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관심 정보를 수신할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관심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정보 수신 디바이스.
  38.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37959A 2014-03-31 2014-03-31 음향 신호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59A KR102173727B1 (ko) 2014-03-31 2014-03-31 음향 신호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US14/674,459 US9979492B2 (en) 2014-03-31 2015-03-31 Method of shar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ased on sound signa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PCT/KR2015/003145 WO2015152597A1 (en) 2014-03-31 2015-03-31 Method of shar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ased on sound signal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59A KR102173727B1 (ko) 2014-03-31 2014-03-31 음향 신호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55A true KR20150113655A (ko) 2015-10-08
KR102173727B1 KR102173727B1 (ko) 2020-11-03

Family

ID=5419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959A KR102173727B1 (ko) 2014-03-31 2014-03-31 음향 신호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79492B2 (ko)
KR (1) KR102173727B1 (ko)
WO (1) WO2015152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7340A (zh) * 2015-12-10 2016-08-24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视频分享方法以及用户设备
US11604516B2 (en) * 2020-12-17 2023-03-14 Disney Enterprises, Inc. Haptic content presentation and implement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2991A1 (en) * 2008-10-31 2010-05-06 France Telecom Ambient sound detection and recognition method
US20100156812A1 (en) * 2008-12-22 2010-06-24 Verizon Data Services Llc Gesture-based delivery from mobile device
US20130324169A1 (en) * 2012-05-31 2013-12-05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Group shar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KR20130141262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나인플라바 Sns기반의 정보 공유 마케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7029B2 (en) 2004-11-30 2010-11-0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r-interest sensitive note-taking
KR100731284B1 (ko) 2005-12-20 2007-06-21 박영욱 키워드를 이용한 개인화된 실시간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090070708A1 (en) * 2007-09-12 2009-03-12 Palm, Inc. Display of Information of Interest
KR101054830B1 (ko) 2009-01-28 2011-08-05 주식회사 정보경영 다양한 방식의 피드 사용을 지원하는 피드 사용 서비스 제공자와의 연계를 위한 피드 검색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JP5233708B2 (ja) * 2009-02-04 2013-07-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457651B2 (en) 2009-10-02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movement user interface gestures for file sharing functionality
US9065532B2 (en) 2010-02-03 2015-06-23 Google Inc. Bump button
KR101894394B1 (ko) * 2012-01-03 2018-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컨텐츠 공유 단말
CN103905474B (zh) * 2012-12-25 2017-09-26 腾讯数码(天津)有限公司 一种信息共享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US9344485B2 (en) * 2013-05-13 2016-05-17 Blackberry Limited Short range wireless peer-to-peer file shar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12991A1 (en) * 2008-10-31 2010-05-06 France Telecom Ambient sound detection and recognition method
US20100156812A1 (en) * 2008-12-22 2010-06-24 Verizon Data Services Llc Gesture-based delivery from mobile device
US20130324169A1 (en) * 2012-05-31 2013-12-05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Group shar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KR20130141262A (ko) *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나인플라바 Sns기반의 정보 공유 마케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727B1 (ko) 2020-11-03
WO2015152597A1 (en) 2015-10-08
US20150280836A1 (en) 2015-10-01
US9979492B2 (en)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041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ation content
US108198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bject,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object
US106742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08009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AU2013306539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345649B1 (ko) 휴대용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83856B1 (ko) 단말 및 콘텐츠 공유 방법
RU264768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контента, устройство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которые используют их
CN103748609A (zh) 用于传送来自不同设备的媒体回放的方法
CN106133784B (zh) 提供活动通知的方法及其设备
KR20140034339A (ko) 컨텐츠 업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컨텐츠 다운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들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50110319A (ko)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U2013318849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US101628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KR102173727B1 (ko) 음향 신호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US10678836B2 (en) Slide show-providing system and method
KR201400031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200006961A (ko) 액티비티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40030440A (ko) 휴대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콘텐츠 제공 장치 및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101339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