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598A -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 Google Patents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598A
KR20150113598A KR1020140037787A KR20140037787A KR20150113598A KR 20150113598 A KR20150113598 A KR 20150113598A KR 1020140037787 A KR1020140037787 A KR 1020140037787A KR 20140037787 A KR20140037787 A KR 20140037787A KR 20150113598 A KR20150113598 A KR 20150113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old
foamed resin
concav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프
Priority to KR102014003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3598A/ko
Publication of KR2015011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2Moulds for making undercut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는, 둘 이상의 오목 성형부를 갖는 고정금형, 오목 성형부에 삽입되는 둘 이상의 볼록 성형부를 갖는 가동금형을 포함하며, 오목 성형부의 너비가 블록 성형부의 너비보다 커서, 두 금형 합형 시 중앙의 볼록 성형부를 사이에 두고 하나의 오목 성형부 내에 두 개의 발포수지 성형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Expanded Polypropylene molding device and Expanded Polypropylene panel using the same and Assembly type display stand}
본 발명은 발포수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포성 수지 알갱이를 공기와 함께 금형으로 주입한 후 열을 가해 발포 융착시켜 발포수지패널을 성형하는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포수지는 형상의 가공이 용이하면서 중량이 가볍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단열 성능이 높아서 완충재, 건축자재, 포장재, 보온재, 산업용품, 충격 방진재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발포수지는 성형공간을 갖는 금형의 내부로 주입되어 목적하는 형태의 성형체로 제작된다.
발포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계(Polypropylene) 수지로서 EPP(Expanded Polypropylene)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EPP는 범용 플라스틱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 성질을 이용해 작은 알갱이 형태로 발포시킨 구형 입자를 말한다.
도 1은 종래 발포수지 성형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고정금형(1)과 가동금형(2), 두 금형이 합형된 때 그 사이로 형성되는 성형공간(cavity, 3)에 발포수지를 공급하는 원료충진장치(4)를 포함한다. 각 금형의 내부에는 성형공간(3)으로 도입될 증기를 수용하는 증기실(부호 생략)이 마련되고, 증기실에는 냉각수 파이프(6)가 배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이용해 발포수지 성형체를 성형함에 있어서는 먼저, 두 금형이 미세한 갭을 두고 합형된 상태가 되도록 가동금형(2)을 고정금형(1)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원료충진장치(4)를 이용하여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원료를 두 금형의 합형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3)으로 주입한다.
다음, 증기 도입부(부호 생략)를 통해 증기를 각 금형 내 상기 증기실로 유입시키는 동시에, 각 금형의 성형면에 뚫려 있는 증기 홀(steam hole, 5)을 통해 증기를 성형공간(3)로 유입시키면, 고온의 증기에 의해 원료가 가열되고 발포되고 서로 열 융착됨으로써 목적하는 성형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후, 냉각수 파이프(6)를 통해 각 금형의 성형면 배면을 향해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금형(1)(2)과 성형공간(3) 내에서 성형된 발포수지 성형체를 냉각시키고, 냉각 후에는 고정금형(1)으로부터 가동금형(2)을 분리하여 개방하고 이젝터유닛(미도시)을 이용해서 성형된 발포수지 성형체를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으로 성형이 완료된다.
이러한 종래 발포수지 성형장치는 한 벌의 금형에서 한번의 성형공정을 통해 하나의 제품밖에 성형하지 못한다. 즉 원료 주입, 가열, 냉각, 이젝팅(ejecting)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한번의 성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소요되는 시간에 비해 획득되는 결과물(완성품)의 수량이 현저히 적다.
더욱이, 단순 판상의 성형체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큰 무리가 없으나, 성형체에 언더컷 구조(단면 확장형 구조)의 요홈을 가진 제품을 성형하려면 금형 측부에서 슬라이딩 조립되는 코어(8)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성형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슬라이딩 코어 방식을 적용하려면 금형의 측부에 코어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의 측부 여유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생산성 증대를 위해 도 2를 통해 도시된 형태의 발포수지 성형장치가 제안되기도 했다. 이는 금형(1') 세로방향으로 성형면을 깊게 형성하여 작업공간에서 금형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한번의 성형으로 여러 장의 패널형 발포수지 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일명 '상하빼기' 성형).
그러나 도 2의 발포수지 성형장치는, 발포를 위해 스팀을 투과시키는 과정에서 오목한 성형부(3')를 형성한 금형(1')의 양측 성형면에서 흘러나온 증기가 성형원료 내부에서 서로 충돌하는 현상으로 인하여, 성형원료 사이의 공기층이 증기로 제대로 치환되지 못해 성형체의 안쪽부분이 제대로 발포되지 않는 등 전반적인 성형상태가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한번의 성형으로 여러 장의 패널형 발포수지 성형체를 성형 가능하다는 생산성 측면에서의 장점은 있으나, 발포성형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에 해당하는 증기의 원활한 유동성이 확보되지 못해 성형된 제품의 표면부분과 안쪽부분의 발포상태가 서로 다르다는 등 성형상태가 전반적으로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5074호 (공개일자 2013. 09. 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량 생산에 적합하면서도 품질이 균일한 양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한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슬라이딩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발포수지 패널의 일면에 언더컷 구조의 요홈부를 성성할 수 있는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둘 이상의 오목 성형부를 갖는 고정금형; 상기 오목 성형부에 삽입되는 둘 이상의 볼록 성형부를 갖는 가동금형;을 포함하며, 오목 성형부의 너비가 블록 성형부의 너비보다 커서, 두 금형 합형 시 중앙의 볼록 성형부를 사이에 두고 하나의 오목 성형부 내에 두 개의 발포수지 성형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발포수지 성형공간은, 합형 시 볼록 성형부의 일 측면과 이 일 측면과 평행한 오목 성형부의 측면 사이 및 볼록 성형부의 대향부 다른 측면과 이 다른 측면과 평행한 오목 성형부의 다른 측면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오목 성형부와 볼록 성형부를 이루는 복수의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일체로 제공되며 고정금형에 대한 가동금형의 승강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언더컷 성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언더컷 성형돌기는 해당 성형부 측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성형부 측면에서 떨어진 부분의 단면의 너비가 크게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는 또한, 상기 성형공간에 성형원료인 발포수지를 하는 충전하는 발포수지 충전수단; 발포 성형을 위한 고온의 증기가 발포수지가 충전된 상기 성형공간에 제공하는 증기공급수단; 상기 성형공간에서 성형되는 발포수지 성형체의 냉각을 위해 가동금형과 고정금형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수지 충전수단은, 고정금형에 결합되고 각 오목 성형부로 연장되는 발포수지 투입경로를 갖는 발포수지 충전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기공급수단은, 고정금형의 오목 성형부와 가동금형의 볼록 성형부를 이루는 성형면에 다수 형성된 증기홀; 증기홀을 형성한 두 금형의 내부로 형성되는 증기실; 및 증기배관을 통해 상기 증기실을 형성한 각 금형과 연결되는 금형 외부의 증기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단은, 두 금형의 상기 증기실에 수용되어 상기 성형면을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배관; 및 냉각수 발생을 위한 금형 외부의 쿨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통해 성형되는 판상의 발포수지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발포수지패널은 측면에 형성되는 언더컷 구조의 요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른 측면에 따른 상기 발포수지패널들과, 상기 발포수지패널에 형성된 요홈부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돌기부를 일체로 형성한 다른 발포수지패널들을 가로, 세로 격자형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한 벌의 금형에서 한번의 성형으로 여러 개의 제품을 동시 성형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룸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한번의 성형으로 여러 개의 제품 성형이 가능함에 따라 그 만큼 발포수지 성형체를 제작함에 있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등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유리함이 있다.
또한, 금형 합형 시 제품 성형부를 사이에 두고 암 금형과 수 금형이 평행하게 대면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발포성형 과정에서 증기가 상기 성형부를 투과하여 일측 금형에서 다른 금형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어 내외부에 걸쳐 전반적으로 발포상태가 고른 양질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세로로 세워진 형태로 제품이 성형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슬라이딩 코어의 적용 없이도 발포수지 패널의 일면에 언더컷 구조의 요홈부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코어가 배제됨으로써 금형 측부에 여유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되고, 따라서 작업공간의 공간 활용도 또한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발포수지 성형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다른 발포수지 성형장치의 개략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가동금형 측 볼록 성형부의 개략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통한 발포수지 성형체의 제작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발포수지패널의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도 9의 발포수지패널들에 구현되는 조립식 진열대의 일부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의 개략 단면도로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금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b는 상기 금형이 합형된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가동금형 측 볼록 성형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는, 상하로 배치되어 합형 또는 분리 가능한 두 개의 금형을 포함한다. 두 개의 금형은 바람직하게, 둘 이상의 오목 성형부(15)를 갖는 고정금형(10)과, 상기 오목 성형부(15)에 삽입되는 둘 이상의 볼록 성형부(25)를 갖는 가동금형(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금형(10)의 오목 성형부(15) 너비는 가동금형(20)의 블록 성형부의 너비보다 크며, 볼록 성형부(25)는 상기 오목 성형부(15)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는 선을 따라 승강 이동된다. 따라서 두 금형(10)(20) 합형 시 중앙의 볼록 성형부(25)를 사이에 두고 하나의 오목 성형부(15) 내에 좌, 우 두 개의 발포수지 성형공간(30a, 30b)이 형성된다.
발포수지 성형공간(30a, 30b)은 가동금형(20)이 고정금형(10) 측으로 하향 이동되어 두 금형(10)(20)이 합형된 때 상기 볼록 성형부(25)의 일 측면과 이 일 측면과 평행한 오목 성형부(15)의 측면 사이, 그리고 상기 볼록 성형부(25)의 대향부 다른 측면과 이 다른 측면과 평행한 오목 성형부(15)의 다른 측면 사이로 형성되는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의 공간일 수 있다.
오목 성형부(15)와 볼록 성형부(25)를 이루는 복수의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일체로 제공되는 언더컷 성형돌기(28)가 상기 고정금형(10)에 대한 가동금형(20)의 승강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언더컷 성형돌기(28)로 인해 본 실시 예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패널형 발포수지 성형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요홈부(85, 후술하게 될 도 9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언더컷 성형돌기(28)는 바람직하게, 상기 볼록 성형부(25)의 양 측면(두 개의 수직한 성형면)과 이와 평행하게 대면하는 오목 성형부(15) 양 측면(두 개의 수직한 성형면) 모두에 형성되거나 어느 한 성형부의 양 측면 또는 일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목적하는 발포수지 성형체에 맞게 그 개수나 수평방향 위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어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언더컷 성형돌기(28)는 도 4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의 도시와 같이, 해당 성형부 측면에 인접한 부분의 너비(W1)보다 성형부 측면에서 떨어진 부분의 단면의 너비(W2)가 큰 구조일 수 있다. 즉 언더컷 구조(단면 확장형 구조)의 요홈부를 가진 발포수지패널을 성형함에 있어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을 통해 도시한 단면 확장형 구조 이외에, 두 발포수지패널이 볼트나 너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상호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의 요홈부를 성형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고정금형(10)의 오목 성형부(15)와 가동금형(20)의 볼록 성형부(25)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가동금형(20)의 볼록 성형부(25)가 고정금형(10)의 오목 성형부(15) 측으로 이동하여 성형부끼리 합형됨으로써 볼록 성형부(25) 양 옆으로 성형공간(30a, 30b)이 형성되며, 이러한 성형공간(30a, 30b)에 작은 구슬모양의 알갱이 형태의 발포수지가 충전됨으로써 성형체가 제작된다.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의 상기 성형부들(15)(25)을 이루는 성형면에는 상기 성형공간(30a, 30b)에 채워진 발포수지에 증기가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증기홀(52)이 소정의 배열로 마련되며, 상기 성형공간(30a, 30b)에 대한 발포수지 충전은 발포수지 충전수단(40) 바람직하게는, 고정금형(10)에 결합되고 각 오목 성형부(15)로 연장되는 발포수지 투입경로를 갖는 발포수지 충전기를 통해 행해진다.
발포 성형을 위한 증기는 상기 증기홀(52)들을 포함하는 증기공급수단(50)을 통해 발포수지가 충전된 상기 성형공간(30a, 30b)에 제공될 수 있으며, 증기공급수단(50)을 통해 성형공간(30a, 30b)으로 유입된 증기가 발포수지들 사이의 공기를 성형공간(30a, 30b) 외부로 밀어내면서 성형공간(30a, 30b) 내부로 유입되어 발포수지가 가열되고 발포 융착됨으로써 성형공간(30a, 30b)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품이 성형된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증기공급수단(50)은, 고정금형(10)의 오목 성형부(15)와 가동금형(20)의 볼록 성형부(25)를 이루는 성형면에 다수 형성된 상기한 증기홀(52)들과, 증기홀(52)을 형성한 각 금형의 내부로 형성되는 공간인 증기실(54)을 구비하며, 증기배관(55)을 통해 상기 증기실(54)을 형성한 각 금형과 연결되는 금형 외부의 증기발생기(56)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수지의 성형이 완료되면, 발포수지 내에 잔류하는 발포제에 의해 더 이상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성형공간(30a, 30b) 내부의 승압된 발포압력을 낮추고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cooling) 과정이 행해진다. 성형공간(30a, 30b) 및 금형에 대한 이와 같은 냉각을 위해 본 실시 예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는 냉각수단(60)을 포함한다.
냉각수단(60)은 바람직하게, 고정금형(10)과 가동금형(20) 내부의 상기 증기실(54)에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각 금형의 성형면을 향해 소정 온도의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배관(62)과, 냉각수 배관(62)과 냉각수 공급관(64)을 통해 냉각수가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금형 외부의 쿨러(6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공급관(6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68)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45는 상기 발포수지충전기를 통해 두 금형(10)(20) 합형 시 오목 성형부(15)와 볼록 성형부(25) 사이로 형성되는 상기 성형공간(30a, 30b)으로 공급될 발포수지 원료가 저장되는 저장용기이며, 58은 증기공급수단(50)을 구성하는 상기 증기배관(55) 상에 마련되어 증기실(54) 측으로 증기가 유동되는 것을 단속하는 밸브를 가리킨다.
상기한 구성의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통해 행해지는 패널형태의 발포수지 성형체의 제작을 위한 발포성형과정에 대해 상기 발포수지 성형장치의 작동과 연계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통해 패널형 발포수지 성형체가 제작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동금형(20)을 고정금형(10) 측으로 이동시켜 두 금형(10)(20) 합형에 의한 성형공간(30a, 30b)에 압축공기와 함께 성형원료가 되는 발포수지를 강하게 불어넣어 충전한다. 이때 상기 성형공간(30a, 30b)에 발포수지와 함께 주입되는 공기는 신속히 성형공간(30a, 30b)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증기배관(55) 상의 밸브를 모두 개방한다.
발포수지 충전이 완료되면, 도 6과 같이 가동금형(20)과 고정금형(10) 내부의 증기실(54)로 증기를 유입시켜 각 성형면에 마련되는 증기홀(52)을 통해 상기 성형공간(30a, 30b)에 채워진 발포수지에 증기를 공급하며, 상기 증기에 의해 발포수지 입자들이 가열되고 내부의 발포제가 팽창하여 입자 사이의 공기가 제거되고 입자간 표면이 열 융착되어 서로 단단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발포성형 후에는 성형된 발포수지 성형체를 구성하는 발포수지 입자 내에 잔류하는 발포제에 의하여 더 이상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도 7과 같이, 각 금형 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직접 냉각방식 혹은 진공흡입을 통해 압력을 낮추는 간접 냉각방식 등의 방법으로 성형공간(30a, 30b) 내부의 승압된 발포압력을 낮추고 금형(10)(20)을 냉각시킨다.
냉각 과정 종료 후에는, 도 8과 같은 이형(demoulding) 과정을 거쳐 금형으로부터 제품 즉, 패널형 발포수지 성형체(80)를 분리해내는 작업이 연이어 행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수지 성형체(80)는 가동금형(20)이 고정금형(10)으로부터 분리된 후 작동되는 이젝터 유닛(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금형(10)의 오목 성형부(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제품이 가동금형(20)의 승강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세로로 길게 성형되기 때문에, 가동금형(20)이 분리된 후 상기 이젝터 유닛의 도움이 없이도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금형으로부터 분리시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젝터 유닛은 생략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벌의 금형에서 한번의 성형으로 여러 개의 제품을 동시 성형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룸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한번의 성형으로 여러 개의 제품 성형이 가능함에 따라 그 만큼 발포수지 성형체를 제작함에 있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등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유리함이 있다.
또한, 금형 합형 시 제품 성형부를 사이에 두고 암 금형과 수 금형이 평행하게 대면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발포성형 과정에서 증기가 상기 성형부를 투과하여 일측 금형에서 다른 금형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어 내외부에 걸쳐 전반적으로 발포상태가 고른 양질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발포수지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발포수지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발포수지패널(80)은 평행한 두 개의 면(상면과 하면)을 가진 직사각 또는 정사각형 모양의 판상체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두 개의 면 모두 또는 두 개의 면 중 어느 한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언더컷 구조의 요홈부(85)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9의 발포수지패널들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조립식 진열대의 일부 양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시 조립식 진열대(100)는 도 9에 도시된 발포수지패널(80)들과, 이러한 발포수지패널(80)에 형성된 요홈부(85)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돌기부(95)를 일체로 형성한 다른 발포수지패널들(90)을 가로, 세로 격자형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고정금형 15 : 오목 성형부
20 : 가동금형 25 : 볼록 성형부
28 : 언더컷 성형돌기 40 : 발포수지 충전수단
50 : 증기공급수단 60 : 냉각수단
70 : 이젝터 유닛 80, 90 : 발포수지패널
85 : 요홈부 95 : 돌기부
100 : 조립식 진열대

Claims (10)

  1. 둘 이상의 오목 성형부를 갖는 고정금형;
    상기 오목 성형부에 삽입되는 둘 이상의 볼록 성형부를 갖는 가동금형;을 포함하며,
    오목 성형부의 너비가 블록 성형부의 너비보다 커서, 두 금형 합형 시 중앙의 볼록 성형부를 사이에 두고 하나의 오목 성형부 내에 두 개의 발포수지 성형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 성형공간은,
    합형 시 볼록 성형부의 일 측면과 이 일 측면과 평행한 오목 성형부의 측면 사이 및 볼록 성형부의 대향부 다른 측면과 이 다른 측면과 평행한 오목 성형부의 다른 측면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 성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오목 성형부와 볼록 성형부를 이루는 복수의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일체로 제공되며 고정금형에 대한 가동금형의 승강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언더컷 성형돌기;를 더 포함하는 발포수지 성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성형돌기는 해당 성형부 측면에 인접한 부분보다 성형부 측면에서 떨어진 부분의 단면의 너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 성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간에 성형원료인 발포수지를 하는 충전하는 발포수지 충전수단;
    발포 성형을 위한 고온의 증기가 발포수지가 충전된 상기 성형공간에 제공하는 증기공급수단;
    상기 성형공간에서 성형되는 발포수지 성형체의 냉각을 위해 가동금형과 고정금형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는 발포수지 성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 충전수단은,
    고정금형에 결합되고 각 오목 성형부로 연장되는 발포수지 투입경로를 갖는 발포수지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수지 성형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공급수단은,
    고정금형의 오목 성형부와 가동금형의 볼록 성형부를 이루는 성형면에 다수 형성된 증기홀;
    증기홀을 형성한 두 금형의 내부로 형성되는 증기실; 및
    증기배관을 통해 상기 증기실을 형성한 각 금형과 연결되는 금형 외부의 증기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단은,
    두 금형의 상기 증기실에 수용되어 상기 성형면을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배관; 및
    냉각수 발생을 위한 금형 외부의 쿨러;를 포함하는 발포수지 성형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발포수지 성형장치를 통해 성형되는 판상의 발포수지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언더컷 구조의 요홈부를 더 포함하는 발포수지패널.
  10. 제 8 항에 기재된 발포수지패널들과, 상기 발포수지패널에 형성된 요홈부에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돌기부를 일체로 형성한 다른 발포수지패널들을 가로, 세로 격자형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KR1020140037787A 2014-03-31 2014-03-31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KR20150113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787A KR20150113598A (ko) 2014-03-31 2014-03-31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787A KR20150113598A (ko) 2014-03-31 2014-03-31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598A true KR20150113598A (ko) 2015-10-08

Family

ID=5434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787A KR20150113598A (ko) 2014-03-31 2014-03-31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35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636B1 (ko) * 2021-05-24 2022-09-13 주식회사 삼송 금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636B1 (ko) * 2021-05-24 2022-09-13 주식회사 삼송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336B1 (ko) Eps/epp 포장재의 그레이징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1915147B1 (ko) 스팀유로가 개선된 금형장치
KR20170062819A (ko) 금형의 3차원 급속 가열 냉각구조 및 그 방법
KR101637393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KR101905751B1 (ko)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KR20150113598A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그리고 발포수지패널들로 구성되는 조립식 진열대
WO2018040553A1 (zh) 一种塑料结构件的发泡成型模具及成型方法
KR101378139B1 (ko) 발포수지성형장치
KR101171935B1 (ko)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527189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1712173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되는 발포수지 성형체
KR101668651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KR102146258B1 (ko) 다단 강압 성형품 제조 방법
KR101527187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방법
KR100912855B1 (ko) 발포금형
KR102146257B1 (ko) 다단 강압 성형품 제조 장치
KR20190095626A (ko) 멀티형 발포수지 성형장치
KR101613188B1 (ko)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성형방법
KR101593082B1 (ko) 발포수지 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포수지패널
KR101301473B1 (ko) 발포 수지 성형 장치
KR20100041087A (ko) Eva제품 성형 장치 및 방법
KR20120047125A (ko) 발포 성형 금형용 스팀 유도판
KR101278133B1 (ko) 이종배율 발포 성형장치 및 방법
KR20140111457A (ko)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1746171B1 (ko) 발포수지 성형장치 및 발포수지 성형체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