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444A - 다중대역필터 - Google Patents

다중대역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444A
KR20150113444A KR1020140037064A KR20140037064A KR20150113444A KR 20150113444 A KR20150113444 A KR 20150113444A KR 1020140037064 A KR1020140037064 A KR 1020140037064A KR 20140037064 A KR20140037064 A KR 20140037064A KR 20150113444 A KR20150113444 A KR 20150113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using
band
input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285B1 (ko
Inventor
조학래
서수덕
고문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트론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트론, 주식회사 이너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to US14/228,873 priority Critical patent/US9467193B2/en
Priority to KR1020140037064A priority patent/KR101561285B1/ko
Priority to EP14182264.3A priority patent/EP2928010B1/en
Priority to US14/539,077 priority patent/US9667298B2/en
Publication of KR2015011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다중대역필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는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 및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입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입출력 커넥터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유닛; 및 상기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유닛 각각을 커플링하도록 복수의 피딩부를 갖는 커플링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대역필터{MULTI-BAND FILTER}
본 발명은 다중대역필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용 디지털 단말기에서는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서비스에는 890 ~ 960MHz 주파수 대역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1.8GHz 주파수 대역의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3.6 ~ 3.8GHz 주파수 대역의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2.4GHz 또는 5GHz 주파수 대역의 WLAN(Wireless LAN), 2.3GHz 주파수 대역의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2.4GHz 주파수 대역의 Bluetooth 등이 포함된다.
최근, 휴대용 디지털 단말기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제공되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멀티밴드의 안테나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러한 멀티밴드의 안테나 시스템에서 협대역 특성과 우수한 차단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공진기가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56545호
본 발명은 감쇄 특성과 대역 저지 특성이 향상된 공진기를 포함하는 다중대역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중대역필터는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 및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입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입출력 커넥터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유닛; 및 상기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유닛 각각을 커플링하도록 복수의 피딩부를 갖는 커플링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출력 커넥터에 대응하여 배치된 필터링 공동을 구획하는 복수의 필터링 격벽; 및 상기 피딩부를 수납하는 커플링 공동을 구획하는 복수의 커플링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역 통과 필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 중 적어도 일측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의 상기 관통홀의 벽면에 결합되는 도전막을 포함하는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단면 중 적어도 일측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의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출력 커넥터와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입출력 커넥터 및 상기 공진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며, 상기 공진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커플링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피딩부와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피딩부 및 상기 공진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며, 상기 공진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커플링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피딩부를 연결하고 상기 안테나 커넥터에 연결되는 도체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쇄 특성과 대역 저지 특성이 향상된 공진기를 포함하는 다중대역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에 공진기가 실장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대역필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10)는 안테나 커넥터(110)와 복수의 입출력 커넥터(12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진기(220)를 포함하는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 및 복수의 피딩부(320)를 갖는 커플링 유닛(3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안테나(미도시)와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110) 및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양방향 입출력하는 복수의 입출력 커넥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입출력 커넥터(120)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처리 회로는 각각의 입출력 커넥터(12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 회로는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들 중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안테나 커넥터(110)와 각각의 입출력 커넥터(120)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은 복수의 입출력 커넥터(120)와 커플링 유닛(300)을 연결하도록 하우징(100) 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 각각은 안테나 커넥터(110)와 개별 입출력 커넥터(120) 간에 신호를 전송하여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은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하는 기판(250) 및 기판(250)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필터링 공동(210) 내부에 설치되는 공진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기(220)를 설명하기에 앞서, 필터링 공동(210)을 먼저 설명한다.
필터링 공동(210)은 미리 설정된 형태로 하우징(100)이 천공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링 공동(210)은 복수의 필터링 격벽(240)에 의해 공진기(220)를 수납하는 홈 형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공진기(220)를 수납하는 필터링 공동(210)은 수평면과 평행하게 절단된 단면이 원형, 타원형 도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진기(220)를 수납하는 필터링 공동(210)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링 격벽(240)은 상호 인접하는 필터링 공동(210) 사이에 신호 전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즉 인접하는 필터링 공동(210)간에 일부 영역이 개방되도록 필터링 윈도우(2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필터링 격벽(240)은 필터링 공동(210)에 수납된 공진기(220) 사이의 커플링 양을 조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필터링 공동(210)를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링 공동(210)은 일렬로 필터링 윈도우(230)가 배열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도전성 물질로 도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00)은 내부의 필터링 공동(210) 벽면이 은(Ag) 또는 구리(Cu)로 도금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하측에 배치된 기판(250)과 결합하여 필터링 공동(210)의 내부에 공진기(220)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복수의 입출력 커넥터(120) 각각과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신호를 입출력 커넥터(120) 및 공진기(22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제1 커플링 디스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커플링 디스크(410)는 입출력 커넥터(1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공진기(220)에 전달하거나 공진기(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출력 커넥터(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플링 디스크(410)는 하우징(100)의 필터링 공동(210) 내에서 입출력 커넥터(1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커플링 디스크(410)는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도록 입출력되는 전자파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내부를 외부와 격리시키도록 상면에 커버(13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13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개방면을 덮는다. 또한, 커버(13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하우징(100)의 내부를 보호하도록 미리 설정된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3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반사시키도록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의 공진기(22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220)는 몸체(222), 관통홀(224) 및 도전막(226)을 포함한다.
몸체(222)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유전 물질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222)는 일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선택된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222)는 절단된 단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222)는 원기둥, 타원기둥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222)는 몸체(222)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224)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224)은 몸체(22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224)은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24)은 공진 주파수의 λ/4 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관통홀(224)은 몸체(222)가 고율전율의 세라믹으로 형성됨에 따라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도전막(226)은 몸체(222)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단면 중 적어도 일측의 단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전막(226)은 관통홀(224)의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막(226)은 금속을 포함하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전막(226)은 상기 몸체(222)에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판(250)은 도 4를 더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에 공진기가 실장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기판(250)은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220)가 실장된다. 이때, 공진기(220)는 하우징(100)의 필터링 공동(Cavity)(210) 내에 수납되도록 기판(250)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기판(250)은 공진기(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250)은 접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250)은 접지를 위한 도전성 패턴(전극 포함)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250)에 실장되는 공진기(220)의 개수는 신호의 필터링을 위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플링 유닛(300)은 하우징(100) 내에서 안테나 커넥터(110)와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커플링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커플링 유닛(300)은 안테나 커넥터(110)와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 각각을 오픈(open) 타입 방식을 커플링하도록 복수의 피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유닛(300)은 안테나 커넥터(110)와 연결되어 신호 전송 경로를 형성하는 커플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유닛(300)은 안테나 커넥터(110)와 연결되는 도체봉(310), 도체봉(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피딩부(320) 및 도체봉(310)이 하우징(100)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커플링 공동(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체봉(310)은 안테나 커넥터(110)에 연결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체봉(31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체봉(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50) 상에 결합된 고정물 지지대(510) 및 고정물(5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물(520)은 테프론(Teflon) 등이 비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피딩부(320)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그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으로 전송하거나,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피딩부(320) 각각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직경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피딩부(320) 각각은 도체봉(310)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도체봉(3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피딩부(320) 각각은 설계 조건에 따라 가장 인접한 대역 통과 필터 유닛(200)의 공진기(220)와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피딩부(320) 각각은 상호 주파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피딩부(320) 각각은 가장 인접한 공진기(220)와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전달하는 신호의 커플링 량을 가변할 수 있다.
커플링 공동(330)은 내부에 도체봉(310) 및 피딩부(320)를 수납하기 위해 하우징(100)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공동(330)은 필터링 공동(2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공동(330)은 복수의 커플링 격벽(350)에 의해 피딩부(320)를 수납하는 홈 형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피딩부(320)를 수납하는 커플링 공동(330)은 수평면과 평행하게 절단된 단면이 원형, 타원형 도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딩부(320)를 수납하는 커플링 공동(330)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 격벽(350)에는 인접하는 커플링 공동(330)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구조의 커플링 윈도우(3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윈도우(340)는 커플링 공동(330)에 수납된 도체봉(3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커플링 윈도우(340)에는 도체봉(31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커플링 유닛(300)은 도체봉(310)의 직경, 피딩부(320)의 길이, 피딩부(320)의 직경, 피딩부(320) 사이의 이격거리, 커플링 윈도우(340)의 개방 크기 등을 가변하여 피딩부(32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의 커플링 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커플링 유닛(300)은 주파수 대역폭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커플링 유닛(300)에서 도체봉(310)과 피딩부(320)는 일체형(모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형성된 도체봉(310)과 피딩부(320)는 커플링 공동(330) 내에 쉽게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유닛(300)은 납땜 방식을 이용한 쇼트 타입 커플링 구조와 비교하여 내구성이 우수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커플링 유닛(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부(320)와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신호를 공진기(220) 및 피딩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제2 커플링 디스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커플링 디스크(420)는 공진기(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피딩부(320)로 전달하거나 피딩부(3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공진기(2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커플링 디스크(420)는 필터링 공동(210) 내에서 공진기(2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공진기를 이용하여 감쇄 특성과 대역 저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는 단일 안테나 포트 피딩 구조를 구현하여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복수의 무선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는 커플링 유닛을 직선형의 단순하고 설치가 용이한 오픈 타입의 커플링 구조로 형성하여 대역 통과 필터 유닛 간의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필터는 직선형의 단순하고 설치가 용이한 오픈 타입의 커플링 구조를 통해 제품 양산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 및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입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입출력 커넥터 사이에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유닛; 및
    상기 안테나 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 유닛 각각을 커플링하도록 복수의 피딩부를 갖는 커플링 유닛을 포함하는 다중대역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출력 커넥터에 대응하여 배치된 필터링 공동을 구획하는 복수의 필터링 격벽; 및
    상기 피딩부를 수납하는 커플링 공동을 구획하는 복수의 커플링 격벽;
    을 포함하는 다중대역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면 중 적어도 일측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의 상기 관통홀의 벽면에 결합되는 도전막을 포함하는 공진기;
    를 포함하는 다중대역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다중대역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단면 중 적어도 일측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의 벽면에 결합되는 다중대역필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출력 커넥터와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입출력 커넥터 및 상기 공진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며, 상기 공진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커플링 디스크를 포함하는 다중대역필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피딩부와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피딩부 및 상기 공진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며, 상기 공진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커플링 디스크를 포함하는 다중대역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피딩부를 연결하고 상기 안테나 커넥터에 연결되는 도체봉을 포함하는 다중대역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다중대역필터.
KR1020140037064A 2014-03-28 2014-03-28 다중대역필터 KR10156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28,873 US9467193B2 (en) 2014-03-28 2014-03-28 Multi-band filter
KR1020140037064A KR101561285B1 (ko) 2014-03-28 2014-03-28 다중대역필터
EP14182264.3A EP2928010B1 (en) 2014-03-28 2014-08-26 Multiplexer
US14/539,077 US9667298B2 (en) 2014-03-28 2014-11-12 Multiplex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64A KR101561285B1 (ko) 2014-03-28 2014-03-28 다중대역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444A true KR20150113444A (ko) 2015-10-08
KR101561285B1 KR101561285B1 (ko) 2015-10-20

Family

ID=5149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64A KR101561285B1 (ko) 2014-03-28 2014-03-28 다중대역필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467193B2 (ko)
EP (1) EP2928010B1 (ko)
KR (1) KR101561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45033C1 (ru) * 2017-04-05 2018-02-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НИКА-СВЧ" СВЧ-мультиплексор
US20220255206A1 (en) * 2019-09-16 2022-08-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Radio frequency filters having reduced siz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1344A (en) * 1977-01-19 1978-05-23 Wavecom Industries Microwave multiplexer having resonant circuits connected in series with comb-line bandpass filters
DE3028925A1 (de) * 1980-07-30 1982-02-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ntennenweiche, bestehend aus wenigstens zwei parallelgeschalteten filtern fuer sehr kurze elektromagnetische wellen
JPS61208902A (ja) * 1985-03-13 1986-09-17 Murata Mfg Co Ltd Mic型誘電体フイルタ
AUPO076496A0 (en) * 1996-07-01 1996-07-25 Radio Frequency Systems Pty Limited Input coupling adjustment arrangement for radio frequency filters
JP2001196817A (ja) * 1999-11-05 2001-07-19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6806791B1 (en) * 2000-02-29 2004-10-19 Radio Frequency Systems, Inc. Tunable microwave multiplexer
SE0004935D0 (sv) * 2000-12-29 2000-12-29 Allgon Ab A filter including coaxial cavity resonators
JP2005277594A (ja) 2004-03-23 2005-10-06 Fujitsu Ltd 誘電体フィルタ装置
EP1662603B1 (en) 2004-11-26 2011-08-17 Thales Generalized multiplexing network
FI20055161A0 (fi) * 2005-04-08 2005-04-08 Nokia Corp Diversiteettivastaanotto samaan asennuspaikkaan sijoitetuille tukiasemille
US8072298B2 (en) * 2006-11-13 2011-12-06 Kmw Inc. Radio frequency filter
KR100842071B1 (ko) 2006-12-18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커런트 모드 안테나 시스템
KR101388642B1 (ko) 2007-06-26 2014-04-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필터 컴바이너/디바이더
US7777598B2 (en) * 2008-04-14 2010-08-17 Radio Frequency Systems, Inc. Dielectric combine cavity filter having ceramic resonator rods suspended by polymer wedge mounting structures
KR100976251B1 (ko) * 2009-12-31 2010-08-18 에이스웨이브텍(주) 매칭 튜닝봉을 이용한 무접점 캐비티 필터
KR101257599B1 (ko) 2011-11-02 2013-04-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윈도우 구조를 가지는 알에프 신호 멀티플렉싱 장치
CN203367455U (zh) * 2013-07-30 2013-12-25 迈特通信设备(苏州)有限公司 一种双工器、多工器公共口
KR101494446B1 (ko) * 2013-11-11 2015-02-23 주식회사 이너트론 단일 포트 피딩 구조를 갖는 멀티플렉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285B1 (ko) 2015-10-20
EP2928010A1 (en) 2015-10-07
US9467193B2 (en) 2016-10-11
US20150280300A1 (en) 2015-10-01
US20150282179A1 (en) 2015-10-01
EP2928010B1 (en) 2016-12-28
US9667298B2 (en)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4296B2 (en) Ceramic filter using stepped impedance resonators having an inner cavity with a decreasing inner diameter provided by a plurality of tapers
KR101588874B1 (ko)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KR100441727B1 (ko) 필터 내장 유전체 안테나, 듀플렉서 내장 유전체 안테나 및 무선 장치
US20050237244A1 (en) Compact RF antenna
KR101494446B1 (ko) 단일 포트 피딩 구조를 갖는 멀티플렉서
JP5666642B2 (ja) 小型アンテナ
EP3649697B1 (en) Modular multi-stage antenna system and compon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1715544A1 (en) Block filter
KR101561285B1 (ko) 다중대역필터
US9768485B2 (en) Duplexer
US20160164162A1 (en) Filter package
KR101555943B1 (ko)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US10587025B2 (en) Ceramic filter with window coupling
JP6297652B2 (ja) 内導体を備えるフィルタ
US20150372364A1 (en)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632667B1 (ko) 필터
US6362705B1 (en) Dielectric filter unit,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88067B1 (ko) 유전체 필터
KR101681899B1 (ko) 유전체 필터
KR102143281B1 (ko) 통신 컴포넌트
CN113383462A (zh) 用于射频范围电流的传输线
KR101033506B1 (ko) 커플링 소자를 구비한 광대역 공진 필터
KR102143280B1 (ko) 통신 컴포넌트
KR100258788B1 (ko) 동축선 공진기의 절반구조를 이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
WO2016075852A1 (ja) バンドパスフィルタ、及び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