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427A - 휴대용 커피추출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커피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427A
KR20150113427A KR1020140036919A KR20140036919A KR20150113427A KR 20150113427 A KR20150113427 A KR 20150113427A KR 1020140036919 A KR1020140036919 A KR 1020140036919A KR 20140036919 A KR20140036919 A KR 20140036919A KR 20150113427 A KR20150113427 A KR 20150113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hot water
water supply
capsul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192B1 (ko
Inventor
정희도
최진우
정웅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19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휴대용 커피추출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는 온수공급원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천공부재가 구비되어 커피캡슐의 상부를 천공하고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 및 상기 온수공급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커피캡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커피캡슐의 하부를 천공하는 하부천공부재가 구비되어 커피캡슐에서 생성된 액상의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커피추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커피추출기{PORTABLE COFFEE EXTRACTOR}
본 발명은 휴대용 커피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추출기는 커피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피추출기는 볶아진 커피 원두를 갈아서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것도 있고, 분말상의 커피가 담긴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것도 있다.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기의 경우에는, 커피캡슐을 한 부분 이상 천공한 후 커피캡슐의 천공된 부분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여 분말상의 커피가 액상의 커피가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커피캡슐에 생성된 액상의 커피가 커피캡슐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피캡슐을 사용한 커피추출기는 독립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기도 하거나, 온수의 공급이 가능한 장치, 예컨대 정수기 등에 포함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종래의 커피캡슐을 사용하는 커피추출기는 커피의 추출을 위해 소정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고 무게도 비교적 무거웠다. 이에 따라, 커피추출기의 휴대가 어려웠고 사용하기 불편하였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커피캡슐을 사용하는 커피추출기의 필요성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커피캡슐을 사용하는 휴대용 커피추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커피캡슐에 온수가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커피캡슐에 담긴 분말상의 커피가 커피캡슐의 천공된 부분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휴대용 커피추출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는 온수공급원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천공부재가 구비되어 커피캡슐의 상부를 천공하고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 및 온수공급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커피캡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커피캡슐의 하부를 천공하는 하부천공부재가 구비되어 커피캡슐에서 생성된 액상의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커피추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천공부재에는 커피캡슐을 천공하는 상부천공부와, 커피캡슐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공급구멍은 상부천공부 주위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온수공급구멍은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천공부의 중앙에는 별도의 온수공급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천공부재에는 커피캡슐을 천공하는 하부천공부와, 커피캡슐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유입되는 커피유로 및, 커피유로와 삽입공간에 연결되어 액상의 커피가 삽입공간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천공부재에는 커피캡슐의 천공시 커피캡슐에 담긴 분말 상의 커피가 삽입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는 커피캡슐이 삽입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커피추출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의 상단부와 같은 위치 또는 그 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추출부에는 커피캡슐에서 생성된 액상의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피추출부에는 커피캡슐이 삽입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며 액상의 커피가 커피배출구멍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커피배출구멍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 등의 장치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추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캡슐에 온수가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캡슐에 담긴 분말상의 커피가 커피캡슐의 천공된 부분을 통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의 일실시예의 상부천공부재의 사시도와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커피추출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의 일실시예의 상부천공부재의 사시도와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100)의 일실시예는 온수공급부(200)와 커피추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수공급부(20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원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온수공급부(20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온수공급원은, 예컨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온수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온수공급부(200)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온수탱크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온수공급부(200)는 나사결합 등에 의해서 수처리장치 등의 온수공급원에 연결되어 온수공급원으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온수공급부(200)는 나사결합 이외에도 끼워맞춤식 등 주지의 어떠한 분리가능한 연결 구성으로도 온수공급원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온수공급원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서, 온수공급부(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원에 포함되는 탈착부(CD)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온수공급부(200)의 연결부(220)에는 탈착부(CD)가 삽입되어 나사결합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연결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221)은 예컨대 원통형의 홈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홈(2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탈착부(CD)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공급부(200)의 연결부(220)에 온수공급원의 탈착부(CD)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도 있지만, 온수공급부(200)의 연결부(220)가 온수공급원의 탈착부(CD)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부(200)는 연결부(220)의 연결홈(221) 내측에 구비되며, 온수공급원의 탈착부(CD)에 구비되는 온수공급구(HP)가 연결되는 관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연결부(230)에는 일측에는 전술한 온수공급구(HP)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후술할 상부천공부재(210)가 연결되는 관통구멍(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연결부(230)에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연결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관연결부재(240)는 탄성이 비교적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관연결부재(240)에는 결합구멍(2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구멍(241)이 형성된 반대측의 관연결부재(240)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부(200)의 연결부(220)가 온수공급원의 탈착부(CD)에 연결되면, 온수공급원의 온수공급구(HP)가 관연결부(230)에 구비된 관연결부재(240)의 결합구멍(241)을 통하여 관연결부(230)의 관통구멍(231)에 밀봉되면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온수공급원의 온수가 후술할 상부천공부재(2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온수공급부(200)가 온수공급원에 연결되어 온수공급원의 온수가 상부천공부재(210)로 공급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부천공부재(210)에 온수공급원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온수공급부(200)에는 상부천공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천공부재(210)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상부가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공급원으로부터 상부천공부재(210)에 공급된 온수가 상부천공부재(210)에 의해서 천공된 커피캡슐(CC)의 상부를 통해 커피캡슐(CC)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천공부재(210)에는 온수연결구멍(2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천공부재(210)의 온수연결구멍(214)이 온수공급원의 온수가 공급되는 전술한 관연결부(230)의 관통구멍(231)에 연결되도록 상부천공부재(210)가 온수공급부(200)에, 예컨대 끼워맞춤 등에 의해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공급원의 온수가 온수공급원의 온수공급구(HP)와 관연결부(230)의 관통구멍(231)을 통해 상부천공부재(210)의 온수연결구멍(214)에 공급되게 된다.
상부천공부재(21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온수연결구멍(214) 이외에 상부천공부(211)와 온수공급구멍(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천공부재(210)의 상부천공부(211)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천공부(211)는 끝이 뾰족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커피추출부(300)에 형성된 내부공간(IS)에 커피캡슐(CC)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피추출부(300)를 온수공급부(200)에 연결하면, 상부천공부재(210)의 상부천공부(211)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상부가 천공된다.
이와 같이, 커피캡슐(CC)의 상부가 상부천공부재(210)에 의해서 천공되면, 상부천공부재(210)의 온수공급구멍(212)은 커피캡슐(CC) 내부에 있게 된다. 그리고, 온수공급구멍(212)을 통해 커피캡슐(CC)에 온수가 공급된다. 이를 위해서, 도3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구멍(212)은 전술한 상부천공부재(210)의 온수연결구멍(214)에 연결된다.
온수공급구멍(212)은 도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부천공부(211) 주위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구멍(212)은 상부천공부(211) 주위에 4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온수공급구멍(21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온수공급구멍(212)은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4개의 온수공급구멍(212)이 상부천공부(211) 주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온수공급구멍(212)은 서로 90도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부천공부재(210)의 온수연결구멍(214)에 공급된 온수공급원의 온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온수공급구멍(212)을 통해 상부천공부재(210)를 중심으로 방사사상으로 커피캡슐(CC)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에 온수가 고르게 공급되기 때문에, 커피캡슐(CC)에 담긴 모든 분말상의 커피가 액상의 커피로 될 수 있다.
한편, 상부천공부(211)의 중앙에는 도3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온수공급구멍(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수는 전술한 온수공급구멍(212) 뿐만 아니라, 상부천공부(211)의 중앙에 형성된 별도의 온수공급구멍(213)을 통해서도 커피캡슐(CC)에 공급되게 된다.
커피추출부(300)는 온수공급부(2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커피추출부(3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추출부(300)의 상단부가 온수공급부(200)의 하단부에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어 온수공급부(2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커피추출부(300)의 상단부가 온수공급부(200)의 하단부보다 작으며, 커피추출부(300) 상단부의 외주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온수공급부(200) 하단부의 내부에는 암나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커피추출부(300)와 온수공급부(200)는 전술한 나사결합 이외에 끼워맞춤으로도 연결될 수 있으며, 온수공급부(200)의 하단부가 커피추출부(30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커피추출부(300)에는 삽입공간(IS)이 형성될 수 있다. 커피추출부(300)의 삽입공간(IS)에는 커피캡슐(CC)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서, 삽입공간(IS)은 커피캡슐(CC)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추출부(300)의 삽입공간(IS)에 커피캡슐(CC)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피추출부(300)가 온수공급부(200)에 연결된다.
커피추출부(300)에는 하부천공부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천공부재(310)에 의해서 커피캡슐(CC)에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전술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천공부재(210)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상부가 천공되고 온수가 커피캡슐(CC)에 공급되면, 커피캡슐(CC)에 담긴 분말상의 커피가 액상의 커피로 된다. 또한, 하부천공부재(310)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하부가 천공되면, 커피캡슐(CC)에 담긴 액상의 커피가 하부천공부재(310)를 통해 커피캡슐(CC)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커피캡슐(CC)로부터 배출된 액상의 커피는 커피추출부(3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서, 하부천공부재(310)에는 하부천공부(311), 커피유로(312) 및, 연결구멍(313)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천공부(311)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하부가 천공될 수 있다. 하부천공부(311)의 끝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하여 커피캡슐(CC)의 하부를 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커피캡슐(CC)이 커피추출부(300)의 삽입공간(IS)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커피캡슐(CC)을 가압하면, 하부천공부(311)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의 하부가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커피캡슐(CC)에 온수가 공급되어 생성된 액상의 커피는 하부천공부재(310)에 형성된 커피유로(312)에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커피유로(31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천공부(311)까지 연장되고 그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커피유로(312)에 유입된 액상의 커피는 하부천공부재(310)에 형성된 연결구멍(313)을 통해 삽입공간(IS)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구멍(313)은 커피유로(312)와 삽입공간(IS)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하부천공부재(310)에는 밀봉부재(3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314)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하부천공부재(310)에 의해서 천공될 때, 커피캡슐(CC)에 담긴 분말상의 커피가 커피캡슐(CC)의 천공된 부분을 통해 삽입공간(IS)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314)는 커피캡슐(CC)이 삽입공간(IS)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커피추출부(300)에 구비되는 후술할 가이드부재(330)의 상단부와 같은 위치 또는 그 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커피캡슐(CC)이 삽입공간(IS)에 삽입되고 하부천공부재(310)에 의해서 하부가 천공되면, 커피캡슐(CC)의 천공부분이 밀봉부재(314)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커피캡슐(CC)에 담긴 분말상의 커피가 커피캡슐(CC) 하부의 천공부분을 통해 삽입공간(IS)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커피추출부(300)에는 커피배출구멍(320)이 형성될 수 있다. 커피배출구멍(320)을 통해 하부천공부재(310)의 연결구멍(313)을 통해 삽입공간(IS)에 유입된 액상의 커피가 외부로 배출된다.
커피추출부(3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캡슐(CC)이 커피추출부(300)의 삽입공간(IS)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30)는 커피배출구멍(32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천공부재(310)의 연결구멍(313)을 통해 삽입공간(IS)에 유입된 액상의 커피는, 커피캡슐(CC)과 삽입공간(IS)의 바닥면 및 가이드부재(330)가 이루는 공간을 통해 커피배출구멍(320)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추출기를 사용하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 등의 장치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커피캡슐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휴대용 커피추출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커피캡슐에 온수가 고르게 공급될 수 있고, 커피캡슐에 담긴 분말상의 커피가 커피캡슐의 천공된 부분을 통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용 커피추출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휴대용 커피추출기 200 : 온수공급부
210 : 상부천공부재 211 : 상부천공부
212,213 : 온수공급구멍 214 : 온수연결구멍
220 : 연결부 221 : 연결홈
230 : 관연결부 231 : 관통구멍
240 : 관연결부재 241 : 결합구멍
300 : 커피추출부 310 : 하부천공부재
311 : 하부천공부 312 : 커피유로
313 : 연결구멍 314 : 밀봉부재
320 : 커피배출구멍 330 : 가이드부재
CD : 탈착부 HP : 온수공급구
CC : 커피캡슐 IS : 삽입공간

Claims (11)

  1. 온수공급원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천공부재가 구비되어 커피캡슐의 상부를 천공하고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 및
    상기 온수공급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커피캡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커피캡슐의 하부를 천공하는 하부천공부재가 구비되어 커피캡슐에서 생성된 액상의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커피추출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커피추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천공부재에는 커피캡슐을 천공하는 상부천공부와,
    상기 커피캡슐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구멍이 형성된 휴대용 커피추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구멍은 상기 상부천공부 주위에 복수개 형성되는 휴대용 커피추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온수공급구멍은 등각으로 배치되는 휴대용 커피추출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천공부의 중앙에는 별도의 온수공급구멍이 형성된 휴대용 커피추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천공부재에는 커피캡슐을 천공하는 하부천공부와, 커피캡슐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유입되는 커피유로 및, 상기 커피유로와 삽입공간에 연결되어 액상의 커피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된 휴대용 커피추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천공부재에는 상기 커피캡슐의 천공시 상기 커피캡슐에 담긴 분말 상의 커피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휴대용 커피추출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커피캡슐이 상기 삽입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커피추출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의 상단부와 같은 위치 또는 그 위에 구비되는 휴대용 커피추출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추출부에는 상기 커피캡슐에서 생성된 액상의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배출구멍이 형성된 휴대용 커피추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추출부에는 커피캡슐이 상기 삽입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며 액상의 커피가 상기 커피배출구멍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휴대용 커피추출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커피배출구멍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휴대용 커피추출기.
KR1020140036919A 2014-03-28 2014-03-28 휴대용 커피추출기 KR102210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19A KR102210192B1 (ko) 2014-03-28 2014-03-28 휴대용 커피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19A KR102210192B1 (ko) 2014-03-28 2014-03-28 휴대용 커피추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427A true KR20150113427A (ko) 2015-10-08
KR102210192B1 KR102210192B1 (ko) 2021-02-03

Family

ID=5434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919A KR102210192B1 (ko) 2014-03-28 2014-03-28 휴대용 커피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1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77U (ko) 2016-02-16 2017-08-24 심대용 캡슐 커피 추출장치
KR101957094B1 (ko) * 2018-02-13 2019-03-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 캡슐
KR200490271Y1 (ko) * 2019-05-28 2019-10-21 이우룡 휴대용 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86B1 (ko) 2021-12-29 2024-02-22 주식회사 마바산업 차량용 캡슐 커피 머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444A (ko) * 2003-07-23 2006-05-08 모노도 에스. 에이. 캡슐로부터 음료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07772A (ko) * 2010-03-25 2011-10-04 (주)낙원 커피머신용 캡슐 천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444A (ko) * 2003-07-23 2006-05-08 모노도 에스. 에이. 캡슐로부터 음료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07772A (ko) * 2010-03-25 2011-10-04 (주)낙원 커피머신용 캡슐 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77U (ko) 2016-02-16 2017-08-24 심대용 캡슐 커피 추출장치
KR101957094B1 (ko) * 2018-02-13 2019-03-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 캡슐
KR200490271Y1 (ko) * 2019-05-28 2019-10-21 이우룡 휴대용 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192B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623B1 (ko) 캡슐커피 추출장치
RU2526685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приемное гнезд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KR20150113427A (ko) 휴대용 커피추출기
EP2906486B1 (en) Capsule for preparing beverages
KR101897569B1 (ko) 커피추출장치
MX2013012730A (es) Dispositivo y caspsula para preparar una bebida.
RU2012101435A (ru) Капсула,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EP3370586B1 (en) Cleaning arrangement for capsule based beverage dispensers
RU2010135729A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US20100269705A1 (en) Device for perforating portioned capsules
CN105326328B (zh) 具有实心型过滤器的果汁提取装置和包括该装置的榨汁机
BRPI0512439B1 (pt) máquina de percolação para produzir bebida utilizando cápsula vedada de material em pó anidro
JP2015512739A (ja) カプセルアダプタ及びこのカプセルアダプタを使用するシステム
JP2010537764A (ja) 飲料を準備するためのカプセル
CN107205572A (zh) 用于提取浸液的挤压装置
CN104768432A (zh) 用于胶囊的便携过滤器
RU2018127746A (ru) Капсула в сборе, содержащая капсулу и колпачок для подачи напитка, выполн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ткрывания указанной капсулы
KR20140031693A (ko) 커피캡슐 장착구
CN104083086A (zh) 用于饮料提取的刺破件
CN108472806A (zh) 流体容器扩散系统与相关的使用方法
CN109431275B (zh) 带背压的饮料胶囊
KR101648624B1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20150144745A (ko) 커피 포드 어댑터 시스템
KR101854864B1 (ko) 커피캡술용 포터블 커피추출기
KR20140073329A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