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309A -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309A
KR20150113309A KR1020140036226A KR20140036226A KR20150113309A KR 20150113309 A KR20150113309 A KR 20150113309A KR 1020140036226 A KR1020140036226 A KR 1020140036226A KR 20140036226 A KR20140036226 A KR 20140036226A KR 20150113309 A KR20150113309 A KR 20150113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atar
user
virtual experien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588B1 (ko
Inventor
김호원
조규성
김태준
손성열
최진성
구본기
김기남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588B1/ko
Priority to US14/668,658 priority patent/US20150279098A1/en
Publication of KR2015011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30Polynomial surface descri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6Clo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5/00Indexing scheme for image rendering
    • G06T2215/16Using real world measurements to influence rend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스마트 단말, 가상 체험 제공 서버 및 각각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 및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고,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SMART DEVICE AND VIRTUAL EXPERIENCE PROVIDING SERVER PROVIDE VIRTUAL EXPERIENC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CLOTHES}
아래의 설명은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실제로 측정된 사용자의 3D 아바타를 이용하여 매장, 인터넷, 홈쇼핑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의류를 3D 아바타에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가상의 의류 체험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키넥트와 같은 깊이 센서의 등장으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의 외형과 관련된 형상 정보 및 형상 정보에 포함된 관절의 모션 정보를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게임이나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많은 변화가 유발되었고, 다양한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들이 등장하였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모션을 입력 받아 의상을 입히고 다양한 자세를 취해 보는 가상 의류 체험 서비스가 있다.
가상 의류 체험 서비스는 오프라인 매장의 키오스크 시스템이나 TV+PC 환경 등 특정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러나, 가상 의류 체험 서비스는 단순히 재미 위주의 이벤트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뿐 사용자의 실제 구매로 연결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가상 의류 체험 서비스는 일회성 체험 서비스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뿐 체험 서비스에 대응하여 실측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 또는 피팅되는 의류 등에 대한 활용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즉, 가상 의류 체험 서비스는 일회성 체험 서비스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않거나, 신체 정보에 따른 외형 데이터에 부재가 발생한다. 또한, 가상 의류 체험 서비스는 외형 데이터에 시뮬레이션하는 의류와 판매 중인 의류가 상반됨에 따라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의류에 대하여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가상 의류 체험 단말 및 솔루션을 이용한다. 가상 의류 체험 단말은 체험을 위한 키오스크타입으로 정밀한 인체의 실측 치수 혹은 외형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3D 전신스캐너와 같은 단말이다. 그리고, 솔루션은 실제 판매중인 의상에 대한 디지털의상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CLO3D와 같은 실제 의류의 패턴을 이용하여 드레이핑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디지털 의상을 만든다.
하지만, 가상 의류 체험 단말 및 솔루션은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제공하는 아바타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의류를 피팅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뿐, 실생활 환경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의류를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 집, 매장, 모바일 등 장소와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실제 구매 전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에 대한 다양한 사전체험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의 Look & Feel & 사이즈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함으로써 비체험 구매에 따른 구매불만족이나 반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측된 사용자의 3D 아바타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매장, 인터넷, 홈쇼핑에서 제공되는 의류를 피팅해보는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상 체험 후, 체험한 의류를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와 연동됨으로써, 의류를 구매하기 전에 의류에 대한 사용자의 어울림 정보나 사이즈 정보를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이 수행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은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의류 벤더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overlay)하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이 수행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은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의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체험 제공 서버가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의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를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 전달하여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에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은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 의류 벤더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overlay)하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은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의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프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체험 제공 서버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하는 사용자 아바타 추출부;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의류를 추출하는 디지털 의류 추출부; 상기 사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제공하는 가상 체험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체험 영상 제공부는,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를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 전달하여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에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의류 체험 서버는 실측 기반의 사용자의 3D 아바타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매장, 인터넷, 홈쇼핑에서 제공되는 의류를 피팅해보는 가상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상 체험 후, 의류를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와 연동됨으로써, 의류를 구매하기 전에 의류의 어울림 정보나 사이즈 정보를 가상으로 체험한 후, 구매할 수 있어, 의류의 상품 만족도, 반품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으로 의류를 체험하기 위한 단말들 및 서버에 대한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체험 제공 서버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의 스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를 가상으로 체험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의 의류 식별 정보에 대한 예시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으로 의류를 체험하기 위한 단말들 및 서버에 대한 전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으로 의류를 체험하기 위한 단말들 및 서버에 대한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101)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 및 외형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109)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아바타 식별 정보(109)는 아바타 생성 단말(104)로부터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아바타 생성 단말(104)는 사용자의 신체 치수 및 외형 정보를 실측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3차원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아바타 생성 단말(104)는 실측 인체 모델 생성 단말 또는 가상 의류 체험 단말 등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바타 생성 단말(104)은 깊이 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깊이 영상 및 칼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아바타 생성 단말(104)은 획득한 사용자의 깊이 영상 및 칼라 영상을 기초하여 사용자의 3차원 전신 형상을 복원하고, 복원된 3차원 전신 형상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체 치수 및 외형 정보가 적용된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아바타 생성 단말(104)은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기 위한 아바타 식별 정보(109)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아바타(106), (107)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2가지 버전의 사용자 아바타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아바타(106), (107)는 인체의 표준적 외형이 반영된 3D 메쉬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106)는 인체의 골격구조를 모델링한 뼈대 구조로 구성되어 사용자임을 외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아바타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아바타(106), (107)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에 대응하여 외형적인 특성을 수치적으로 표현한 파라메트릭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107)는 사용자의 신체 치수 및 외형 정보를 수치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데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1)은 실존하는 의류에 대응하여 생성된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110)를 결정할 수 있다. 의류 식별 정보(110)는 실존하는 의류에 대응하여 생성된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의류 벤더(103)에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의류 벤더(103)는 실존하는 의류를 디지털 의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의류를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의류 벤더(103)는 디지털 의류를 제공한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치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벤더(103)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신체 치수 또는 특성 정보가 가공된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치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의류 벤더(103)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 수집하고자 하는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치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체험 제공 서버는 등록된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치수 정보에 대응하여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와 관련된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체험 제공 서버는 의류 벤더(103)에서 원하는 치수 정보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완료한 후,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으로부터 해당 치수 정보를 의류 벤더(103)에 치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체험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접근권이 없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해 제공된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수치적인 정보를 해석하여 신체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는 수치적인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아바타의 몸, 팔, 다리, 키 등의 신체 정보를 재구성하고, 이를 파라메트릭 표현중 하나인 스윕(sweep) 형태의 사용자 외형으로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체험 제공 서버는 의류 벤더(103)에서 희망한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치수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한 치수 정보를 의류 벤더(103)에 제공할 수 있다.
결국, 가상 체험 제공 서버 또는 의류 벤더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열람없이 수치적인 정보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치수 정보를 추출하고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가 보호될 수 있다.
즉, 의류 벤더(103)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수치적인 정보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제공된 치수 정보만 열람함으로써, 사용자 식별, 외형 스캔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정보 보호의 이슈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제공되는 치수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만을 반영한 의류 제작에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1)은 결정한 아바타 식별 정보(109) 및 의류 식별 정보(110)를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에 전달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스마트 단말(101)로부터 수신한 아바타 식별 정보(109)에 대응하여 아바타 DB(111)에 접근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아바타 DB(111)로부터 아바타 식별 정보(109)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106), (107)를 추출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스마트 단말(101)로부터 수신한 의류 식별 정보(110)에 대응하여 의류 DB(112)에 접근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의류 DB(112)로부터 의류 식별 정보(110)에 대응하는 디지털 의류(108)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추출한 사용자 아바타(106), (107) 및 디지털 의류(108)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포즈 정보는 아바타 생성 단말(104)에서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동작한 포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포즈 정보는 칼라 영상, 상기 포즈에 대응하는 관절 정보, 상기 포즈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스마트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1)은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101)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체험 영상을 기초하여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된 디지털 의류에 대한 어울림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된 디지털 의류에 대하여 어울림 정도를 만족한 경우, 스마트 단말(101)과 연동된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의류에 대응하는 실제 의류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지털 의류에 대응하는 실제 의류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의류를 구매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201)은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202),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203) 및 디스플레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202)는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202)는 스마트 단말(201)의 저장소에 저장된 아바타 식별 정보를 선택하거나, 스마트 단말(201)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바타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단말(201)은 아바타 생성 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한 사용자 아바타의 아바타 식별 정보를 카메라를 이용해 스캔 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201)은 스캔한 아바타 식별 정보를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202)는 사용자 아바타를 이용하여 디지털 의류를 가상 체험하기 위해 저장소에 저장된 아바타 식별 정보를 로더(LOADER)하는 방식으로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202)는 카메라를 이용해 아바타 식별 정보를 스캔하고, 가상 체험하기 위해 스캔된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202)는 아바타 식별 정보가 인쇄물로 제작된 경우, 인쇄물에 표현된 아바타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203)는 의류 벤더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203)는 스마트 단말의 저장소에 저장된 의류 식별 정보를 선택하거나,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203)는 인터넷에 표시된 의류 식별 정보 또는 오프라인 매장에 전시된 실제 의류에 부착된 TAG에 표시된 의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203)는 사용자가 실생활에서 촬영하여 저장한 의류 식별 정보를 로더(LOADER)하는 방식으로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4)는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204)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부(204)는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overlay)하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301)은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302),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303), 시뮬레이션부(304),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305) 및 디스플레이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302)는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302)는 스마트 단말(301)의 저장소에 저장된 아바타 식별 정보를 선택하거나, 스마트 단말(302)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바타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303)는 의류 벤더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303)는 스마트 단말(301)의 저장소에 저장된 의류 식별 정보를 선택하거나,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류 식별 정보를 스캔 혹은 촬영하여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304)는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부(304)는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아바타 DB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부(304)는 아바타 DB에서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304)는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의류 DB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부(304)는 의류 DB에서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의류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부(304)는 사용자 포즈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아바타의 자세를 변형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304)는 자세가 변형된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304)는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영상에 대한 모의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305)는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의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6)는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단말(301)은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직접 컴퓨팅을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단말(301)은 직접 컴퓨터 능력에 따라 사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에 대한 직접 접근권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단말(301)은 아바타 DB를 접근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301)은 직접 컴퓨팅이 가능한 환경임을 고려하여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301)은 의류 DB에 접근하여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의류를 추출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301)은 추출한 사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301)이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은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체험 제공 서버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가상 체험 제공 서버(401)는 사용자 아바타 추출부(402), 디지털 의류 추출부(403),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 및 가상 체험 영상 제공부(40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아바타 추출부(402)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아바타 추출부(402)는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가 저장된 아바타 DB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아바타 추출부(402)는 아바타 DB에서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아바타 추출부(402)는 스마트 단말이 제공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의 사용 목적에 대응하여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또는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인체 골격 구조를 모델링한 뼈대 구조로 구성된 형태로 사용자의 외형적인 특성에 대한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접근하기 위한 별도의 패스워드가 요구될 수 있다. 즉,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타인에 접근을 방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될 수 있다.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에 대하여 수치적으로 표현한 형태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사용자의 신체 치수 및 외형 정보를 직접 나타내거나 유추할 수 없는 수치의 조합으로 표현됨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암호화 된 아바타 일 수 있다. 따라서,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사용자에 대한 수치적인 정보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이슈를 가지며 일차적으로 암호화 될 수 있다.
나아가,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에 대하여 AES와 같은 암호화 기법에 따른 패스워드를 적용함에 따라 이차적으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이중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사이즈에 비해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데이터 사이즈로 구성됨으로 3D 데이터 사이즈에 따른 전송 부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어 표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상기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의 뼈대 구조에 대응하여 각 부위를 표현하는 넙스 곡선과 상기 넙스 곡선을 따라 각 부위의 외형 특성을 표현하는 넙스 곡면 및 상기 넙스 곡면으로 구성되는 스윕(Sweep) 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 구성은 도 6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디지털 의류 추출부(403)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의류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의류 추출부(403)는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의류가 저장된 의류 DB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의류 추출부(403)는 의류 DB에서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의류를 추출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한 사용자 아바타의 자세를 변형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포함된 포즈에 대응하는 관절 정보, 포즈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아바타의 자세를 포즈 정보와 동일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자세가 변형된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렌더링하여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에 렌더링 된 디지털 의류에 대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의 포즈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아바타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자세가 제어된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만을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포함된 칼라 영상 위에 증강현실 기법으로 오버레이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된 디지털 의류에 대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401)는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 키넥트와 같은 NUI(natural user interface) 센서의 활용이 어려운 모바일 단말 이나 인터넷 쇼핑, 홈쇼핑 중에 접하게 되는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의류에 대해 사용자에게 가상의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체험 제공 서버(401)는 기 생성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를 이용하여 디지털 의류에 대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기 때문에 개인정보의 침범 없이 사용자에게 가상의 디지털 의류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상 체험 제공 서버(401)는 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의 아바타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실생활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의류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 장소와 시간에 제약 없이 자유롭게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키넥트와 같은 NUI 센서와 같은 깊이 센서가 있는 경우,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포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한 후,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포함된 칼라 영상 위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오버레이된 디지털 의류에 대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401)는 NUI 센서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 위에 디지털 의류를 오버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거울을 보는 것과 같은 사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401)는 가정에서의 TV와 키넥트, PC와 같은 연산장치와 연동하는 경우, 보다 정교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서비스를 제공할 때,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를 사용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대부분의 단말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문제를 안전하게 해결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404)는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착장시키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만을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된 디지털 의류에 대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의류에 대한 어울림 정보 또는 피팅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실제 의류를 구매하기 전에 실제 의류에 대한 자신의 어울림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실제 의류를 구매하기 전에 사전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영상 제공부(405)는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스마트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아바타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와 파라메트릭 형태의 아바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아바타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중요 부위가 계측된 정보를 이용하여 표준 아바타를 변형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아바타는 계측된 사용자의 부위 정보에 대응하여 부위 정보와 연관된 표준 아바타의 파라메트릭 스윕 표현의 제어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변경함으로써,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및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 아바타 생성 단말은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및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가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및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얼굴과 같은 프라이버시와 연관된 부분을 제외한 몸, 팔, 다리와 같은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신체 부위에 대해서는 외형적으로 동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서비스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컴퓨팅 능력을 가진 개인 PC 환경에서 사용자 아바타가 사용될 경우,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직접 접근권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서버 컴퓨터와 같이 보안에 취약성을 가지는 공개성을 가지는 환경에서 사용자 아바타가 사용될 경우,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도 가상 의류 체험을 서비스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아바타는 아바타 생성 단말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들이 저장되는 아바타 DB에 접근할 수 있는 아바타 식별 정보에 매핑될 수 있다.
아바타 식별 정보는 아바타 DB에 포함된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및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에 매핑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의 스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몸통, 팔, 다리 등을 포함하는 5개의 스윕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5개의 스윕 파트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와 동일한 뼈대 구조를 가지며, 뼈대 구조에 대한 움직임 제어에 의해 동일한 형태로 외형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의 뼈대 구조에 대응하여 각 부위를 표현하는 넙스 곡선과 상기 넙스 곡선을 따라 각 부위의 외형 특성을 표현하는 넙스 곡면 및 상기 넙스 곡면으로 구성되는 스윕(Sweep) 을 포함할 수 있다.
넙스 곡선은 뼈대 구조를 따라 몸, 팔, 다리의 5개의 부위에 대한 골격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넙스 곡선은 뼈대 구조의 수치적 표현으로 표현된 넙스 커브(601)에 기초하여 골격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넙스 곡면(602)은 뼈대 구조의 각 조인트(EX. 어깨, 팔꿈치) 위치에 제어 단면을 만들고, 제어 단면과 표준 아바타의 3D 메쉬 간의 교차점 정보를 이용하여 파라메트릭하게 신체 부위의 형상을 수치화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아바타는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아바타로,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 변형되는 아바타일 수 있다.
또한, 넙스 곡면(602)은 각 스윕 표현이 중복되어 교차되는 어깨부위 또는 힙(Hip)부위를 처리하여 부위별 스윕 표현으로 인체의 외형을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넙스 곡면(602)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이유는 스윕 표현을 통해 사용자의 외형을 표현할 경우 각 스윕이 결합되는 어깨나 힙 부위에 대한 처리가 수반되지 않으면 제대로 된 디지털 의류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넙스 곡면(602)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각 스윕이 교차되는 어깨 조인트와 힙 조인트의 제어단면과 제어단면의 교차점을 각 스윕이 공유하게 함으로써 파라메트릭 스윕 표현이 매끄러운 사용자의 외형을 표현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디지털 의류는 실존하는 의류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의류는 마네킹에 입혀진 의류를 캡쳐하고, 캡쳐된 의류에 대한 영상 정보를 이용한 복원 방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디지털 의류는 디지털 의류가 저장된 의류 DB에 접근할 수 있는 의류 식별 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류를 가상으로 체험하기 위한 스마트 단말의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UI(801)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UI(801)을 기초하여 아바타, 의류, 체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아바타를 선택한 경우, 스마트 단말은 사용자 아바타를 선택할 수 있는 UI(802)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단말은 결정한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2가시 버전의 사용자 아바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은 서비스 목적에 따라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및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의류를 선택한 경우, 스마트 단말은 의류를 선택할 수 있는 UI(803)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을 통해 인터넷, 오프라인 매장에 전시 된 의류에 부착된 TAG에 포함된 의류 식별 정보를 스캔하거나, 스마트 단말에 저장된 의류 식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의류 식별 정보는 도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은 사용자 아바타의 아바타 식별 정보 및 디지털 의류의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면,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고, UI(804)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으로 의류를 체험하기 위한 단말들 및 서버에 대한 전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1001)에서 스마트 단말(101)은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1)은 사용자의 3D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는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에 대응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1)은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01)은 인터넷, 오프라인 매장에 전시 된 의류에 부착된 TAG에 포함되거나 기 저장된 의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101)은 결정한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를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1002)에서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스마트 단말(101)로부터 제공된 아바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가 저장된 아바타 DB에 접근하여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스마트 단말이 제공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의 사용 목적에 대응하여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또는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1003)에서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의류를 추출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의류가 저장된 의류 DB에 접근하여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의류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의류 DB 접근에 의한 의류 벤더(103)로 사용자 아바타의 치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사용자 아바타에 대한 수치적인 정보를 해석하여 신체 정보를 재구성한 후, 의류 벤더(103)에서 원하는 치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1004)에서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추출한 사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포함된 포즈에 대응하는 관절 정보, 포즈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아바타의 자세를 포즈 정보와 동일하도록 변형한 후,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 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포함된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상 체험 제공 서버(102)는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스마트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1005)에서 스마트 단말(101)은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1101)에서 스마트 단말은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1102)에서 스마트 단말은 의류 벤더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1103)에서 스마트 단말은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은 사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에 대한 직접 접근권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 단말은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아바타 DB 및 의류 DB에 직접 접근하여 사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은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따라 사용자 아바타와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단계(1104)에서 스마트 단말은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의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1105)에서 스마트 단말은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스마트 단말 102: 가상 체험 제공 서버
103: 의류 벤더 104: 아바타 생성 단말
105: 매장 의류 택 정보 106: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107: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108: 디지털 의류
109: 아바타 식별 정보 110: 의류 식별 정보
111: 아바타 DB 112: 의류 DB

Claims (20)

  1. 스마트 단말이 수행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overlay)하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아바타는,
    인체 골격 구조를 모델링한 뼈대 구조로 구성된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및.
    상기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의 외형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표현한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를 포함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상기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의 뼈대 구조에 대응하여 각 부위를 표현하는 넙스 곡선과 상기 넙스 곡선을 따라 각 부위의 외형 특성을 표현하는 넙스 곡면 및 상기 넙스 곡면으로 구성되는 스윕(Sweep)을 포함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저장소에 저장된 아바타 식별 정보를 선택하거나, 상기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아바타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단말의 저장소에 저장된 의류 식별 정보를 선택하거나, 상기 스마트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의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상기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또는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포즈 정보는,
    상기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취한 동작에 대응하여 칼라 영상, 상기 포즈에 대응하는 관절 정보, 상기 포즈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8. 스마트 단말이 수행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의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9. 가상 체험 제공 서버가 수행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의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를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 전달하여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에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하는 단계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또는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한 사용자 아바타의 자세를 변형하고,
    상기 사용자의 포즈 정보는,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동작한 포즈에 대응하여 칼라 영상, 상기 포즈에 대응하는 관절 정보, 상기 포즈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자세가 변형된 사용자 아바타에 상기 추출한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상기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
  13.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overlay)하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아바타는,
    인체 골격 구조를 모델링한 뼈대 구조로 구성된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및.
    상기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의 외형적 특성을 수치적으로 표현한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는,
    상기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의 뼈대 구조에 대응하여 각 부위를 표현하는 넙스 곡선과 상기 넙스 곡선을 따라 각 부위의 외형 특성을 표현하는 넙스 곡면 및 상기 넙스 곡면으로 구성되는 스윕(Sweep)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또는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
  16. 아바타 생성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식별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아바타 식별 정보 결정부;
    디지털 의류를 식별하는 의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의류 식별 정보 결정부;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에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사용자의 포즈 정보의 칼라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프레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
  17.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아바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아바타를 추출하는 사용자 아바타 추출부;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의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의류를 추출하는 디지털 의류 추출부;
    상기 사용자 아바타 및 디지털 의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아바타에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가 오버레이(overlay)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제공하는 가상 체험 영상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체험 영상 제공부는,
    상기 아바타 식별 정보 및 의류 식별 정보를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 전달하여 가상 체험 제공 서버에서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단말에 상기 생성된 가상 체험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아바타 추출부는,
    3D 메쉬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또는 파라메트릭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는,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한 사용자 아바타의 자세를 변형하고,
    상기 사용자의 포즈 정보는,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동작한 포즈에 대응하여 칼라 영상, 상기 포즈에 대응하는 관절 정보, 상기 포즈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체험 영상 생성부는,
    상기 자세가 변형된 사용자 아바타에 상기 추출한 디지털 의류를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시뮬레이션된 디지털 의류를 상기 사용자의 포즈 정보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체험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체험 제공 서버.
KR1020140036226A 2014-03-27 2014-03-27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 KR10172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226A KR101728588B1 (ko) 2014-03-27 2014-03-27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
US14/668,658 US20150279098A1 (en) 2014-03-27 2015-03-25 Smart device and virtual experience providing serve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experienc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clot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226A KR101728588B1 (ko) 2014-03-27 2014-03-27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309A true KR20150113309A (ko) 2015-10-08
KR101728588B1 KR101728588B1 (ko) 2017-05-02

Family

ID=5419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226A KR101728588B1 (ko) 2014-03-27 2014-03-27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79098A1 (ko)
KR (1) KR1017285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491B1 (ko) * 2015-11-05 2017-01-20 (주)에프엑스기어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112267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합성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101949770B1 (ko) * 2018-05-24 2019-02-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 의류 추천을 위한 체형 정보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19117463A1 (ko) * 2017-12-13 2019-06-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20200088187A (ko) * 2019-01-14 202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3014077A1 (ko) * 2021-08-03 2023-02-09 (주)클로버추얼패션 뷰어를 구동하는 웹 플랫폼의 동작 방법 및 웹 서버
WO2023043031A1 (ko) * 2021-09-15 2023-03-23 박화영 패션 피팅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2176B2 (en) 2014-08-28 2019-06-25 Eba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US10155168B2 (en) 2012-05-08 2018-12-18 Snap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able avatars
US10529009B2 (en) 2014-06-25 2020-01-07 Ebay Inc. Digital avatars in online marketplaces
US10653962B2 (en) * 2014-08-01 2020-05-19 Ebay Inc. Generating and utilizing digital avatar data for online marketplaces
WO2016158896A1 (ja) * 2015-03-31 2016-10-06 セーレン株式会社 衣服デザイン表示システム、衣服製造システム、衣服デザイン出力システム及び衣服デザイン出力方法
WO2017030255A1 (en) * 2015-08-18 2017-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62440B2 (en) * 2016-03-25 2019-04-16 Ebay Inc. Publication modification using body coordinates
US10339365B2 (en) 2016-03-31 2019-07-02 Snap Inc. Automated avatar generation
CN106355479A (zh) * 2016-09-22 2017-0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试衣方法、虚拟试衣眼镜及虚拟试衣系统
US10432559B2 (en) 2016-10-24 2019-10-01 Snap Inc. Generating and displaying customized avatars in electronic messages
US10529137B1 (en) * 2016-11-29 2020-01-07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ing images
US10454857B1 (en) * 2017-01-23 2019-10-22 Snap Inc. Customized digital avatar accessories
US10665022B2 (en) * 2017-06-06 2020-05-26 PerfectFit Systems Pvt. Ltd.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for overlaying apparel and fitness information
CN107784567A (zh) * 2017-12-08 2018-03-09 快创科技(大连)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技术的购物体验系统
CN108038761A (zh) * 2017-12-08 2018-05-15 快创科技(大连)有限公司 基于ar技术的购物宣传管理系统
EP3515068A1 (en) * 2018-01-19 2019-07-24 Thomson Licens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three-dimensional scenes in and from a data stream
CN108510594A (zh) * 2018-02-27 2018-09-07 吉林省行氏动漫科技有限公司 虚拟试衣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20200025291A (ko) 2018-08-30 2020-03-10 홍은비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퍼스널 컬러진단을 통한 쇼핑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11915380B2 (en) 2018-10-19 2024-02-27 Perfitly, Llc. Method for animating clothes fitting
KR20200085029A (ko) 2019-01-04 2020-07-14 전기용 아바타 가상피팅 시스템
KR20200093213A (ko) * 2019-01-28 2020-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그래픽 객체 제어 방법
CN110246001B (zh) * 2019-04-24 2023-04-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20190095184A (ko) * 2019-07-25 201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5750B1 (ko) * 2019-11-11 2022-02-2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상자의 자세 추정 및 변경을 사용한 이미지 기반 가상의상 착용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DE102021003118A1 (de) 2020-07-13 2022-01-13 Jörg Vogler System und Verfahren zum Ändern der optischen Erscheinung physischer Kleidung durch digitale Gestaltung
WO2022269741A1 (ja) * 2021-06-22 2022-12-29 株式会社Vrc 情報処理装置、3d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4048734A1 (ja) * 2022-08-31 2024-03-07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バター管理システム、アバター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956B1 (en) * 2000-06-08 2004-07-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ortable device with bar-code scanner
KR101194604B1 (ko) * 2008-12-22 2012-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모델의 형상 변형 방법 및 장치
US10628729B2 (en) * 2010-06-08 2020-04-21 Styku, LLC System and method for body scanning and avatar creation
KR101796190B1 (ko) * 2010-12-23 2017-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클론 생성 장치 및 방법
US8522358B2 (en) * 2010-12-28 2013-08-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Universal identity service avatar ecosystem
US9839844B2 (en) * 2011-03-01 2017-12-12 Disney Enterprises, Inc. Sprite strip renderer
US20150142537A1 (en) * 2013-11-18 2015-05-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ceiving product/service information and content based on a captured imag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491B1 (ko) * 2015-11-05 2017-01-20 (주)에프엑스기어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가상 피팅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112267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합성 방법 및 그 전자장치
US11232512B2 (en) 2016-03-31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mbining an avatar image with a portion of a user's image
WO2019117463A1 (ko) * 2017-12-13 2019-06-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20190070452A (ko) * 2017-12-13 2019-06-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101949770B1 (ko) * 2018-05-24 2019-02-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 의류 추천을 위한 체형 정보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00088187A (ko) * 2019-01-14 202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3014077A1 (ko) * 2021-08-03 2023-02-09 (주)클로버추얼패션 뷰어를 구동하는 웹 플랫폼의 동작 방법 및 웹 서버
WO2023043031A1 (ko) * 2021-09-15 2023-03-23 박화영 패션 피팅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588B1 (ko) 2017-05-02
US20150279098A1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588B1 (ko) 디지털 의류를 이용하여 가상 체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 및 가상 체험 제공 서버
US11915380B2 (en) Method for animating clothes fitting
US20200380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ody scanning and avatar creation
Adikari et al. Applicability of a Single Depth Sensor in Real‐Time 3D Clothes Simulation: Augmented Reality Virtual Dressing Room Using Kinect Sensor
US116406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ultra-low footprint body scanning
US10497053B2 (en) Augmented reality E-commerce
CN110716645A (zh) 一种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60078663A1 (en) Cloud server body scan data system
CN106127552B (zh) 一种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及系统
Hauswiesner et al. Free viewpoint virtual try-on with commodity depth cameras
EP3599590A1 (en) An online virtual shoe fitting method
Vitali et al. Acquisition of customer’s tailor measurements for 3D clothing design using virtual reality devices
CN105184622A (zh) 利用虚拟技术帮助消费者网络购物
CN108983974B (zh) Ar场景处理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065423A (ko) 증강현실 기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가상 피팅시스템
CN106779774A (zh) 虚拟试衣系统及虚拟试衣方法
CN114049468A (zh) 一种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Zong et al. An exploratory study of integrative approach between 3D body scanning technology and motion capture systems in the apparel industry
KR20150124518A (ko) 증강 현실 기반 가상 피팅을 위한 가상 의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50124208A (ko) 증강 현실 기반 가상 피팅을 위한 의상의 물리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WO20181829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ultra-low footprint body scanning
KR102044347B1 (ko) 가상의류 피팅미러 장치를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KR20190023486A (ko) 3차원 피팅 방법 및 장치
KR102419329B1 (ko) 가상현실(vr)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스타일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hetty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ugmented reality based 3D modelling furnitur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