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529A -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529A
KR20150112529A KR1020140036911A KR20140036911A KR20150112529A KR 20150112529 A KR20150112529 A KR 20150112529A KR 1020140036911 A KR1020140036911 A KR 1020140036911A KR 20140036911 A KR20140036911 A KR 20140036911A KR 20150112529 A KR20150112529 A KR 2015011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idate
smart device
image
election
imag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혁
영 황보
Original Assignee
강신혁
영 황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혁, 영 황보 filed Critical 강신혁
Priority to KR1020140036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2529A/ko
Publication of KR2015011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간편한 이미지 인식 기술로 선거 후보자를 인식한 다음 후보자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해당 후보자의 선거 홍보물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후보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홍보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 기기로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고 이미지 인식기능에 대한 사용법 안내 팝업이 출력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 모듈로 특정 후보자의 홍보물을 캡쳐하여 이미지 인식모듈로 입력하는 단계, 이미지 인식 모듈로 입력된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 연산되어 이미지 매칭되는 단계, 스마트 기기가 상기 매칭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식별자(ID)를 후보자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후보자 관리서버는 전송된 식별자(ID)에 해당하는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기기로 전송된 후보자의 홍보 컨텐트를 실행하는 단계로 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ublic relations election candidate Using Image recognation Technology And Method Therfor}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이 간편한 이미지 인식 기술로 선거 후보자를 인식한 다음 후보자 관리서버에 요청하여 해당 후보자의 선거 홍보물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후보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홍보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선거에서 후보자의 홍보와 공약을 알리기 위하여 다양한 수단과 방법들이 동원되고 있으나, 아직은 온라인을 이용한 홍보 보다는 오프라인을 통한 홍보 방식이 대부분이며, 일반 유권자들이 보다 쉬우면서 간편한 방법으로 후보자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보다 간편하면서 저비용 고효율의 선거 후보자 홍보수단이나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기술(무선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을 포함한다.)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CP)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전송속도가 더욱 빨라짐에 따라 제공되는 콘텐츠도 다양화되고 있고 동영상의 비중도 점차 커져 가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동영상이나 다양한 홍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선거 유세에 이용되고는 있으나 일반 유권자들이 보다 쉬우면서 간편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56259호(발명의 명칭: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유권자정보기반 선거운동 방법및 시스템, 2003. 07. 04. 등록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790호(발명의 명칭: 선거정보 안내시스템, 2013. 02. 20. 특허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0789호(발명의 명칭: 맞춤형 동영상 선거 홍보 방법, 2003. 04. 18. 특허공개)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후보자의 얼굴, 사진, 캐릭터 등의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되는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에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유권자)가 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보다 간편하게 접할 수 있으며, 홍보 측면에서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권자의 개인 휴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후보자 정보를 다양하고 간편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 유권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방법과 그 프로그램 및/또는 그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상기 스마트 기기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후보자 홍보물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 모듈, 상기 스마트 기기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후보자 관리서버의 송수신 모듈,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홍보물 인식 이미지에 해당하는 선거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로 제공하는 후보자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되고 복수 선거 후보자의 정보와 선거 홍보 컨텐츠가 저장되는 DB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B 서버는, 각 후보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후보자 DB, 각 후보자의 인사말과 약력이 저장되는 인사말/약력 DB, 각 후보자의 홍보 동영상이 저장되는 동영상 DB, 각 후보자의 공약이 저장되는 공약 DB, 각 후보자의 로고송이 로고송 DB, 각 후보자의 연설문이 저장되는 연설문 DB, 각 후보자의 기타 자료가 저장되는 기타 D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방법은,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 기기로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고 이미지 인식기능에 대한 사용법 안내 팝업이 출력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 모듈로 특정 후보자의 홍보물 이미지를 이미지 인식 모듈로 입력하는 단계, 이미지 인식 모듈로 입력된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 연산되어 이미지 매칭되는 단계, 스마트 기기가 상기 매칭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식별자(ID)를 후보자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후보자 관리서버는 전송된 식별자(ID)에 해당하는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기기로 전송된 후보자의 홍보 컨텐트를 실행하는 단계로 될 수 있다.
상기 홍보물은, 여러 후보자 중 특정 후보자를 식별할 수 있는 선거 공보, 벽보, 현수막, 명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인쇄된 이미지 일 수 있다.
상기 식별자(ID)는 후보자의 정면 얼굴, 측면 얼굴, 특정 각도에서 쵤영된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선거 후보자의 얼굴, 사진, 캐릭터 등의 컨텐츠를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해당 후보의 선거 홍보 컨텐츠를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스마트 기기(10)에서 재생함으로써 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어서 홍보 비용이 크게 절감될 뿐 아니라 비용 대비 홍보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10)를 이용하여 선거 후보자 홍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0)로 화면 및/또는 음성 출력되는 각종 컨텐츠를 선택 및 실행해 볼수 있어서, 후보자와 유권자가 1:1로 대면한 상태에서 후보자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으므로 후보자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되고, 아울러 후보자의 당선율과 득표율 상승으로 이어지며, 나아가 투표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시너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이 간편한 이미지 인식 기술이 적용되어 후보자의 홍보물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를 휴대하고 있고, 또한 사용에 능숙한 20대, 30대, 40대 유권자들에게 매우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홍보 방법으로, 후보자에 대한 이미지 제고와 더불어 투표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스마트 기기의 구성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흐름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홍보 컨텐츠의 초기(intro) 화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 모듈로 홍보물을 인식하는 상태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메인화면 및 후보자의 영상보기 화면 구성도.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후보자의 인사말&약력 화면 구성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후보자의 공약 화면 구성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후보자의 로고송 화면 구성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후보자의 연설문 화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거 후보자 식별을 위해 개별 선거 홍보용 공보, 벽보, 현수막, 명함 등에 인쇄된 이미지를 데이터화 하여 서버 상에 저장하고, 각 후보자별로 선거 홍보에 필요한 자료, 예컨대, 홍보용 동영상 파일, 음성 파일, 이미지 파일, 공약 파일, 인사말 파일, 약력 파일, 웹사이트 링크, SNS 링크 등을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1)의 DB 서버(50)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시켜 구축한 상태에서 스마트 기기(10)의 요청에 응하여 통신으로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이 간편한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후보자의 얼굴, 사진, 캐릭터 등의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되는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에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유권자)가 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보다 간편하게 접할 수 있으며, 홍보 측면에서 비용이 크게 절감될 뿐 아니라, 비용 대비 홍보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서버에 저장되는 후보자 각각의 데이터는 업데이트(Up Date)가 가능하므로 상황에 맞는 정보를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 구성도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사용자(유권자) 스마트 기기(10)와, 이동통신망(20)과, 이동통신망(20)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1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 모듈(30)을 갖는 후보자 관리서버(40)와, 복수 선거 후보자의 정보와 선거 홍보 컨텐츠가 저장되는 DB 서버(50)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기기(1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의 개인 휴대단말이며, 도 2에 예시한 것처럼, 스마트 기기(1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이동통신망(20)을 이용하여 후보자 관리서버(40)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12)와, 카메라 모듈(13)과, 이미지 인식 모듈(14)과,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을 구현되고 터치스크린을 겸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 및 음향출력 모듈(16)과, 요청에 의해 후보자 관리서버(40)로부터 전송된 후보자 홍보 컨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17)와, 인터페이스부(18)와, 전원부와, 마이크와, 기타 장치와 구동프로그램 및 응용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상기 이미지 인식 모듈(14)은 이미지 인식(Image recognation)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13)로 인식된 각종 이미지에서 어떤 물체나 정보가 있는지 알아내는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기기(10)의 카메라 모듈(13)로 각 후보자의 홍보물(3)을 비추면 이미지 인식 모듈(14)에서 이미지 인식 방식으로 해당 후보자(3)를 간편하게 인식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부(11)는 이동통신망(20)을 경유하여 후보자 관리서버(4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모듈과, 무선인터넷 모듈과, 근거리 통신모듈, 등이 포함된다.
상기 이동통신망(20)은 CDMA, WCDMA, GSM, Wireless LAN, WiBro, WiFi, WiMax, WiMAX evolution, LTE, LTE 어드밴스드 등을 포함하며, 무선 랜카드와 억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핫스팟(hot spot) 방식에 의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나, 이동 통신용 모뎀과 공중망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무선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외에도, 각종 이동통신단말기(모바일)을 포함하며, 물론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DA폰 또는 통신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웹 패드, 인터넷 TV, IPTV, 스마트TV 등과 같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웹 브라우저(도시안됨)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 프로그램 및 주변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가 미약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1)을 구성하는 후보자 관리서버(40)는 도시안된 웹서버, 방화벽, 홈페이지(60), 관리자 페이지 등을 포함하며,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을 포함한 복수 선거 후보자의 정보와 홍보 컨텐츠 등을 DB 서버(50)에 저장 및 갱신하고, 검색, 독출 등을 수행하게 되며, 사용자 스마트 기기(10)의 요청에 응하여 홍보 컨텐츠 등을 제공한다.
상기 후보자 관리서버(40)는 운영프로그램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과, 부속서버와 장치들을 포함하며, SNS 서버(70), 또는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DB 서버(50)는 적어도 한사람 이상의 선거 후보자 정보와 홍보 컨텐츠가 저장된다. 즉, 후보자 식별을 위해 후보자 개인별 선거 홍보용 공보, 벽보, 현수막, 명함 등에 인쇄된 이미지 홍보물(이하 '홍보물'이라 함)(2)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DB서버(50)에 저장함으로써 각 후보자별 DB가 구축되며, 사용자(유권자)의 스마트 기기(10)의 요청에 따라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업데이트 되거나 변경되는 데이터는 후보자 관리서버(40)의 DB 서버(50)에 꾸준히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갱신 처리된다.
상기 DB서버(50)에는 각 후보자별 선거 홍보에 필요한 자료들이 DB에 파일로 저장된다. 예컨대, 후보자 인적 DB(51)와, 홍보용 동영상 파일, 음성 파일, 이미지 파일, 공약/인사말/약력 등의 텍스트 파일, 웹사이트 링크, SNS 링크 등-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DB로 DB서버(50)에 구축된다.
상기 DB서버(50)는, 후보자별 정보가 저장되는 후보자 DB(51), 각 후보자의 인사말과 약력이 저장되는 인사말/약력 DB(52), 각 후보자의 홍보 동영상이 저장되는 동영상 DB(53), 각 후보자의 공약이 동영상이나 텍스트 또는 파워포인트 등으로 저장되는 공약 DB(54), 각 후보자의 로고송이 동영상 및/또는 음악파일(MP3)로 저장되는 로고송 DB(55), 각 후보자의 연설문이 동영상이나 텍스트 또는 파워포인트 등으로 저장되는 연설문 DB(56), 각 후보자의 기타 자료와, 선거 관련 자료, 선거 법령과 서식 자료 등이 저장되는 기타 DB(57)가 구축된다.
상기 후보자 DB(51)에는, 각 후보자의 신상정보, 이를테면, 후보자 이름, 성별, 나이, 주소, 출신지역, 학력,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가족, 재산, 상벌, 상훈/표창, 인생이력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인사말/약력 DB(52)에는, 각 후보자의 인사말과 약력이 포함된다. 동영상 DB(53)에는, 스마트 기기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홍보 동영상이 정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다. 공약 DB(54)에는 각종 공약, 정책, 비젼, 지역 현안 및 숙원사업, 민원, 유세일정 등이 포함된다. 로고송 DB(55)에는 각 후보자의 로고송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후보자를 인식하는 부분은, 후보자별로 가장 두드러지게 특징이 있는 얼굴이 포함되며, 이외에도 후보자 이름이나 후보자의 정당명이나 선거구 및 부여된 기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선거 후보자들이 제시하는 각종 홍보물 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DB 서버(50)에 저장된다.
상기 얼굴의 경우에도 후보자의 얼굴 위치가 정면이나 측면 또는, 특정각도에서 쵤영되거나 묘사되는 이미지들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다. 즉, 유권자에게 제공되거나 노출될 수 있는 각종 홍보물(3)들 중에서 가장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특정 부분이나 특정 각도의 얼굴이나 전신 이미지가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흐름도로, 스마트 기기(10)로 플레이스토어 등에 접속해서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 다음(S11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S12 단계), 도 4의 예시와 같은 초기(intro) 화면 또는 팝업창이 스마트 기기(10)의 디스플레이 모듈(15)로 화면 출력(디스플레이)되면서 이미지 인식기능에 대한 사용법이 안내 및 설명된다. 또한 스마트 기기(10)의 음향출력 모듈(16)을 통하여 음성(소리)으로도 안내된다(S13).
상기 이미지 인식기능에 대한 사용법에는, 후보자의 홍보물, 예컨대 여러명의 후보자 중 특정 후보자를 식별할 수 있는 선거 공보, 벽보, 현수막, 명함 등에 인쇄된 이미지 인식기능에 대한 사용법이 스마트 기기(10)의 디스플레이 모듈(15)로 화면 출력된다.
상기 사용법 안내에 따라 스마트 기기(10)의 카메라 모듈(13)을 도 5와 같이 특정 후보자(2)의 홍보물(3) 전체 또는 특정 부분이나 일정 부분에 비추면(촬영하지 않고 비춘 상태) 후보자의 영상이 캡쳐(포착)되어 이미지 인식 모듈(14)로 입력 및 인지된다(S14 단계).
이미지 인식 모듈(14)로 입력된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 연산되어(S15) 이미지 매칭이 진행된다(S16), 상기에서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지 않은 부분을 비춘 상태이거나 범위를 벗어나 비춘 경우 이미지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홍보물의 전체 또는 홍보물 특정 부분에 카메라 모듈(13)을 지향시켜 비추도록 화면 및/또는 음성으로 안내되며, 상기 안내에 따라 스마트 기기(10)의 카메라 모듈(13)을 후보자(2)의 홍보물(3) 전체 또는 특정 부분에 비추면 후보자의 영상이 캡쳐(포착)되어 이미지 인식 모듈(14)로 입력 및 인지되고(S13 단계),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 연산(S15) 및 매칭된다(S16).
한편, 스마트 기기(10)의 카메라 모듈(13)을 통하여 입력된 이미지가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되어 매칭되면(S16), 매칭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식별자(ID)가 스마트 기기(10)에 의해 후보자 관리서버(40)로 전송되며(S17), 후보자 관리서버(40)는 전송된 식별자(ID)에 해당하는 후보자의 DB를 검색 및 독출 한다음 해당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10)로 전송되고(S18), 스마트 기기(10)에는 도 5에 예시한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가 화면 표시된다(S19).
상기에서 스마트 기기(10)로 전송된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는 스마트 기기(10)의 메모리(17)에 저장되어 곧바로 선택하여 실행될 수 있는 상태이며, 메모리(17) 자원을 크게 잠식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컨텐츠의 파일 용량이 크지 않도록 배려된다.
도 6 ~ 10은 스마트 기기(10)로 전송된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6은 스마트 기기(10)의 디스플레이 모듈(15)로 출력되는 후보자(2)의 홍보물(3) 컨텐츠의 메인화면(M)으로, 화면 상단에는 소속 정당명 "일일당"과, 지역구 "승리시"와, 기호 "0"번과, 후보자 성명 "신세대"가 표시되는 선거정보 표시부(21)와, 그 하단에 아이콘 선택 상태에 대응하는 동영상이나 텍스트, 파워포인터 등이 실행 및 표시되는 영상표시부(22)와, 그 하단(화면 하단)에 후보자(2)의 홍보 동영상, 인사말과 약력, 공약, 로고송, 연설문, 홈페이지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둘러볼 수 있도록, 영상보기 아이콘(23), 인사말&약력 아이콘(24), 공약 아이콘(25), 로고송 아이콘(26), 연설문 아이콘(27), 후보자의 홈페이지를 둘러볼 수 있게 링크되는 홈페이지 아이콘(28)이 각각 배열 표시되는 아이콘 표시부(29)가 구성된다.
상기 도 6은 영상보기 아이콘(23)을 눌러 영상표시부(22)로 후보자(2)의 홍보 동영상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상기 홍보 동영상에는 재생 및 정지버튼(31)이 중앙에 위치하고, 하단에는 재생시간 표시부(32)와, 재생바(33)와, 환경설정 버튼(34)과, 전체화면 버튼(35)이 표시된다.
도 7은 메인화면(M)에서 인사말&약력 아이콘(24)을 눌러 표시되는 인사말&약력 화면(34)으로 중앙의 영상표시부(35)에는 후보자(2)의 인물사진과 기호 "1"과, 후보자 성명 "신세대"와, 소속 정당 "00당"이 표시되고, 영상표시부(35) 하단에 위치하는 인사말 표시부(36)에는 후보자(2)의 인사말이 표시되고, 인사말 표시부(36) 하단에 위치하는 약력표시부(37)에는 후보자(2)의 약력이 표시된다.
도 8은 메인화면(M)에서 공약 아이콘(25)을 눌러 표시되는 공약 화면(40)으로, 상단에는 선거정보 표시부(21)가 표시되고, 중앙의 영상표시부(35)에는 후보자(2)의 인물사진과 기호 "1"과, 후보자 성명 "신세대"와, 소속 정당 "00당"이 표시되고, 영상표시부(35) 하단에 위치하는 공약 표시부(41)에는 후보자(2)의 공약들이 표시된다.
도 9는 메인화면(M)에서 로고송 아이콘(26)을 눌러 표시되는 로고송 화면(42)으로, 상단에는 선거정보 표시부(21)가 표시되고, 중앙의 영상표시부(43)에는 후보자(2)와 관련되거나 친근감을 로고송 영상이나 동영상이 실행되고, 영상표시부(43) 하단에는 아이콘 표시부(29)가 위치한다.
도 10은 메인화면(M)에서 연설문 아이콘(27)을 눌러 표시되는 연설문 화면(45)으로, 상단에는 선거정보 표시부(21)가 표시되고, 중앙의 영상표시부(46)에는 후보자(2)의 연설문이 동영상이나 정지영사으로 재생되며, 영상표시부(43) 하단에는 아이콘 표시부(29)가 위치한다.
본 발명은 유권자인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10)를 이용하여 후보자와 1:1로 대면한 상태에서 후보자(2)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어서 후보자(2)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되고, 아울러 당선율과 득표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이미지 인식(Image recognation) 기술은 카메라 모듈(13)로 인식된 각종 이미지에서 어떤 물체나 정보가 있는지 알아내는 기술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기기(10)의 카메라 모듈(13)로 각 후보자의 홍보물(3)을 비추면 이미지 인식 모듈(14)에서 이미지 인식 방식으로 해당 후보자(3)를 인식해, 후보자 관리서버(40)에 해당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를 요청하고 제공받아 바로 실행해보거나 접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후보자의 선거 홍보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10)를 이용하여 각 후보자의 정보, 각 후보자의 인사말과 약력, 각 후보자의 홍보 동영상, 각 후보자의 공약, 각 후보자의 로고송, 각 후보자의 연설문, 각 후보자의 기타 자료, 등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법이나 기구 및 장치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2)--후보자
(3)--홍보물 (10)--스마트 기기
(11)--제어부 (12)--무선통신부
(13)--카메라 모듈 (14)--이미지 인식 모듈
(15)--디스플레이 모듈 (16)--음향출력 모듈
(17)--메모리 (18)--인터페이스부
(20)--이동통신망 (21)--선거정보 표시부
(22)--영상표시부 (23)--영상보기 아이콘
(24)--인사말&약력 아이콘 (25)--공약 아이콘
(26)--로고송 아이콘 (27)--연설문 아이콘
(28)--홈페이지 아이콘 (29)--아이콘 표시부
(30)--송수신 모듈 (40)--후보자 관리서버
(50)--DB 서버 (60)--홈페이지
(M)--메인화면

Claims (5)

  1.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0);
    상기 스마트 기기(10)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13)로부터 입력되는 후보자 홍보물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 모듈(14);
    상기 스마트 기기(10)와 이동통신망(20)을 통하여 통신하는 후보자 관리서버(40)의 송수신 모듈(30);
    상기 스마트 기기(10)로부터 전송되는 홍보물 인식 이미지에 해당하는 선거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10)로 제공하는 후보자 관리서버(40);
    상기 관리서버(40)에 접속되고 복수 선거 후보자의 정보와 선거 홍보 컨텐츠가 저장되는 DB 서버(50);
    를 포함하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DB 서버는,
    각 후보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후보자 DB;
    각 후보자의 인사말과 약력이 저장되는 인사말/약력 DB;
    각 후보자의 홍보 동영상이 저장되는 동영상 DB;
    각 후보자의 공약이 저장되는 공약 DB;
    각 후보자의 로고송이 로고송 DB;
    각 후보자의 연설문이 저장되는 연설문 DB;
    각 후보자의 기타 자료가 저장되는 기타 DB;
    를 포함하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3.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 기기로 다운받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고 이미지 인식기능에 대한 사용법 안내 팝업이 출력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 모듈로 특정 후보자의 홍보물 이미지를 이미지 인식 모듈로 입력하는 단계;
    이미지 인식 모듈로 입력된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 연산되어 이미지 매칭되는 단계;
    스마트 기기가 상기 매칭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식별자(ID)를 후보자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후보자 관리서버는 전송된 식별자(ID)에 해당하는 후보자의 홍보 컨텐츠를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 기기로 전송된 후보자의 홍보 컨텐트를 실행하는 단계;
    로 된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홍보물은, 여러 후보자 중 특정 후보자를 식별할 수 있는 선거 공보, 벽보, 현수막, 명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인쇄된 이미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식별자(ID)는 후보자의 정면 얼굴, 측면 얼굴, 특정 각도에서 쵤영된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방법.
KR1020140036911A 2014-03-28 2014-03-28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12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11A KR20150112529A (ko) 2014-03-28 2014-03-28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911A KR20150112529A (ko) 2014-03-28 2014-03-28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29A true KR20150112529A (ko) 2015-10-07

Family

ID=5434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911A KR20150112529A (ko) 2014-03-28 2014-03-28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25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487B1 (ko) * 2022-02-15 2023-07-14 이종혁 선거 공약을 이용한 선거 후보 홍보물 제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487B1 (ko) * 2022-02-15 2023-07-14 이종혁 선거 공약을 이용한 선거 후보 홍보물 제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1083A1 (en) Conversion and Display of a User Input
JP6232492B2 (ja) Tvから出力される音響信号に基づいたユーザカスタマイズ型広告提供システム、ユーザカスタマイズ型広告を提供する方法、及びmimサービス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223893B2 (en) Updating social graph data using physical objects identified from images captured by smartphone
US20150134687A1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profile image card for communication
US9495692B2 (en) Conversion and display of a user input
US9223750B2 (en) Dynamic tag generating apparatus and dynamic tag generating method thereof for use in display apparatus
US20120290392A1 (en) Contextual Keywords Based Advertising System
CN106796510A (zh) 用于呈现并安装应用的设备、方法及图形用户界面
US20170046045A1 (en) Conversion and Display of a User Input
KR101577402B1 (ko) 상품 상담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00456B2 (en) Waiting ticket operation system and method
KR101715140B1 (ko) 소상공인을 위한 고객정보 수집 및 광고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JP2014092934A (ja) 情報通信装置及び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20030100337A1 (en) Wireless device for broadcast of information and related method for use with mobile wireless devices
US11968163B2 (e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erminal, and medium
KR20140015946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정치인 홍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2529A (ko)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거 후보자 홍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7653B1 (ko)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0799B1 (ko) 실시간 투표 현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02915A2 (en) A contextual connected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20150129230A (ko)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인쇄물 홍보시스템
KR101305526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KR101753831B1 (ko) 메신저 광고 방법
KR20140014753A (ko) 기념일 이벤트 제공을 위한 통합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85861A (ko) 맞춤형 인터랙티브 콘텐츠 연동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