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443A - Intravascular ablation balloon catheter - Google Patents

Intravascular ablation balloon cath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443A
KR20150112443A KR1020140036628A KR20140036628A KR20150112443A KR 20150112443 A KR20150112443 A KR 20150112443A KR 1020140036628 A KR1020140036628 A KR 1020140036628A KR 20140036628 A KR20140036628 A KR 20140036628A KR 20150112443 A KR20150112443 A KR 20150112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haft
balloon
catheter
ballo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6899B1 (en
Inventor
박희남
황민기
조규복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899B1/en
Priority to PCT/KR2015/002996 priority patent/WO2015147577A1/en
Publication of KR2015011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4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273Anchoring means for temporary attachment of a device to tissue
    • A61B2018/00279Anchoring means for temporary attachment of a device to tissue deployable
    • A61B2018/00285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39Bioelectrical parameters, e.g. ECG, EE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vascular radiofrequency ablation balloon catheter comprising: a liquid input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a catheter body; a shaft configured as a long conduit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body; an electrode formed on the distal end of the shaft; and a balloon formed on the distal end of the shaft, wherein when the balloon is inflated in a blood vessel, the inflated balloon only partially blocks the blood vessel so that a space capable of maintaining blood flow is formed.

Description

혈관 내 고주파 절제 풍선 카테터{Intravascular ablation balloon catheter}Intravascular ablation balloon catheter < RTI ID = 0.0 >

본 발명은 심장 혈관 내의 구조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다양한 병변을 효과적으로 절제할 수 있는 고주파 절제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병변 부위를 제거하기 위한 절제 전극과 웨지 풍선(Wedge balloon)을 위치시킴으로써 심장 혈관 내의 여러 위치에 존재하는 병변부위를 접촉된 절제 전극을 이용하여 교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병변 부위를 제거할 수 있는 고주파 절제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frequency ablation balloon catheter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various lesions difficult to access structurally in a cardiac blood vesse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lation electrode and a wedge balloon for removing a lesion si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frequency ablation catheter capable of removing a lesion site while minimizing ac resistance by using a resection electrode which is in contact with a lesion located at various positions within the abdominal wall.

심장의 박동은 심장의 일부로부터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심장의 근육이 순차 자극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 전기 신호의 흐름에 이상이 발생하면, 심장이 정확하게 박동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상 신호가 발생되는 원인이 심장 내의 조직뿐만 아니라, 심장 외막에서도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발생되어 정상적인 심장 박동의 이상을 일으키는데, 이것이 이른바 부정맥이다.The heartbeat is performed by sequentially stimulating the heart muscle by an electrical signal periodically generated from a part of the heart. However,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flow of the electric signal, the heart can not be accurately pulsed. This abnormal signal is caused not only by the tissue in the heart but also by the abnormal electrical signal in the epicardium, causing abnormal heart beat, which is what is called arrhythmia.

심장 부정맥의 처치는, 고주파수 전류에 의한 카테터 절제(catheter ablation) 기술의 도입 이후로 상당히 변모했다. 카테터 절제 기술에서는, X-레이 통제 하에서 절제-카테터가 정맥 또는 동맥을 통해 하나의 심장에 삽입되고, 고주파 전류에 의해 심장 부정맥을 유발하는 조직이 파괴된다. 카테터 절제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전제 조건은, 심장 내부에서 부정맥의 원인을 정확하게 탐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탐지는, 전위(electrical potentials)가 심장 내부에 삽입된 맵핑-카테터에 의해서 공간적으로 분해된 상태로 레코딩되는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이 이루어진다.The treatment of cardiac arrhythmias has changed considerably since the introduction of catheter ablation techniques with high frequency currents. In catheter ablation techniques, ablation-catheter is inserted into a single heart through the vein or artery under X-ray control, and tissue that causes cardiac arrhythmia by high-frequency current is destroyed. A precondition for successful execution of catheter ablation is to accurately detect the cause of arrhythmias within the heart. Such detection is diagnosed by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s in which electrical potentials are recorded in a spatially resolved state by a mapping-catheter inserted in the heart.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가장 흔한 지속적 부정맥으로서, 심박수를 분당 100 내지 175까지 또는 그 이상으로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심장의 두근거림 증상이 나타나는 빈도가 높고, 실신, 현기증, 호흡 곤란, 흉통, 전신 쇠약 등과 같은 다수의 의학적 후유증과도 연관되어 있다.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is the most common persistent arrhythmia, which can increase heart rate from 100 to 175 or more per minute.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is a frequent occurrence of heart rhythm symptoms and i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medical sequelae such as syncope, dizziness, dyspnea, chest pain, general weakness, and the like.

심장 혈관 내에 상심실성 빈맥의 원인이 되는 병소를 찾는 것에 있어서, 심장 박동으로 인해 시술자가 정밀하게 심장 내의 생체 전기신호를 탐지하여 부정맥을 유발하는 심장 부위를 판별하고 절제하는 과정에서 카테터의 위치를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심장 혈관 내의 특성을 고려한 전기적 신호를 탐지하고 절제하는 카테터가 없어서, 기존의 심장 내에 전기적 신호를 탐지하고 절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카테터를 이용하여, 심장 혈관 내의 병소에 접근이 어려운 부분을 점 접촉시켜 병소를 일으키는 부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었다. 특히, 좁은 심장 혈관 내에서 고주파 절제 시술 시 전류의 저항치가 급격히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되어 효과적인 절제 시술에 어려움이 많았다.
In finding the lesion causing the supraventricular tachyarrhythmia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the heart beats precisely detect the bioelectrical signal in the heart by the practitioner, thereby determining the heart site causing the arrhythmia, and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catheter for detecting and resecting electrical signal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a catheter designed to detect and ablate an electrical signal in the heart is used to make a point in contact with a part difficult to access to a cardiovascular lesion The area that caused the lesion could not be accurately detected. Especially, in the case of high frequency excision in a narrow cardiac blood vessel,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urrent suddenly increas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effective rese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심장 혈관 내의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고안되었으며, 원하는 심장 혈관 내의 여러 부분에 존재하는 병변 부위에 전기자극을 인가함은 물론, 웨지 풍선을 위치시킴으로써 환자의 호흡에 의한 카테터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 병소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조작자가 정밀하게 조절하여 병소에 절제 시술을 할 수 있는 혈관 내 고주파 절제 풍선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diac pacemaker which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tructural features in a cardiac blood vessel, By positioning the balloon, the catheter movement can be minimized,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and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lesion and adjust the operator precisely so as to provide a high frequency ablation catheter .

아울러, 본 발명은 좁은 혈관 내에서 절제 시술 시 야기될 수 있는 교류 저항값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웨지 풍선이 혈관 내 혈류량을 유지 가능하도록 하여 교류 저항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도와주며, 또한 카테터의 말단 두께를 기존 카테터보다 얇게 도안함으로써, 좁은 혈관 내에서도 원하는 병소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카테터 시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혈관 내 고주파 절제 풍선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abrupt change in the AC resistance value which may be caused in the ablation procedure in a narrow blood vessel, the wedge balloon can maintain the blood flow in the blood vessel so that the AC resistance can be stably maintained, Which is capable of stably moving a desired lesion even in a narrow vessel by designing the terminal thickness of the catheter to be thinner than that of the existing catheter, thereby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the catheter procedure.

특히, 본 발명은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부정맥 시술 시 근원이 되는 중심장 정맥(Middle Cardiac Vein)의 부정맥 유발 생체신호를 제거하는 시술에 유용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심방 빈맥(Atrial Tachycardia), 심실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부정맥 시술 시 근원이 되는 대심 정맥(Great Cardiac Vein), 전심실 중격 정맥(Anterior Interventricular vein)의 부정맥 유발 생체신호를 제거하는 시술에서도 유용함을 제공하는 혈관 내 고주파 절제 풍선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a method for removing an arrhythmogenic vital sign of a middle cardiac vein, which is a source of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but also a method of removing atrial tachycardia ), Ventricular tachycardia, and vascular intravascular rescue balloons that are useful in the removal of arrhythmia-induced vital signs of the great cardiac vein and anterior interventricular vein, which are the source of arrhythmia. And to provide a catheter.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테터 본체의 일단에 연결되는 액체 투입부; 카테터 본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긴 도관으로 구성되는 샤프트; 샤프트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전극; 및 샤프트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풍선을 포함하고, 혈관 내에서 풍선이 팽창했을 때 팽창된 풍선은 혈관을 부분적으로만 막아서 혈류를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eter comprising: a liquid introducing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a catheter body; A shaft comprising a long condu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body; An electrode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shaft; And a balloon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shaft, wherein the balloon inflated when the balloon inflates in the blood vessel partially blocks the blood vessel, thereby forming a space capable of maintaining blood flow.

본 발명에서 풍선의 팽창 전 직경은 0.1 내지 3 mm일 수 있고, 풍선의 팽창 후 직경은 0.5 내지 5 mm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balloon before swelling may be 0.1 to 3 mm, and the diameter of the balloon after swelling may be 0.5 to 5 mm.

본 발명에서 풍선은 웨지형, 구형, 계란형, 원추형, 계단형 또는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may be a wedge, a sphere, an egg, a cone, a step or a polyhedron.

본 발명에서 풍선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풍선은 샤프트의 동일 위치에서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lloons may be provided, and at least two balloons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 at the same position of the shaft.

본 발명에서 샤프트의 내부에는 풍선으로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유로는 샤프트와 독립적인 튜브 또는 파이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path for injecting liquid into the balloon can be formed inside the shaft, and the flow path can be a tube or pipe independent of the shaft.

본 발명에서 전극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전극은 2 내지 20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electrodes may be provided, and two to twenty electrodes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서 전극의 폭은 0.1 내지 10 mm일 수 있고, 전극은 0.1 내지 10 mm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electrodes may be 0.1 to 10 mm, and the electrodes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f 0.1 to 10 mm.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샤프트의 말단에 형성되고, 1 내지 5 mm의 폭을 갖는 제1전극; 제1전극으로부터 0.5 내지 3 mm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0.5 내지 2 mm의 폭을 갖는 제2전극; 제2전극으로부터 1 내지 6 mm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0.5 내지 5 mm의 폭을 갖는 제3전극; 및 제3전극으로부터 0.5 내지 3 mm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0.5 내지 2 mm의 폭을 갖는 제4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A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electrode formed at an end of a shaft and having a width of 1 to 5 mm; A second electrode formed at a distance of 0.5 to 3 mm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width of 0.5 to 2 mm; A third electrode formed at a distance of 1 to 6 mm from the second electrode and having a width of 0.5 to 5 mm; And a fourth electrode formed at a distance of 0.5 to 3 mm from the third electrode and having a width of 0.5 to 2 mm.

본 발명에서 풍선은 제2전극 및 제3전극 사이에서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풍선이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and at least two or more balloons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본 발명에서 샤프트의 말단면에는 복수의 액체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고, 전극에는 복수의 액체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quid discharge holes may be formed in the end surface of the shaft, and a plurality of liquid discharge holes may be formed in the electrode.

본 발명에서 샤프트의 길이는 100 내지 150 mm이고, 샤프트의 직경은 0.1 내지 5 mm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shaft is 100 to 150 mm, and the diameter of the shaft may be 0.1 to 5 mm.

본 발명에서 샤프트는 0 내지 180도까지 굴곡 가능하고, 굴곡 반경은 10 내지 100 mm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can be bent from 0 to 180 degrees, and the bending radius can be from 10 to 100 mm.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심장 혈관 내 고주파 절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cardiovascular high frequency excision.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심장 혈관 내의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고안되었고,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여 원하는 심장 혈관 내의 여러 부분에 존재하는 병변 부위에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웨지 풍선을 설치함으로써, 환자의 호흡에 의한 카테터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므로, 병소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조작자가 정밀하게 조절하여 병소에 절제 시술을 할 수 있다.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and can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to apply electric stimulation to lesion parts existing in various parts of the desired cardiac blood vessel. In addition, by providing a wedge balloon with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it is possible to stably approach the catheter by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by the patient's breathing. Therefore, the contact area of the lesion is increased and the operator is precisely controlled to perform resection .

아울러, 좁은 혈관 내에서 절제 시술 시 야기될 수 있는 교류 저항값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웨지 풍선을 설치함으로써, 웨지 풍선이 혈관 내 혈류량을 유지 가능하도록 하여 교류 저항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카테터의 말단 두께를 기존 카테터보다 얇게 도안함으로써, 좁은 혈관 내에서도 원하는 병소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카테터 시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brupt changes in the AC resistance value, which may be caused in a narrow vessel, a wedge balloon having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is provided so that the wedge balloon can maintain the blood flow in the blood vessel, It can help keep it stable. In addition, by designing the thickness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o be thinn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atheter, it is possible to stably move the desired lesion even in a narrow vessel, thereby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the catheter procedure.

특히,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부정맥 시술 시 근원이 되는 중심장 정맥의 부정맥 유발 생체신호를 제거하는 시술에 유용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심방 빈맥, 심실 빈맥 부정맥 시술 시 근원이 되는 대심 정맥, 전심실 중격 정맥의 부정맥 유발 생체신호를 제거하는 시술에서도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useful for the removal of arrhythmia-induced vital signs of the central intestinal vein, which is a source of paroxysmal atrioventricular arrhythmia, as well as for the treatment of atrial tachycardia, ventricular arrhythmia, Which is useful in the treatment of removing arrhythmia-induced vital sig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샤프트가 다양한 각도로 굴곡 가능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액체 배출공을 구비하는 카테터의 상세도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Fig.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shaft of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nt at various angles.
5 is a detailed view of a catheter having a liquid discharge ho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의 전체 구성도로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는 액체 투입부(10), 커넥터(12), 카테터 본체(20), 샤프트(30), 전극(40, 42, 44, 46) 및 풍선(50, 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IG. 1 is an overall structural view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e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liquid injection portion 10, a connector 12, a catheter body 20, a shaft 30, 40, 42, 44, 46, and balloons 50, 52.

도 1에서 좌측은 시술자와 먼 원위(distal) 측이고, 우측은 시술자와 가까운 근위(proximal) 측이다.In Figure 1, the left side is distal to the practitioner and the right side is the proximal side close to the practitioner.

액체 투입부(10)는 카테터 본체(20)의 근위 측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액체 투입부(10)를 통해 액체가 카테터 내부로 투입된 후, 풍선(50, 52)으로 주입됨으로써 풍선(50, 52)이 팽창될 수 있다. 액체로는 식염수, 조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liquid injection portion 10 may be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catheter body 20. The liquid is injected into the catheter through the liquid injecting section 10 and then injected into the balloons 50 and 52 so that the balloons 50 and 52 can be inflated. As the liquid, saline, a contrast agent, and the like can be used.

커넥터(12)는 카테터 본체(20)의 근위 측 말단에 연결되고, 이 연결 커넥터(12)를 통해 별도의 카테터 신호 케이블(catheter signal cable)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전극들(40, 42, 44, 46)에 고주파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The connector 12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catheter body 20 and can be connected to a separate catheter signal cable through the connector 12 so that the plurality of electrodes 40, 42, 44, and 46, respectively.

카테터 본체(20)는 시술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금속이나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핸들은 푸쉬 앤 풀 제어(Push-pull control)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atheter body 20 includes a handle capable of being held by a practitioner, and can be made of a metal or a plastic material. The handle may be configured as a push-pull control type.

샤프트(shaft)(30)는 카테터 본체(20)의 원위 측 말단에 연결되는 긴 도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shaft)(30)는 금속(스테인리스 스틸, 니티놀 등), 플라스틱(나일론,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폴리우레탄 등),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상이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The shaft 30 may be configured as a long conduit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body 20. The shaft 30 may be made of metal (stainless steel, nitinol, etc.), plastic (nylon, polyether block amide, polyurethane, etc.), rubber or mixtures thereof and may be partially different in length Can be configured.

샤프트(30)는 하나의 단일 샤프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샤프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샤프트로 구성할 경우,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끼움 결합, 용접, 접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The shaft 30 may be composed of one single shaft and may als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hafts. When a plurality of shafts are constituted, they can be connected by using a connector, or by a method of fitting, welding, bonding or the like.

샤프트(30)의 내부에는 통상적인 파이프나 튜브처럼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에는 별도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이 공간을 통해 액체가 흐를 수도 있다.A space is formed in the shaft 30 like a conventional pipe or a tube. A separate flow path may be formed in the space, and liquid may flow through the space.

샤프트(30)의 내부 및/또는 외부 표면에는 예를 들어 혈관 내벽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친수성 및/또는 소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Hydrophilic and / or hydrophobic coatings may be applied to the inner and / or outer surface of the shaft 30 to reduce friction with, for example, the vessel wall.

샤프트(30)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0 내지 150 mm,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0 mm일 수 있다. 샤프트(30)의 길이가 너무 길거나 짧으면 시술 시 불편한 점이 발생하며, 통상 심장에서 우측 허벅지까지의 길이가 시술자에게 가장 편리하다.The length of the shaft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00 to 150 mm, preferably 110 to 140 mm. If the length of the shaft 30 is too long or too short, it is inconvenient in the procedure. Usually, the length from the heart to the right thigh is most convenient for the operator.

샤프트(30)의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0.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일 수 있다. 샤프트(30)의 직경이 굵으면 혈관 삽입을 위해 더 굵은 시스(sheath)를 사용해야 하며, 혈전 형성의 위험이 증가한다. 반면 너무 가늘면 전극도자(카테터) 조작 시 힘을 받지 못하고 전극이 구부러지거나 상하게 된다.
The diameter of the shaft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0.1 to 5 mm, preferably 0.5 to 4 mm, and more preferably 1 to 3 mm. If the diameter of the shaft 30 is large, a thicker sheath should be used for blood vessel insertion, and the risk of thrombosi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de is too thin, the electrode is not subjected to the force when the catheter is operated, and the electrode is bent or broken.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전극(40, 42, 44, 46) 및 풍선(50, 52)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30)의 원위 측 말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단(end)은 끝을 의미할 수 있고, 말단부(end portion)는 말단으로부터 일정 길이까지의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단부의 길이는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30% 이하일 수 있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1, showing an enlarged distal end portion of a shaft 30 in which electrodes 40, 42, 44, and 46 and balloons 50 and 52 are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end" may mean an end, and the term "end portion" may mean a portion from a terminal to a certain length.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distal end may be less than 30% based on the total length.

전극(40, 42, 44, 46)은 샤프트(30)의 원위 측 말단부에서 샤프트(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s 40, 42, 44, 46 may be form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30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ft 30.

이와 같이, 전극을 복수 개의 다전극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심장 조직의 여러 위치에 존재하는 병변 부위를 접촉된 다전극 절제 전극을 이용하여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복수의 병변 부위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테터 원위 측 말단의 절제 전극 외에 그 근처 말단부에도 절제 전극을 위치시킴으로써, 원하는 심장의 여러 부분에 존재하는 병변 부위의 전기신호를 감지하거나, 병변 부위에 전기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병소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병소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조작자가 정밀하게 조절하여 병소에 안정적으로 절제 시술을 할 수 있다.Thus, by forming the electrodes into a plurality of multi-electrode shap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a plurality of lesion parts while minimizing movement using a multi-electrode resection electrode in contact with lesion parts existing at various positions of the heart tissue. Specifically, by positioning the resection electrode in the vicinity of the resection electrode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he electrical signal at the lesion portion existing in various portions of the desired heart can be sensed or an electric stimulus can be applied to the lesion portion.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desired lesion while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the contact area of the lesion can be increased and the operator can precisely adjust the lesion to stably perform resection in the lesion.

아울러, 카테터의 윈위 말단의 절제 전극과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다른 절제 전극이 배치됨으로써, 시술 시 인체의 외부에서 병변 부위로 삽입된 카테터의 원위 말단이 병변 부위를 지나치면 다시 병변 부위로 되돌아와서 병변 부위를 치료하는 기존의 카테터와 달리, 카테터 시술자의 사용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ther resection electrode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section electrode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into the lesion passes through the lesion, Unlike conventional catheters that come and treat lesions, the ease of use of the catheter practitioner can be increased.

전극(40, 42, 44, 46)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절제 전극이며, 일부는 전기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맵핑 전극일 수도 있다.The electrodes 40, 42, 44, 46 are preferably all resection electrodes, and some may be mapping electrodes capable of sensing electrical signals.

전극(40, 42, 44, 46)은 샤프트(3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링 형상 전극(40, 42, 44, 46)은 도전성 재료, 특히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으로는 백금, 금, 이리듐, 코발트, 티타늄, 니켈, 은, 구리, 아연, 주석, 알루미늄, 크롬, 망간, 마그네슘 및 이들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링 형상 전극(40, 42, 44, 46)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링 형상으로 성형 가공된 금속재료를 접착제에 의해 샤프트(30)에 고정하는 방법과, 스퍼터링법이나 이온빔 증착법 등에 의해 링 형상 전극을 성막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The electrodes 40, 42, 44, 46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30. The ring-shaped electrodes 40, 42, 44, 46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particularly a metal material. As the metal, platinum, gold, iridium, cobalt, titanium, nickel, silver, copper, zinc, tin, aluminum, chromium, manganese, magnesium and alloys thereof may be used. The method of forming the ring-shaped electrodes 40, 42, 44, and 4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method of fixing the ring-shaped metal material to the shaft 30 with an adhesive and a method of sputtering or ion- Thereby forming a ring-shaped electrode by film formation.

전극(40, 42, 44, 46)은 리드선(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고, 리드선은 샤프트(30)의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20)를 거쳐 커넥터(12) 등과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des 40, 42, 44 and 46 may be connected to lead wires (not shown), and lead wires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30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 and the like via the main body 20.

전극(40, 42, 44, 46)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개일 수 있다. 전극(40, 42, 44, 46)의 수가 너무 적으면 다전극의 이점이 사라져 여러 병변 부위를 치료할 수 없고 카테터의 움직임이 늘어날 수 있으며, 전극수가 너무 많으면 전극도자가 굵어지고 뻣뻣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electrodes 40, 42, 44, 4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2 to 20, preferably 3 to 15, more preferably 4 to 10. If the number of electrodes (40, 42, 44, 46) is too small, the advantages of the multi-electrodes can be lost and the lesions can not be treated and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can be increased. If the number of electrodes is too large, the electrode becomes thick and stiff .

전극(40, 42, 44, 46)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0.1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5 mm일 수 있다. 전극(40, 42, 44, 46)의 폭이 너무 작으면 절제 부위가 좁아질 수 있고, 너무 크면 정상 부위까지 손상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electrodes 40, 42, 44, 4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for example, 0.1 to 10 mm, preferably 0.5 to 7 mm, more preferably 0.7 to 5 mm. If the widths of the electrodes 40, 42, 44, and 46 are too small, the ablation site may be narrowed, and if too large, the normal region may be damaged.

전극(40, 42, 44, 46)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0.1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7 mm일 수 있다. 전극(40, 42, 44, 46)의 배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절제 부위가 좁아질 수 있고, 너무 크면 정확도 등이 감소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40, 42, 44, 4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0.1 to 10 mm, preferably 0.5 to 8 mm, more preferably 0.7 to 7 mm. If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electrodes 40, 42, 44, 46 is too narrow, the ablation site can be narrowed, and if it is too large, the accuracy and the like can be reduc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복수의 전극, 예를 들어 제1전극(40), 제2전극(42), 제3전극(44), 제4전극(46)을 구비할 수 있다. 전극(40, 42, 44, 46)의 수는 도 2보다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또한, 각 전극(40, 42, 44, 46)의 폭 및 간격은 독립적으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2,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example, a first electrode 40, a second electrode 42, a third electrode 44, and a fourth electrode 46 can do. The number of electrodes 40, 42, 44, 46 may be more or less than that of FIG. In addition, the widths and the intervals of the respective electrodes 40, 42, 44, and 46 may be independently the same or different.

제1전극(40)은 팁 전극(tip electrode)로서, 샤프트(30)의 원위 측 말단에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40)의 폭(T1)은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0.5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mm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40 may be a tip electrode and may be form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shaft 30. The width T 1 of the first electrode 40 is preferably relatively large, and may be, for example, 0.5 to 10 mm, preferably 1 to 5 mm, more preferably 3 to 5 mm.

제2전극(42)은 제1전극(4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전극(42)은 밴드 전극(band electrode)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2전극(42)의 폭(T2)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0.1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mm일 수 있다. 제1전극(40)과 제2전극(42) 사이의 간격(S1)은 상대적으로 좁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0.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일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4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irst electrode 40. The second electrode 4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electrode. The width T 2 of the second electrode 42 is preferably relatively small, for example, 0.1 to 3 mm, preferably 0.5 to 2 mm, more preferably 0.5 to 1.5 mm.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S 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0 and the second electrode 42 is relatively narrow, for example, 0.1 to 5 mm, preferably 0.5 to 3 mm, more preferably 0.5 to 3 mm, 2 mm.

제3전극(44)은 제2전극(42)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3전극(44)의 폭(T3)은 경우에 따라 작거나 클 수 있는데, 예를 들어 0.1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mm일 수 있다. 제2전극(42)과 제3전극(44) 사이의 간격(S2)은 상대적으로 넓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0.5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mm일 수 있다.The third electrode 44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electrode 42. The width T 3 of the third electrode 44 may be small or large as the case may be, for example, 0.1 to 10 mm, preferably 0.5 to 5 mm, more preferably 1 to 4 mm. The distance S 2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42 and the third electrode 44 is preferably relatively large, for example, 0.5 to 10 mm, preferably 1 to 6 mm, more preferably 3 to 6 mm, 5 mm.

제4전극(46)은 제3전극(44)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4전극(46)의 폭(T4)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0.1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mm일 수 있다. 제3전극(44)과 제4전극(46) 사이의 간격(S3)은 상대적으로 좁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0.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일 수 있다.
The fourth electrode 46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third electrode 44. The width T 4 of the fourth electrode 46 is preferably relatively small, and may be, for example, 0.1 to 3 mm, preferably 0.5 to 2 mm, more preferably 0.5 to 1.5 mm. The gap S 3 between the third electrode 44 and the fourth electrode 46 is preferably relatively narrow and may be, for example, 0.1 to 5 mm, preferably 0.5 to 3 mm, more preferably 0.5 to 3 mm, 2 mm.

풍선(50, 52)은 전극과 마찬가지로 샤프트(30)의 원위 측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 투입부(10)를 통해 식염수, 조영제 등의 액체가 카테터 내부로 투입된 후, 유로(54, 56)를 거쳐 풍선(50, 52)으로 주입됨으로써 풍선(50, 52)이 팽창될 수 있다.The balloons 50 and 52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ft 30 like the electrodes. As described above, liquid such as saline or contrast agent is injected into the catheter through the liquid injecting section 10 and then injected into the balloons 50 and 52 through the flow paths 54 and 56, Can be inflated.

풍선(50, 52)은 플라스틱이나 섬유 소재,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ebax),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풍선(50, 52)은 복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외피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로 구성하고, 내피는 나일론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balloons 50 and 52 may be made of plastic or a fiber material such as nylon, polyether block amide (Pebax), polyurethane or the like. The balloons 50 and 52 may be of a multi-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envelope may be composed of a polyether block amide and the inner layer may be composed of nylon.

풍선(50, 52)은 접착제, 열, 레이저 등을 이용한 부착수단에 의해 샤프트(30)의 원위 쪽 말단부에 팽창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The balloons 50 and 52 may be inflatably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shaft 30 by attachment means using adhesives, heat, a laser, or the like.

본 발명에서는 혈관 내에서 풍선(50, 52)이 팽창했을 때 팽창된 풍선 풍선(50, 52)은 혈관을 부분적으로만 막아서 혈류를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ated balloons (50, 52) expand when the balloons (50, 52) expand in the blood vessels, thereby forming a space capable of maintaining blood flow by partially blocking the blood vessel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풍선(50, 52)의 크기와 형상이 중요하다.Therefore, the size and shape of the balloons 50 and 52 are important in the present invention.

풍선(50, 52)의 팽창 전 직경(D1)은 0.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일 수 있다. 풍선(50, 52)의 팽창 후 직경(D2)은 0.1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mm일 수 있다. 팽창 후 직경(D2)은 최대로 팽창된 풍선(50, 52)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풍선(50, 52)이 구형이 아닐 경우, 풍선(50, 52)의 직경은 평균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풍선(50, 52)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혈관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크면 혈관을 너무 많이 막아서 혈액이 통과할 수 있는 유로 공간의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The diameter D 1 of the balloons 50 and 52 may be 0.1 to 5 mm, preferably 0.1 to 3 mm, more preferably 0.5 to 2 mm. The diameter (D 2 ) after expansion of the balloons 50, 52 may be 0.1 to 10 mm, preferably 0.5 to 5 mm, more preferably 1 to 4 mm. The diameter after expansion D 2 can mean the diameter of the balloon 50, 52 that has been expanded to the maximum. When the balloons 50 and 52 are not spherical, the diameter of the balloons 50 and 52 may mean an average diameter. If the diameters of the balloons 50 and 52 are too small, the balloons 50 and 52 may not be adhered to the blood vessels. If the diameters of the balloons 50 and 52 are too large, the area of the channel space through which the blood can pass may be reduced.

풍선(50, 52)의 형상은 웨지형, 구형, 계란형, 원추형, 계단형, 다면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형의 풍선(50, 52)을 사용할 경우, 혈액이 통과할 수 있는 유로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balloons 50 and 52 may be a wedge shape, a sphere shape, an egg shape, a cone shape, a step shape, a polyhedral shape, or the like, and may be spherical,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pherical balloons 50 and 52 are used, it is possible to secure more space for the blood to pass through.

풍선(50, 52)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풍선(50, 52)이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풍선(50, 52)은 샤프트(30)의 어느 한 지점에서 샤프트(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풍선(50, 52)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2개일 경우 180도, 3개일 경우 120도, 4개일 경우 9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구형 풍선(50, 52)이 동일 위치에서 180도 간격으로 형성될 경우, 혈액이 통과할 수 있는 유로 공간을 최대한으로 많이 확보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alloons 50 and 52 may be provided. Preferably, as shown in the figure, at least two balloons 50 and 52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That is, the balloons 50 and 52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 30 at any one point of the shaft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s between the balloons 50 and 52 are equal to each other. For example, two balloons may be 180 degrees, three balloons may be 120 degrees, and four balloons may be 90 degrees. Preferably,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wo spherical balloons 50 and 52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n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a maximum amount of a channel space through which blood can pass can be secured.

풍선(50, 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극(42) 및 제3전극(44)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고, 풍선(50, 5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풍선(50, 52)은 샤프트(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alloons 50 and 52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42 and the third electrode 44 as shown and the positions of the balloons 50 and 52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ropriately Can be changed. In addition, the balloons 50 and 52 may be form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30.

도 3은 도 2의 부분 절개도로서, 유로(54, 56)를 보여주기 위해, 풍선(50, 52)의 우측인 근위 측을 절개한 것이다.Fig. 3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Fig. 2, in which the proximal side of the balloon 50, 52 is cut to show the flow channels 54, 56.

유로(54, 56)는 샤프트(30)의 내부에 형성되고, 풍선(50, 52)으로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The flow paths 54 and 56 are formed inside the shaft 30 and serve as passages for injecting the liquid into the balloons 50 and 52. [

유로(54, 56)는 샤프트(30)와 독립적인 파이프나 튜브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별도의 파이프나 튜브를 샤프트(30) 내부에 삽입하여 유로(54, 56)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유로(54, 56)는 샤프트(3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공간(루멘)일 수도 있다.The flow paths 54 and 56 may be formed as pipes or tubes independent of the shaft 30. [ In other words, the flow paths 54 and 56 can be formed by inserting separate pipes or tubes into the shaft 30. Alternatively, the flow passages 54 and 56 may be a space (lumen) integrally formed in the shaft 30.

유로(54, 56)를 튜브나 파이프로 제작할 경우, 그 재질은 금속(스테인리스 스틸, 니티놀 등), 플라스틱(나일론,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폴리우레탄 등), 고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상이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flow paths 54 and 56 are made of tubes or pipes, the material may be made of metal (stainless steel, nitinol, etc.), plastic (nylon, polyether block amide, polyurethane, And can be made of materials that are partially different along the length direction.

유로(54, 56)의 직경은 샤프트(30)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샤프트(30)의 직경 대비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flow paths 54 and 56 may vary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shaft 30 and may be, for example, 1 to 50%, preferably 5 to 30% of the diameter of the shaft 30.

유로(54, 56)의 개수는 풍선(50, 52)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풍선(50, 52)이 형성될 경우, 2개의 유로(54, 56)가 형성될 수 있다.
The number of the flow paths 54 and 56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balloons 50 and 52. For example, when two balloons 50 and 52 are formed as shown in the figure, 54, and 56 may be form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샤프트가 다양한 각도로 굴곡 가능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at the shaft of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nt at various angles.

샤프트(30)의 말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0 내지 180도까지 굴곡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각도로도 굴곡될 수 있다. 샤프트(30)의 굴곡은 푸쉬 앤 풀 제어 타입의 핸들을 조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30)를 0도에서 180도까지 커브를 구사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 내 정맥 안쪽의 카테터 삽입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카테터가 위치하기 어려운 부위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The distal end of the shaft 30 is bendable from 0 to 180 degrees, as shown, and can be bent at more angles if desired. The bending of the shaft 30 can be performed by operating a handle of a push-and-pull control type. Thus, since the shaft 30 can be curved from 0 degrees to 180 degrees, it is possible not only to insert the catheter inside the intravascular cannula but also to easily access the portion where a large number of catheters are difficult to locate.

샤프트(30) 말단부의 굴곡 반경(회전 반경)은 10 내지 100 m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mm일 수 있다. 샤프트(30)의 굴곡 반경이 너무 작으면 큰 심장에서 적절한 조작이 불가능하고, 너무 크면 작은 심장에서 조작이 어렵고 위험하다.
The bending radius (turning radius) of the distal end of the shaft 30 may be 10 to 100 mm, preferably 20 to 80 mm, more preferably 30 to 60 mm. If the bending radius of the shaft 30 is too small,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proper operation in a large heart, and if it is too large, operation in a small heart is difficult and dangerou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액체 배출공을 구비하는 카테터의 상세도로서, 샤프트(30)의 원위 측 말단면에는 복수의 액체 배출공(60)이 형성될 수 있고, 전극에도 복수의 액체 배출공(62, 64)이 형성될 수 있다.FIG. 5 is a detailed view of a catheter having a liquid discharge h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quid discharge holes 60 may be formed i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shaft 30, The liquid discharge holes 62 and 64 may be formed.

이와 같이, 카테터 절제 전극 안에 액체 배출공(60, 62, 64)이 순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병변 부위를 절제할 수 있다. 특히,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 부정맥 시술 시 근원이 되는 좌심방(Left Atrium)의 부정맥 유발 생체신호를 제거하는 시술에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quid discharging holes 60, 62, 64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catheter ablation electrode, the lesion site can be more efficiently excluded. In particular, it can be useful for the procedure for removing the left atrium arrhythmia induced vital sign which is a source of atrial fibrillation arrhythmia.

액체 배출공(60, 62, 64)으로 배출되는 액체는 전기자극에 의한 절제를 도모할 목적(예를 들어, 가열, 냉각, 윤활, 조영, 혈관 파괴 등)으로 사용되는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는 액체 투입부(10)를 통해 유입된 후, 유로(54, 56)를 제외한 샤프트(3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흐르면서, 액체 배출공(60, 62, 64)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liquid discharged to the liquid discharge holes 60, 62 and 64 may be a liquid used for the purpose of cutting by electric stimulation (for example, heating, cooling, lubrication, contrast, blood vessel destruction, etc.). The liquid flows into the liquid discharge holes 60 and 62 and 64 while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30 excluding the flow paths 54 and 56 .

원위 측 말단면에 형성되는 액체 배출공(6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개일 수 있다. 도면에는 4개의 액체 배출공(60)이 형성되어 있다.The number of the liquid discharge holes 60 formed in the distal end surfa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2 to 10, preferably 3 to 8. In the drawing, four liquid discharge holes 60 are formed.

전극(41, 45)에 형성되는 액체 배출공(62, 64)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2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개일 수 있다. 도면에는 제1전극(41)에 12개의 액체 배출공(62)이 형성되고, 제3전극(45)에도 12개의 액체 배출공(64)이 형성되어 있다.The number of the liquid discharge holes 62, 64 formed in the electrodes 41, 4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2 to 30, preferably 5 to 20. In the figure, twelve liquid discharge holes 62 are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41 and twelve liquid discharge holes 64 are formed in the third electrode 45. [

이와 같이, 다수의 액체 배출공(60, 62, 64)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절제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ec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liquid discharge holes 60, 62, and 64. [

액체 배출공(60, 62, 64)의 직경은 0.01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mm일 수 있다. 액체 배출공(60, 62, 64)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액체 배출에 어려움이 있어 효과적인 절제술이 어렵고, 너무 크면 전극도자의 굵기가 증가할 뿐 아니라 배출공 내로 혈액이 역류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liquid discharge holes 60, 62 and 64 may be 0.01 to 3 mm, preferably 0.05 to 1 mm, more preferably 0.1 to 0.5 mm. If the diameter of the liquid discharging holes 60, 62, 64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drain the liquid, and if it is too large,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ceramics may increase and the blood may flow back into the discharging hole .

도 5에 따른 카테터도 복수의 전극, 예를 들어 제1전극(41), 제2전극(43), 제3전극(45), 제4전극(47)을 구비할 수 있으며, 액체 배출공(60, 62, 64)의 추가됨에 따라 각 전극(41, 43, 45, 47)의 폭 및 간격은 도 2에 따른 카테터와 다를 수 있다.5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 example, a first electrode 41, a second electrode 43, a third electrode 45, and a fourth electrode 47, The width and spacing of each electrode 41, 43, 45, 47 may be different from the catheter according to FIG.

제1전극(41)의 폭(t1)은 예를 들어 0.5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mm일 수 있다.The width t 1 of the first electrode 41 may be, for example, 0.5 to 10 mm, preferably 1 to 5 mm, more preferably 3 to 5 mm.

제2전극(43)의 폭(t2)은 예를 들어 0.1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mm일 수 있다. 제1전극(41)과 제2전극(43) 사이의 간격(s1)은 예를 들어 0.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일 수 있다.The width t 2 of the second electrode 43 may be, for example, 0.1 to 3 mm, preferably 0.5 to 2 mm, more preferably 0.5 to 1.5 mm. The interval s 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1 and the second electrode 43 may be, for example, 0.1 to 5 mm, preferably 0.5 to 3 mm, more preferably 0.5 to 2 mm.

제3전극(45)의 폭(t3)은 예를 들어 0.1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mm일 수 있다. 제2전극(43)과 제3전극(45) 사이의 간격(s2)은 예를 들어 0.5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mm일 수 있다.The width t 3 of the third electrode 45 may be, for example, 0.1 to 10 mm, preferably 0.5 to 5 mm, more preferably 1 to 4 mm. The interval s 2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43 and the third electrode 45 may be, for example, 0.5 to 10 mm, preferably 1 to 6 mm, more preferably 3 to 5 mm.

제4전극(47)의 폭(t4)은 예를 들어 0.1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mm일 수 있다. 제3전극(45)과 제4전극(47) 사이의 간격(s3)은 예를 들어 0.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일 수 있다.
The width t 4 of the fourth electrode 47 may be, for example, 0.1 to 3 mm, preferably 0.5 to 2 mm, more preferably 0.5 to 1.5 mm. The interval s 3 between the third electrode 45 and the fourth electrode 47 may be, for example, 0.1 to 5 mm, preferably 0.5 to 3 mm, more preferably 0.5 to 2 mm.

표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제작한 카테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 show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atheter manufactured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Feature SpecificationSpecification TypeType Steerable ablation catheterSteerable ablation catheter Catheter DiameterCatheter Diameter 5F (1.675 mm)5F (1.675 mm) Usable lengthUsable length 110 cm110 cm Number of electrodeNumber of electrode 4(1 tip and 3 band)4 (1 type and 3 bands) Tip electrodeTip electrode 5Fr and 4 mm in length5Fr and 4 mm in length Band electrodesBand electrodes 1 mm1 mm Electrode SpaceElectrode Space 2-5-2 mm2-5-2 mm Temperature sensorTemperature sensor ThermocoupleThermocouple Shaft DeflectionShaft Deflection 180° uni-directional180 ° uni-directional HandleHandle Push-pull stylePush-pull style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심장 혈관 내 고주파 절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관상 정맥 혈관 내 고주파 절제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cardiovascula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s particularly useful for high frequency resection of coronary veins.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혈류를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액체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식염수 등의 액체가 풍선으로 투입되어 혈관 표면에 풍선이 밀착됨으로써, 절제 전극이 혈관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효과적으로 절제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ecuring a space capable of maintaining blood flow. A liquid such as saline injected through the liquid injecting unit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and the balloon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lood vessel. It can help to stabilize the position and can effectively perform resection.

10: 액체 투입부
12: 커넥터
20: 카테터 본체
30: 샤프트
40, 41, 42, 43, 44, 45, 46, 47: 전극
50, 52: 풍선
54, 56: 유로
60, 62, 64: 액체 배출공
10:
12: Connector
20: catheter body
30: Shaft
40, 41, 42, 43, 44, 45, 46, 47:
50, 52: Balloons
54, 56: Euro
60, 62, 64: liquid discharge hole

Claims (19)

카테터 본체의 일단에 연결되는 액체 투입부;
카테터 본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긴 도관으로 구성되는 샤프트;
샤프트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전극; 및
샤프트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풍선을 포함하고,
혈관 내에서 풍선이 팽창했을 때 팽창된 풍선은 혈관을 부분적으로만 막아서 혈류를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A liquid inle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theter body;
A shaft comprising a long condu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theter body;
An electrode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shaft; And
A balloon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shaft,
Wherein the balloon inflated when the balloon inflates in the blood vessel partially blocks only the blood vessel, thereby forming a space capable of maintaining blood flow.
제1항에 있어서,
풍선의 팽창 전 직경은 0.1 내지 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ated diameter of the balloon is 0.1 to 3 mm.
제1항에 있어서,
풍선의 팽창 후 직경은 0.5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meter of the balloon after inflation is 0.5 to 5 mm.
제1항에 있어서,
풍선은 웨지형, 구형, 계란형, 원추형, 계단형 또는 다면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lloon is of wedge, spherical, oval, conical, stepped or polyhedr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풍선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balloons are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풍선은 샤프트의 동일 위치에서 샤프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two balloon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 at the same position of th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의 내부에는 풍선으로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low path for injecting a liquid with a balloon is formed in the shaft.
제7항에 있어서,
유로는 샤프트와 독립적인 튜브 또는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hannel is an independent tube or pipe independent of th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전극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provided.
제9항에 있어서,
전극은 2 내지 20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number of electrodes is from 2 to 20.
제9항에 있어서,
전극의 폭은 0.1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lectrode has a width of 0.1 to 10 mm.
제9항에 있어서,
전극은 0.1 내지 10 mm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lectrodes are disposed at an interval of 0.1 to 10 mm.
제9항에 있어서,
샤프트의 말단에 형성되고, 1 내지 5 mm의 폭을 갖는 제1전극;
제1전극으로부터 0.5 내지 3 mm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0.5 내지 2 mm의 폭을 갖는 제2전극;
제2전극으로부터 1 내지 6 mm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0.5 내지 5 mm의 폭을 갖는 제3전극; 및
제3전극으로부터 0.5 내지 3 mm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0.5 내지 2 mm의 폭을 갖는 제4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0. The method of claim 9,
A first electrode formed at an end of the shaft and having a width of 1 to 5 mm;
A second electrode formed at a distance of 0.5 to 3 mm from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width of 0.5 to 2 mm;
A third electrode formed at a distance of 1 to 6 mm from the second electrode and having a width of 0.5 to 5 mm; And
And a fourth electrode formed at a distance of 0.5 to 3 mm from the third electrode and having a width of 0.5 to 2 mm.
제13항에 있어서,
풍선은 제2전극 및 제3전극 사이에서 형성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풍선이 동일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allo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and at least two balloons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의 말단면에는 복수의 액체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liquid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end surface of th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전극에는 복수의 액체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liquid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의 길이는 100 내지 150 mm이고, 샤프트의 직경은 0.1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shaft is 100 to 150 mm and the diameter of the shaft is 0.1 to 5 mm.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0 내지 180도까지 굴곡 가능하고, 굴곡 반경은 10 내지 1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ft is bendable from 0 to 180 degrees and the bending radius is from 10 to 100 mm.
제1항에 있어서,
심장 혈관 내 고주파 절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theter is used for cardiovascular radiofrequency ablation.
KR1020140036628A 2014-03-28 2014-03-28 Intravascular ablation balloon catheter KR101586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628A KR101586899B1 (en) 2014-03-28 2014-03-28 Intravascular ablation balloon catheter
PCT/KR2015/002996 WO2015147577A1 (en) 2014-03-28 2015-03-26 Intravascular radiofrequency ablation balloon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628A KR101586899B1 (en) 2014-03-28 2014-03-28 Intravascular ablation balloon cathe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443A true KR20150112443A (en) 2015-10-07
KR101586899B1 KR101586899B1 (en) 2016-01-19

Family

ID=5419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628A KR101586899B1 (en) 2014-03-28 2014-03-28 Intravascular ablation balloon cathe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6899B1 (en)
WO (1) WO2015147577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342A (en) * 2008-06-26 2010-01-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Catheter for ablating vascular chronic total occlusion
KR101000320B1 (en) * 2008-04-15 2010-12-13 (주) 태웅메디칼 Bipolar electrode type guide wire and Catheter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005659A1 (en) * 2005-12-29 2014-01-02 Arnold E. Oyola Method of Treating Tissue with Radio Frequency Vascular Electrode Arr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413B1 (en) * 2007-06-15 2009-05-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atheter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05659A1 (en) * 2005-12-29 2014-01-02 Arnold E. Oyola Method of Treating Tissue with Radio Frequency Vascular Electrode Array
KR101000320B1 (en) * 2008-04-15 2010-12-13 (주) 태웅메디칼 Bipolar electrode type guide wire and Catheter system using the same
KR20100001342A (en) * 2008-06-26 2010-01-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Catheter for ablating vascular chronic total occlu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7577A1 (en) 2015-10-01
KR101586899B1 (en)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7163B2 (en)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using high-frequency pacing and ablation of renal nerves
US10973572B2 (en) Catheter for treatment of atrial flutter having single action dual deflection mechanism
US6016437A (en) Catheter probe system with inflatable soft shafts
US5891027A (en) Cardiovascular catheter system with an inflatable soft tip
US6217576B1 (en) Catheter probe for treating focal atrial fibrillation in pulmonary veins
US6029091A (en) Catheter system having lattice electrodes
US5868741A (en) Ablation catheter system having fixation tines
EP2136702B1 (en) High resolution electrophysiology catheter
US6231570B1 (en) Electrode catheter system for tissue ablation
US6290697B1 (en) Self-guiding catheter system for tissue ablation
US20120165803A1 (en) Electrical mapping and cryo ablating with a balloon catheter
US20150265341A1 (en) Electrophysiology system
JP6890946B2 (en) Lasso catheter with movable ablation needle
US9999365B2 (en) Mapping ablation catheter
EP4072456A1 (en) Tissue mapping and treatment
KR101586899B1 (en) Intravascular ablation balloon catheter
KR101464085B1 (en) Multi electrode pulmonary vein circular catheter with angiography lumen
KR20150026442A (en) Multi electrode pulmonary vein circular catheter
CN113038895A (en) System for ablating cardiac tiss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