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207A -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207A
KR20150111207A KR1020140034844A KR20140034844A KR20150111207A KR 20150111207 A KR20150111207 A KR 20150111207A KR 1020140034844 A KR1020140034844 A KR 1020140034844A KR 20140034844 A KR20140034844 A KR 20140034844A KR 20150111207 A KR20150111207 A KR 20150111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moving object
screen
patien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
홍지헌
양성민
이현기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207A/ko
Publication of KR2015011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07A/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표시부;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편측무시 환자가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인식부;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하고, 최종 통과 횟수를 연산하는 판단부; 및 최종 통과 횟수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화면의 중심, 중심의 우측 및 중심의 좌측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장애물을 배치한다.

Description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UNILATERAL NEGLECT PATIENT}
본 발명은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편측무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은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 이상 지속 되는 것으로, 뇌혈관의 병 이외에는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상태를 일컫는다.
이러한 뇌졸중은 또한 후유 장애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장애는 운동장애로부터 언어장애, 시공간지각장애, 후각장애, 인지 및 정서장애에 이르기 까지 매우 다양하다.
여기서, 운동장애 환자는 한국공개특허 제2005-0119773호(편마비 환자용 상지 대칭운동 재활 훈련 기구)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재활을 위해 재활기구를 필요로 하고 물리치료사가 수동적 운동치료를 해야 한다. 이는 물리치료사의 상당한 수고를 요구한다.
한편, 시공간지각장애와 관련되어 가장 대표적인 것은 편측무시이다. 편측무시는 시각이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편측공간에 대한 지각 또는 주의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언어장애와 함께 뇌졸중 환자의 주요한 장애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편측무시를 치료하는 것은 반드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 모든 대학 병원과 재활 병원에서는 작업 치료사 또는 의사들이 치료 방법이 인쇄된 종이 또는 별도의 치료도구를 이용하여 편측무시에 대한 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편측무시 치료 방법은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평가 시간이 길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휴대 단말의 화면에 배치된 장애물 및 이동 객체를 배치하여, 편측무시 환자의 지정에 의해 이동 객체가 장애물을 통과하도록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는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표시부;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편측무시 환자가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인식부;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화면의 중심, 중심의 우측 및 중심의 좌측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장애물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1 레벨에 따라 화면의 중심에 장애물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2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3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2 레벨의 제1 거리 보다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이동 객체가 장애물을 통과할 때 그려지는 포물선 범위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포물선 범위 밖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이동 객체가 장애물을 통과할 때 그려지는 포물선 범위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포물선 범위 밖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배치된 장애물 개수에 따른 이동 객체의 총 통과 횟수와 최종 통과 횟수를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편측무시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 편측무시 환자로부터 다수개의 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의 선택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의 선택을 입력 받는 선택 입력부; 판단 결과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서버로부터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판단 결과를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방법은 표시부에 의해,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 인식부에 의해,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편측무시 환자가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판단부에 의해,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출력부에 의해, 판단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장애물은 화면의 중심, 중심의 우측 및 중심의 좌측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배치한다.
또한,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1 레벨에 따라 화면의 중심에 장애물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2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3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2 레벨의 제1 거리 보다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및 그 방법은 휴대 단말의 화면에 배치된 장애물 및 이동 객체를 배치하여, 편측무시 환자의 지정하여 이동 객체가 장애물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편측무시 환자의 시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물을 편측무시 환자의 치료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배치함으로써, 편측무시 환자의 시야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의 메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의 치료 선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에서 레벨 1에 따른 치료 방법에 따른 인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에서 레벨 2에 따른 치료 방법에 따른 인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에서 레벨 3에 따른 치료 방법에 따른 인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출력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서버(10),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100) 및 의료 기관(20)을 포함한다.
서버(10)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100)에 편측무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100)로부터 판단된 판단 결과를 수신받아 의료 기관(20)에 제공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은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통해 편측무시 환자의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100)는 서버(10)로부터 편측무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편측무시 환자가 직접 재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휴대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의료 기관(20)은 서버(10)로부터 제공받은 판단 결과를 토대로 편측무시 환자를 모니터링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는 통신부(105), 표시부(110), 등록부(115), 선택 입력부(120), 인식부(130), 판단부(140), 저장부(145) 및 출력부(150)는 포함한다.
통신부(105)는 서버로부터 편측무시 환자의 편측무시를 치료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은 화면의 중심에 장애물을 배치하는 제1 레벨,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제2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보다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제3 레벨에 따른 배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통신부(105)는 이후 판단부(140)에 의한 판단 결과를 서버에 전송한다.
표시부(110)는 다운받은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과정을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110)는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한다.
보다 자세하게, 표시부(110)는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1 레벨에 따라 화면의 중심에 장애물을 배치하거나,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2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거나,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3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이 중심에서 제1 거리 보다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한다. 이때, 이동 객체는 화면의 왼쪽 끝에 배치되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갖는다.
이와 같이, 표시부(110)는 제1 레벨 내지 제3 레벨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배치정보를 토대로 편측무시 환자를 치료하는 화면뿐만 아니라, 편측무시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화면 그리고 편측무시 환자가 제1 레벨 내지 제3 레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본인이 치료하고자 하는 편측무시 치료 방향을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등록부(115)는 편측무시 환자의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편측무시 환자의 정보는 환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나이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입력부(120)는 편측무시 환자로부터 다수개의 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 선택 입력부(120)는 입력 받은 레벨과 치료 방향을 표시부(110)에 전달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표시부(110)가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다수개의 이미지를 화면에 배치하게 된다.
인식부(130)는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편측무시 환자가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때, 이동 객체는 편측무시 환자의 지정에 의해 점프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편측무시 환자는 포인팅 수단을 통해 표시부(110)에 표시된 다수개의 이미지에 대하여 숫자 순서대로 지정한다. 이때, 포인팅 수단은 마우스, 트랙볼, 터치패드 및 라이트 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판단부(140)는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40)는 이동 객체가 장애물을 통과할 때 그려지는 포물선 범위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포물선 범위 밖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판단부(140)는 이동 객체가 점프를 한 점프 시점과 점프 종점을 측정하여 점프 시점과 점프 종점을 연결한 포물선 범위에 장애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한다.
저장부(145)는 판단 결과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출력부(150)는 판단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 보다 자세하게, 출력부(150)는 배치된 장애물 개수에 따른 이동 객체의 총 통과 횟수와 최종 통과 횟수를 비교한 결과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편측무시 환자 평가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한다(S100).
S100 단계는 서버로부터 다운받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배치정보에 따라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1 레벨에 따라 화면의 중심에 장애물을 배치하거나,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2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거나,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3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이 중심에서 제1 거리 보다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편측무시 환자가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한다(S200).
다음,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한다(S300).
S300 단계는 이동 객체가 장애물을 통과할 때 그려지는 포물선 범위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포물선 범위 밖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판단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S40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의 메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의 치료 선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의 메인 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측무시 환자의 편측무시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 탭, 편측무시 환자의 편측무시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탭, 편측무시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탭 및 저장된 편측무시 환자 정보, 편측정도 및 치료결과 중 어느 하나를 검색하는 검색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편측무시 환자가 치료탭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가지 레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3가지 레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의 중심에 장애물을 배치하는 제1 레벨,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제2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보다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제3 레벨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레벨에 따른 치료 방법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에서 레벨 1에 따른 치료 방법에 따른 인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레벨에 따른 치료 방법은 화면의 중심에 배치된 장애물에 대하여, 편측무시 환자가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때, 이동 객체는 편측무시 환자의 지정에 의해 점프 동작을 수행하고, 이동 객체가 점프를 한 점프 시점과 점프 종점을 측정하여 점프 시점과 점프 종점을 연결한 포물선 범위에 장애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CENTER 표시는 장애물 배치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실제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는다.
제2 레벨에 따른 치료 방법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에서 레벨 2에 따른 치료 방법에 따른 인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레벨에 따른 치료 방법은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된 장애물에 대하여, 편측무시 환자가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때, 이동 객체는 편측무시 환자의 지정에 의해 점프 동작을 수행하고, 이동 객체가 점프를 한 점프 시점과 점프 종점을 측정하여 점프 시점과 점프 종점을 연결한 포물선 범위에 장애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한다.
제3 레벨에 따른 치료 방법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에서 레벨 3에 따른 치료 방법에 따른 인식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 레벨에 따른 치료 방법은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보다 더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된 장애물에 대하여, 편측무시 환자가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때, 이동 객체는 편측무시 환자의 지정에 의해 점프 동작을 수행하고, 이동 객체가 점프를 한 점프 시점과 점프 종점을 측정하여 점프 시점과 점프 종점을 연결한 포물선 범위에 장애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및 그 방법은 휴대 단말의 화면에 배치된 장애물 및 이동 객체를 배치하여, 편측무시 환자의 지정하여 이동 객체가 장애물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편측무시 환자의 시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물을 편측무시 환자의 치료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배치함으로써, 편측무시 환자의 시야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110 : 표시부 120 : 선택 입력부
130 : 인식부 140 : 판단부
150 : 출력부

Claims (11)

  1.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표시부;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편측무시 환자가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인식부;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화면의 중심, 중심의 우측 및 중심의 좌측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장애물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1 레벨에 따라 화면의 중심에 장애물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2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3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2 레벨의 제1 거리 보다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이동 객체가 장애물을 통과할 때 그려지는 포물선 범위 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포물선 범위 밖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장애물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배치된 장애물 개수에 따른 이동 객체의 총 통과 횟수와 최종 통과 횟수를 비교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편측무시 환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
    편측무시 환자로부터 다수개의 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의 선택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의 선택을 입력 받는 선택 입력부;
    판단 결과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저장부;
    서버로부터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판단 결과를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8. 표시부에 의해,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
    인식부에 의해,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 편측무시 환자가 지정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판단부에 의해, 이동 객체의 장애물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출력부에 의해, 판단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장애물은 화면의 중심, 중심의 우측 및 중심의 좌측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1 레벨에 따라 화면의 중심에 장애물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2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1 거리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의 화면에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배치정보를 토대로, 이동 객체 및 이동 객체의 이동 경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애물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편측무시 환자가 선택한 제3 레벨 및 편측무시 치료 방향에 따라 장애물을 화면의 중심에서 제2 레벨의 제1 거리 보다 떨어진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무시 환자 치료 방법.
KR1020140034844A 2014-03-25 2014-03-25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KR20150111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44A KR20150111207A (ko) 2014-03-25 2014-03-25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44A KR20150111207A (ko) 2014-03-25 2014-03-25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07A true KR20150111207A (ko) 2015-10-05

Family

ID=5434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844A KR20150111207A (ko) 2014-03-25 2014-03-25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12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60B1 (ko) 2021-11-12 2023-04-1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Vr을 이용한 편측무시 재활 장치 및 재활장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60B1 (ko) 2021-11-12 2023-04-1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Vr을 이용한 편측무시 재활 장치 및 재활장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mijo-Olivo et al. Blinding in physical therapy trials and its association with treatment effects: a meta-epidemiological study
Chia et al. Sensory retraining of the leg after strok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US11266341B2 (en) Measuring dynamic body movement
KR102099316B1 (ko)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JP4626980B2 (ja) 視覚訓練装置及び視覚訓練方法
FI126121B (fi) Menetelmä ja laite kollaboratiivisen potilastiedon tarjoamiseksi
US11666272B2 (en) Pain-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102495345B1 (ko) 디지털 치료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상의 디지털 약국 서버의 동작 방법
US20170112373A1 (en) Visual acuity testing method and product
KR101936082B1 (ko) 리얼센스 카메라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손가락 재활 시스템 및 방법
Kiani et al. Technical aspects of virtual augmented reality-based rehabilitation system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lower limbs: a systematic review
CN112274419B (zh) 腹部穴位定位系统、方法和装置以及控制设备与存储介质
Shalan et al. YORwalK: desiging a smartphone exercise application for people with intermittent claudication
Lang et al. Pressing a button you cannot see: evaluating visual designs to assist persons with low vis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Gigliotti et al. The combined effects of motor and social goals on the kinematics of object-directed motor action
WO2022174544A1 (zh) 动作比对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计算机程序产品及计算机程序
KR20150111207A (ko)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O’Neil et al.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 of telerehabilitation assessments for individuals with neurological conditions: A scoping review
KR2017006746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재활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JP2019079421A (ja) 施術支援装置、施術支援システム、施術支援方法、プログラム
Figeys et al. Challenges and promises of mixed-reality interventions in acquired brain injury rehabilitation: A scoping review
KR20150111206A (ko)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Durá-Gil et al. Analysis of different vibration patterns to guide blind people
KR101582595B1 (ko) 편측무시 환자 치료 장치
JP2019079515A (ja) 施術支援装置、施術支援システム、施術支援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