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701A - 불연속 접착 영역을 갖는 적층 물품 - Google Patents

불연속 접착 영역을 갖는 적층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701A
KR20150110701A KR1020157022666A KR20157022666A KR20150110701A KR 20150110701 A KR20150110701 A KR 20150110701A KR 1020157022666 A KR1020157022666 A KR 1020157022666A KR 20157022666 A KR20157022666 A KR 20157022666A KR 20150110701 A KR20150110701 A KR 20150110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elongation
textile
laminate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디 켈시
브라이언 제이 맥아담스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843,682 external-priority patent/US9121130B2/en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41D31/185Elastic using 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불균일 접착제 패턴이 있는 접착제 층에 의해 함께 접착되는 제1 텍스타일과 기능성 필름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이 제공된다. 불균일 접착제 패턴은 접착제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에서 적층체가 우선적으로 구부러지게 하는 이들 영역을 만든다. 접착제 영역은 비접착제 영역과 함께 적층체의 표면 위에 가시 패턴을 만든다. 제2 텍스타일은 임의로 제1 텍스타일 반대 측 기능성 필름 층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제1 텍스타일 또는 필름 층은 탄성, 수축성, 또는 확장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비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적층체의 융기부와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굴곡부가 눈에 보인다. 적층 물품은 방수성, 방액성, 통기성, 및 미적 만족감이 있으며, 강성 감소, 향상된 단열성, 향상된 신장성 및 물품을 굽히는데 관련된 소음 감소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불연속 접착 영역을 갖는 적층 물품{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 3. 28자 출원된, 계류 중인 미국특허출원 제13/432,613호의일부 계속 출원이며, 본 문서로서 이의 내용을 전적으로 참조로서 원용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적층 물품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불균일 접착제 패턴이 있는 접착제 층에 의해 접착되는 텍스타일(textile) 층과 필름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적층체"는 하나 이상의 텍스타일 층 위에 코팅되거나 이에 부착되는 기능성 필름 또는 코팅을 포함하는 물품을 의미한다.
용어 "기능성 필름", "기능성 필름 층", 및 "필름 층"은 액체(예, 물) 침투에 대한 장벽, 화학 물질에 의한 침투에 대한 장벽, 가스 침투에 대한 장벽, 미립자 침투에 대한 장벽, 공기 침투에 대한 장벽(예, 불침투성), 악취 방지, 항균성, 방풍성, 및 통기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특성을 제공하는 물질을 뜻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텍스타일"은 임의의 직물, 부직물, 펠트, 플리스(fleece), 또는 니트를 뜻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 물질 및/또는 다른 섬유 또는 플로킹(flocking)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층은 이것이 적어도 0.07 bar의 압력에 대해 적어도 3분의 기간 동안 액체 침투를 방지한다면 "방액성"인 것으로 생각된다. 액체 침투 압력은 본원에서 기재하는 방액 패브릭(Liquid-proof fabric)에 대한 수터 시험(Suter test)에 관해 기재한 동일한 조건을 기초로 방액 패널 위에서 측정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통기가능한" 또는 "통기성"은 수증기 투과 속도(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가 24 시간에 적어도 약 1,000 g/㎡인 적층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우선적으로 구부러지다"는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힘이 양쪽 영역에 적용될 때, 적층체 중 한 영역이 적층체 중 제2 영역보다 더 큰 정도로 구부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적층체의 자유 에지(free edge)를 잡아 서로 이동시킬 때 우선적 굽힘은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영역(예, 비접착 영역)에서 일어난다.
방수, 통기성 의류는 본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의류는 흔히 각 층이 특정 기능성을 부가하는 다수 층으로부터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의류는 외부 텍스타일 층, 방수, 통기성 필름 층, 및 내부 텍스타일 층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흔히 다수 층을 접착제 층과 함께 접착시켜 적층체를 만들고, 층들이 서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단일 층 의류의 모양과 촉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층들을 함께 접착하는 공정은 입을 때 의류를 더 딱딱하고, 더 소음이 많게 하는 유해 작용이 있다. 이는 이들 의류의 착용에 대한 즐거움을 줄일 뿐만 아니라, 소음 방지가 중요한 응용 분야, 예컨대 사냥 또는 군사 응용 분야에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강성과 소음 우려에 더해, 균일하게 접착된 적층체가 바람직할 수 없다는 다른 이유가 있다. 예를 들어, 적층화 공정 중에 장력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얻어지는 적층체는 적층 중 생성되는 잔류 스트레스로 인해 말릴(curl) 수 있다. 적층체의 이러한 컬링(curling)은 바느질하면서 조각을 평편하게 놓기 어려우므로 의류 구성에 문제를 일으킨다. 반대로, 층들이 전혀 함께 접착되지 않으면, 각 재료를 절단하고, 별도로 펼쳐야 하기 때문에 의류 구성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균일하게 접착된 적층체에 관한 추가 우려는 방수, 통기성 의류와 물품에서 신장성이 바람직할 경우 제기된다. 몇 가지만 말하자면, 용이한 착용 및 탈의에 대한 맞춤 내지 동작 중 편안함에 이르는 과제는 균일하게 접착된 적층체로 작업할 때 중요한 도전 과제일 수 있다. 종래의 신축성 방수 통기성 의류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443,511호 및 미국특허 제4,935,287호에 기재되었다. 이들 균일하게 접착된 적층체 재료를 신장하는데 필요한 높은 신장력(stretch force)에 관해 여전히 제한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기술에서 소음, 강성, 신장력 및 잔류 적층화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접착된, 다층 물품의 긍정적인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적층체 물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한 목적은 (1) 기능성 필름 층, (2) 제1 텍스타일; 및 (3) 기능성 필름 층과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접착제 층은 실질적으로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 의해 분리되는 2 이상의 접착제 영역을 포함한다. 접착제 영역은 다수의 접착제 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접착제 도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다. 접착제 영역 내 인접 접착제 도트 사이의 거리는 적층체 내 연속 접착제 영역 사이의 거리 미만이다. 추가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접착제 영역은 2회 이상 반복되는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distinctive shape)을 형성한다. 변별적 형상은 기하 형상 또는 추상 형상일 수 있다. 추가로, 적층 물품은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구부러진다. 접착제 영역은 폭이 약 5 mm보다 더 클 수 있고,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은 폭이 약 2 mm보다 더 클 수 있다. 접착제 영역은 적층체 면적의 적어도 50%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1) 기능성 필름 층, (2) 제1 텍스타일, 및 (3) 기능성 필름 층을 제1 텍스타일에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접착제 층은 접착제 영역 및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하는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은 폭이 약 2 mm보다 더 크다. 추가로, 적층 물품은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구부러진다. 전형적인 일 실시형태에서, 제2 텍스타일이 제2 접착제 층에 의해 제1 필름 층 반대 측 기능성 필름 층에 접착된다. 접착제 영역의 윤곽을 그리는 융기된, 가시부에서 기능성 필름 층과 제2 텍스타일 사이에 공기 간극이 위치한다. 접착제 영역은 각각 다수의 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의 굽힘 계수는 접착제 영역의 굽힘 계수보다 적어도 20% 작다.
또한 또 다른 목적은 (1) 기능성 필름 층, (2) 제1 텍스타일, 및 (3) 기능성 필름 층과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접착제 층은 제1 접착제 영역과 제2 접착제 영역을 포함한다. 추가로, 제1 접착제 영역은 제2 접착제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 양보다 큰 접착제 양을 함유한다. 전형적인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접착제 영역은 다수의 접착제 도트를 함유한다. 또한, 적층 물품은 제1 접착제 영역에서 굽힘 계수보다 더 낮은 제2 접착제 영역에서 굽힘 계수를 가진다. 제2 접착제 영역은 실질적으로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연속 제1 접착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약 2 mm보다 더 크다.
추가 목적은 기능성 필름 층 및 기능성 필름 층에 (1) 2개 이상의 접착제 도트와 (2)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연속 패스(path)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 층에 의해 접착되는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속 패스는 적층체가 우선적으로 구부러지는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각 세트의 접착제 도트는 접착제 영역을 형성한다. 각 접착제 영역의 곡률 반경은 약 2 mm 내지 약 50 mm이다. 또한, 연속 패스는 전형적인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접착제 영역의 윤곽을 그리는 융기된, 가시부를 형성한다. 제2 텍스타일은 제2 접착제 층에 의해 제1 텍스타일 반대 측 기능성 필름 층에 접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텍스타일 및 접착제 도트 중 하나 이상은 난연제 또는 내화성 물질을 함유한다.
또한 한 목적은 (1) 기능성 필름 층 및 (2) 제1 접착제 층에 의해 기능성 필름 층에 접착되는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접착제 층은 접착제의 제1 피복 면적률(percent area coverage)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1 영역과 접착제의 제2 피복 면적률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접착제의 제1 피복 면적률은 접착제의 제2 면적 피복률보다 더 크다.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제2 접착제 영역은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로, 제1 영역은 2회 이상 반복되는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형성한다. 제2 영역은 변별적 형상의 윤곽을 그리는 융기된, 가시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형상은 기하 형태 또는 추상 형태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제2 텍스타일은 제1 텍스타일 반대 측 필름 층에 제2 접착제 층에 의해 접착된다. 융기된, 가시부에서 필름 층과 제2 텍스타일 사이에 공기 간극이 위치할 수 있다.
추가 목적은 기능성 필름 층 및 제1 텍스타일을 접착제 영역과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접착제 층에 의해 접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능성 필름 층은 불소 중합체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은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한다. 1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은 접착제 영역의 윤곽을 그리는 융기된, 가시부를 형성한다.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며, 이 형상은 2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추가로,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은 폭이 약 2 mm보다 더 크다. 추가로, 적층 물품은 실질적으로 접착제 없는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구부러진다. 본 방법은 추가로 제1 접착제 층 위에 기능성 필름의 위치를 정하기 전에 기능성 필름을 신장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방법은 또한 제2 텍스타일을 제1 텍스타일 반대 측 기능성 필름에 제2 접착제 층에 의해 접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융기부에서 기능성 필름 층과 제2 텍스타일 사이에 공기 간극이 위치할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에서, 접착제 영역은 텍스타일을 패턴이 있는 고무 롤로 압착(pressing)함으로써 형성된다. 대안으로, 박리지가 접착제 영역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본 방법은 추가로 (1) 제1 접착제 층을 적용하기 전에 제1 텍스타일 위에 박리지의 위치를 정하고, (2) 제1 접착제 층 위에 기능성 필름의 위치를 정하기 전에 제1 텍스타일로부터 박리지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접착제 층을 필름 층에 이동시키는데 그라비어 롤을 사용한다. 추가로, 제1 텍스타일 또는 제1 접착제 층은 난연제 물질 또는 내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장점은 적층 물품이 강성 감소, 향상된 단열 특성, 향상된 경면 반사, 및 물품의 굽힘과 관련된 소음 감소를 증명하는 것이다.
추가 장점은 적층 물품이 종래의 방수, 통기성 적층체 구조에 대해 향상된 신장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추가로, 물품의 향상된 굴곡을 위해 텍스타일의 니트 열에 수직 방향으로 번칭(bunching), 또는 니트 텍스타일과 필름 층 사이에 갭의 생성을 나타내는 니트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이 또한 예상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필름 층이 불소 중합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텍스타일 및/또는 접착제가 난연제 또는 내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후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의 고려로부터 더 완전히 드러날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한계를 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본 발명의 하기 상세한 개시 내용을 고려할 때, 특히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할 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영역에서 불연속 접착제 도트가 있는 2층 적층체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영역에서 연속 접착제가 있는 2층 적층체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영역 및 비접착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을 도시하는 도 1 또는 2의 적층체에 대한 상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 영역에서 불연속 접착제 도트가 있는 3층 적층체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쪽에서 접착 영역과 비접착 영역을 포함하는 3층 적층체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3차원 적층체의 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접착 영역에서 불연속 접착제 도트 및 비접착 영역에 상응하는 융기부가 있는 2층 적층체의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접착 영역에서 불연속 접착제 도트 및 비접착 영역에 상응하는 융기부가 있는 3층 적층체의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적층체 내에 제2 텍스타일이 에어 포켓(air pocket)을 형성하는 3층 적층체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수축성 또는 탄성 필름 층으로 형성되는 적층체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1 텍스타일 반대 측 필름 층 위에 위치하는 제2 텍스타일이 있는 도 10의 적층체의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일 실시형태에 따라 육각형 패턴이 내부에 있는 박리지의 개략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육각형 접착제 패턴을 적용하는 박리지를 사용하여 2층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채널에 의해 분리되는 융기된 육각형 부분으로 이루어진 패턴이 있는 고무 롤의 일부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15는 또 다른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3층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6은 도 7의 적층체에 대한 곡률 반경을 측정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착제 부분에 의해 분리되는 접착제 패턴을 포함하는 그라비어 롤의 일부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접착제 패턴을 적용하는 그라비어 롤을 사용하여 2층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일 실시형태에 따를 파상 평행선 패턴을 내부에 가진 박리지의 개략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번칭을 나타내는 적층체 구조의 개략도이다.
달리 한정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당업자가 통상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도면에서, 선, 층, 및 영역의 두께는 명확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층과 같은 요소가 또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이것은 다른 요소 바로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개재하는 요소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요소가 또 다른 요소에 "인접"하게 있는 것으로 언급될 경우, 이 요소는 다른 요소에 바로 인접할 수 있거나 개재하는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상부", "하부", "측면", 등은 본원에서 설명 목적만으로 사용된다. 도면 전체에서 발견되는 비슷한 부호는 비슷한 요소를 정의한다. 용어 "필름 층" 및 "기능성 필름 층"은 본원에서 상호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어 "적층체" 및 "적층 물품"은 본원에서 상호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불균일 접착제 패턴이 있는 접착제 층에 의해 접착되는 제1 텍스타일과 기능성 필름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에 관한 것이다. 불균일 접착제 패턴은 제1 텍스타일 위에 가시의, 미적 만족감이 있는 표면을 만든다. 추가로, 불균일 접착제 패턴은 적층체가 우선적으로 접착제 없는 또는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에서 구부러지게 하는 적층 물품 내에 이들 영역을 만든다. 제2 텍스타일은 임의로 접착제에 의해 제1 텍스타일 반대 측면 위 필름 층에 접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제1 텍스타일 및 필름 층 중 하나 이상이 탄성이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신축성이 있다. 적층 물품은 방수, 방액, 통기성이며, 물품을 굽힘으로써 생성되는 소음 감소 및 단열 값과 경면 반사에서 향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적층 물품은 추가로 제1 텍스타일을 단독으로 신장시키는데 필요한 신장력에 대해, 본원에서 후에 측정하고, 기재한 바와 같이, 의외로 낮은 신장력을 나타낸다. 비교 목적으로, 신장 특성을 가진 것으로서 홍보된 종래의 균일하게 적층된 재료는 전형적으로 제1 텍스타일 단독의 신장력보다 대략 적어도 5배(5X) 큰 신장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적층 물품은 제1 텍스타일 단독의 신장력보다 단지 대략 3배(3X) 이하인 신장력을 나타낼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적층 물품은 제1 텍스타일 단독의 신장력보다 단지 대략 2배(2X) 이하인 신장력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적층 물품에 대한 실시형태는 제1 텍스타일 단독의 신장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1X) 심지어 그 이하인 신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추가의 대체 실시형태에서도, 적층 물품에 대한 신장력은 제1 텍스타일을 단독으로 신장시키는데 필요한 신장력의 대략 2분의 1(0.5X) 이하일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형태에서, 신장력은 제1 텍스타일을 단독으로 신장시키는데 필요한 신장력의 대략 3분의 1(0.33X)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제1 텍스타일을 단독으로 신장시키는데 필요한 신장력의 대략 6분의 1(0.16X) 이하로 신장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니트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은 "번칭", 또는 비접착 영역에서 니트 텍스타일과 필름 층 사이에 갭의 생성을 나타낸다고 예상되며, 니트 텍스타일을 한 방향 이상으로 확장할 때, 물품의 두께 증가를 얻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2층 적층체(10)를 가장 잘 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층(20)에 접착제(30)를 도포하여 제1 텍스타일(40)을 필름 층(20)에 접착시켰다. 접착제(30)를 필름 층(20)에 또는 제1 텍스타일(40)에(또는 필름 층(20)과 제1 텍스타일(40) 둘 다에) 도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원에서 필름 층(20)에 접착제(30)의 도포를 기재한다. 접착제(30)는 비접착(비접착제) 영역(60)에 의해 분리되는 접착(접착제) 영역(50)을 포함하도록 불연속의, 불균일 패턴으로 접착제(30)를 필름 층(20)에 도포한다. 접착제(30)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련의 불연속 도트로서 도포할 수 있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영역(50) 내에 꽉 찬, 연속 패턴으로 도포할 수 있다. 접착 영역(50) 내 접착제 도트는 크기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거나 한 접착 영역 내에서 또는 한 접착 영역에서 또 다른 접착 영역까지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에서, 접착제 도트는 접착제 영역에서 불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접착 영역(50) 내에서 다른 접착제 패턴 예컨대 격자, 라인, 또는 다른 패턴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접착제는 접착제 영역(들) 내에서 균일하게 또는 불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접착제(30)는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일 수 있으며, 이를 필름 층(20)에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및 전사 인쇄와 같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종래 방법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접착 영역(50)이 비접착 영역(60)과 함께 적층체(10)의 표면 위에 가시 패턴을 만들도록 접착제(30)를 필름 층(20)에 도포한다. 도 3에서는 접착 영역(50)과 비접착 영역(60)이 적층체(10)(도 2에 도시함)의 제1 텍스타일(40)의 외부 표면 위에 가시의 육각형 패턴을 형성하는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접착 영역(50) 및 비접착 영역(60)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패턴은 임의의 기하 형상(예, 정사각형, 원형, 직사각형, 팔각형, 등) 또는 추상 형상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2회 이상 반복된다는 사실이 이해될 것이다. 추가로, 비접착 영역(60)은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비접착 영역(60)은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적층체(10) 내에 연속 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접착 영역(50)은 비접착 영역에 의해 양 측면 화살표(80)에 의해 표시된 거리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비접촉 거리는 약 2 mm보다 더 클 수 있으며,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약 2 mm 내지 약 20 cm, 약 2 mm 내지 약 10 cm, 약 2 mm 내지 20 mm, 또는 약 2 mm 내지 약 10 mm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접착 영역은 폭이 적어도 2 mm, 3 mm, 4 mm, 5 mm, 7 mm, 또는 10 mm 이상일 수 있다.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 영역의 폭은 약 5 mm 내지 약 10 cm 또는 약 5 mm 내지 약 50 mm이다.
접착 영역(50) 및 비접착 영역(60)은 각각 원하는 물리적 모양과 특성에 따라 크기가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이 이해될 것이다. 1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 영역의 폭은 연속 접착 영역 사이의 거리(예, 비접착 영역)보다 더 크며, "폭"은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영역의 한 측면에서 다른 측면까지의 최장 거리로서 정의된다. 추가로, 적층체에서 접착 영역의 피복 면적률은 적층체 면적의 적어도 30%, 적어도 40%, 또는 적어도 50% 이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 60% 또는 70% 또는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접착 영역의 피복 면적률"은 적층체의 총 면적으로 나누고, 100%로 곱한, 적층체 내 접착제 영역의 총 이차원 면적(이것이 요구되지 않지만, 접착제 영역은 일반적으로 접착 영역을 형성한다)으로서 정의된다. 어쨌든, 접착 영역(50)에 존재한 접착제의 양은 비접착 영역(60)에 존재한 접착제의 양보다 더 크다.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 영역(50)에 존재한 접착제의 양(예, 접착제의 질량 또는 부피)은 비접착 영역(60)에 존재한 접착제의 양보다 적어도 10% 더 크거나, 20% 더 크거나, 심지어 30% 더 크다(또는 그 이상이다). 또한, 접착 영역(50) 내 인접 접착제 도트 사이의 거리는 연속 접착 영역(50)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연속 접착 영역" 또는 "연속 영역"은 인접 영역을 기술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접착제는 임의로 내화성 접착제일 수 있거나 적층체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내화성 또는 난연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내화성 또는 난영성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예를 들어 아라미드, 폴리벤즈아미다졸(PBI), 폴리 p-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PBO), 모드아크릴 블렌드, 폴리아민, 내염성 레이온, 폴리아민, 탄소,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및 이들의 블렌드와 조합을 포함한다.
필름 층(20)은 불소 중합체 막 예컨대 발포(expanded)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발포 개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우레탄과 같은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ePTFE 또는 PTFE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실리콘과 규소 함유 필름; 그 외에 다른 불소 중합체 함유 필름 예컨대 스카이빙된(skived) PTFE 및 불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막이 있는 복합체일 수 있다. PTFE의 발포성(expandable) 블렌드, 발포성 개질 PTFE, 및 PTFE의 발포 공중합체에 대해 특허가 제출되었고, 예를 들면 브란카(Branca)의 미국특허 제5,708,044호; 바일리(Baillie)의 미국특허 제6,541,589호; 사볼(Sabol) 외 그의 공동 발명자의 미국특허 제7,531,611호; 포드(Ford)의 미국특허출원 제11/906,877호; 및 슈(Xu) 외 그의 공동 발명자의 미국특허출원 제12/410,050호이다.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필름 층(20)은 폴리우레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ePTFE이다. 메이플즈(Maples)의 미국특허 제6,395,383호 및 유(Wu)의 미국특허 제5,286,279호; 제5,342,434호; 및 제5,539,072호에 기재된 것들과 같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대체 보호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텍스타일(40)은 임의의 직물, 부직물, 펠트, 또는 니트일 수 있으며,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텍스타일(40)은 비탄성 또는 탄성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치수를 바꾸도록(예, 수축 또는 연신) 처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탄성"은 인장된 다음 장력의 해제 시 이의 대략 최초 치수로 복귀할 수 있는 물질을 뜻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탄성 특성은 당연히 텍스타일(들), 필름 층(들), 접착제(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제1 텍스타일(40)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텍스타일의 비제한적인 예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면, 울, 실크,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레이온, 아크릴, 올레핀, 스판덱스, 등을 포함한다. 추가로, 제1 텍스타일(40)은 내화성 또는 난연성 텍스타일일 수 있다. 제1 텍스타일(40)은 또한 UV 보호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특성을 제공하도록 코팅되거나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제2 텍스타일(90)은 제1 텍스타일(40) 반대 측면 위 필름 층(20)에 접착되어 3층 적층체(100)를 형성한다. 제2 텍스타일(90)은 제1 텍스타일(40)에 관해 상기에 기재한 임의의 텍스타일일 수 있으며, 제1 텍스타일(4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2 텍스타일(90)은 접착제(110)에 의해 필름 층(20)에 접착되며, 이를 연속(즉, 접착제 영역 내에 접착제의 점착 층) 또는 불연속(즉, 접착제 영역 내에 접착제의 개별, 분리 부분) 방식으로 도포할 수 있다. 연속 방식으로 도포하는 경우, 접착제는 적층체(100)의 통기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기성이 있어야 한다. 접착제는 접착제 물질 없이 영역을 통해 충분한 통기성을 부여하는 적합한 불연속 방식으로 도포하는 경우 통기성이 있을 필요는 없다. 접착제는 불연속의, 불균일 방식으로, 예컨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대로, 적용될 수 있지만, 도 4에서는 일련의 불연속 도트로서 접착제(110)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한 접착제(110)의 불연속 도포로 적층체(140)의 하부면 위에 접착 영역(120)과 비접착 영역(130)을 형성하게 한다. 그 결과, 적층체(140)는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양면 위에 특유한 패턴을 포함한다. 이론에 메이길 원하지 않지만, 적층체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양면 위에 접착 영역과 비접착 영역의 포함으로 강성에서 추가 감소, 소음에서 추가 감소, 및 통기성 증가를 얻는다고 생각된다. 접착제(30)와 같이, 접착제(110)를 임의의 공지된 도포 방법에 의해 필름 층(20)에 도포할 수 있다. 도 4 또는 5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접착 영역(50)은 도시한 불연속 접착제 패턴 대신에 연속 접착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1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필름 층(20) 및/또는 제1 텍스타일(40)은 탄성이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치수를 바꾸도록(예, 수축 또는 연신) 처리될 수 있다. 제1 텍스타일(40)이 탄성인 예에서, 비접착 영역(60)에 상응하는 적층체의 융기된, 가시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시적이다. 융기된, 가시 패턴은 접착제(30)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 형상 또는 추상 형상의 윤곽을 그린다. 추가로, 접착 영역(50)은 국소화 컬링 현상(150)을 나타낸다. 의외로 비접착 영역(60)이 적층체에서 잔류 스트레스를 완화할 뿐만 아니라, 이들은 또한 전체 적층체(160)에서 과도한 컬을 야기하지 않고서 접착 영역(50)에서 스트레스(예, 컬)의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가요성 비접착 영역(60)에 의해 분리되는, 접착 영역(50)에서 국소화, 적극적인 컬(150)은 적층체(160)의 3차원 측면을 증가시키고, 단열 특성 증가, 신장, 경면 특성, 및 미적 특성과 같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성능 및/또는 특성 증가를 도입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단위 질량당 내열성(예, 단열 특성)은 0.05 (㎡K/W)(kg/㎡) 이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적층체의 단위 질량당 내열성은 0.05 (㎡K/W)(kg/㎡) 내지 약 0.4 (㎡K/W)(kg/㎡)이다. 접착 영역(50)에서 곡률 반경은 약 50 mm 미만, 약 20 mm 미만, 약 10 mm 미만, 또는 약 6 mm 미만일 수 있다. 추가로, 곡률 반경은 약 1 mm 초과, 약 2 mm 초과, 약 3 mm 초과 또는 심지어 그 이상일 수 있다.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곡률 반경은 약 2 mm 내지 약 50 mm, 약 3 mm 내지 약 20 mm, 또는 약 4 mm 내지 약 10 mm 범위이다. 또한, 적층체는 단위 면적당 중량에 대한 두께가 약 0.005 mm/(g/㎡) 초과, 약 0.010 mm/(g/㎡) 초과,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3차원 적층체(160)를 가장 잘 볼 수 있다. 적층체(160)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텍스타일(40)을 소정 거리로 신장시키고, 접착제(30)를 필름 층(20)에 신장하지 않고, 이완된 상태로 도포한다. 제1 텍스타일(40)(및 이하 설명되는 필름 층(20))이 본원에서 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텍스타일(및 필름)을 이축 신장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생각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제(30)를 불연속, 불균일 방식으로 도포하여 접착 영역(50) 및 비접착 영역(60)을 제공한다. 제1 텍스타일(40)을 신장한 위치로 인장시키면서, 접착제(30)를 포함하는 필름 층(20)을 제1 텍스타일(40) 위에 위치시켜 필름 층(20)을 제1 텍스타일(40)에 접착한다. 장력의 해제 시, 제1 텍스타일(40)은 대략 이의 최초, 신장하지 않은 위치로 복귀한다.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제(30)는 장력의 해제 전에 경화된다.
제1 텍스타일(40)이 이완될("신장하지 않을") 때, 접착 영역(50)은 말리고, 비접착 영역(60)은 융기한다. 적층체(160)는 비접착 영역(60)에서 접착 영역(50)과 비교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접착 영역(60)에서 접착제의 부재 또는 실질적 부재로 인해 휘게 된다(예, 융기된다). 용어 "휘다"와 "융기하다"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필름 층 또는 텍스타일 층 자체 위에 융기부(65)를 형성하는 필름 층 또는 텍스타일 층의 굽힘을 뜻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접착 영역(50) 및 비접착 영역(60)에서 접착제 존재 차이는 적층체가 비접착 영역(60)에서 상승하고(이완하고), 접착 영역(50)에서 말리게 한다. 접착 영역(50)의 오목 표면은 적층체의 텍스타일 측면 쪽으로 위치한다. 추가로, 비접착 영역(60)의 휨은 제1 텍스타일(40)이 필름 층(20)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제1 텍스타일(40)과 필름 층(20) 사이에 자리한 공기 간극(75)을 형성한다. 적층체(160)(및 하기 기재하는 적층체(170))는 비접착 영역(60)에서 우선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 영역은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우선적 굽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층체가 접착 영역(50)에서 굽힘 계수와 비교하여 비접착 영역(60)에서 굽힘 계수가 더 낮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하나 이상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서, 비접착 영역에서 굽힘 계수는 접착 영역의 굽힘 계수보다 적어도 20% 작거나, 적어도 30% 작거나, 적어도 40% 작거나, 적어도 50% 작다(심지어 더 작다).
제2 텍스타일(9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110)에 의해 필름 층(20)에 접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텍스타일(90)은 제1 텍스타일(40)이 상기에 기재한 신장 위치로 있으면서 필름 층(20)에 부착된다. 그 결과, 제2 텍스타일(90)은 필름 층(20)에 실질적으로 평면 배향으로 위치한다. 환언하면, 제1 텍스타일(40)이 장력에서 해제될 때 제2 텍스타일(90)은 실질적으로 필름 층(20)의 경로를 따르며, 비접착 영역(60)에서 필름 층(20)과 함께 휘고, 접착 영역(50)에서 제1 텍스타일(40)과 함께 말린다. 제2 텍스타일(90)의 추가로 인해 적층체의 3차원 구조를 형성하는, 비접착 영역(60)에서 필름 층의 휨 또는 접착 영역(50)에서 적층체의 컬링을 방해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접착제(110)를 불연속, 불균일 방식으로 도포하여 적층체(17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양쪽 위에 접착 부분과 비접착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융기부(65)에서 제1 텍스타일(4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마모성 코팅(도시 안 됨), 예컨대 중합체 코팅으로 코팅하여 예컨대, 예를 들어, 적층체가 의류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때, 마모로부터 제1 텍스타일(40)(예, 외부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대체 실시형태에서, 제1 텍스타일(40)이 장력으로부터 해제되고, 적층체(160)가 접착 영역(50)에서 말린 후, 제2 텍스타일(90)을 적층체(160)에 접착한다. 접착제(110)를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제2 텍스타일(90)의 길이를 가로질러 불연속 방식으로 도포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접착제(110)를 제2 텍스타일(90)이 필름 층(20)과 접촉하고 있는 적층체(180)의 일부 위에만 제2 텍스타일(90)을 가로질러 연속 방식으로 또는 분리 부분으로(연속으로 또는 불연속으로) 도포할 수 있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텍스타일 층(90)은 필름 층(20) 및 제1 텍스타일(40)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제2 텍스타일(90)을 필름 층(20)에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함으로써, 에어 포켓(190)이 제2 텍스타일(90)과 필름 층(20) 사이에 한정되는 부분에서 형성된다. 이들 에어 포켓(190)은 적층체(180)에 추가의 단열 값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필름 층(20)은 탄성 또는 수축성이 있을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필름 층(20)은 적층체(200) 위에 패턴 표면을 형성하는 불균일, 불연속 접착제(30)에 의해 제1 텍스타일(40)에 접착된다. 필름 층(20)이 탄성인 실시형태에서, 비접착 영역(60)에서 융기부(65)와 접착 영역(50)에서 컬링은 위에 접착제(30)가 있는 제1 텍스타일(40)을 인장된 필름 층(20)에 도포함으로써 달성된다.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적층체는 필름 층(20) 쪽으로 접착 영역(50)에서 말린다. 여기서, 접착 영역(50)의 오목한 표면은 적층체의 필름 층 측면 쪽으로 위치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 영역(50)과 비접착 영역(60)에서 접착제 존재 차이는 적층체가 비접착 영역(60)에서 상승하고(이완하고), 접착 영역(50)에서 말리게 한다. 추가로, 공기 간극(75)이 융기부(65)에서 제1 텍스타일(40)과 필름 층(20)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접착 영역(50)에 상응하는 컬링된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마모성 코팅(도시 안 됨), 예컨대 중합체 코팅에 의해 코팅되어 제1 텍스타일(40)(예, 외부 표면)을 예컨대, 예를 들어, 적층체가 의류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때, 마모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대안으로, 필름 층(20)이 수축성이 있는 경우, 비접착 영역(60)에서 융기부(65)와 접착 영역(50)에서 컬링은 필름 층(20)을 수축함으로써, 예컨대 필름 층(20)에 열을 가함으로써 달성된다. 필름 층(20)이 수축할 때, 적층체(200)는 접착 영역(50)에서 필름 층(20) 쪽으로 말린다. 적층체(200)는 비접착 영역(60)에서 이완하여(상승하여) 필름 층(20)을 수축하는 것으로부터 야기된 스트레스를 완화한다. 신축성(즉, 탄성)과 수축성 필름 층(20) 둘 다 도 10에 도시한 2층 적층체(200)를 얻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필름 층(20)이 수축성 또는 신축성이 있는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텍스타일(40, 90)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둘 다 비탄성일 수 있다.
제2 텍스타일(9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층(20)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110)를 제시한 바와 같이 불연속 방식으로 도포할 수 있거나, 이것을 제2 텍스타일(90)이 필름 층(20)과 접촉하고 있는 적층체(210)의 일부 위에만 분리 부분으로(연속으로 또는 불연속으로) 도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제2 텍스타일(90)의 추가로 인해 필름 층(20)과 제2 텍스타일(90) 사이에 한정되는 부분에 에어 포켓(190)을 형성한다.
적층체의 3차원 특성은 일부 방식으로, 예컨대, 예를 들어, 탄성임으로써, 수축성임으로써, 확장성임으로써, 또는 이의 임의 조합으로 변형가능한 하나 이상의 층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에 기재한 실시형태는 비제한적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층들 중 하나의 변형으로 접착 영역 내에 적층체의 컬링을 야기하는 스트레스를 적층체 내에 생성한다. 다음에, 비접착 영역은 적층체가 휘게 하며, 이는 적층체의 컬링에 의해 야기된 스트레스를 완화한다. 본원에서 기재한 적층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접착 영역 내에 적층체의 우선적 굽힘으로 인해 종래의 적층체와 비교하여 사용 시 소음이 상당히 더 적다(quieter).
본원에서 기재한 적층체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예컨대, 예를 들어, 의류에서, 단열재로서, 스페이서(spacer) 재료로서, 확산 반사 표면에서, 또는 고 텍스처화 적층체가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어느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재한 본 발명의 장점은 다수이며, 강성과 소음 감소에서 개선된 단열과 미적 차별화 및 개선되거나 향상된 경면 반사에 걸쳐 있다. 경면 반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 발명의 물품의 토포그래피(topography)(예, 융기부)에 의해 개선되거나 향상된다.
소음이 감소하는 적층체는 방음이 중요한 응용 분야, 예컨대 사냥, 법 집행 또는 군사, 또한 방음이 단지 바람직한 응용 분야, 예컨대 소비자 야외용 의류(예, 재킷, 바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적층체 컬링을 이용하는 실시형태는 소비자, 소방관, 등을 위한 경량 단열 의류, 또는 의료 응용 분야를 위한 접촉 면적이 감소한 담요와 시트를 포함한다.
시험 방법
특정 방법과 설비를 하기에 기재하고 있지만, 당업자가 적합하다고 결정한 임의 방법 또는 설비가 당연히 사용될 수 있다.
방액 패브릭을 위한 수터 시험
샘플이 방액성이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수터 시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ASTM D 751-00[코팅된 패브릭을 위한 표준 시험 방법, 정수압 저항 과정 B2]에서의 설명에 기초한다. 이 과정은 시험 샘플의 한 면에 물을 강제로 처리하고, 다른 면을 물이 샘플을 관통한 흔적에 대해 관찰함으로써 시험하는 샘플에 대한 저압 과제를 제공한다.
시험 샘플을 클램핑하고, 물이 특정 부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샘플을 잡는 고정 장치에서 고무 개스킷 사이에 밀폐시켰다. 물이 적용되는 원형 부분은 직경이 4.25 인치이었다. 샘플의 한 면에 물을 1 psig(0.07 bar)의 압력에서 적용시켰다. 한 텍스타일 층이 있는 적층체를 시험하는데 있어서 가압수는 필름 측면에 입사하였다.
샘플의 비가압 면을 3분간 나타나는 물의 어떤 징후에 대해 눈으로 관찰하였다. 물이 관찰되지 않으면 샘플이 시험을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고, 방액성인 것으로 고려하였다. 기록된 값은 3회 측정치의 평균이었다.
수증기 투과 속도( WVTR ) 시험
35 중량부의 아세트산칼륨과 15 중량부의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 대략 70 ml를 컵의 입구에서 내부 직경이 6.5 cm인 133 ml 폴리프로필렌 컵에 넣음으로써 수증기 투과 속도(WVTR), 즉 수증기 투과성을 측정한다. 최소 WVTR이 대략 85,000 g/㎡/일인 ePTFE 막(크로스비(Crosby)의 미국특허 제4,862,730호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시험한 바와 같이)을 컵 가장자리에 열 융착시켜 용액을 포함하는 팽팽한, 누출 방지, 미소공성 격막을 만들었다.
유사한 ePTFE 막을 수조 표면에 고정시켰다. 온도 조절실과 물 순환조를 사용하여 수조 어셈블리를 23℃±0.2℃에 조절하였다. 시험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시험할 샘플을 23℃의 온도와 약 50%의 상대 습도로 조정하였다. 시험할 각 샘플이 수조 표면 위에 고정된 발포 PTFE 막과 접촉하고, 컵 어셈블리의 도입 전에 적어도 15분간 평형을 유지하도록 3개의 샘플을 두었다.
컵 어셈블리를 0.001 g에 가까이 계량하고, 텍스트(text) 샘플의 중앙 위에 뒤집었다. 수송 방향으로 확산에 의해 수류(water flux)를 제공하는, 수조 내 물과 포화 염 용액 사이의 구동력에 의해 물 수송을 제공하였다. 샘플을 20분간 시험한 다음, 컵 어셈블리를 꺼내 다시 0.001 g 이내로 계량하였다.
컵 어셈블리의 중량 증가로부터 샘플의 WVTR을 산출하고, 24 시간당 샘플 표면적 ㎡당 물의 그램으로 표시하였다. 기록된 값은 3회 측정치의 평균이었다.
열전도도 측정
대기 조건(약 298 K 및 101.3 kPa)에서 특별 주문형 열류계 열전도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샘플에 대한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기는 열류 센서(모델 FR-025-TH44033, 컨셉 엔지니어링사(Concept Engineering, 미국 코네티컷주 올드 세이브룩)가 시판함) 및 판 표면에 끼워 넣은 온도 센서(서미스터)가 있는 가열 알루미늄 판, 및 실온으로 유지되고, 또한 판 표면에 끼워 넣은 온도 센서가 있는 제2 알루미늄 판으로 구성되었다.
가열 판의 온도를 309.15 K에 유지하였고, 반면에 "차가운" 판의 온도를 298.15 K에 유지하였다. 판의 직경은 약 10 cm이었다. 정상 상태에 도달할 때 샘플을 시험기에 넣은 후 약 2 내지 5분 이내에 열류 측정치를 정상적으로 얻었다.
단위 질량당 내열성을 측정된 열류와 샘플 중량으로부터 식 Rm = (1/Q-1/Q(0))/w에 따라 산출하였고, 여기서 Rm은 (㎡K/W)(kg/㎡)로 단위 질량당 내열성이며, Q는 W/㎡K로 정규화 열류이고, Q(0)는 준비한 샘플이 없는 정규화 열류이며(Q(0) = 100 W/㎡K), w는 kg/㎡로 샘플 중량이다. 기록된 값은 3회 측정치의 평균을 나타낸다.
곡률 반경 측정
곡률 반경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린 영역의 단면의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중심 둘 다를 닿을 수 있는 최대 원의 반경으로서 정의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커트가 몇몇 말린 섹션을 양단하도록 곡률 반경에 직각으로 샘플을 절단하였다. 그 후 말린 섹션의 폭과 깊이를 디지털 캘리퍼스로 측정하였고, 평균값을 얻었다.
곡률 반경을 평균 폭과 깊이 측정치로부터 식 r = c2/(8*a)+(a/2)에 따라 산출하였고, 여기서 r은 mm로 곡률 반경이며, c는 mm로 말린 섹션의 폭이고, a는 mm로 말린 섹션의 깊이이다. 기록된 값은 3회 측정치의 평균이었다.
굽힘 계수 측정
3 점 굽힘 방법을 사용한 열기계 분석기(티에이 인스트루먼츠사(TA Instruments, 미국 델라웨어주 뉴 캐슬)제 모델 Q400)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의 4.68 mm x 4.68 mm 샘플에 대한 굽힘 계수를 측정하였다. 시험을 23℃에서 실시하였다. 지지 간격(support span)은 2.508 mm이었다. 휨률(deflection rate)은 대략 분당 0.162 mm이었다. 앞면 패브릭이 위로 향하게 하여 샘플을 시험 장치에 넣었다.
각 샘플의 계수를 식 Ef = L3m/(4bd3)에 따라 산출하였고, 여기서 Ef는 MPa로 굽힘 계수이며, L은 mm로 지지 간격이고, m은 N/mm로 하중 휨 곡선의 처음 직선 부분의 경사이며, b는 mm로 시험 샘플의 폭이고, d는 mm로 시험 샘플의 두께이다. 디지털 마이크로미터(미투토요사(Mitutoyo Corp, 일본 가와사키)제 모델 ID-C112EX)를 사용하여 샘플 두께를 측정하였다.
각 영역에서 6개의 샘플을 3개는 기계(날실) 방향으로 그리고 3개는 횡(씨실) 방향으로 시험하였다. 기록된 값은 모두 6회 측정치의 평균을 나타낸다.
최대 두께 대 면적당 중량비 측정
면적이 5 ㎠인 2개의 강체 면 사이에서 디지털 마이크로미터(모델 XLI 40002, 마르 페더럴사(Mahr Federal Inc., 미국 로드 아일랜드주 프로비덴스))를 사용하여 샘플의 최대 두께를 측정하였다. 최대 두께(즉, 융기 영역의 높이) 및 면적을 측정하는데 어떤 적합한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샘플의 원형부를 직경 8.9 cm로 절단하고, 이것을 0.001 g 가까이 계량함으로써 샘플 중량을 측정하였다. 두께 대 중량비를 등식 D = T/(W/A)에 따라 산출하였고, 여기서 D는 mm/(g/㎡)로 두께 대 중량비이며, T는 mm로 샘플 두께이고, W는 g로 샘플 중량이며, A는 ㎡로 면적이다. 기록된 값은 3회 측정치의 평균을 나타낸다.
신장력 측정
1000 lb 로드 셀(load cell)이 있는 인스트론 유니버설(Instron universal) 시험 장치(모델 5565)를 사용하여 샘플의 신장에 대한 힘을 측정하였다. 3 인치 x 8 인치 샘플 재료를 긴 치수가 최대 신장 방향으로 배향되게 절단하였다. 직경 5 mm의 수평 바를 인스트론의 로드 셀에 부착하였고, 공기압 클램프를 인스트론 베이스에 부착하였다. 수평 바의 상부 가장자리를 공기압 클램프 그립이 상단보다 3" 위에 위치시켰다. 샘플을 3 인치 측면에 평행하게 반으로 접고, 수평 바 위에 놓았다. 샘플에 장력 또는 늘어짐(slack)이 없도록 공기압 클램프 그립에서 샘플의 단부를 함께 클램핑하였다. 샘플을 변형 속도(strain rate) 10 인치/분에서 신장시켰고, 20% 변형률에서 하중을 lbf로 기록하였다. 기록된 값은 3회 측정치의 평균을 나타낸다.
접착제를 적합한 용매에 의해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적층체를 이의 구성 요소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 후 텍스타일의 신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두께
막 또는 텍스타일 적층체를 미투토요 543-252BS 스냅 게이지(Snap Gauge)의 2개 판 사이에 놓음으로써 두께를 측정하였다. 3회 측정치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매트릭스 인장 강도(MTS)
평평 면이 있는(flat-faced) 그립과 0.445 kN 로드 셀이 구비된 인스트론 1122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최대 하중을 측정하였다. 게이지 길이는 5.08 cm이었고, 크로스헤드(cross-head) 속도는 50.8 cm/min이었다. 샘플 치수는 2.54 cm x 15.24 cm이었다. 비교할만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실험실 온도를 68℉ 내지 72℉로 유지하여 비교할만한 결과를 보장하였다. 샘플이 그립 인터페이스에서 파괴되면 데이터를 폐기하였다.
종 방향 MTS 산출을 위해, 더 큰 치수의 샘플을 기계, 또는 "하향 웨브"(down web) 방향으로 배향시켰다. 횡 방향 MTS 산출을 위해, 더 큰 치수의 샘플을 기계 방향에 수직으로, 또한 "횡 웨브"(cross web) 방향으로서 알려진 방향으로 배향시켰다. 메틀러 톨레도(Mettler Toledo) 스케일 모델 AG204를 사용하여 각 샘플을 계량하였다. 그 후 카퍼(Kafer) FZ1000/30 스냅 게이지를 사용하여 샘플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 후 샘플을 인장 시험기에서 개별적으로 시험하였다. 각 샘플에 대해 3개의 상이한 섹션을 측정하였다. 3회 최대 하중(즉, 피크력) 측정치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하기 등식을 사용하여 종 방향 및 횡 방향 MTS를 산출하였다:
MTS = (최대 하중/단면적)*(PTFE의 벌크 밀도)/다공성 막의 밀도)
여기서, PTFE의 벌크 밀도는 2.2 g/cc인 것으로 취한다.
3회의 횡 웨브 측정치의 평균을 종 방향 및 횡 방향 MTS로서 기록하였다.
밀도
밀도를 산출하기 위해, 매트릭스 인장 시험으로부터 측정치를 사용하였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샘플 치수는 2.54 cm x 15.24 cm이었다. 메틀러 톨레도 스케일 모델 AG204를 사용하여 각 샘플을 계량한 다음, 카퍼 FZ1000/30 스냅 게이지를 사용하여 샘플의 두께를 취했다.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샘플의 밀도를 하기식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ρ= 밀도(g/cc)
m = 질량(g)
w = 폭(1.5 cm)
l = 길이(16.5 cm)
t = 두께(cm)
기록된 결과는 6회 산출치의 평균이다.
포점 압력
ASTM F31 6-03의 일반적인 교시에 따라 포점 시험을 진행하였다. 포점은 샘플로부터 생기는 연속 스트림의 기포가 관찰된 최저 압력으로서 생각된다. 샘플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될 때까지 이소프로필 알코올(IPA)과 같은 습윤 액체에 의해 불투명 또는 백색 막 샘플을 습윤화하였다. 막 샘플을 필터 홀더(filter holder)에 넣어 샘플을 고정하였고, 추가량의 IPA를 홀더에 첨가하였다. 샘플의 제1 면에 가스 압력을 증가시켰고, 반면에 샘플의 제2 면을 가스 압력이 증가하였을 때 육안으로 검측하였다. 고정 장치의 가스 압력이 포점 압력에 접근할 때, 약간의 가스 기포가 샘플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관찰된다. 압력이 더 증가할 때, 가스 기포가 ePTFE 막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흘러나오기 시작하며, 이 시점에서 압력을 포점 압력으로 기록한다. 기록된 결과는 평균 3회 측정치이다.
본 발명을 일반적으로 기재하였지만, 예시 목적만으로 제공되며,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모두 포함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 하기에 예시하는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참고하여 추가로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129 g/㎡ 나일론/Roica® 스트레치(stretch) 직물(포르모사 타페타사(Formosa Taffeta Co., 대만 투울리우)제 스타일 GNS3) 한 부분(length)과 폴리우레탄 코팅된 ePTFE 한 부분을 얻었다. ePTFE는 하기 특성이 있었다: 두께 = 0.043 mm, 밀도 = 0.41 g/cc, 길이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 X 106 MPa, 폭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 X 106 MPa, 포점 = 1.5 X 105 MPa. 폴리우레탄(PU)으로 ePTFE 막을 코팅하고, 이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의 세공에 침투시킴으로써 도포한 다음, 경화시켰다.
도 12에 도시한 벌집(육각형) 패턴을 사용하여 박리지(215)를 레이저 절단하였다. 육각형 공극(220)을 10 mm 폭으로 절단하였고, 박리지(230)의 4 mm 폭 스트립에 의해 분리하였다. 박리지를 코팅된 막의 ePTFE 측면 위에 위치시켰고, 박리지 플러스 막을 그라비어 인쇄기에 공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지는 않지만, 도 17에 도시한 대체 실시형태에서, 도포된 접착제 패턴(일반적으로 도 17에서 부호(317)로서 제시됨)이 위에 있는 그라비어 롤(315)은 접착제를 기능성 필름 층(예, 코팅된 막)에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박리지(215)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라비어 롤(315)의 일부(325)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으며, 접착제 패턴(317)과 비접착제 부분(327) 둘 다 포함한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2층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얻고, 롤(250)을 통해 막의 ePTFE 측면에 가열된 접착제 도트를 도포하기 위해 인쇄기에 적재하였다. 직경 500 마이크론의 도트를 39%의 피복 면적률로 ePTFE 막(260)의 벗겨진(unmasked) 부분에 도포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접착제의 "피복 면적률"은 소정의 영역에서 접착제의 총 2차원 면적을 소정 영역의 면적으로 나누어, 100%를 곱한 것을 뜻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스트레치 직물을 인장시켰고, 박리지(215)(마스크)를 제거하였으며, 스트레치 직조 텍스타일(270)을 막(260)의 접착제 면 위에 놓았다. 텍스타일(270) 위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생성된 적층체(280)를 롤(도시 안 됨)에 감았고, 대략 2일이 필요한, 습기 경화를 허용하였다.
습기 경화 후, 적층체를 풀고, 이완시켰고, 이로써 텍스타일의 처음,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였다. 육각형 패턴을 육안으로 볼 수 있었다. 샘플은 박리지에서 육각형 공극에 상응하는 부분에 국소화 컬링을 나타냈다. 이들 부분의 오목한 표면은 적층체의 텍스타일 면 쪽이었다.
컬링된 섹션의 폭은 7.3 mm이었고, 깊이는 0.9 mm이었으며, 곡률 반경은 7.8 mm이었다. 얻어진 적층체는 173 g/㎡로 계량되었다. 샘플의 수증기 투과 속도는 10,048 g/㎡/24h이었다. 샘플은 방액성과 통기성이 있었다. 적층체의 단위 질량당 내열성은 0.090 (㎡K/W)(kg/㎡)이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중량비는 0.0051 mm/(g/㎡)이었다.
실시예 2
하기 제외 사항 외에 실시예 1에서 일반적으로 기재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적층체를 만들었다. 텍스타일은 93.2 g/㎡ 나일론 직물(밀리켄(Milliken,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스파턴버그)제 스타일 131913)이었고, 박리지 내 육각형 공극은 폭이 30 mm이었으며, 6 mm 폭의 박리지의 스트립에 의해 분리되었고, 텍스타일은 예비 신장되지 않았으며, 추가의 접착제 도트가 또한 ePTFE의 코팅된 면에 도포되었고, 텍스타일의 제3 층, 37.3 g/㎡ 폴리에스테르 니트(글렌 라벤(Glen Raven,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글렌 라벤)제 스타일 A1012)를 나일론 직조 텍스타일 반대 측면 위 접착제에 추가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는 180 g/㎡로 계량되었다. 샘플의 수증기 투과 속도는 7,069 g/㎡/24h이었다. 샘플은 방액성과 통기성이 있었다. 적층체의 단위 질량당 내열성은 0.024 (㎡K/W)(kg/㎡)이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중량비는 0.0021 mm/(g/㎡)이었다. 접착 영역에서 굽힘 계수는 11.3 MPa이었다. 비접착 영역에서 굽힘 계수는 2.40 MPa이었다.
실시예 3
49.0 g/㎡ 나일론 직물(밀리켄제 스타일 131907)의 한 부분과 ePTFE 막의 한 부분을 얻었다. ePTFE는 하기 특성이 있었다: 두께 = 0.126 mm, 밀도 = 0.402 g/cc, 길이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28.5 X 106 Pa, 폭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144.3 X 106 Pa, 포점 = 9.55 X 104 Pa. 12 내지 15 g/㎡의 피복률로 도포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연속 층을 사용하여 두께 25.4 마이크론의, 모놀리식,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디어필드 우레탄(Deerfield Urethane, 미국 매사추세츠주 사우쓰 디어필드)제 파트 번호 PT1710S)에 ePTFE 막을 적층하였다.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로버트 헨(Robert Henn)의 미국특허 제4,532,31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습기 경화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접착제이었다.
텍스타일을 그라비어 롤에 압착시키는데 폭이 4 mm이고, 깊이가 2 mm인 채널(300)에 의해 분리된 폭 10 mm의 융기된 육각형 부분(290)으로 이루어진 패턴화 고무 롤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패턴화 고무 롤(310)의 일부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폴리우레탄 접착제(240)를 얻었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250)을 통해 텍스타일(320)에 가열된 접착제 도트를 도포하기 위해 인쇄기에 적재하였다. 직경 335 마이크론의 도트를 주로 패턴화 고무 롤(310)의 융기부에 의해 지지된 부분에서 53%의 피복 면적률로 텍스타일(320)에 도포하였다. ePTFE/PU 필름(330)을 인장시켰고, 필름의 PU 면을 코팅된 텍스타일의 접착제 면 위에 놓았다. ePTFE/PU 필름(330)에 장력을 보유하면서, 얻어진 적층체(340)를 롤(도시 안 됨)에 감았고, 대략 2일이 필요한, 습기 경화를 허용하였다.
습기 경화 후, 적층체를 풀고, 이완시켰고, 이로써 필름의 처음,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였다. 육각형 패턴을 육안으로 볼 수 있었다. 샘플은 패턴화 고무 롤의 융기된 육각형 부분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국소화 컬링을 나타냈다. 이들 부분의 오목한 표면은 적층체의 필름 면 쪽이었다.
컬링된 섹션의 폭은 6.7 mm이었고, 깊이는 2.3 mm이었으며, 곡률 반경은 3.6 mm이었다. 얻어진 적층체는 202 g/㎡로 계량되었다. 샘플의 수증기 투과 속도는 4,243 g/㎡/24h이었다. 샘플은 방액성과 통기성이 있었다. 적층체의 단위 질량당 내열성은 0.204 (㎡K/W)(kg/㎡)이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중량비는 0.010 mm/(g/㎡)이었다.
실시예 4
137.7 g/㎡ 나일론/엘라스탄 스트레치 직물(치아 허 인더스트리얼사(Chia Her Industrial Co., 대만 타이페이)제 스타일 Q4410) 한 부분 및 폴리우레탄 코팅 ePTFE 한 부분을 얻었다. ePTFE는 하기 특성이 있었다: 두께 = 0.043 mm, 밀도 = 0.41 g/cc, 길이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 X 106 MPa, 폭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 X 106 MPa, 포점 = 1.5 X 105 MPa. 폴리우레탄(PU)으로 ePTFE 막을 코팅하고, 이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의 세공에 침투시킴으로써 도포한 다음, 경화시켰다.
도 12에 도시한 벌집(육각형) 패턴을 사용하여 박리지(215)를 레이저 절단하였다. 육각형 공극(220)을 10 mm 폭으로 절단하였고, 박리지(230)의 4 mm 폭 스트립에 의해 분리하였다. 박리지를 코팅된 막의 ePTFE 측면 위에 위치시켰고, 박리지 플러스 막을 그라비어 인쇄기에 공급하였다. 도 17에 도시한 대체 실시형태에서, 도포된 접착제 패턴(일반적으로 도 17에서 부호(317)로서 제시됨)이 위에 있는 그라비어 롤(315)은 접착제를 기능성 필름 층(예, 코팅된 막)에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박리지(215)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라비어 롤의 일부(325)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으며, 접착제 패턴(317)과 비접착제 부분(327) 둘 다 포함한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2층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얻고, 롤(250)을 통해 막의 ePTFE 측면에 가열된 접착제 도트를 도포하기 위해 인쇄기에 적재하였다. 폭 305 마이크론의 정사각형 접착제 도트를 83%의 피복 면적률로 ePTFE 막(260)의 벗겨진 부분에 도포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접착제의 "피복 면적률"은 소정의 영역에서 접착제의 총 2차원 면적을 소정 영역의 면적으로 나누어, 100%를 곱한 것을 뜻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스트레치 직물을 인장시켰고, 박리지(215)(마스크)를 제거하였으며, 스트레치 직조 텍스타일(270)을 막(260)의 접착제 면 위에 놓았다. 텍스타일(270) 위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생성된 적층체(280)를 롤(도시 안 됨)에 감았고, 대략 2일이 필요한, 습기 경화를 허용하였다.
습기 경화 후, 적층체를 풀고, 이완시켰고, 이로써 텍스타일의 처음,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였다. 육각형 패턴을 육안으로 볼 수 있었다. 샘플은 박리지에서 육각형 공극에 상응하는 부분에 국소화 컬링을 나타냈다. 이들 부분의 오목한 표면은 적층체의 텍스타일 면 쪽이었다.
컬링된 섹션의 폭은 6.37 mm이었고, 깊이는 2.54 mm이었으며, 곡률 반경은 3.27 mm이었다. 얻어진 적층체는 194.5 g/㎡로 계량되었다. 샘플의 수증기 투과 속도는 4470 g/㎡/24h이었다. 샘플은 방액성과 통기성이 있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중량비는 0.014 mm/(g/㎡)이었다. 20% 변형률에서 샘플의 신장력은 0.23 lbf이었다. 20% 변형률에서 원 스트레치 직물의 신장력은 0.73 lbf이었다.
비교예 1
비교의 선행 기술 스트레치 재료를 하기 방식으로 조립하고, 비교 목적으로 기재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137.7 g/㎡ 나일론/엘라스탄 스트레치 직물(치아 허 인더스트리얼사제 스타일 Q4410) 한 부분 및 폴리우레탄 코팅 ePTFE 한 부분을 얻었다. ePTFE는 하기 특성이 있었다: 두께 = 0.043 mm, 밀도 = 0.41 g/cc, 길이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 X 106 MPa, 폭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 X 106 MPa, 포점 = 1.5 X 105 MPa. 폴리우레탄(PU)으로 ePTFE 막을 코팅하고, 이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의 세공에 침투시킴으로써 도포한 다음, 경화시켰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2층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얻고, 롤(250)을 통해 막의 ePTFE 측면에 가열된 접착제 도트를 도포하기 위해 인쇄기에 적재하였다. 직경 500 마이크론의 접착제 도트를 40%의 피복 면적률로 ePTFE 막(260)에 도포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접착제의 "피복 면적률"은 소정의 영역에서 접착제의 총 2차원 면적을 소정 영역의 면적으로 나누어, 100%를 곱한 것을 뜻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스트레치 직물(270)을 인장시켰고, 막(260)의 접착제 면 위에 놓았다. 텍스타일(270) 위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생성된 적층체(280)를 롤(도시 안 됨)에 감았고, 대략 2일이 필요한, 습기 경화를 허용하였다.
습기 경화 후, 적층체를 풀고, 이완시켰고, 이로써 텍스타일의 처음,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는 164.4 g/㎡로 계량되었다. 샘플의 수증기 투과 속도는 13540 g/㎡/24h이었다. 샘플은 방액성과 통기성이 있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중량비는 0.0035 mm/(g/㎡)이었다. 20% 변형률에서 샘플의 신장력은 5.25 lbf이었다.
실시예 5
49.0 g/㎡ 나일론 직물(밀리켄제 스타일 131907)의 한 부분과 ePTFE 막의 한 부분을 얻었다. ePTFE는 하기 특성이 있었다: 두께 = 0.043 mm, 밀도 = 0.41 g/cc, 길이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 X 106 MPa, 폭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 X 106 MPa, 포점 = 1.5 X 105 MPa. 12 내지 15 g/㎡의 피복률로 도포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연속 층을 사용하여 두께 25.4 마이크론의, 모놀리식,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디어필드 우레탄제 파트 번호 PT1710S)에 ePTFE 막을 적층하였다.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로버트 헨(Robert Henn)의 미국특허 제4,532,31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습기 경화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접착제이었다.
도 12에 도시한 벌집(육각형) 패턴을 사용하여 박리지(215)를 레이저 절단하였다. 육각형 공극(220)을 10 mm 폭으로 절단하였고, 박리지(230)의 4 mm 폭 스트립에 의해 분리하였다. 박리지를 직물 위에 위치시켰고, 박리지 플러스 직물을 그라비어 인쇄기에 공급하였다. 도 17에 도시한 대체 실시형태에서, 도포된 접착제 패턴(일반적으로 도 17에서 부호(317)로서 제시됨)이 위에 있는 그라비어 롤(315)은 접착제를 직물에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박리지(215)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라비어 롤의 일부(325)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으며, 접착제 패턴(317)과 비접착제 부분(327) 둘 다 포함한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2층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얻고, 롤(250)을 통해 직물에 가열된 접착제 도트를 도포하기 위해 인쇄기에 적재하였다. 폭 305 마이크론의 정사각형 접착제 도트를 83%의 피복 면적률로 직물(320)의 벗겨진 부분에 도포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접착제의 "피복 면적률"은 소정의 영역에서 접착제의 총 2차원 면적을 소정 영역의 면적으로 나누어, 100%를 곱한 것을 뜻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ePTFE/폴리우레탄 필름을 인장시켰고, 박리지(215)(마스크)를 제거하였으며, ePTFE/폴리우레탄 필름(330)을 직물(320)의 접착제 면 위에 놓았다. ePTFE/폴리우레탄 필름(330) 위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생성된 적층체(340)를 롤(도시 안 됨)에 감았고, 대략 2일이 필요한, 습기 경화를 허용하였다.
습기 경화 후, 적층체를 풀고, 이완시켰고, 이로써 필름의 처음,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였다. 육각형 패턴을 육안으로 볼 수 있었다. 샘플은 박리지에서 육각형 공극에 상응하는 부분에 국소화 컬링을 나타냈다. 이들 부분의 오목한 표면은 적층체의 필름 면 쪽이었다.
컬링된 섹션의 폭은 6.07 mm이었고, 깊이는 2.88 mm이었으며, 곡률 반경은 3.04 mm이었다. 얻어진 적층체는 247 g/㎡로 계량되었다. 샘플의 수증기 투과 속도는 3255 g/㎡/24h이었다. 샘플은 방액성과 통기성이 있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중량비는 0.013 mm/(g/㎡)이었다. 20% 변형률에서 샘플의 신장력은 0.77 lbf이었다. 20% 변형률에서 원 스트레치 직물의 신장력은 6.63 lbf이었다.
비교예 2
비교의 선행 기술 스트레치 재료를 하기 방식으로 조립하고, 비교 목적으로 기재한 바와 같이 시험하였다. 49.0 g/㎡ 나일론 직물(밀리켄제 스타일 131907)의 한 부분과 ePTFE 막의 한 부분을 얻었다. ePTFE는 하기 특성이 있었다: 두께 = 0.043 mm, 밀도 = 0.41 g/cc, 길이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 X 106 MPa, 폭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 X 106 MPa, 포점 = 1.5 X 105 MPa. 12 내지 15 g/㎡의 피복률로 도포된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연속 층을 사용하여 두께 25.4 마이크론의, 모놀리식,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디어필드 우레탄제 파트 번호 PT1710S)에 ePTFE 막을 적층하였다. 통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로버트 헨(Robert Henn)의 미국특허 제4,532,31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습기 경화된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접착제이었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2층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얻고, 롤(250)을 통해 직물에 가열된 접착제 도트를 도포하기 위해 인쇄기에 적재하였다. 폭 390 마이크론의 정사각형 접착제 도트를 15.5%의 피복 면적률로 직물(320)의 벗겨진 부분에 도포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접착제의 "피복 면적률"은 소정의 영역에서 접착제의 총 2차원 면적을 소정 영역의 면적으로 나누어, 100%를 곱한 것을 뜻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ePTFE/폴리우레탄 필름(330)을 인장시켰고, 직물(320)의 접착제 면 위에 놓았다. ePTFE/폴리우레탄 필름(330) 위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생성된 적층체(340)를 롤(도시 안 됨)에 감았고, 대략 2일이 필요한, 습기 경화를 허용하였다.
습기 경화 후, 적층체를 풀고, 이완시켰고, 이로써 필름의 처음,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는 149.2 g/㎡로 계량되었다. 샘플의 수증기 투과 속도는 6784 g/㎡/24h이었다. 샘플은 방액성과 통기성이 있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중량비는 0.0036 mm/(g/㎡)이었다. 20% 변형률에서 샘플의 신장력은 6.39 lbf이었다.
실시예 6
79.4 g/㎡ 폴리에스테르 니트 재료(타오 통 텍스타일사(Tah Tong Textile Co., 대만 타이페이)제 스타일 MT-O50) 한 부분과 폴리우레탄 코팅 ePTFE 한 부분을 얻었다. ePTFE는 하기 특성이 있었다: 두께 = 0.043 mm, 밀도 = 0.41 g/cc, 길이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31 X 106 MPa, 폭 방향에서 매트릭스 인장 강도 = 93 X 106 MPa, 포점 = 1.5 X 105 MPa. 폴리우레탄(PU)으로 ePTFE 막을 코팅하고, 이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의 세공에 침투시킴으로써 도포한 다음, 경화시켰다.
도 19에 도시한 패턴을 사용하여 박리지(410)를 레이저 절단하였다. 공극(420)의 치수는 폭 3 mm x 길이 27 mm이었고, 박리지(410)의 폭 5 mm 스트립에 의해 분리되었다. 박리지(410)를 코팅된 막의 ePTFE 면 위에 위치시키고, 박리지 플러스 막을 그라비어 인쇄기로 공급하였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면, 공극(420)의 더 긴 길이가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 박리지(410)가 박리지(215)를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2층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라인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또 다른 폴리우레탄(240)을 얻고, 롤(250)을 통해 막의 ePTFE 측면에 가열된 접착제 도트를 도포하기 위해 인쇄기에 적재하였다. 접착제를 ePTFE 막(260)의 벗겨진 부분에 도포하였다. 박리지(410)(마스크)를 제거하였으며, 니트 재료(270)를 막(260)의 접착제 면 위에 놓았다. 니트(270) 위에 장력을 유지하면서, 생성된 적층체(280)를 롤(도시 안 됨)에 감았고, 대략 2일이 필요한, 습기 경화를 허용하였다.
습기 경화 후, 적층체를 풀고, 이완시켰고, 이로써 텍스타일의 처음,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였다. 장력에서 이와 같은 감소는 니트가 횡 웨브 방향, 즉 텍스타일의 평면에서 니트 텍스타일의 니트 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게 하였고, 이는 박리지에서 공극에 상응하지 않는 부분에서 니트의 휨과 접힘을 야기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는 298 g/㎡로 계량되었다. 샘플의 두께 대 면적당 중량비는 0.0077 mm/(g/㎡)이었다. 샘플의 수증기 투과 속도는 6480 g/㎡/24h이었다. 샘플은 방액성과 통기성이 있었다.
본 출원의 발명을 일반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모두 상기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에 제시하는 청구범위의 기술을 제외하고 달리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75)

  1. 기능성 필름 층;
    제1 텍스타일(textile);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에 의해 분리되는 2개 이상의 접착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 영역은 각각 다수의 접착제 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 내 인접 접착제 도트 사이의 거리는 연속 접착제 영역 사이의 거리 미만이며,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distinctive shape)을 갖고,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stretch force)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3배 미만인 적층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2배 미만인 적층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 미만인 적층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5배 미만인 적층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33배 미만인 적층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16배 미만인 적층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착제 도트는 상기 접착제 영역 내에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인 적층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불소 중합체인 적층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발포(expanded)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발포 개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e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PTFE,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적층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방수성 및 통기성인 적층 물품.
  11. 기능성 필름 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접착제 영역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폭이 약 2 mm를 초과하며,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3배 미만인 적층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2배 미만인 적층 물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 미만인 적층 물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5배 미만인 적층 물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33배 미만인 적층 물품.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16배 미만인 적층 물품.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물품은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구부러지는 것인 적층 물품.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불소 중합체인 적층 물품.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발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발포 개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e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PTFE,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적층 물품.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방수성 및 통기성인 적층 물품.
  21. 기능성 필름 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제1 접착제 영역과 제2 접착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은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보다 더 큰 접착제의 양을 함유하고,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3배 미만인 적층 물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2배 미만인 적층 물품.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 미만인 적층 물품.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5배 미만인 적층 물품.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33배 미만인 적층 물품.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16배 미만인 적층 물품.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내에서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것인 적층 물품.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불소 중합체인 적층 물품.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발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발포 개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e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PTFE,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적층 물품.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방수성 및 통기성인 적층 물품.
  31. 기능성 필름 층;
    상기 기능성 필름 층에 제1 접착제 층에 의해 접착되는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접착제의 제1 피복 면적률(percent area coverage)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1 영역과 접착제의 제2 피복 면적률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의 제1 피복 면적률은 상기 접착제의 제2 면적 피복률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형상은 2회 이상 반복되고,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3배 미만인 적층 물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2배 미만인 적층 물품.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 미만인 적층 물품.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5배 미만인 적층 물품.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33배 미만인 적층 물품.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16배 미만인 적층 물품.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및 상기 제2 접착제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 내에서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것인 적층 물품.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불소 중합체인 적층 물품.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발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발포 개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e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PTFE,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적층 물품.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방수성 및 통기성인 적층 물품.
  41. 적층 물품의 형성 방법으로서,
    제1 텍스타일을 인장하는 단계,
    접착제 영역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접착제 층에 의해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이완시켜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적층 물품의 컬링(curling)을 야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며,
    연속하는 상기 접착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약 2 mm보다 더 크고,
    상기 적층 물품은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3배 미만인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2배 미만인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 미만인 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5배 미만인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33배 미만인 방법.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16배 미만인 방법.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내에서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것인 방법.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불소 중합체인 방법.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발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발포 개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e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PTFE,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방수성 및 통기성인 방법.
  51. 적층 물품의 형성 방법으로서,
    기능성 필름 층을 인장하는 단계,
    상기 인장된 기능성 필름 층을 제1 접착제 층에 의해 제1 텍스타일에 접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접착제 영역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을 포함하여 적층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 물품을 이완시켜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적층 물품의 컬링을 야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이 가지며,
    연속하는 상기 접착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약 2 mm보다 더 크고,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3배 미만인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2배 미만인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 미만인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5배 미만인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33배 미만인 방법.
  56.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0.16배 미만인 방법.
  57.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내에서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것인 방법.
  58.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불소 중합체인 방법.
  59.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발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발포 개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ePTFE, 보호 코팅으로 코팅된 PTFE,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60.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은 방수성 및 통기성인 방법.
  61. 기능성 필름 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접착제 영역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폭이 약 2 mm를 초과하며,
    상기 접착제 영역 내에서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적층 물품.
  62. 기능성 필름 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에 의해 분리되는 2개 이상의 접착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 영역은 각각 다수의 접착제 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 내 인접 접착제 도트 사이의 거리는 연속 접착제 영역 사이의 거리 미만이며,
    상기 2개 이상의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갖고,
    상기 다수의 접착제 도트는 상기 접착제 영역 내에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적층 물품.
  63. 기능성 필름 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제1 접착제 영역과 제2 접착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은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보다 더 큰 접착제의 양을 함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 내에서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적층 물품.
  64. 기능성 필름 층;
    상기 기능성 필름 층에 제1 접착제 층에 의해 접착되는 제1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접착제의 제1 피복 면적률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1 영역과 접착제의 제2 피복 면적률을 가진 하나 이상의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의 제1 피복 면적률은 상기 접착제의 제2 면적 피복률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형상은 2회 이상 반복되고,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접착제 영역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접착제 영역 내에서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적층 물품.
  65. 적층 물품의 형성 방법으로서,
    탄성(elastomeric) 필름을 인장하는 단계,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인장된 탄성 필름을 접착함으로써, 접착된 탄성 필름 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된 탄성 필름 층을 인장하고, 이를 제1 접착제 층에 의해 제1 텍스타일에 접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접착제 영역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을 포함하여 적층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층 물품을 이완시켜 접착제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적층 물품의 컬링을 야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을 가지며,
    연속하는 접착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약 2 mm보다 더 크고,
    상기 적층 물품은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접착제 영역 내에서 접착제의 분포는 불균일한 방법.
  66. 적층 물품의 형성 방법으로서,
    제1 텍스타일을 인장하여 상기 제1 텍스타일의 폭 감소를 달성하는 단계,
    접착제 영역 및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접착제 층에 의해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제1 텍스타일 상에서 장력을 감소시키고, 제1 텍스타일을 장력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확장시켜,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에서 상기 제1 텍스타일의 번칭(bunching)을 야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상기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접착제 영역은 하나 이상의 변별적 형상이 있는 방법.
  67.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기능성 필름 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제2 면 상의 제2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제1 접착제 영역과 제1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제1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폭이 약 2 mm를 초과하는 적층 물품.
  68.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기능성 필름 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제2 면 상의 제2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제1 접착제 영역과 제1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상기 제1 접착제 영역 사이에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제1의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영역은 폭이 약 2 mm를 초과하며,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의 3배 미만인 적층 물품.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제1 텍스타일의 신장력 미만인 적층 물품.
  70. 기능성 필름 층;
    제1 텍스타일; 및
    상기 기능성 필름 층과 상기 제1 텍스타일을 접착하는 제1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적층 물품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 층은 제1 접착제 영역과 제2 접착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제 영역은 상기 제2 접착제 영역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양보다 더 큰 접착제의 양을 함유하고,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신장력의 3배 미만인 적층 물품.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신장력의 2배 미만인 적층 물품.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신장력 미만인 적층 물품.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신장력의 0.5배 미만인 적층 물품.
  74.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신장력의 0.33배 미만인 적층 물품.
  75.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20% 연신율에서 신장력이 상기 기능성 필름 층의 신장력의 0.16배 미만인 적층 물품.
KR1020157022666A 2013-03-15 2014-03-13 불연속 접착 영역을 갖는 적층 물품 KR201501107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43,682 US9121130B2 (en) 2012-03-28 2013-03-15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US13/843,682 2013-03-15
PCT/US2014/025236 WO2014151223A1 (en) 2013-03-15 2014-03-13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701A true KR20150110701A (ko) 2015-10-02

Family

ID=5158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666A KR20150110701A (ko) 2013-03-15 2014-03-13 불연속 접착 영역을 갖는 적층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971328A4 (ko)
JP (1) JP2016517364A (ko)
KR (1) KR20150110701A (ko)
CN (1) CN105051286A (ko)
CA (1) CA2901140A1 (ko)
HK (1) HK1217357A1 (ko)
RU (1) RU2015144310A (ko)
WO (1) WO2014151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5450A1 (de) * 2015-08-13 2017-02-16 Adidas Ag Schallschutzstruktur für ein Kleidungsstück
DE202015009705U1 (de) 2015-11-16 2019-07-11 W.L. Gore & Associates, Inc. Oberkörper-Kleidungsstück
KR20180081135A (ko) * 2015-11-16 2018-07-13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상체 가먼트
JP6646159B2 (ja) * 2016-02-03 2020-02-14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W.L. Gore & Associates, Incorporated テクスチャー加工された、通気性のあるテキスタイル積層体およびそれから調製された衣類
KR102048764B1 (ko) 2017-05-24 2019-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플라즈마 발생장치
RU2734204C1 (ru) * 2017-10-31 2020-10-13 Кимберли-Кларк Ворлдвайд, Инк. Эластичные слоистые материалы с изогнутыми резинками и способы изготовления
JP7297873B2 (ja) * 2018-09-10 2023-06-26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ーツ,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アークフラッシュ保護材料
JP7436029B2 (ja) 2020-11-12 2024-02-21 平岡織染株式会社 高強度ターポリンの基布の回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6328A (en) * 1987-11-13 1989-03-28 W. L. Gore & Associates, Inc. Breathable, non-linting laminate
US4935287A (en) * 1989-08-30 1990-06-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etchable laminate constructions
US5364678A (en) * 1989-10-17 1994-11-15 Malden Mills Industries, Inc. Windproof and water resistant composite fabric with barrier layer
US5529830A (en) * 1994-05-25 1996-06-25 W. L. Gore & Associates, Inc. Two-way stretchable fabric laminate and articles made from it
WO2000013889A1 (en) * 1998-09-08 2000-03-16 Brookwood Companies Incorporated Breathable waterproof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9782947B2 (en) * 2007-05-25 2017-10-10 W. L. Gore & Associates, Inc. Fire resistant laminate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10364527B2 (en) * 2007-10-24 2019-07-30 W. L. Gore & Associates, Inc. Burn protective materials
US8679285B2 (en) * 2009-03-31 2014-03-25 Velero Industries B.V. Breathable fabric lamination
DE202010005987U1 (de) * 2010-04-22 2010-07-08 W. L. Gore & Associates Gmbh Textiles Laminat mit einer Barrierelage mit elastischen Eigenschaften
US9944044B2 (en) * 2010-05-06 2018-04-17 W. L. Gore & Associates, Inc. Contamination resistant air permeable fabric laminate and garments made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7364A (ja) 2016-06-16
HK1217357A1 (zh) 2017-01-06
CN105051286A (zh) 2015-11-11
CA2901140A1 (en) 2014-09-25
EP2971328A4 (en) 2017-05-03
EP2971328A1 (en) 2016-01-20
RU2015144310A (ru) 2017-04-21
WO2014151223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7647C (en)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adhesive regions
KR20150110701A (ko) 불연속 접착 영역을 갖는 적층 물품
US9121130B2 (en)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US9238344B2 (en) Laminat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ed regions
CA2910563C (en) Multi-layered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adhesive regions
CN109963707B (zh) 可拉伸层叠体
CN112543785B (zh) 聚乙烯膜
RU2492886C2 (ru) Растяжимый противохимический защитный материал
CN112543786A (zh) 聚乙烯膜
US20180352883A1 (en) Upper body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