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213A - A construct method of the bottom floor for reduce floor impact sound - Google Patents

A construct method of the bottom floor for reduce floor impact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213A
KR20150110213A KR1020140034316A KR20140034316A KR20150110213A KR 20150110213 A KR20150110213 A KR 20150110213A KR 1020140034316 A KR1020140034316 A KR 1020140034316A KR 20140034316 A KR20140034316 A KR 20140034316A KR 20150110213 A KR20150110213 A KR 20150110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und
floor
sound insulating
inter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58751B1 (en
Inventor
홍성정
홍창의
Original Assignee
홍성정
홍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정, 홍창의 filed Critical 홍성정
Priority to KR102014003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751B1/en
Publication of KR2015011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2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7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b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in a multi-storey building made of concret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in particular, to a slab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in a multi-storey building to prevent crashing sounds from a floor installation layer of an upper floor from being transferred to a concrete placing layer for making up the roof of a lower floor in a slab made up by a concrete placing layer and a floor installation layer.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problem caused when the crashing sound from the floor installation layer of the upper floor is amplified by resonance to be transferred to the lower floor through an internal space of a pipelin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concrete placing layer, and an empty space in which concrete is not filled.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및 그 시공방법{A construct method of the bottom floor for reduce floor impact soun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for dividing a floor of a multi-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성형되어지는 다층건물에서의 층간 소음의 저감을 위한 시공방법 및 층간소음저감을 위한 매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층간을 구획하는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바닥층의 시공시 내설되어지는 배관등의 빈 공간으로 인하여 상층의 바닥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공명현상에 의한 소리의 전달이 증폭되면서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in a multi-layered building formed of concrete, and a structure of a mat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floor, So that the impact sound generated in the bottom layer of the upper layer is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while amplifying the sound transmission due to the resonance phenomenon.

현재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100)은 콘크리트로 타설할 경우에 바닥층의 내부에는 싱크대의 배수를 위한 배관이나 또는 전선의 연결을 위한 배관등의 다양한 배관이 내설되어지는 상태에서 콘크리트로 타설하게 되는 콘크리트타설층(110)과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층(110)의 상층에 윗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난방배관등을 위한 바닥시공층(1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the case of a concrete floor, the bottom layer 100 dividing a floor of a multi-story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the like is provided with various piping such as piping for drainage of a sink or piping for connection of electric wires. And a floor construction layer 120 for a heating pipe for forming a floor of an upper layer in an upper layer of the concrete casting layer 110. [

현재 다층건물에서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1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층(110)은 층간소음을 감안하여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통상 210 mm로 하고 있으나 그 내부에는 상기와 같이 욕실 또는 싱크대의 배수를 위한 배관(111)이나 또는 전선의 연결을 위한 배관 등의 다양한 배관이 내설되어지는데 이러한 배관(111)이 내설된 상태에서 철근(112)이 구비됨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경우에 콘크리트가 배관(111)등을 감싸면서 긴밀하게 밀착되어져야 하는데 콘크리트의 점도와 철근 등의 간섭으로 인하여 이러한 배관(111)을 감싸면서 긴밀한 채움이 불가능하여 배관의 주변에는 실질적으로 많은 공간(113)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which forms the bottom layer 100 separating the interlayer spaces in the multi-ply building, is generally 210 mm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layer noise. However, The pipe 111 and the pipe for connection of the electric wire are installed in the pipe 111. When the pipe 111 is installed and the reinforcing bar 112 is installed to insert the concrete into the pipe 111, But it is impossible to tightly fill the pipe 111 because of the viscosity of the concrete and the interference of the reinforcing bars, so that a substantial amount of space 113 is formed around the pipe.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가 채움되지 못하는 배관(111)주변의 미세한 많은 공간(113)과 배관(111)의 내부공간(111a)이 형성된 상태에서 다층건물의 바닥층(1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층(110)은 아랫층의 지붕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forming the bottom layer 100 of the multi-ply building in the state in which a large number of fine spaces 113 around the pipe 111 and the inner space 111a of the pipe 111 are formed, Will form the roof of the lower layer.

또한 아랫층의 지붕을 형성하는 윗층의 바닥층(100)은 콘크리트 타설층(110)의 상층으로 바닥시공층(120)을 형성할 경우에 난방배관의 시공과 단열을 위하면서 층간소음을 감안하여 1차적으로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콘크리트타설층(110)의 상면에 고무 등의 완충력을 구비하는 층간차음재 또는 차음과 동시에 단열이 가능한 압축 스티로폴 등의 마감재(121)를 여러 조각(121a,121b,121c,…)으로 연결하여 30㎜두께 정도로 깔고 이러한 여러조작(121a,121b,121c,…)으로 연결된 부위에는 테이프 등으로 고정토록 한 후 그 상면에 마감재(121)의 고정과 난방코일(123)의 배관 시공을 위하여 기포콘크리트를 40㎜정도로 발포성형토록 하여 기포콘크리트층(122)을 형성하고, 상기 기포콘크리트층(122)의 상면으로는 15~20㎜의 직경을 갖는 난방코일(123)을 배관고정토록 한 후 상기 배관코일(123)을 감싸면서 외장마감을 위하여 몰탈을 40㎜정도로 도포토록 하여 몰탈층(124)을 형성하고, 상기 몰탈층(124)의 상면으로는 나무 등의 마감장식재를 10㎜정도로 마감층(125)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120 is formed as an upper layer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the upper floor layer 100 forming the roof of the lower layer is designed to have a primary (121a, 121b, 121c, 121c, 121d, 121c, 121d, 121c, 121d, 121d, 121d, 121d, 121d, 121d, 121d, 121d, 121d, 121d, 121d, 121d, 121d, 121d, ..., 121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concrete pouring layer (110) laid on concrete with a buffering force of rubber or the like. ), And a part connected to these operations 121a, 121b, 121c, ... is fixed with a tape or the like, and the fixing of the finishing material 121 and the piping construction of the heating coil 123 are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heating coil 123 having a diameter of 15 to 20 mm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amed concrete layer 122 by piping to form the foamed concrete layer 122 Then, The mortar layer 124 is formed by applying the mortar to a thickness of about 40 mm for covering the tube coil 123 while covering the tube coil 123. The upper surface of the mortar layer 124 is made of a finishing material such as wood, (125).

그러나 이러한 바닥층(100)구조에서 윗층의 바닥시공층(120)의 상면 즉 위층의 바닥면에서 충격음이 발생되면 충격음은 소리의 전달이 초속 340m를 가기 때문에 바닥시공층의 상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그 진동이 그대로 소음저감을 위하여 사용되는 마감재(121)로 전달되고, 마감재는 통상 여러조작(121a,121b,121c,…)으로 연결되어 있고 단지 접착테이프로만 연결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이로 소리가 빠져나가면서 순간적으로 아랫층의 천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타설층으로 전달되면서 콘크리트타설층의 콘크리트가 채움되지 못하는 배관(111)주변의 미세한 많은 공간(113)과 배관(111)의 내부공간(111a)에서 공명현상을 일으키면서 큰소리로 증폭되어져 아랫층의 전체로 층간소음이 전달되어지는 것이다.However, when an impact sound is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120 in the upper floor structure, the noise transmitted from the upper floor of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is lowere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nish material 121 used for noise reduction as it is, and the finish material is usually connected by the various operations 121a, 121b, 121c, ..., and only the adhesive tape is connected. A large number of minute spaces 113 around the pipe 111 where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is not filled and a resonance phenomenon in the inner space 111a of the pipe 111 are transmitted to the concrete pouring layer which forms the ceiling of the lower layer momentarily And amplified by a loud noise, so that the interlayer noise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lower layer.

즉 위층의 바닥시공층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충격음이 이러한 콘크리트타설층의 공간(113) 또는 내부공간(111a)으로 인하여 공명현상을 일으키면서 소리가 커지게 되어 아랫층의 지붕 전체로 전달되어지는 것이다.That is, a fine impact sound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construction layer is resonated due to the space (113) or the internal space (111a)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so that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roof of the lower floor.

따라서 현재 정부에서 규정하고 있는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와 같이 수치적으로 규정된 것에 대한 대응에 따라 숫치적으로 계산된 상태로 시공토록 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층간의 소음은 차단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어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struct the system in a numerically calculated state according to the response to the numerical specification such as "40dB during the day and 35dB during the night", which is currently defined by the government, It is impossible to do so.

즉 다층건물의 시공 당시에 층간소음을 위한 숫치적인 기준(법규)에 대응하여 숫치적으로 시공되지만 이러한 정도의 두께는 윗층의 바닥시공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아랫층의 지붕으로 전달될 경우에는 상층의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콘크리트타설층에는 주방이나 욕실등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를 배출토록 하기 위한 일정한 직경을 갖는 배관이 내입되어지고, 또는 에어컨 등의 배출수를 배출토록 하기 위한 배출 배관이나 또는 각종 전기배선을 위한 전기배관 등이 내입되어짐으로 실질적으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바닥층의 콘크리트타설층의 두께는 법규에 따라가지만 이러한 콘크리트타설층의 내부에 배관등에 의한 내부공간(111a)이나 이러한 배관에 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 긴밀한 채워짐이 불가능하여 발생되는 콘크리트 미 채움 공간(113)에 의한 충격음의 공명현상에 의하여 윗층의 바닥시공층의 상면에서의 충격음의 발생을 차단할 수 없다라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multi-story building is constructed, it is constructed numerically corresponding to the numerical standards for interlayer noise. However, when the impact sound generated from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of the upper layer is transmitted to the roof of the lower layer, A pipe having a certain diameter for discharging domestic sewage generated in a kitchen or a bathroom is inserted, or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drainage water from an air conditioner or the like, or a pipe for discharging electricity for various electric wiring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of the bottom layer that is practically poured into the concrete due to the piping and the like is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However, when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inner space 111a by the pipe or the like, Concrete unfilled ball caused by impossibility of close filling That will not block the generation of the impact nois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layer of the upper floor construction by the resonance phenomenon of the impact noise due to (113).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시공방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층간소음의 저감을 위한 시공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고, 동시에 이러한 층간소음의 소리의 전달속도를 감안하여 소리의 빠져나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 상층의 층격음을 차음과 흡음을 반복토록 함으로서 층간소음의 저감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for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and at the same tim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peed of sound transmission of the interlayer noise, The sound insulation and the sound absorption are repeated so that the reduction of the interlayer noise can be drastically reduc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콘크리트타설층(210㎜)의 상면에 일정한 밀도와 두께를 갖는 제1차음판을 공간이 없이 형성하기 위하여 또는 소리가 공명에 의하여 증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타설되어진 바닥층을 몰탈 또는 방수액을 사용하여 바닥층의 표면의 평활도를 우수하게 하면서 기포층을 막아주어 제1차음판이 콘크리트타설층의 상면에 깔려진 상태에서 제1차음판과 콘크리트타설층의 상면과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토록 전처리하여 전처리면을 형성하는 것이다.For this purpose, in order to form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constant density and thickness on the upper surface of a concrete dipping layer (210 mm) to be laid in concrete without space or to prevent the sound from being amplified by resonance, The base layer is covered with a mortar or a waterproofing liquid to improve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of the bottom layer and the bubble layer is blocked so that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dipping layer and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dipping layer The pretreatment surface is formed by pretreatment so that no spacing space is formed.

그후 상기 전처리 면에 일정한 밀도와 두께를 갖는 소리의 차음을 위한 제1차음판을 깔고 상기 제1차음판의 연결을 연결되는 틈새가 생기지 않토록 끼임 등에 의하여 중첩되게 연결토록 하거나 또는 서로 긴밀하게 밀착 연결토록 한 상태에서 연결 되어지는 부분의 연결경계에는 실링제를 주입하여 실링토록 하여 소리의 새어나감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Thereafter,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for noise sounding having a predetermined density and thickness is laid on the pretreatment surface, and the connection of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is overlapped by being pinched or the like so as not to create a connected gap, In the connected state, a sealant is injected into the connection boundary of the connected part to prevent leakage of sound.

이와 같이 실링되어진 제1차음판의 상면으로는 일정한 두께와 밀도를 갖는 제1흡음시트를 위치토록 하고, 그 상면에 다시 일정두께와 밀도를 갖는 제2차음판을 깔아주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제2차음판의 연결부위는 상기와 같이 중첩토록 하거나 연결되는 연결경계에 역시 실링제로 주입하여 실링토록 하는 것이다.The first sound-absorbing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density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ound-insulating plate thus sealed, and a second sound-insulating plate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density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sound insulating plate is to be sealed by injecting the sealant into the connection boundary to be overlapped or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그 후 그 상면에 다시 일정한 두께와 밀도를 갖는 제2흡음시트를 깔고 그 상면에 다시 일정한 두께와 밀도를 갖는 제3차음판을 깔아주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a second sound absorbing sheet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density is laid on its upper surface, and a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density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이때에도 역시 제3차음판의 연결되는 연결경계에는 실링제로 주입하여 실링토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boundary of the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is also injected with a sealing agent to be sealed.

그후 상기 제3차음판의 상층에 그 하층으로 적층되어진 제2흡음시트와 제2차음판과 제1흡음시트와 제1차음판의 고정을 위하여 기포콘크리트를 40㎜정도로 발포성형토록 한 후 그 상부로 15~20㎜의 직경을 갖는 난방코일을 배관고정토록 한 후 상기 배관코일을 감싸면서 외장마감을 위하여 몰탈을 40㎜정도로 도포토록 후 몰탈의 상층으로는 나무 등의 마감장식재를 10㎜정도로 형성하여 바닥시공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n, to fix the second sound-absorbing sheet, the second sound-insulating sheet, the first sound-absorbing sheet, and the first sound-insulating sheet which are laminated on the lower layer of the third sound-insulating plate, foamed concrete is foam- A heating coil having a diameter of 15 to 20 mm is fixed to the pipe. Then, the pipe coil is wrapped around the pipe coil, and the mortar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to a thickness of about 40 mm. Thereby forming a floor construction layer.

또한 상기 제1흡음시트와 제2흡음시트가 하중에 의하여 눌림시 흡음효과가 저감되는 점을 감안하여 제1차음판과 제2차음판 및 제3차음판은 제1흡음시트와 제2흡음시트가 눌림이 발생되지 않토록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서 제1,2흡음재의 눌림에 의한 흡음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sound insulating sheet, the second sound insulating sheet and the third sound insulating sheet have a first sound absorbing sheet and a second sound absorbing shee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ound absorbing effect is reduced when the first sound absorbing sheet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sheet are pressed by a load, The sound absorbing effect due to the pressing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 absorbing materials is compensated for by using the spacers so that the pressing is not generated.

따라서 상층의 바닥층을 형성하는 바닥시공층과 하층의 지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타설층의 사이에서 상층의 바닥층을 형성하는 바닥시공층의 상면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차음과 흡음이 반복됨으로 상층의 바닥층을 형성하는 바닥시공층의 상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은 콘크리트로 타설되어지는 즉 하층의 지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타설층으로 소리가 전달되지 않게 되면서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로 타설된 콘크리트타설층의 빈 공간이나 내부공간에서의 공명현상에 의한 충격음의 발생을 억제토록 되는 것이다.Therefore, sound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are repeated in a state where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forming the upper floor layer is originally blocked between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forming the upper floor layer and the concrete installation layer forming the lower floor roof The impact sound gene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forming the upper floor layer is not transferred to the concrete installation layer which is the concrete installation floor, that is, the lower floor construction roof, so that the concrete installation layer The generation of impact sound due to the resonance phenomenon in the empty space or the internal space is suppressed.

또한 이러한 바닥층의 시공구조는 기존의 콘크리트타설층은 물론 바닥시공층의 시공형태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마감재(121)만을 다른 형태로 시공토록 함으로서 층간의 단열도 우수하게 되면서 층간소음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layer allows the flooring layer 121 to be constructed in a different form while maintaining the same construction form of the existing concrete flooring layer as well as the existing concrete flooring layer, .

도 1은 현재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에 시공되는 시공상태의 단면도.
도 2는 현재 콘크리트타설층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현재 콘크리트타설층의 상면에 시공되는 바닥시공층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음과 흡음의 일 실시 예의 레이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차음판이 콘크리트타설층의 상면에 놓여기 이전에 전차리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차음판이 중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링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차음판의 사이에 게재되는 흡음시트의 눌림을 방지토록 한 상태의 일 실시 예의 단면도.
도 8 및 도 8a은 본 발명의 차음판의 또 다른 형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9 및 도 9a는 본 발명의 차음판의 제2 및 제3실시 예의 분리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차음판과 흡음시트의 또 다른 레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시공공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12는 본 발명의 바닥시공층을 구현하기 이전에 또 다른 한층의 레이어가 구비된 상태의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1차음판이 전처리면에 덮여질 경우에 그 사이에 또 다른 시트를 사용하는 상태의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struction in which a floo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ulti-storey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ncrete pouring layer at pres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or construction layer applied to the top surface of a concrete pavement layer at pres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ayer of an embodiment of the sound and sound absor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ositioned before being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sound insula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ound insulating plates are not overlapped and connected by sealin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spac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prevent the sound-absorbing sheet placed between the sound-insulating plates from being pressed.
8 and 8A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ound insula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9A are sectional sectional views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sound insula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layer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and sound absorbing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nother layer is provided before implementing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nother sheet is used in the case where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vered on the pretreatment surface;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다양한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의 특징은 다층건물의 지붕을 형성하는 상층의 콘크리트로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타설층(110)에 내입되어지는 배관 등의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채움되지 않으면서 생기게 되는 빈 공간이나 또는 이러한 배관 의 내부공간에 의하여 생기게 되는 공명현상에 의한 충격음의 저감을 위한 것으로,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층(110)과 그 상층에 시공되어지는 바닥시공층(120)의 사이에 고무 등의 완충력을 구비하는 층간차음재 또는 차음과 동시에 단열이 가능한 압축 스티로폴 등의 마감재(121)를 교환토록 하여 시공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도 상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에 대한 소리가 하증으로 전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토록 한 것으로, 차음과 흡음이 2회 이상 반복되어지면서 상층의 바닥층(100)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하층의 지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타설층(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 또는 방지토록 한 것이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at a hollow space is formed in which a concrete laid between pipes or the like inserted into a concrete pouring layer 110 to be poured into an upper layer concrete forming a roof of a multi- Or to reduce the impact sound caused by the resonance phenomenon caused by the internal space of the pipe. The buffering force of rubber or the like is applied between the concrete installation layer 110 and the floor installation layer 120 which is formed on the concrete installation layer 110 The flooring material 121 such as compressed styrofoam which can be heat-sealed at the same time as the sound insulation and the sound insulation of the flooring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ottom of the building while maintaining the same construction, As the sound insulation and the sound absorption are repeated two or more times, the impact sound generated in the bottom layer 100 of the upper layer is lower To 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forming the roof.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으로는 도5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정으로는 통상 210㎜의 두께로 타설되는 콘크리트타설층(110)의 상면으로 다층건물의 상층의 바닥면(100)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에 의한 소리의 전달을 차단가능하게 일정한 밀도와 두께를 갖는 제1차음판(20)을 깔아주기 이전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콘크리트타설층(110)의 상면에 울퉁불퉁한 면을 고르게 하여 제1차음판(20)을 깔아준 상태에서 긴밀한 밀착이 가능하게 전처리면(10)을 형성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5 and 11, in the first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which is usually installed at a thickness of 210 mm,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having a predetermined density and thickness is formed so as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sound due to the impact sound generated in the concrete floor So as to form the pretreatment surface 1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is laid in such a manner that it can be closely contacted.

이는 제1차음판(20)이 긴밀한 밀착이 되지 못할 경우에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면서 깔여지는 제1차음판(20)에 틈이 생기게 되면서 상층의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빠져나가게 되어 제1차음판(20)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하층의 지붕에 충격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콘크리트타설층(110)의 상면에 울퉁불퉁한 부분과 평평한 제1차음판(20)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면 상층의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공명현상에 의하여 증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can 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a gap is formed in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as described below, The function of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is deteriorated and the impact sound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on the roof of the lower layer whil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ugged portion and the flat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casting layer 110 It is intended to prevent the impact sound gene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layer from being amplified by the resonance phenomenon.

또한 이러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콘크리트타설층(110)의 상면에는 미세한 기포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미세한 기포는 물론 기공을 제거토록 하여 소리의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fine bubbles may be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to be poured into the concrete, so that such fine pores are removed as well as pores ar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콘크리트타설층(110)의 상면을 몰탈 또는 방수액을 사용하여 표면의 평활도를 우수하게 하면서 콘크리트로 타설된 상태에서 경화될 경우에 수화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포층을 막아줌으로서 제1차음판(20)과의 긴밀한 밀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to be poured into concrete is used as a mortar or a waterproofing liquid to improve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while blocking the bubble layer generated by the heat of hyd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closely contact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as a zoom.

즉 제1차음판(20)이 콘크리트타설층(110)의 상면에 깔려진 상태에서 제1차음판(20)과 콘크리트타설층(110)의 상면과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지 않토록 전처리되어지는 전처리면(10)을 형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is pretreated so that no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Thereby forming the pretreatment surface 10.

이때 전처리면(1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것이 좋고 가능하면 1㎜이상을 유지함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완충기능을 갖는 탄성력을 부여토록 할 경우에는 충격음의 전달이 하층으로 더욱더 전달되지 않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treatment surface 10 has a constant thickness, and if possible,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t least 1 mm, and preferably, when the elastic force having the buffering function is given, the transmission of the impact sound may not be further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It is.

그후 상기 전처리 면(10)에 일정한 밀도와 두께를 갖는 소리의 차음을 위한 상기와 같은 제1차음판(20)을 깔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for noise sounding having a predetermined density and thickness is laid on the pretreatment surface 10.

이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음판(20)을 다층건물의 상층의 바닥층(100)을 형성하는 형태의 크기와 동일하게 일체로 구비할 경우에는 가장 좋은 차음효과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is integrally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bottom layer 100 of the upper layer of the multi-layer building, the best sound insulating effect is generated .

그러나 통상적으로 다층건물의 상층의 바닥면(100)과 동일한 형태로 제1차음판(20)을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조립이 가능한 여러조각의 보드(20a,20b,20c…)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can not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ottom surface 100 of the upper layer of the multi-story building, it is us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assemblable boards 20a, 20b, 20c, will be.

이러한 여러조각의 보드(20a,20b,20c…)의 형태이기 때문에 상층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에 의한 소리의 빠져나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조각의 보드(20a,20b,20c…)의 각각의 테두리에는 연결되는 틈새가 생기지 않토록 요부(21)와 돌부(22)의 형태로 또는 하단턱(23)과 상단턱(24)의 형태로 중첩되게 연결토록 하여 발생되는 연결경계(1)에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드(20a,20b,20c…)가 서로 긴밀하게 밀착 연결토록 한 상태에서 연결되어지는 부분의 연결경계(1a)에는 실리콘 등의 실링제(2)를 주입하여 연결경계(1,1a)로 충분하게 채움토록 실링하여 이러한 연결경계(1,1a)로 소리의 새어나감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the noise from being generated due to the impact sound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due to the shape of the various pieces of the boards 20a, 20b, 20c ..., various pieces of boards 20a, 20b 20c ... are form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form of the recess 21 and the projection 22 or in the form of the lower jaw 23 and the upper jaw 24 so as not to create a gap connected to each of the rims As shown in FIG. 6 or the connection boundary 1, a connection boundary 1a of a portion to be connected with each of the boards 20a, 20b, 20c, (2) is injected and sealed sufficiently so as to fill the connection boundary (1, 1a) so as to prevent leakage of sound to the connection boundary (1, 1a).

또한 이와 같이 실링되어진 제1차음판(20)의 상면으로는 일정한 두께와 밀도를 갖는 제1흡음시트(30)를 깔아주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sound-absorbing sheet 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density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ound-insulating plate 20 thus sealed.

이때에는 제1흡음시트(30)는 전달되는 충격음의 소리가 일종의 진동에너지라는 점을 감안하여 흡음이 가능한 다수개의 셀(31)이 다층으로 구비되어지는 스폰지체(30a)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좋고 바람직하게는 발포 성형되어 셀(31a)을 구비하는 고무시트(30b)로 사용할 경우에는 완충과 내 눌림성이 강화됨으로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ound absorbing sheet 30 is composed of a sponge body 30a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31 capable of sound absorption are provided in multiple layers, considering that the sound of the impact sound transmitted is a kind of vibration energy, The rubber sheet 30b having the cells 31a is foam-molded to enhance the buffering and padding of the rubber sheet 30b.

이런 상태에서 제1흡음시트(30)의 상면으로는 다시 일정두께와 밀도를 갖는 제2차음판(40)을 깔아주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제2차음판(40)도 제1차음판과 동일하게 각각의 보드(40a,40b,40c…)로 연결되는 연결경계(1)는 상기의 제1차음판(20)과 동일한 형태로 테두리가 서로 중첩토록 하여 연결되는 연결경계(1)에 또한 서로 밀착되는 상태에서의 연결경계(1a)에 실링제(2)로 주입하여 충분하게 채움토록 함으로서 틈이 없이 실링토록 하는 것이다.In this state, a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40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density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ound absorbing sheet 30, and this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40 is also formed like the first sound insulating sheet The connection boundary 1 connected to each of the boards 40a, 40b, 40c ...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ound insulation board 20 and is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oundary 1, The sealant 2 is injected into the connection boundary 1a in a state where the sealant is in a state where the sealant is sealed.

그 후 제2차음판(40)의 상면에 다시 일정한 두께와 밀도를 갖는 제2흡음시트(50)를 깔게 되는 것이고, 이때에도 제1흡음시트와 동일하게 각각의 셀(51,51a)을 구비하면서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스폰제체(50a)나 고무시트(50b)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Then, a second sound absorbing sheet 5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density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40. At this time, each of the cells 51 and 51a, similarly to the first sound absorbing sheet, The sponge body 50a and the rubber sheet 50b made of a multilayer structure are used.

그후 그 상면에 다시 일정한 두께와 밀도를 갖는 제3차음판(60)을 제1 및 제2차음판(20,40)과 동일한 형태로 각각의 보드(60a,60b,60c…)를 동일한 방식으로 중첩토록 한 후 연결경계(1,1a)에 실링제(2)를 사용하여 충분하게 채움토록 하여 틈이 생기는 것을 차단하면서 깔아주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60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densit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s 20 and 40, and the respective boards 60a, 60b, 60c, And the sealant 2 is used to fill the connection boundary 1, 1a after being superimposed so that cracks are prevented from occurring.

그후 상기 제3차음판(60)의 상층에 그 하층으로 연속으로 적층되어진 제2흡음시트와 제2차음판과 제1흡음시트와 제1차음판의 고정을 위하여 바닥시공층(12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n, a bottom construction layer 120 is formed for fixing the second sound-absorbing sheet, the second sound-insulating sheet, the first sound-absorbing sheet and the first sound-insulating sheet which are continuously stacked on the lower layer of the third sound-insulating board 60 It will be done.

즉 기포콘크리트를 40㎜정도로 발포성형토록 한 후 그 상부로 15~20㎜의 직경을 갖는 난방코일을 배관고정토록 한 후 상기 배관코일을 감싸면서 외장마감을 위하여 몰탈을 40㎜정도로 도포토록 후 몰탈의 상층으로는 나무 등의 마감장식재를 10㎜정도로 형성하여 바닥시공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oamed concrete is foamed to a size of about 40 mm, and then a heating coil having a diameter of 15 to 20 mm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ipe. Then, the pipe coil is wrapped around the pipe coil, And a floor construction layer is formed by forming a finishing decorative material such as a wood to a thickness of about 10 mm.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흡음시트(30)와 제2흡음시트(50)가 제1차음판(20)과 제2차음판(40) 및 제3차음판(60)의 사이에 위치되어져 상기와 같이 바닥시공층(120)이 시공되면서 바닥시공층(120)의 하중에 의하여 눌림이 발생되고, 이러한 눌림시 흡음효과가 저감되는 점을 감안하여 제1차음판(20)과 제2차음판(40) 및 제3차음판(60)은 제1흡음시트(30)와 제2흡음시트(50)가 눌림이 발생되지 않토록 스페이서(3)를 사용함으로서 제1,2흡음시트(30,50)의 눌림에 의한 흡음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7, the first sound absorbing sheet 30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sheet 50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20 and the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40 and the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60 The first floor plate 120 and the first floor plate 12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by the load of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120 and the sound absorption effect is reduced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The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40 and the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60 use the spacers 3 so that the first sound absorbing sheet 30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sheet 50 are not pressed, The noise absorption effect due to the pressing of the sheets 30, 50 is compensated for.

이러한 눌림방지를 위한 스페이서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 시공상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것을 사용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스페이서의 구조가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 하는 것이 아니다.The spacer for suppressing the pressing can be variously us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by using various forms, and the structure of such a spacer does not limi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다층건물의 상층의 바닥층(100)을 형성하는 바닥시공층(120)의 상면에서 충격음이 발생되면 바닥시공층(120)을 통과하는 소음은 제3차음판(60)에 의하여 1차로 차단되면서 소음이 저감되고, 그 상태에서 통과되는 소음은 제2흠음시트(50)에 의하여 일정부분이 흡음되어지면서 소음이 저감되어지고, 그 상태에서 제2흡음시트를 통과하는 소음은 다시 제2차단판(40)에 의하여 다시 차단되면서 소음이 저감되어지고, 이와 같이 저감되어지는 소음이 제2차단판을 통과할 경우에도 다시 제1흡음시트에서 재차 흡음되어지고, 그 상태에서 소멸되지 못한 소음은 결국 제1차단판에 의하여 완전하게 차단되면서 하층의 지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타설층에 전잘되지 않게 되면서 층간의 소음을 저감토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an impact sound is generat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120 forming the upper floor layer 100 of the multi-story building, the noise passing through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120 is firstly blocked by the third sound insulation plate 60 The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ound-absorbing sheet is reduced again by the second bite sheet 50, and the nois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ound- The noise is reduced again by being blocked by the first sound absorbing sheet 40, and even when the noise thus reduced passes through the second blocking plate, the sound is again absorbed by the first sound absorbing shee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between the floor by completely blocking the floor by the first blocking plate so as not to be overlapped with the concrete casting layer forming the roof of the lower layer.

이때에서 제1차단판을 통과하는 소음은 다시 전처리 면에 의하여 완충되면서 거의 소멸되어져 콘크리트타설층으로 소음이 전달되지 않게 되면서 하층의 지붕에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noise passing through the first blocking plate is completely destroyed while being buffered by the pretreatment surface, so that no noise is transmitted to the concrete pouring layer, so that no noise is generated in the roof of the lower layer.

본 발명에서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2,3차음판(20,40,60)은 플라스틱 판재를 사용하였고, 제1,2흡음시트(30,50)는 셀이 다층으로 구현되어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스폰지체(30a,50a)를 사용한 상태에서 정부에서 요구하는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를 충분히 충족하는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plates 20, 40 and 60 are made of a plastic plate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sound absorbing sheets 30 and 50 have a constant thickness In the state of using the sponge bodies 30a and 50a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reduction effect sufficiently satisfying '40dB during the day and 35dB during the night, which is an interlayer noise standard of a multi-

그러나 제1,2흡음시트(30,50)를 스폰지체가 아닌 발포되어진 고무시트(30b,50b)로 사용할 경우에는 정부에서 요구하는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를 충분하게 충족함은 물론 더 낮은 상태의 층간소음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However, when the first and second sound absorbing sheets 30 and 50 are used as the foamed rubber sheets 30b and 50b instead of the sponge body, the interlayer noise standard of a multi- 40dB at night and 35dB at night, as well as lower interlayer noise.

또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차음판(60)의 상층으로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시트를 추가로 더 포함하도록 덮어줬을 경우에도 정부에서 요구하는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보다도 더 낮은 기준치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12, eve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60 is further covered with a rubber sheet having an excellent buffering ability, even if the upper layer of the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60 is covered with a rubber sheet having excellent buffering power, Which is lower than 40dB in the daytime and 35dB in the nighttime.

또한 제1,2,3차음판(20,40,60)도 단순한 플라스틱 판재로 사용할 경우에 밀도가 높은 것일 수록 층간소음의 저감효과가 정부에서 요구하는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보다도 더 낮은 층간소음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Also, wh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plates 20, 40, and 60 are also used as a simple plastic sheet material,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is higher in the denser ones than in the multi- The noise level of floor noise was lower than that of '40dB during the daytime and 35dB at nighttime.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차음판(20,40,60)의 두께가 2∼4㎜의 것을 1장 사용하는 것보다는 1∼2㎜의 것을 2중으로 중첩되게 사용하는 것이 정부에서 요구하는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보다도 더 낮은 차음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Also,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plates 20, 40, and 60 have a thickness of 2 to 4 mm,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sound insulation effect lower than 40dB at night and 35dB at night, which is an interlayer noise standard of a multi-storey building such as apartment buildings required by the government.

또한 이러한 상기 제1,2,3차음판(20,40,60)을 상기와 같이 중첩되게 사용할 경우에 단순하게 중첩하여 사용할 경우보다는 양면테이프나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토록 한 상태(전체적으로 두께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합지되면서 생기는 완충공간(4)으로 인하여 충격음의 흡수가 발생되면서 또한 완충에 의하여 정부에서 요구하는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보다도 월등하게 낮은 기준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Wh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boards 20, 40, and 60 are used in a superimposed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sulating boards 20, (4) due to the use of the floor in the state of no change), and the floor noise level of a multi-story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40dB at night and 35dB at night.

또한 제1,2흡음시트(30,50)는 가능하면 다수의 셀(31,51)을 구비하면서 셀이 오픈되어진 스폰지체를 사용하였고, 이러한 스폰지체는 가능하면 압축된 것 즉 밀도가 높은 것을 사용할수록 차단과 흡음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흡음효과가 우수하게 됨은 물론 제1,2,3차음판(20,40,60)의 사이에서 눌림이 작게 발생되어 시공의 용이성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ound absorbing sheets 30 and 50 use a sponge body having a plurality of cells 31 and 51 as much as possible, and the sponge body is compressed, that is, As a result, the sound absorbing effect is improved, and the ease of installation is confirmed because the pressure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plates 20, 40, 60 is small.

또한 시공시 제1차음판(20)과 제2차음판(40) 및 제3차음판(60)은 연결되는 연결경계(1)가 서로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적층토록 시공할 경우에 차음효과가 정부에서 요구하는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보다도 20%이상 낮은 기준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boundary 1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ound insulation plate 20, the second sound insulation plate 40 and the third sound insulation plate 60 are stacked so as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in a staggered manner, It is confirmed that the reference value is lower than 40dB during the day and 20dB less than 35dB during the daytime, which is an interlayer noise criterion of a multi-story building such as a demanding apartment.

이러한 제1흡음시트(20)와 제2흡음시트(40)도 얇은 2켭으로 사용할 경우에 두꺼운 1켭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first sound-absorbing sheet 20 and the second sound-absorbing sheet 40 exhibit more excellent effects than those used when the second sound-absorbing sheet 40 is used in a thin two-turn on mode.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음판이 콘크리트타설층의 전처리면에 밀착되기 이전에 고무등의 완충시트를 하나의 레이어로 깔아준 이후에 사용한 경우 정부에서 요구하는 아파트 등의 다층건물과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기준인 '낮에는 40dB, 밤에는 35dB'보다 훨신 더 낮은 층간소음의 저감상태를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is laid as a single layer of a buffer sheet such as rubber before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etreated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layer noise is lower than that of '40dB in the daytime and 35dB in the nighttime.

1:연결경계 2:실링제
3:스페이서 4:완충공간
10:전처리면 20:제1차음판
30:제1흡음시트 40:제2차음판
50:제2흡음시트 60:제3차음판
1: Connection boundary 2: Sealing agent
3: spacer 4: buffer space
10: pretreatment surface 20: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30: first sound absorbing sheet 40: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50: second sound absorbing sheet 60: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Claims (14)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100)이 하층의 지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타설층(110)과;
상기 콘크리트타설층(110)의 상층에 시공되어지져 상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시공층(120)으로 구획되어져
상기 바닥시공층이 형성되기 이전에 콘크리트 타설층의 상층으로 연속되게 차음판(20,40,60)과 흡음시트(30,50)가 2회이상 반복되게 레이어를 형성하여 상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시공층(120)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하층의 지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타설층(110)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콘크리트타설층에서 발생되는 공명현상을 방지토록 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A concrete pouring layer 110 in which a bottom layer 100 separating the interlayer spaces of the multi-ply building forms a roof of a lower layer;
And a floor construction layer 120 that is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110 and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layer
A layer is formed so that the sound-insulating sheets (30, 50) and the sound-absorbing sheets (30, 50) are repeated twice or more in succession to the upper layer of the concrete installation layer before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is formed, The impact sound generated in the floor construction layer 120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crete installation layer 110 forming the roof of the lower layer, so that the resonance occurring in the concrete installation layer is prevented. The floor to part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타설층의 상면으로는 전처리 면(1)이 형성되어 제1차음판과 긴밍랗 밀착이 이루어지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The method of claim 1,
A floor layer separating the interstices of a multi-story building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wherein a preprocessed surface (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ip layer and is formed in a long distance from the first sound insulation pane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타설층의 상면으로 형성되는 전처리면과 상기 전처리면의 상층으로 연속되게 제1차음판과 제1흡음시트와 제2차음판과 제2흡음시트와 제3차음판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interstice noise consisting of a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a first sound absorbing sheet, a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a second sound absorbing sheet, and a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continuously in an upper layer of the pre-treatment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dipping layer A floor layer separating the interstices of multi-story buildings for mitig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면과 제1차음판의 사이에 고무등의 완충시트를 추가하여 6층의 레이어를 형성하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The method of claim 3,
And a buffer layer of rubber or the like is added between the pretreatment surface and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to form a six-layer layer, thereby dividing the interlayer of the multi-layer building for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차음판의 상층으로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시트를 추가하여 6층의 레이어를 형성하여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The method of claim 3,
And a layer of six layers is formed by adding a rubber sheet having excellent buffering power to the upper layer of the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to divide the interlayer spaces of the multi-layer buildings for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차음판은 여러조각의 보드(20a,20b,20c…)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보드(20a,20b,20c…)의 테두리에는 연결되는 틈새가 생기지 않토록 요부(21)와 돌부(22)의 형태로 또는 하단턱(23)과 상단턱(24)의 형태로 중첩되게 연결토록 하여 발생되는 연결경계(1)에 또는 각각의 보드(20a,20b,20c…)가 서로 긴밀하게 밀착 연결토록 한 상태에서 연결되어지는 부분의 연결경계(1a)에 실리콘 등의 실링제(2)를 주입하여 연결경계(1,1a)로 충분하게 채움토록 실링하여 이러한 연결경계(1,1a)로 소리의 새어나감을 방지토록 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plates are made up of a plurality of pieces of boards 20a, 20b, 20c ... so that there are no gaps connected to the edges of the respective boards 20a, 20b, 20c ... The board 20a, 20b, 20c or 20c is formed at the connection boundary 1 generated in the form of the concave portion 21 and the projecting portion 22 or in the form of the overlapping connection in the form of the lower jaw 23 and the upper jaw 24, (2) are injected into the connection boundary (1a) of the connected portion in a state of tightl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so as to be sufficiently filled with the connection boundary (1, 1a) A floor layer separating the interstices of a multi-story building for interlayer noise reduction to prevent leakage of sound to the boundary (1, 1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차음판은 1개 이상을 2겹으로 중첩되게 사용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및 그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plates are stacked one on top of the other in a two-ply mann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차음판의 1개 이상을 2겹으로 중첩되게 사용할 경우에 중첩을 위하여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토록 하여 완충공간을 형성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및 그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 floor layer separating the interlayer spaces for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to be laminated by using a double-faced tape or an adhesive for superposing when one or mor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plates are used in two layer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음시트중 하나 이상의 흡음시트를 2겹 이상으로 중첩되게 사용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및 그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 bottom layer which separates the interlayer spaces for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using at least two or more sound absorbing sheets of the first and second sound absorbing sheets in a superposed mann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차음판의 사이에 게재되어지는 제1,2흡음시트의 눌림방지를 위하여 제1,2,3차음판의 사이에 스페이서(3)를 포함토록 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The method of claim 6,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sulating sheets placed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plates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 spacer (3)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ound insulating plates A floor layer separating the inter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시트는 셀이 구비되어지고 다층으로 형성되어지는 스폰지체 또는 셀이 포함되게 발포되어지는 고무시트를 사용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ound absorbing sheet comprises a sponge body formed with a cell and a rubber sheet foamed to include a cell, and a bottom layer separating the interlayer between the multi-layer buildings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제3항에 있어서.
제1차음판(20)과 제2차음판(40) 및 제3차음판(60)은 연결되는 연결경계(1)가 서로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적층토록 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sound insulating boards 20 and 40 and the third sound insulating board 6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interposing the inter-layer boundary of the multi-layer building for reducing the inter- The bottom layer.
콘크리트타설층의 상면에 전처리면을 형성하는 제1처리공정과
상기 제1처리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처리면의 상층으로 제1차음판이 각각의 보드(20a,20b,20c…)로 이루어진 것을 기밀이 유지되게 테두리가 중첩되어지게 깔아주는 제2처리공정과
상기의 제2처리공정에 의하여 테두리가 중첩되게 깔아준 각각의 보드(20a,20b,20c…)의 연결되는 연결경계에 실링제(2)를 주입하는 제3처리공정과
상기의 제3처리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차음판의 상층으로 셀을 구비하면서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흡음시트를 깔아주는 제4처리공정과
상기 제3처리공정과 제4처리공정이 반복되면서 제2차음판과 제2흡음시트와 제3차음판이 적층되어지는 제5처리공정을 포함하여
제5처리공정이후에 그 상층으로 바닥시공층을 형성하여 시공되어지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시공방법
A first treatment step of forming a pretreatment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pouring layer
A second processing step in which the first sound insulating board is formed of the respective boards 20a, 20b, 20c, ..., as an upper layer of the pretreatment surface formed by the first processing step,
A third processing step of injecting the sealing agent 2 into the connection boundary to which the respective boards 20a, 20b, 20c ... laid out to overlap the edges by the second processing step,
A fourth processing step of laying up a first sound absorbing sheet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with cells as an upper layer of the first sound insulating plate formed by the third processing step;
And a fifth processing step in which the second sound insulating plate, the second sound absorbing sheet, and the third sound insulating plate are laminated while the third processing step and the fourth processing step are repeated
A floor construction layer is formed as an upper layer after the fifth treatment process, and a floor construction method for partitioning a floor of a multi-story building to reduce interlayer noise
제13항에 있어서,
제4처리공정의 흡음시트를 다층으로 중첩되게 갈아주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다층건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층의 시공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 method of constructing a floor layer for separating the interlayer of a multi-layered building for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which causes the sound absorbing sheet of the fourth treatment process to be superposed in multiple layers


KR1020140034316A 2014-03-24 2014-03-24 A construct method of the bottom floor for reduce floor impact sound KR101558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316A KR101558751B1 (en) 2014-03-24 2014-03-24 A construct method of the bottom floor for reduce floor impact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316A KR101558751B1 (en) 2014-03-24 2014-03-24 A construct method of the bottom floor for reduce floor impact s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213A true KR20150110213A (en) 2015-10-02
KR101558751B1 KR101558751B1 (en) 2015-10-08

Family

ID=5434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316A KR101558751B1 (en) 2014-03-24 2014-03-24 A construct method of the bottom floor for reduce floor impact 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7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650B1 (en) * 2020-05-14 2021-03-15 나상권 Interlayer insulation sound insulation materials of buldings
CN114892918A (en) * 2022-06-21 2022-08-12 中土(苏州)工程建设有限公司 Pouring construction method for controlling cracks of heat-preservation sound-insulation terra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747B1 (en) 2006-09-26 2008-03-11 조신형 Floor materials using sound-proof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KR100838711B1 (en) * 2007-04-04 2008-06-16 영보화학 주식회사 Structure for excluding of floor impact sou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650B1 (en) * 2020-05-14 2021-03-15 나상권 Interlayer insulation sound insulation materials of buldings
CN114892918A (en) * 2022-06-21 2022-08-12 中土(苏州)工程建设有限公司 Pouring construction method for controlling cracks of heat-preservation sound-insulation terr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751B1 (en)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985B1 (en) Structure for noise reduction of between floors in apartment building
KR20150093628A (en) The construction method and panel soundproof shockproof for structure
KR101558751B1 (en) A construct method of the bottom floor for reduce floor impact sound
KR101324261B1 (en)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KR101505094B1 (en) method and sructure of construction of sound insulation
KR20130131518A (en) Noise-proof flooring structure and its building method
KR100721850B1 (en) Sound insulation sheet that have air hole
CN209837385U (en) Partition wall structure with high sound insulation effect
KR101819793B1 (en) A Sturcture for Preventing Interalyer Noise Having Sound Insulation Material and Constructing Method
KR100491188B1 (en) Method of hypocaust and it's Apparatus for an apartment house
KR100546445B1 (en) Floor structure of building
KR101207288B1 (en) Isolating structure for floor to floor impact sound of apartment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CN209874114U (en) Vibration-damping sound-insulating structure
KR200357988Y1 (en) A storey gap of noise prevention pannel for an apartment house of the hypocaust floor
KR20090062480A (en) Bottom soundproof panel
KR20050017952A (en) Noise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n apartment house, a multilayered house or a multilayered building capable of insulating sound by forming in a multiplex structure of double air layers or a single air layer and dustproofing by an elastic bearing member
KR101516891B1 (en) Flooring materials for building
KR100523806B1 (en) a heat insulating and impacting sound reducing material for a multi-storey building
KR100758599B1 (en) Structure of isolating impact sound of floor building
KR20090046158A (en) Panel for interception vibration and noise of interformation
KR100629309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and vibration with liquid box
KR102436890B1 (en) Floor pannel preventing noise complaint issue
KR102528587B1 (en) A construction method that forms an air layer between the wall and the finishing mortar to block the finishing mortar and structure thereof
KR101542244B1 (en) sound-proof floor material of construction
KR102623083B1 (en) 1st mortar casting type noise prevention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structure without resonance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