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191A -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191A
KR20150110191A KR1020140034267A KR20140034267A KR20150110191A KR 20150110191 A KR20150110191 A KR 20150110191A KR 1020140034267 A KR1020140034267 A KR 1020140034267A KR 20140034267 A KR20140034267 A KR 20140034267A KR 20150110191 A KR20150110191 A KR 20150110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nterface
user
input
location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4003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0191A/ko
Publication of KR2015011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의 메뉴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줌으로써 간단한 제어명령만으로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함에 있어,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표시해주고 이에 기초하여 간단한 입력만으로도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MENU INTERFACE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의 메뉴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줌으로써 간단한 제어명령만으로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플 (apple) 사의 iPhone OS (iOS) 및 구글 (google) 사의 안드로이드 (android) 와 같은 컴퓨팅 플랫폼 (computing platform) 기반의 스마트폰 (smartphone) 및 태블릿PC (tablet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사용자가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퓨팅 플랫폼들은 메뉴 인터페이스를 미리 설정된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사용 성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메뉴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는 일부 기술 또한,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입력 수단을 갖는 휴대용 단말의 특성으로 인해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려지거나 한 손으로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영역의 한계 등의 이유로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변경되거나, 원하는 위치로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작업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이동함에 있어,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표시해주고, 간단한 입력만으로도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한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함에 있어,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표시해줌으로써,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표시해주고, 이에 기초하여 간단한 입력만으로도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치 지시자는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는,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이 수신된 횟수 또는 강도에 비례하여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사용자의 일 입력은 자이로스코프 센서 (gyroscope sensor) 를 이용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고,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치 지시자는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이 수신된 횟수 또는 강도에 비례하여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명령어들의 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사용자의 일 입력은 자이로스코프 센서 (gyroscope sensor) 를 이용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에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게 하고,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함에 있어,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표시해줌으로써,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표시해주고, 이에 기초하여 간단한 입력만으로도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알고리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의 절차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의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를 사용함에 있어, 도면이 상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뉴 인터페이스란 사용자가 단말 또는 단말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매체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형상을 간략하게 표시한 그래픽 또는 해당 기능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텍스트 (text) 또는 그래픽과 텍스트의 결합으로 시스템 상에 표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알고리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장치 (100) (이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장치’라 함) 는 통신부 (110), 제어부 (120), 및 표시부 (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장치 (100) 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표시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가리킨다.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장치 (100) 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패드, 노트북 및 태블릿 PC 등의 단말일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 및 메모리 등을 통한 연산이 가능하며, 처리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된 장치라면 어느 특정한 단말에 국한되지 않는다.
통신부 (110) 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수신하며,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장치 (100) 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모든 입력을 수신하여 이를 후술할 제어부 (120) 로 전송한다. 또한, 후술할 표시부 (130) 가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통신부 (110) 는 표시부 (130) 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 (120) 는 통신부 (110) 가 수신한 입력 등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명령어들의 세트를 실행하는 등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표시하게 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 (120) 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는 서로 메모리를 공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프로그램이나 명령어 세트 등을 저장하며, 메모리는 램 (RAM; random access memory), 롬 (ROM; read-only memory), 자기 디스크 (magnetic disk) 장치, 광 디스크 (optical disk)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 (130) 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메뉴 인터페이스 및 후술할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며, LCD, LED 디스플레이 및 이들과 결합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 (130) 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인 경우,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는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장치 (100) 의 제어 및 동작을 위한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 (120) 로 전송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부 (110), 제어부 (120), 및 표시부 (130) 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발명의 구현에 있어 해당 구성들은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의 절차도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통신부 (110) 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S100).
위치 제어명령이란,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해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경하는 것과 함께, 이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을 원하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방법 즉 메뉴 인터페이스에 위치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방법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 의 탭 (tap), 더블 탭 (double-tap), 멀티플 탭 (multiple-tap), 또는 롱 탭 (long-tap) 등의 방법 일 수 있다. 여기서, 탭이란 손 또는 스타일러스 등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가볍게 두드려 접촉시킴으로써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더블 탭이란 두 번, 멀티플 탭은 세 번 이상의 입력을 일정 시간 내에 인가하는 방식을, 롱 탭이란 일정 시간 이상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입력 상태를 유지하는, 즉, 길게 탭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력의 태양에 따라, 각각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선택된 메뉴 인터페이스는 색상이 반전되거나 하이라이트 (highlight) 되어 블록 (block) 이 지정된 모습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위치 제어명령이 통신부 (110) 를 통해 수신되면, 제어부 (120) 는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한다 (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지시자는 메뉴 인터페이스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미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해줌으로써,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거나, 화살표 등의 기호를 통해 사용자에게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표시해주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경우에는,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영역을 특정 색상 또는 블록 등으로 표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치 지시자가 표시되면, 제어부 (120) 는 이에 기초하여 통신부 (110) 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한다 (S120).
사용자의 일 입력은 드래그, 팬 (pan), 스와이프 (swipe), 플릭킹 (flicking),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gytoscope sensor) 를 이용한 입력일 수 있으며, 여기서 일 입력이란 사용자의 반복되지 않은 한번의 동작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래그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기적 또는 물리적 접촉을 통해 화면을 밀거나 끄는 동작을, 팬이란, 전술한 드래그 입력을 인가한 경우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방향이나 시간의 제한 없이 지속적으로 입력을 인가하는 것으로 접촉이 해제되는 순간까지를 패닝 (panning) 으로 인식하며, 스와이프란, 전술한 팬 입력과 유사하나 직선 방향으로만 드래그 입력을 인가하는 입력을 말한다. 또한, 플리킹이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기적 또는 물리적 접촉을 통해 화면을 가볍게 튕기듯이 끌거나 미는 동작을 의미하며,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한 입력은 단말을 특정 방향으로 가볍게 기울이거나 회전시키는 한번의 동작이 사용자의 일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일 입력을 통해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일 입력이 인가된 경우 메뉴 인터페이스는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미리 지정된 위치는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중 사용자의 일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일 입력에 대응하는 방향 또는 위치에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가 특정 영역과 같이 다수인 경에는 사용자의 일 입력이 수신된 횟수 또는 강도에 비례하여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의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단말 (200) 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 (210) 에 위치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으로, 메뉴 인터페이스에 위치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방법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 의 탭, 더블 탭, 멀티플 탭, 또는 롱 탭 등의 방법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블 탭, 멀티플 탭, 또는 롱 탭 등의 방법으로 해당 입력이 수신된 좌표 상에 위치하는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해 위치 제어명령이 수신되거나, 탭 입력을 통해 위치를 이동시킬 메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추가적으로 전술한 다양한 입력을 인가하는 형태로 위치 제어명령이 수신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b에 따르면, 위치 제어명령이 수신된 메뉴 인터페이스 (210) 는 위치 지시자 (220) 를 통해 이동될 수 있는 위치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메뉴 인터페이스 (210) 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가 특정 좌표들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영역인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색상 또는 블록을 표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위치 지시자 (230, 231) 는 위치 제어명령이 수신된 메뉴 인터페이스 (210) 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으며, 위치 지시자가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도 3b에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는 특정 좌표들 또는 특정 영역일 수 있다.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지시자가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표시하며, 해당 방향에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좌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인가한 일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방향에 위치 제어명령이 수신된 인터페이스 (210) 가 이동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좌표 상에 위치 (211) 하도록 이동하고, 추가적으로 동일한 방향에 대해 사용자의 일 입력이 인가된 경우, 해당 방향에서 위치 제어명령이 수신된 메뉴 인터페이스 (211) 가 이동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좌표 상에 위치 (212) 하도록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일 입력이 수신된 횟수 또는 강도에 비례하여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입력이 수신된 강도는, 드래그, 팬 (pan), 스와이프 (swipe), 또는 플릭킹 (flicking) 등의 입력의 경우에는 입력 유지 시간에 따른 좌표의 변화에 따라 좌표들의 위치 이동 값 또는 좌표간의 이동속도를 분석함으로써 검출하거나, 이러한 입력의 태양에 따라 강도를 달리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한 입력의 경우에는 단말의 기울임이나 회전이 이루어진 강도를 검출하거나 단말이 기울어진 지속시간 등에 따라 일 입력이 수신된 강도를 달리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하여 일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메뉴 인터페이스 (210) 에 위치 제어명령이 인가되어 위치 지시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단말을 기울이는 행동 (240) 을 통해 단말 (200) 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해당 방향 중 미리 지정된 위치에 메뉴 인터페이스가 위치 (212) 하도록 할 수 있으며, 메뉴 인터페이스 (210) 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가 해당 방향에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말을 기울이는 횟수, 강도, 또는 지속시간 등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달리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이동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위치 지시자를 통해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 또는 방향을 표시해주고, 사용자의 일 입력만으로도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메뉴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뿐만 아니라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입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 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장치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표시부
200: 단말
210, 211, 212: 메뉴 인터페이스
220: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지시자
230, 231: 방향을 표시하는 위치 지시자
240: 사용자의 일 입력

Claims (9)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시자는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기 일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기 일 입력이 수신된 횟수 또는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상기 사용자의 일 입력은 자이로스코프 센서 (gyroscope sensor) 를 이용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5.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고,
    상기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시자는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방향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기 일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상기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기 일 입력이 수신된 횟수 또는 강도에 비례하여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명령어들의 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상기 사용자의 일 입력은 자이로스코프 센서 (gyroscope sensor) 를 이용한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9.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위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 지시자를 표시하게 하고, 상기 위치 지시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로 변경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장치.
KR1020140034267A 2014-03-24 2014-03-24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 KR20150110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67A KR20150110191A (ko) 2014-03-24 2014-03-24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67A KR20150110191A (ko) 2014-03-24 2014-03-24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91A true KR20150110191A (ko) 2015-10-02

Family

ID=5434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267A KR20150110191A (ko) 2014-03-24 2014-03-24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01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0144B2 (en) Graph display apparatus,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706449B1 (en) Method for changing object 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089364A1 (en) Initiating a help feature
JP6105822B1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20180121076A1 (en) Drawing processing method, drawing program, and drawing device
CN103793137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140026723A (ko) 휴대 장치의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US1009527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EP27284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US928023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095039B1 (ko)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0128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for one handed operation
JP583524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48169A1 (ja) 情報処理装置
KR20140117979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항목 선택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87742A (ko) 복수 객체 정렬 방법 및 장치
JP6218451B2 (ja) プログラム実行装置
US10101905B1 (en) Proximity-based input device
JP2010049318A (ja) 移動制御プログラム
JP2017211903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50110191A (ko) 단말의 메뉴 인터페이스 이동 방법 및 장치
CN104182150B (zh) 一种激活工具栏中图标对应的功能的方法及装置
WO2015181986A1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表示方法
US201403175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6380341B2 (ja) 操作入力装置及び操作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