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136A -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136A
KR20150110136A KR1020140034103A KR20140034103A KR20150110136A KR 20150110136 A KR20150110136 A KR 20150110136A KR 1020140034103 A KR1020140034103 A KR 1020140034103A KR 20140034103 A KR20140034103 A KR 20140034103A KR 20150110136 A KR20150110136 A KR 20150110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external
user
mobile devic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886B1 (ko
Inventor
유기준
송종문
조윤호
Original Assignee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8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는, 모바일기기 또는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미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센싱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미션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통신부 혹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동기부여를 통해 사용자가 꾸준히 운동이나 학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Description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A PORTABLE DEVICE TO USE WITH A MOTIVATION SERVICE, A MOTIV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A MOTIVATION SERVICE}
본 발명은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미션 수행에 따른 보상을 수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 학습 등의 동기를 부여하는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운동의욕이나 학습의욕 등을 고취시키기 위해 각종 수단을 이용한다. 이들이 이용하는 주된 방법은 전문 트레이너나 강사 등에 의존하여 그 방법론을 학습한다거나 그들이 제공하는 각종 과제를 수행하면서 스스로 몸을 단련시키거나 지식을 습득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인 예로, 비만으로 고민인 사람은 트레이닝 센터에서 전문 트레이너의 지도와 보조를 받으며 비만을 해소하려고 노력한다. 전문 트레이너의 보조를 받으면 본인의 체성분이나 체질분석을 병행하여 더욱 효율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효율을 높이는 수단에 불과할 뿐,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운동을 지속시키는 수단이 되기는 어렵다. 운동에 별로 흥미가 없었던 사람이라면 아무리 성인이라 해도 운동을 규칙적으로 꾸준히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지속적인 동기부여는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성인이 신년계획을 세워 운동을 다짐하지만 작심삼일로 그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아동의 경우에는 자신을 컨트롤하기가 더욱 어렵기 때문에 운동을 지속하기가 훨씬 어렵다. 미국에서는 30% 이상의 아동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에 해당하고, 비만환자의 86%가 6세 이전에 발생하며, 아동비만 관련 성인병의 근원이 대략 3∼4세에 형성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비만은 합병증을 동반하거나 이를 해소하더라도 다시 과체중이 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차원에서 각종 학교 프로그램을 지원한다든가 식품에 대한 규제를 입법화하는 움직임이 생겼고, 가정에서도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다수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비만 해소 솔루션을 분석해 보면 아동의 운동의욕을 고취시키거나 운동을 지속시킬 동기부여가 되는 요소를 찾기 어렵다. 결국, 정부나 가정에서는 아동 비만에 대한 대책을 수없이 내놓고 있지만, 정작 비만아동의 관심과 흥미를 끌지 못해 근본적인 방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 학습능력이 부족한 아동인 경우, 부모가 사설학원 등에 보내 학습방법이나 지식을 습득하게 하지만 공부에 관심이 없는 아동이라면 아무리 강사의 수업을 듣는다 해도 학습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키기가 쉽지 않다. 중요한 점은 방법론을 마련하기보다는 이를 지속할만한 학습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존재한다.
이렇듯 현대인은 자기개발을 위해 특정활동(학습이나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지만, 요구되는 활동을 꾸준히 유지하기가 결코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의욕을 고취해 특정 활동을 꾸준히 유지하도록 동기부여하는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운동이나 학습에 대한 욕구를 상승시킬 수 있는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는, 모바일기기 또는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미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센싱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미션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통신부 혹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기기 혹은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바일기기 혹은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ID를 식별하여 그 식별결과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션은, 상기 식별된 사용자ID 및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에 구비된 미션생성장치I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혹은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상기 미션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를 거쳐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션을 텍스트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기기는 상기 미션을 텍스트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가 센싱한 사용자의 동작 결과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개별 동작에 대한 센싱 결과이거나, 상기 개별 동작에 대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션이 모두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 센싱 결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 자이로스코프(gyroscopre),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및 중력 센서(grav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촉각적인 전달을 위해 진동을 생성하거나, 상기 센싱부에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주기적으로 센싱하여, 미션 수행에 대한 진행 경과에 따라 기설정된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시각적인 표시를 위한 광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은 모바일기기 또는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미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여, 그 센싱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에서의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사이에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ID를 식별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가 식별한 상기 사용자ID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서 생성된 미션을,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고, 센싱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상기 동작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사용자ID에 대하여 상기 수신한 동작 결과에 상응하는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또는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진동 혹은 빛을 이용하여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를 통해 미션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미션을 텍스트 혹은 음성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기기를 통해 미션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기기에 구비된 표시부가 상기 수신된 미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미션을 수신한 후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개별 동작을 센싱하거나, 상기 개별 동작에 대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션이 모두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은 모바일기기 또는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미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는,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미션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통신부 혹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모바일기기 혹은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를 통해 수신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ID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에 구비된 미션생성장치I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션을 생성하는 서버측 미션생성부; 및 상기 서버측 미션생성부가 생성한 미션을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동작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서버측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사용자ID에 대하여 상기 수신한 동작 결과에 상응하는 보상을 지급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에 의하면, 동기부여를 통해 사용자가 꾸준히 운동이나 학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를 구비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를 구비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아울러 도 1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이 이용되는 환경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100)은 휴대용 디바이스(200), 외부 미션생성장치(300), 모바일기기(400) 및 외부 서버(500)를 구비한다. 여기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100)은 외부 미션생성장치(300)와 모바일기기(400)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구비해도 무방하다.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나 모바일기기(4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300)와 모바일기기(400)는 상기 외부 서버(5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무선 연결 방법은 인터넷, 위성 통신 등의 기존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휴대용 디바이스(200)와 외부 미션생성장치(300)간, 혹은 휴대용 디바이스(200)와 모바일기기(400)는 휴대용 디바이스(200)를 소지 혹은 착용한 사용자와 근거리에 위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가까운 거리에서 이용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사용자ID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나 상기 모바일기기(400)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사용자ID를 인식한다. 이렇게 인식된 사용자ID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외부 서버(500)로 전송되어 미션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로 이용된다.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는 휴대용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200) 내의 사용자ID를 인식하고 그 정보를 외부 서버(500)로 전송한다.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도 고유ID를 포함할 수 있고, 고유ID는 미션생성장치(300)의 속성이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는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외부 미션생성장치가 각각 고유ID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각각의 외부 미션생성장치(300)가 외부 서버(500)와 개별적으로 통신할 수 있어도 좋고, 어느 하나의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만이 외부 서버(5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나머지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들은 서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아래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는 어린이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행하는 캐릭터를 형상화한 피겨린(figuri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에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200)와의 근거리 통신을 가능케 하거나 외부 서버(500)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케 하는 통신수단, 휴대용 디바이스(200)에서 식별한 사용자ID와 고유ID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공급수단(배터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400)는 기본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다만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모바일 통신 기능을 가지는 구성이 구비된다면, 근거리 통신 이외의 다른 통신 방법으로 연결되어도 좋다. 모바일기기(400)는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사용자ID를 인식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그 경우, 인식한 사용자ID를 외부 서버(500)로 전달하여, 외부 서버(500)로 하여금 사용자ID에 적합한 미션을 생성할 수 있게 하며, 외부 서버(500)로부터 미션을 수신한다. 모바일기기(400)는 수신된 미션을 휴대용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200)에 표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모바일기기(400)가 그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를 통해 미션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션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모바일기기(4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휴대용 디바이스(200) 및 외부 서버(5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외부 서버(500)는 외부 미션생성장치(300) 혹은 모바일기기(400)로부터 전달받은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사용자ID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ID에 적합한 미션을 생성한다. 외부 서버(500)는 게임 서버와 같이 이미 사용자의 ID가 생성되어 있을 수 있고, 그 경우 사용자의 목적에 부합하는 미션, 예를 들어 운동 미션이나 학습 미션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온라인상에서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 미션생성장치(300)의 형상은 상기 캐릭터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생성된 미션은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나 모바일기기(400)를 거쳐 휴대용 디바이스(200)로 전달된다.
외부 서버(500)에서 미션이 생성되어 휴대용 디바이스(200)에 전달되면,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해당 미션을 수신한 때부터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고 그 센싱 결과를 다시 외부 미션생성장치(300) 혹은 모바일기기(400)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500)로 전달한다. 외부 서버(500)에서는 전달받은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200)에 상응하는 사용자ID에 대하여 보상을 지급한다.
지급되는 보상은 외부 서버(500)에 등록된 사용자ID에게 일정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아이템의 지급이나 레벨상승과 같은 요소를 생각할 수 있다. 사용자 동작에 따른 센싱 결과가 수신된 미션의 몇 퍼센트를 수행했는지에 따라, 지급되는 포인트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외부 서버(500)는 해당 미션의 완성도와 그에 대한 보상에 관한 데이터를 미리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서 휴대용 디바이스(200)가 외부 서버(500)로부터 전달받은 미션과 관련한 사용자 동작의 센싱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도 1에서는 시계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와 달리 허리에 차는 형태, 혹은 만보기와 같이 신체 일부에 부착하는 형태, 나아가서는 신발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부(210), 센싱부(220), 컨트롤러(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나 모바일기기(4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NFC, RFID, 블루투스와 같은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220)는 미션을 수신한 이후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며,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와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지하기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 동작에 있어서,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며, 사용자의 동작상태를 매우 상세히 감지하는 장치이다. 여러 방식이 있지만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것을 감안하면, 소형화, 경박화된 센서가 더욱 적합하다. 자이로스코프, 지자기 센서, 중력 센서 역시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검지한다. 그 밖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검지할 수 있는 다른 움직임 센서들을 더 구비해도 좋다.
한편, 센싱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동작을 개별적으로 각각 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각 검지된 개별 동작에 대한 센싱 결과는 컨트롤러(230)의 제어하에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나 모바일기기(4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컨트롤러(230)는 센싱부(220)가 검지한 각각의 동작들에 대한 센싱 결과와, 수신한 미션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동작을 비교한 뒤, 수신한 미션이 어느 정도 완수되었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를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나 모바일기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230)의 기능은 상기 센싱부(220)가 수행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검지한 동작과 수신된 미션을 비교하고, 미션에서 요구하는 사용자의 동작이 수신된 미션을 모두 완수했는지를 판단한 판단 결과를 센싱 결과로 도출하는 과정이 센싱부(220)에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 경우에는 컨트롤러(220)가 센싱 결과만을 전달받아, 근거리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나 모바일기기(400)로 전송하게 된다.
메모리(240)는 센싱부(220)에서 센싱한 센싱 결과 혹은 사용자ID를 비롯하여,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동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사용자ID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다른 사용자ID로 교체될 수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사용자ID는 기본적으로는 외부 서버(500)에 등록된 사용자ID에 대응하며, 외부 서버(500)는 휴대용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사용자ID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사용자와 외부 서버(500)에 등록된 사용자의 동일성을 확인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구성들은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구성들에 불과하다.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 미션을 텍스트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미션을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을 더 구비해도 무방하며, 미션 수행이나 미션 수신 여부, 외부 장치(외부 미션생성장치(300)나 모바일기기(400) 등)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광표시부(LED 등으로 구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시계, 알람 기능, MP3플레이어 기능을 가질 수도 있고, 스마트워치(smart watch)같은 장치로 제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션생성장치(300)와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촉각적인 전달을 위한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하여,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의 연결 여부를 눈으로 보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센싱부(220)에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주기적, 예를 들어 초단위, 혹은 분단위로 센싱하고, 미션 수행에 대한 진행 경과(미션 완수율 등)에 따라 기설정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기설정된 진동은, 예를 들어 미션 수행률이 10% 증가할 때마다 한 번씩 진동을 생성하거나, 연속적인 동작이 필요한 미션의 경우, 진동을 지속적으로 전달하되 그 강도를 점점 높이다가 미션 완수율이 100%가 되면 다른 종류의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진동부의 진동 역시 사용자에 의하여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며, 그 중, 도 3과 도 4는 휴대용 디바이스(200), 외부 서버(500), 그리고 외부 미션생성장치(300) 혹은 모바일기기(400)만으로 동기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200)와 서버(500) 사이에서 외부 미션 생성장치(300) 혹은 모바일기기(400)가 이용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만 있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디바이스(200)와 미션생성장치(300)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S1), 미션생성장치(300)에서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사용자ID 식별(S2)이 이루어진다. 식별된 사용자ID는 서버(500)로 전달(S3)되며, 서버(500)에서 사용자ID 확인(S4)이 이루어지고, 사용자ID에 적합한 미션을 생성한다(S5). 미션은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를 거쳐 휴대용 디바이스(200)로 전달(S6,S7)되고,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구비된 표시 수단을 통해 해당 미션을 표시(S8)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수행해야 할 미션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해당 미션을 보고, 이를 완수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S9)하고, 이를 미션생성장치(300)를 통해 외부 서버(500)로 전달(S10,S11)한다. 마지막으로 외부 서버(500)는 미션의 성공도를 판단(S12)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해 적절한 보상을 사용자ID에 지급한다(S13).
도 4의 실시예는 도 3과 달리 휴대용 디바이스(200)에서 미션의 성공도까지 판단한다. 근거리 통신을 연결(S21)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S29)하는 과정까지는, 도 3의 S1에서 S9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디바이스(200)에서 센싱한 결과를 기초로, 수신된 미션의 성공도를 판단(S30)하고, 그 결과를 서버(500)로 전달(S31,S32)한다. 외부 서버(500)는 판단결과에 기초해 사용자ID에 대해 적절한 보상을 지급한다.
도 5는 휴대용 디바이스(200), 외부 미션생성장치(300), 모바일기기(400) 및 외부 서버(500)가 모두 포함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의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휴대용 디바이스(200)와 외부 미션생성장치(300)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S41),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는 휴대용 디바이스(200)의 사용자ID를 식별(S42)하고, 그 식별된 사용자ID를 외부 서버(500)에 전달(S43)한다. 외부 서버(500)는 사용자ID를 확인(S44)하고, 그에 해당하는 적절한 미션을 생성(S45)한다.
외부 서버(500)는 생성된 미션을 외부 미션생성장치(300)가 아닌 모바일기기(400)로 전달(S46)한다. 모바일기기(400)는 구비된 표시수단으로 해당 미션을 표시(S47)하고, 그 미션을 휴대용 디바이스(200)로 전달(S48)한다.
휴대용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S49)하고, 그 센싱 결과를 모바일기기(400)를 통해 외부 서버(500)에 전달(S50,S51)한다. 외부 서버(500)는 미션의 성공도를 판단(S52)하여,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해 사용자ID에 적절한 보상을 지급한다(S53).
여기서, 상기 단계 중 모바일기기(400)가 외부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미션을 표시(S47)하는 단계는, 휴대용 디바이스(200)가 모바일기기(400)로부터 전달받은 미션을 표시하는 단계로 대체되어도 좋다.
또한, 휴대용 디바이스(200)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S49)하고 그 센싱 결과를 외부 서버(500)로 전달하는 과정(S50,S51)은 모바일기기(400)가 아닌,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를 거쳐 외부 서버(500)로 전달해도 무방하고,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디바이스(200) 내에서 미션의 성공도를 판단하여 외부 서버(500)로 전달해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도 5의 도면에서 외부 미션생성장치(300)는 모바일기기(400)가 서로 바뀌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을 실제적으로 구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는 외부 서버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외부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본 시스템에 관여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를 동시에 참조하면, 사용자(10)가 모바일기기(400)를 통해서 해당 미션을 수신(①)한 뒤, 휴대용 디바이스(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미션과 관련한 동작을 수행(도 6b의 ②)하면서 외부 미션생성장치(300)와 근거리 통신을 이루게 되면(도 6a의 ②), 외부 서버의 미션 성공도 판단(③)에 따라, 미션 수행에 따른 보상을 지급(④)받게 된다. 여기서는 모바일기기(400)를 사용하여,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온라인상의 사용자ID에 로그인함으로써, 보상 지급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온라인상의 게임과 오프라인의 활동을 연계함으로써 흥미를 갖게 된다. 기존의 온라인 게임에서는 가상의 캐릭터를 조종하고 레벨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활동은 컴퓨터 앞에서 키보드나 마우스를 조작하는 데 그쳤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의 캐릭터를 조종하고 레벨을 상승시키기 위해 오프라인상에서의 활동이 요구되므로, 사용자가 더욱 흥미를 갖고, 요구되는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운동이나 학습에의 동기를 유발하기에 충분한 요소가 되며, 특히, 외부 미션생성장치(300)가 온라인상의 사용자ID의 캐릭터가 유사성을 갖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더욱 재미있게 온라인상의 게임과 오프라인상의 미션수행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b에는 외부 서버(500)가 부여하는 미션으로, 뜀뛰기, 줄넘기, 공놀이 등과 같이 단순한 운동을 도시했지만, 이와 달리 등산이나 헬스, 사이클과 같은 야외운동을 상정할 수도 있고, 피아노 연습, 글씨 쓰기와 같이 학습을 유도하는 활동이 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외부 서버(500)가 사용자ID에 제공하는 보상으로는 포인트 지급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의 사용자ID에 대응하는 캐릭터에 특별한 표시(예를 들어 후광(halo))를 부여하거나, 중세기사 캐릭터라면 그 등급을 상승시키는 보상을 이용한다면 게임을 하고 있는 사용자가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같은 게임을 하는 사용자들의 상위 순위를 공개함으로써 경쟁을 유도해 운동이나 학습동기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도 7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을 실제적으로 구현한 도면이지만, 도 6a나 도 6b와 달리 외부 미션생성장치가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외부 미션생성장치(300-1,300-2,300-3,300-4)는 휴대용 디바이스(200)와 개별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외부 미션생성장치(300-1,300-2,300-3,300-4)는 고유ID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라톤과 같이 장소이동을 요구하는 미션인 경우, 각각의 외부 미션생성장치를 서로 다른 곳에 배치하여, 사용자(10)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해당 장소에 배치된 각각의 미션생성장치에 대해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 각각의 미션생성장치는 사용자(1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ID를 확인하고, 이를 외부 서버(500)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10)가 해당 장소에 도달했고, 그에 따라 미션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으나, 위에서 언급했듯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200………………………………휴대용 디바이스
210………………………………근거리 통신부
220………………………………센싱부
230………………………………컨트롤러
240………………………………메모리
300………………………………외부 미션생성장치
400………………………………모바일기기
500………………………………외부 서버

Claims (17)

  1. 모바일기기 또는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미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센싱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미션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통신부 혹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 혹은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모바일기기 혹은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ID를 식별하여 그 식별결과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은, 상기 식별된 사용자ID 및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에 구비된 미션생성장치I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혹은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상기 미션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를 거쳐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을 텍스트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는 상기 미션을 텍스트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센싱한 사용자의 동작 결과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개별 동작에 대한 센싱 결과이거나, 상기 개별 동작에 대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션이 모두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한 센싱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 자이로스코프(gyroscopre) 및 중력 센서(gravit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촉각적인 전달을 위해 진동을 생성하거나, 상기 센싱부에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주기적으로 센싱하여, 미션 수행에 대한 진행 경과에 따라 기설정된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시각적인 표시를 위한 광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1. 모바일기기 또는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미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여, 그 센싱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에서의 동기부여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사이에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구비된 사용자ID를 식별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가 식별한 상기 사용자ID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서 생성된 미션을,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고, 센싱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상기 동작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사용자ID에 대하여 상기 수신한 동작 결과에 상응하는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또는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진동 혹은 빛을 이용하여 연결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를 통해 미션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미션을 텍스트 혹은 음성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기기를 통해 미션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기기에 구비된 표시부가 상기 수신된 미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미션을 수신한 후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개별 동작을 센싱하거나, 상기 개별 동작에 대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미션이 모두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17. 모바일기기 또는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미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는,
    외부 미션생성장치 혹은 상기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미션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통신부 혹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한 사용자의 동작 결과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모바일기기 혹은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를 통해 수신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ID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에 구비된 미션생성장치I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션을 생성하는 서버측 미션생성부; 및
    상기 서버측 미션생성부가 생성한 미션을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외부 미션생성장치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동작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서버측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사용자ID에 대하여 상기 수신한 동작 결과에 상응하는 보상을 지급하는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KR1020140034103A 2014-03-24 2014-03-24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KR101576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03A KR101576886B1 (ko) 2014-03-24 2014-03-24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03A KR101576886B1 (ko) 2014-03-24 2014-03-24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36A true KR20150110136A (ko) 2015-10-02
KR101576886B1 KR101576886B1 (ko) 2015-12-11

Family

ID=5434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103A KR101576886B1 (ko) 2014-03-24 2014-03-24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207B1 (ko) * 2017-04-07 2019-01-22 스왈라비(주) 서버가 사용자의 신체활동량에 기반하여 리워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886B1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0916B2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9717944B2 (en) Health promotion system using wireless and ropeless jump rope apparatus
US10130845B2 (en) Gymnastic machine,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easily controlling the training of a user on a gymnastic machine
KR20160054325A (ko)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436596B (zh) 运动支持装置及运动支持方法
US20070135264A1 (en) Portable exercise scripting and monitoring device
US8826177B2 (en) Multiple user profiles in portable apparatus
US10661148B2 (en) Dual motion sensor bands for real time gesture tracking and interactive gaming
US10306687B2 (en) Transmitting athletic data using non-connected state of discovery signal
KR20180000812A (ko)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160228745A1 (e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WO2017001848A1 (en) A sensing system for detecting the behavior of a user
JP2019509794A (ja) 回転方向及び運動量の測定装置を備えたフラフープを用いた運動管理装置
KR20170041537A (ko) 착용 및 부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운동 서비스 시스템
US10926138B2 (en) Exercise device
KR20180020703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54279B1 (ko) 충격량 기반 트레이닝 시스템
KR101576886B1 (ko)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KR20160065601A (ko)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
KR20180024896A (ko) 피트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CN103816643B (zh) 平衡木及平衡木训练检测系统
WO2018057044A1 (en) Dual motion sensor bands for real time gesture tracking and interactive gaming
KR20160015808A (ko) 무선 줄넘기 장치를 이용한 생체정보 획득 및 이를 통한 운동관리 방법
KR20210085253A (ko) 스마트 개인훈련 운동시스템 및 개인훈련 운동방법
US20200324167A1 (en) Method for quantifying a sporting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