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666A -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 Google Patents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666A
KR20150108666A KR1020140031759A KR20140031759A KR20150108666A KR 20150108666 A KR20150108666 A KR 20150108666A KR 1020140031759 A KR1020140031759 A KR 1020140031759A KR 20140031759 A KR20140031759 A KR 20140031759A KR 20150108666 A KR20150108666 A KR 2015010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mbers
portions
handle
lengt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용
Original Assignee
엄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용 filed Critical 엄재용
Priority to KR102014003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8666A/ko
Publication of KR2015010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으로서,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내부에 각각 제1 및 제2 공간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양단면에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가 관통되도록 제1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공간부에 각각 삽입 고정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 몸체의 일단에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의 암나사부와 회전하면서 이동되도록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타단에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삽입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가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ADJUSTABLE WEIGHT DUMBBELLS}
본 발명은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에 맞춰 아령의 중량체를 탈부착할 수 있는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손에 들고 사용하는 운동기구로서, 웨이트 트레이닝에 쓰이는 기구의 일종이다. 아령은 팔을 상하좌우로 굽히고 피거나 들어올리는 등의 다양한 동작으로 손쉽게 운동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이다. 보통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잡이 부분의 양쪽 끝에 두꺼운 원판 형태의 쇠뭉치가 달려있다.
종래에 이용되는 아령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운동량에 맞춰 적절한 무게의 아령을 찾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 10-2013-0044591호(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에 따른 발명이 제안되었다. 상기 발명은 중량체 탈착이 쉽고 편리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력 운동기구의 손잡이부(100)에 쉽게 중량체를 탈부착하기 위하여 중앙에 형성된 원형 구멍 대신 트입부를 통해 개구된 결합부를 중량체에 형성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명은 중량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도입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웨이트 탈착이 용이한 운동기구에 따르면, 아령의 양쪽 끝에 돌출되어 있는 장착 부분에 의해 본인을 포함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준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트임부를 통해 개구된 결합부를 갖는 형태의 중량체이기 때문에, 거꾸로 아령을 움직이며 운동할 때 장착된 중량체가 빠져나올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국내공개공보 : 제 10-2013-0044591호
본 발명은 앞에서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및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아령의 중량체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으로서,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내부에 각각 제1 및 제2 공간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양단면에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가 관통되도록 제1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공간부에 각각 삽입 고정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 몸체의 일단에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의 암나사부와 회전하면서 이동되도록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타단에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삽입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가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가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보다 지름이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관통홀의 지름은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의 지름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공간부에, 상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를 고정하는 턱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 보다 깊게 손잡이부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부에서 말단까지의 길이보다 짧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중량조절이 가능한 아령을 이용하여 운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의 아령을 이용할 때 무게에 맞춰 아령의 종류를 바꿔야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게 되는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아령을 사용할 때와는 달리, 아령의 양쪽에 돌출된 부분이 없으므로 운동할 때 사용자가 다치거나 주위에 있는 기물이 파손되는 일을 예방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공구나 다른 도움없이 손으로 자유롭게 중량체를 원하는 무게에 맞춰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운동을 진행하는데 지체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의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쓰여져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고자 제공되는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부분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부분들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부분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부분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1)은 손잡이부(100), 길이조절부재(200), 연결부재(300), 중량체(500), 및 고정부재(4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구성되는 아령(1)의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1)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1)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1)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아령(1)은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손잡이부(100)와 중량체(500), 그리고 고정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00)는 손을 이용하여 파지하기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내부에 각각 제1 및 제2 공간부(105)와 제1 및 제2 관통홀(10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 제1 및 제2 관통홀(103)은 제1 및 제2 공간부(105)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폭이 좁혀져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중량체(500)가 손잡이부(100) 양단으로 밀접하게 부착되도록 손잡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101) 및 걸림턱부(102)가 형성된다.
손잡이부(100)의 각 구성요소와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쥐고서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손잡이부(100)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봉의 형태이나, 그 형태에 제한을 받지않고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기 때문에 직접 접촉하기 좋은 아연재질이나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및 제2 공간부(105)는 손잡이부(100)의 중앙부(104)를 기준으로 양측 내부에 각각 형성된 공간이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1 및 제2 턱(106)이 형성된 공간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공간부(105)의 형태는 손잡이부(100)의 내부 공간범위 내에서 제한을 받지는 않으나,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의 형태와 턱(106)의 위치를 따른다.
또한, 제1 및 제2 턱(106)은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가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와 체결되어 상기 공간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턱(106)의 위치가 제1 및 제2 길이연결부재의 끝부분에 위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턱(106)의 위치는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가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와 체결되어 상기 공간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막아주는 기능을 달성한다면 공간부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도 상관 없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턱(106)의 위치는 공간부의 중간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관통홀(103)은 손잡이부(100)의 제1 및 제2 공간부(105)에서 손잡이부(100)의 바깥쪽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홀(hole)의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가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와 맞물려 움직일 시, 중량체(500)와 고정부재(400)를 관통하는 각도가 어긋나지 않도록 가이드를 해준다.
한편, 제1 및 제2 돌출부(101)는 손잡이부(100)의 양끝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돌출부(101)는 중량체(500)의 중앙구멍(502)과 맞물려 삽입되도록 손잡이부(100)에 구비되어있다. 따라서 중량체(500)의 중앙구멍(502)의 결합부분(501)에 긴밀하게 접합되도록 중량체(500)와 손잡이부(100) 사이의 위치를 중심으로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걸림턱부(102)는 손잡이부(100)의 중앙부(104)와 돌출부(101) 사이에 위치하며, 손잡이부(100)의 외주면에서 바깥 부분으로 확장되어 돌출된 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및 제2 걸림턱부(102)는 앞에서 서술한 제1 및 제2 돌출부(101)와 결합된 중량체(500)가 손잡이부(10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는 앞에서 언급한 손잡이부(100)의 제1 및 제2 공간부(10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의 구성요소와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의 제1 및 제2 몸체(202)는 손잡이부(100)의 제1 및 제2 공간부(105)에 고정되어 위치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203)가 있다면 몸체(202) 외부의 형태는 어떠한 형태의 것이든 상관없다.
또한, 각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는 손잡이부(100)의 중앙부에서 말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가 제1 및 제2 암나사부(203)를 통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200)보다 더 깊게 손잡이부(10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가 제1 및 제2 공간부(105)를 넘어서 깊숙이 안으로 들어갈 수 있어, 제1 및 제2 중량체(500)가 없을 경우 제1 및 제2 연결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의 암나사부(203)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와 체결됨으로써,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의 길이조절을 위해 이용된다.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의 구성요소와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는 손잡이부(100)의 제1 및 제2 관통홀(103)을 각각 관통하는 일정한 길이의 제1 및 제2 몸체(303)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몸체(303)의 일단에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302)가 형성되고, 다른 타단에는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301)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의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302)가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301)보다 나사산의 크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의 기능은 손잡이부(100)와 중량체(500), 그리고 결합부재를 관통시켜 하나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302)는 제1 및 제2 몸체(303)의 일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부(100)의 제1 및 제2 관통홀(103)을 따라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200)의 암나사부(203)와 체결됨으로써, 회전을 통해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301)는 제1 및 제2 몸체(303)의 타단에 형성되며, 고정부재(400)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손잡이부(100), 제1 및 제2 중량체(500),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 순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를 돌려서 뺄 때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가 먼저 풀려버려 제1 및 제2 중량체(500)가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302)의 지름이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301)의 지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 와 제1 및 제2 연결부재는 서로 체결되는 나사결합을 위해 마모되지 않도록 튼튼한 메탈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아령(1)을 이용하여 적합한 중량체(500)를 추가하려고 할 때,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302)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 몸체(303)를 길이 조절하고,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301)로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를 조임으로써 균형잡힌 아령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는 제1 및 제2 돌출부(403), 제1 및 제2 압지부(402) 및, 앞에서 언급한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와 체결되는 너트(40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의 기능과 형상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돌출부(403)는 제1 및 제2 중량체(500)의 중앙구멍(502)의 결합부분(501)에 밀접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중량체(500)는 운동 중에도 움직이지 않고 연결부재에 밀착된다.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라면 제1 및 제2 돌출부(403)의 형태에 제한이 없으나,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형태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압지부(402)는 제1 및 제2 돌출부(403)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마개 형태이며, 기본적으로 원통형이나, 그 형태에 제한은 없다. 중량체(500)의 중앙구멍(502)의 바깥쪽 면에 밀착되어 손잡이부(100) 쪽으로 누르는 형상으로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100)에 결합한 제1 및 제2 중량체(500)를 손잡이부(100) 쪽으로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기능이 있다.
너트(401)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의 제1 및 제2 돌출부(403) 내부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401)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의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301)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너트(401)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와 체결되기 위해 메탈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너트(401)를 제외한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의 재질은 사용자가 맨손으로 잡고 돌리기에 적합하도록 플라스틱이나 고무와 같은 외부표면의 마찰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중량체(500)는 형태가 고정되어 있지않고, 손잡이부(10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400)에 결합이 가능해야한다. 정중앙에는 제1 및 제2 중량체(50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1 및 제2 중앙구멍(502)을 갖는다.
또한, 제1 및 제2 중량체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의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301)를 각각 관통하여, 제1 및 제2 연결부재(300)의 제1 및 제2 몸체(303)의 외주면에 삽입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필요한 무게의 중량체(500)를 손잡이부(100)의 양쪽에 탈부착하여 아령(1)의 무게를 조절하게 된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 간의 조립관계를 상세하게 보기 위해 첨부된 도 2와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중량체(500)를 더 추가할 때, 조립된 아령(1)의 일단에서의 조립순서를 설명한다.
첫 번째, 제1 고정부재(40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제1 연결부재(300)가 손잡이부(100) 외부로 나오도록 조절한다. 이때 제1 연결부재(300)는 아령(1)에 추가로 끼우려는 중량체(500)의 수만큼 삽입가능하도록 나와야한다. 여기서, 손잡이부(100)의 제1 돌출부(101)와 이미 결합된 중량체(500)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두 번째, 제1 고정부재(400)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제1 고정부재(400)의 너트(401)와 제1 연결부재(300)의 제1 외부숫나사부(301)가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제1 연결부재(300)가 제1 고정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세 번째, 필요한 추가적인 중량체(500)의 중앙구멍(502)을 제1 연결부재(300)에 삽입시켜 추가된 중량체(500)를 나란히 밀착시킨다.
마지막으로, 제1 고정부재(400)의 너트(401)와 제1 연결부재(300)의 제1 외부숫나사부(301)를 체결하여 추가된 중량체(500)가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때, 가장 바깥쪽에 끼워진 중량체(500)의 중앙구멍(502)의 결합부분(501)과 제1 고정부재(400)의 돌출부(403)가 긴밀하게 접합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타단 부분 역시 앞에서 서술한 방법을 동일하게 실행한다. 이로써 손잡이부(100)를 중심으로 양쪽의 중량체(500)가 적절한 위치에 있어 양쪽의 균형을 이루게 된다.
1 : 아령
100 : 손잡이부
101 : (손잡이부의) 돌출부, 102 : 걸림턱부, 103 : 관통홀,
104 : 중앙부, 105 : 공간부, 106 : 턱
200 : 길이조절부재
202 : (길이조절부재의) 몸체, 203 : 암나사부
300 : 연결부재
301 : 외부숫나사부, 302 : 내부숫나사부, 303 : (연결부재의) 몸체
400 : 고정부재, 401 : 너트, 402 : 압지부, 403 : (고정부재의) 돌출부
500 : 중량체
501 : 결합부분, 502 : 중앙구멍

Claims (5)

  1.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내부에 각각 제1 및 제2 공간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양단면에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가 관통되도록 제1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공간부에 각각 삽입 고정되며,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
    몸체의 일단에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의 암나사부와 회전하면서 이동되도록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타단에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삽입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가 상기 손잡이부의 양단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의 제1 및 제2 내부숫나사부가 제1 및 제2 외부숫나사부보다 지름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관통홀의 지름은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의 지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제1 및 제2 공간부에, 상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를 고정하는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 보다 깊게 손잡이부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중앙부에서 말단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KR1020140031759A 2014-03-18 2014-03-18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KR20150108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59A KR20150108666A (ko) 2014-03-18 2014-03-18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59A KR20150108666A (ko) 2014-03-18 2014-03-18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66A true KR20150108666A (ko) 2015-09-30

Family

ID=5424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759A KR20150108666A (ko) 2014-03-18 2014-03-18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86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908A1 (zh) * 2020-08-04 2022-02-10 高邮市康胜机械有限公司 一种固定牢固方便安装的哑铃
CN114028764A (zh) * 2021-11-02 2022-02-11 王美媛 哑铃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908A1 (zh) * 2020-08-04 2022-02-10 高邮市康胜机械有限公司 一种固定牢固方便安装的哑铃
CN114028764A (zh) * 2021-11-02 2022-02-11 王美媛 哑铃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2035A (en) Adjustable barbell bar with rotating handles
US10220237B2 (en) Exercise training device
US20220280832A1 (en) Exercise Bar
US10881903B2 (en) Hand grip
US20070207904A1 (en) Elastic cord and pull exerciser having the same
US8782854B1 (en) Universal handle device
US20030228962A1 (en) Exercise device
CA2848039C (en) Personal exercise device
US20120302410A1 (en) Portable exercis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20160167215A1 (en) Arm holder for a pole-handled tool
US4095789A (en) Torsion spring type wrist exercising device
US20210154546A1 (en) Grips for a Handle on a Hockey Stick
US7278668B1 (en) Modular gripping assistive device
KR20150108666A (ko) 중량조절 가능한 아령
US20210154542A1 (en) Grip for a Handle on a Golf Club
US6223694B1 (en) Ergonomic animal leash
JP2015084776A (ja) 運動補助具
AU2012335797B2 (en) Clamp device for elastic band
US10918900B2 (en) Resistance band with inner wire core
US20020198089A1 (en) Arm exercise therapy device
TWM446642U (zh) 扭力棒
US20120232444A1 (en) Abdominal massage device
US20170368431A1 (en) Handgrip for sporting equipment and method of use
KR101508739B1 (ko) 다용도 아령
US10843057B2 (en) Handle for dance practic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