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970A -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970A
KR20150107970A KR1020140030174A KR20140030174A KR20150107970A KR 20150107970 A KR20150107970 A KR 20150107970A KR 1020140030174 A KR1020140030174 A KR 1020140030174A KR 20140030174 A KR20140030174 A KR 20140030174A KR 20150107970 A KR20150107970 A KR 20150107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mobile terminal
attitud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1726B1 (ko
Inventor
이임평
최경아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72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한 복수의 영상에 대하여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자세 결정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 중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을 개시하며, 본 발명에 의하여 실내외에 따른 장소적 제약없이 보다 정확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고품질의 길 안내 서비스나 추가적 지리 정보 제공, 증강현실 서비스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and attitude of mobile terminal including multiple image acquisition devices}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획득한 영상 및 모바일 단말기 자체 또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미리 구축된 지오레퍼런싱된 기준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크게 증가하면서, 모바일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접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지도 정보와 위치 기반 서비스를 결합한 길 안내 서비스나 증강 현실(argumented reality) 서비스 등 부가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LBS)의 기반이 되는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정확도는 미흡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위치 정보(Location Infromation) 획득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그 오차가 10m 이상까지 커질 수 있고, 또한 위성 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운 실내에서는 더욱 그 위치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자세 정보(Attitude Information)의 경우도 이와 별반 다를 바 없어서, 단말기 별로 구비되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그 정확도가 미흡하고, 또한 기기에 따라서는 이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도 많아 적절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활성화함에 있어 난점으로 꼽힌다.
이에 대하여, 카메라 등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미리 지오레퍼런싱되어 저장된 영상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정확성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연속 번들 조정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위치 자세 결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85-186쪽)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을 활용하여 보다 정밀한 스마트폰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카메라의 방향에 따라서는 스마트폰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적절한 영상을 획득하지 못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영상을 획득한다 하더라도 단일 영상만을 기준으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단일 영상이 커버하는 영역에서만 기준점을 추출하게 되고, 카메라 내부특성변수가 갖는 부정확함이 위치 및 자세 결정에 있어서도 부정확함을 유발하는 등 상황에 따라 그 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보다 높은 수준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하여, 실내외 등 장소의 제약없이 보다 정확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적절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내외 등 장소의 제약없이 보다 정확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은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한 복수의 영상에 대하여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자세 결정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 중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로서, 서로 평행하지 않은 광학축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한 초기 영상을 기초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에서 측정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에서 측정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 또는 초기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초기 위치자세 결정 모듈; 지오레퍼런싱을 통해 획득된 영상 취득 시의 각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가 명시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미리 저장한 영상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영상 획득 장치가 획득한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포함하는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검색하는 영상 검색 모듈;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서 추출하는 영상 매칭 모듈; 및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공액점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상기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위치 자세 조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자세 조정 모듈은 상기 초기 위치 정보 또는 초기 자세 정보와, 상기 영상 추출 모듈로부터 산출된 공액점의 영상 좌표를 함께 이용하여 번들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에서 측정한 정보는 GPS 모듈에서 측정한 위치 데이터, 컴파스 모듈에서 측정한 방향 데이터,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한 자세 데이터, 또는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가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매칭 모듈은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가 획득한 영상의 두 영상씩을 비교하여 산출한 하나 이상의 공액점과,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가 획득한 영상과 상기 검색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서로 비교한 하나 이상의 공액점을 산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공액점에 의한 번들이 가장 작은 오차를 가지면서 지상의 한 객체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신뢰성있는 공액점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최종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자세 정보를 기초로 다른 서버와 통신하여 해당 위치나 자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의 지도 위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은 (a) 위치 자세 결정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획득한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에 대하여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 중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에서, 위치 자세 결정 서버가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 정보도 함께 수신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지오레퍼런싱을 통해 획득되어 영상 취득 시의 각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가 명시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미리 저장한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포함하는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검색하는 단계; (b2)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서 추출하는 단계; 및 (b3)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공액점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상기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장치는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 위치 및 자세 관련 센서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 상기 위치 및 자세 관련 센서 정보를 기초로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초기 위치 자세 결정 모듈; 지오레퍼런싱을 통해 획득된 영상 취득 시의 각 카메라 위치와 자세가 명시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미리 저장한 영상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포함하는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검색하는 검색 모듈;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서 추출하는 영상매칭 모듈; 및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공액점에 대응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상기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위치 자세 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과 지오레퍼런싱된 기준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결정함으로써, 실내외에 따른 장소적 제약없이 보다 정확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고품질의 길 안내 서비스나 추가적 지리 정보 제공, 증강현실 서비스 등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특성변수에 따른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특성변수에 따른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 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그 오차가 10m 이상까지 커질 수 있고, 또한 실내에서는 더욱 그 위치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자세 정보 획득의 경우에도 단말기 별로 구비되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그 정확도가 미흡하고, 또한 기기에 따라서는 이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도 많아 위치 기반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미리 지오레퍼런싱되어 저장된 영상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정확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로는 적절한 영상을 획득하지 못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영상을 획득한다 하더라도 단일 영상만을 기준으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그 오차가 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과 지오레퍼런싱된 기준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결정함으로써, 실내외에 따른 장소적 제약없이 보다 정확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기(110)와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와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130) 및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나 자세와 관련된 위치 정보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정보 서비스 서버(140)가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부분 별로 나누어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모바일 단말기(110)에 대하여 살핀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는 통신 네트워크(130)(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의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아이패드, 갤럭시탭 등의 스마트패드(Smart pad) 또는 구글글래스와 같은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s)일 수 있고, 또한 이에 한정되는 않고,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기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또는 이동 단말일 수 있으며,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등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가정용 또는 기업용 사회 전반의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110)는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에서 정밀하게 산출되어 피드백된 최종 위치 정보(위도, 경도, 고도 등) 또는 자세 정보(전진방향(Roll축 방향), 전진방향의 우측방향(Pitch 축 방향), 중력 방향(Yaw 축 방향) 등의 회전각 정보)를 기초로 통신 네트워크(130)에 연결된 위치 정보 서비스 서버(140)와 통신하여 해당 위치나 자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의 지도 위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10)는 종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보다 좀 더 정교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좀 더 정교하게 해당 자세에 맞는 (가상) 영상을 합성하는 증강 현실 서비스가 가능하고, 기타 모바일 단말기(110)의 정교한 위치와 자세에 맞는 다양한 추가적 정보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위치 및 자세를 판별하기 위한 영상 및 센서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전달받아, 이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다시 모바일 단말기(110)로 전달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정보를 위치 정보 서비스 서버(140)에 전달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카메라(112) 등 영상 획득 장치가 하나만 사용되는 경우를 고려해 보면, 카메라(112)의 방향에 따라서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적절한 영상을 획득하지 못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영상을 획득한다 하더라도 단일 영상만을 기준으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단일 영상이 커버하는 영역에서만 기준점을 추출하게 되고, 카메라 내부특성변수가 갖는 부정확성에 의하여 위치 및 자세 결정에 있어서도 그 오차가 커질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위치 및 자세 정보 산출을 위한 영상 획득 가능성을 높이고, 다양한 방향에서 획득한 영상을 함께 고려하여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130)는 인터넷(Wi-Fi포함)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WCDMA(3G 또는 LTE기반의 4G 포함), WiBro 등의 무선 이동 통신망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선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110)는 이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동하는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와 통신하여 자신이 실내 또는 실외에서 획득한 위치 및 자세 관련 정보(센서 정보, 카메라 영상 정보 등)를 전송하고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로부터 보다 정밀하게 보정된 위치 및 자세 관련 정보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치 정보 서비스 서버(140)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서비스 등 위치 정보 서비스(LBS)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동작하게 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아래에서는 도 2의 모바일 단말기(110) 및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의 블록도와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100)의 동작을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10)는 센서 모듈(111), 카메라(112), 및 수집 전송 모듈(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는 초기 위치 자세 결정 모듈(121), 영상 데이터베이스(122), 영상 검색 모듈(123), 영상 매칭 모듈(124), 및 위치 자세 조정 모듈(1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모바일 단말기(110)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본 서비스를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센서 모듈(111)이 위치 및 자세(Position and Attitude, PA) 관련 센서 정보를 측정하고, 카메라(112)가 주변의 영상(복수의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가능)을 촬영하여 카메라 영상을 생성하며, 수집 전송 모듈(113)이 이와 같은 위치 및 자세(PA) 관련 센서 정보와 카메라 영상(정보)을 수집하여,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로 전송한다(도 3의 S310).
여기서, 센서 모듈(111)이 측정하는 위치 및 자세(PA) 관련 센서 정보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에서 측정한 위치 데이터(위도, 경도, 고도 등), 컴파스(compass) 모듈에서 측정한 방향 데이터(진행되는 방향과 관련된 정보),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한 자세 데이터(전진방향(Roll축 방향), 전진방향의 우측방향(Pitch 축 방향), 중력 방향(Yaw 축 방향) 등의 각속도 증분치와 관련된 회전각 정보), 또는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가속도 데이터(진행되는 방향의 속도 증분치와 관련된 가속도 정보) 등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및 자세(PA) 관련 센서 정보와 카메라 영상이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면, 초기 위치 자세 결정 모듈(121)은 위치 및 자세(PA) 관련 센서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기(110)의 초기 외부 표정 요소로서 초기 위치 정보(φ,λ,h)(위도, 경도, 고도 등)와 자세 정보(θRoll, θPitch, θYaw)(전진방향(Roll축 방향), 전진방향의 우측방향(Pitch 축 방향), 중력 방향(Yaw 축 방향) 등의 회전각 정보)을 결정한다(도 3의 S320).
초기 위치 자세 결정 모듈(121)은 위치 및 자세(PA) 관련 센서 정보인, 컴파스 모듈의 방향 데이터, 자이로 센서의 자세 데이터,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데이터 등을 소정 항법 방정식에 적용하여 속도를 추정하고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구비된 칼만 필터 등을 이용해 GPS 모듈의 위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의 초기 외부 표정요소로서 위와 같은 초기 위치 정보(φ,λ,h)(위도, 경도, 고도 등)와 자세 정보(θRoll, θPitch, θYaw)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항법 방정식이나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위치나 자세와 관련된 항법 정보를 추정하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100)이 반드시 상기 위치 및 자세 관련 센서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100)이 위치 및 자세 관련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 초기에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 데이터베이스(122)에서 상기 영상과 같은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을 검색하여 이로부터 기준점을 추출하고 싱글 포토 리섹션(single photo resection)을 수행하는 등의 방법으로 초기 위치 정보와 초기 자세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반면, 그 다음부터 취득하는 영상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첫 영상에 의한 초기 위치 정보 및 자세 정보와의 상대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초기 위치 정보와 초기 자세 정보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지오레퍼런싱(georeferencing, 지리참조)을 통해 획득된 영상 취득 시의 각 해당 카메라 위치(φ,λ,h)와 자세(θRoll, θPitch, θYaw)가 태깅(tagging)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과 각 영상점 좌표(영상점들의 지상 좌표)가 미리 구축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영상 검색 모듈(123)은 영상 데이터베이스(122)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카메라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포함하는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검색한다(도 3의 S330). 영상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위와 같은 영상점 좌표가 저장되어 하기하는 바와 같은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정보의 산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생략 가능하며, 영상에서의 해당 임의의 상대 좌표의 추정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지오레퍼런싱은 멀티센서(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디지털 카메라, 레이져 스캐너 등)를 이용해 획득된 플랫폼의 위치 및 자세 관련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 또는 지상 기준점 측량을 수행하여 취득된 기준점 측량 성과 등을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지상물이나 카메라의 촬영 위치 등의 3차원 지상 좌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이와 같은 지오레퍼런싱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론 중에 하나로써 카메라의 영상과 위치 및 자세 관련 데이터, 지상기준점을 입력으로 AT(Aerial Triangulation)를 수행하는 것이 있다. AT기반의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위치 및 자세 관련 데이터 등 외부표정요소를 보정해나가며 영상에 포함된 지상물(또는 영상점)의 좌표나 촬영 위치의 위치 및 자세를 추정할 수 있고 해당 촬영 시의 위치 및 자세가 태깅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오레퍼런싱(georeferencing, 지리참조)을 통해 영상 취득 시의 각 카메라 위치와 자세가 명시된 기준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이 영상 데이터베이스(122)에 미리 구축되어 저장되며, 영상 검색 모듈(123)은 이와 같은 영상 데이터베이스(122)에서 모바일 단말기(110)의 카메라 영상과 유사한 영상이 포함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영상 매칭 모듈(124)은 모바일 단말기(110)의 동일 카메라 영상끼리 또는 다른 카메라 영상끼리 또는 카메라 영상과 영상 검색 모듈(123)에서 검색된 상기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비교해 동일 지상 객체로부터 투영된 다수의 공액점을 추출하게 된다(도 3의 S340). 이때 모바일 단말기(110)가 전송하는 카메라 영상과 상기 검색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서로 비교한 공액점 이외에, 모바일 단말기(110)가 전송하는 2대 이상 카메라(112)의 영상 중, 특정 카메라(112)의 연속된 두 영상을 비교해 매칭된 영상 부분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공액점들을 추출할 수 있고, 특정 카메라(112)와 또 다른 카메라(112)의 영상을 비교해 매칭된 영상 부분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공액점들을 추출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추출된 공액점에 대하여, 한 객체점에서 투영된 복수의 공액점 쌍을 잇는 직선으로 정의되는 번들(bundle)이 가장 작은 오차로 한 지상 객체점에서 교차하도록 하는 신뢰성있는 공액점이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지상점에 대해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카메라(112) 영상과 영상 검색 모듈(123)에서 검색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이 매칭된 부분의 영상점들은 소정의 공선 방정식으로 정의되는 번들(bundle)이 하나의 지상점에서 교차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그러나, 동일 지상점이라 하더라도 영상점(공액점) 좌표의 오차로 인해 하나의 해당 지상점에서 만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최소 제곱법(method of least squares)을 이용하여 하나의 지상점에 대한 복수 공선 방정식의 직선들이 가장 오차가 작은 근접 범위에서 만나도록 하는 점을 신뢰성있는 공액점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액점이 산출되면, 위치 자세 조정 모듈(125)은 공액점을 이용해 해당 공액점을 획득할 수 있는(해당 카메라 영상이 나오게 하는) 최종 외부 표정 요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매칭된 카메라 영상(들) 또는 기준 지오레퍼런싱된 영상(들)(또는 영상의 영상점들) 부분에 대해 초기 위치 자세 결정 모듈(121)이 결정한 초기 외부 표정 요소(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의 최종 외부 표정 요소(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고(도 3의 S350), 모바일 단말기(110)로 피드백할 수 있다(도 3의 S360). 이때 위치 자세 조정 모듈(125)은 모바일 단말기(110)가 실시간 전송하는 위치 및 자세 관련 센서 정보와 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여 모바일 단말기(110)로 실시간 피드백하게 된다. 이때 영상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매칭된 해당 부분의 기준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영상점들의 지상 좌표 포함)이 참조될 수 있으며, 위치 자세 조정 모듈(125)은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초기 외부 표정 요소(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며 해당 영상을 촬영하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지상 (촬영) 좌표를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다.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은 영상 획득시의 카메라(112), 즉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하는 간접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서, 영상의 번들조정 기반의 위치 자세 조정 모듈(125)은 확률 제약 조건을 갖는 공선 조건식을 이용한 수학적 모델(Gauss-Markov with Stochastic Constraints 모델)을 이용하고 위와 같이 매칭된 영상(들)(또는 영상의 영상점들) 부분에 대해, 영상 데이터베이스(122)의 각 카메라(112) 위치 및 자세에 대한 기준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영상점들의 지상 좌표 포함)을 참조하여, 위와 같은 초기 외부 표정 요소(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에 대해 최소 제곱법(method of least squares)을 적용하여, 위와 같은 수학적 모델의 소정 정규 방정식을 반복 계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수렴되는 최종 외부표정요소(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정에 따라 위와 같은 수학적 모델에 따른 소정 정규 방정식에서 해당 매칭된 기준 영상 부분에 대해 상기 공액점을 획득할 수 있는 가장 오차가 적은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가 해당 카메라(112) 영상이 나오게 하는 위치 및 자세 정보로서 추정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있어, 카메라(112) 등 영상 획득 장치를 하나만 구비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방향에 따라서는 위치 및 자세 정보 획득을 위한 적절한 영상을 획득하는데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카메라(112)를 구비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후면 카메라가 위치 및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을 포함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면, 상당한 시간 동안 영상 획득을 통한 정밀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반하여, 후면 카메라에 더하여, 측면 또는 전면에 카메라를 하나 이상 더 구비하고 있는 경우라면,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정보 산출이 가능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살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비교하여 공액점을 추출한 후, 이로부터 보다 정확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함에 있어, 하나의 카메라만을 사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획득하여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그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정확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최근 스마트폰에 많이 구비되고 있는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그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고, 특히, 후면 카메라 및 측면 카메라와 같이 평행하지 않은 광학축을 갖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경우, 산출되는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정확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더 나아가, 상기 카메라를 3개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는 위치 및 자세 정보를 보다 더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전후면에 부착된 2개의 카메라(112)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110)를 보여주고 있고, 도 4(b)는 전후면과 양측면에 부착된 4개의 카메라(112)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110)를 보여주고 있다.
도 4(a)에서와 같이 전후면에 2개의 카메라(112)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110)는 하나의 카메라(112)를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위치 및 자세 정보 산출을 위한 적절한 영상을 획득할 가능성을 높이면서, 또한 산출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도 4(b)와 같이 전후면 및 양 측면에 4개의 카메라(11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광학적으로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카메라(112)로부터 획득되는 다양한 영상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에 의한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산출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예를 들어 검토한다. 도 5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획득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을 도시하고 있고, 이에 대하여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 만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110)가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도 5(a)), 현재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110)의 영상과 소정의 시점 전에 모바일 단말기(110)로 획득된 영상 간의, 또는 현재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110)의 영상과 기준 영상 데이터베이스 영상 간의 하나 이상의 공액점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추출된 공액점 중 현재 획득된 모바일 단말기의 영상과 기준 영상 데이터베이스 영상 간의 공액점에 상응하는 지상점과 기준 영상의 외부표정요소를 기준 정보로 활용하여, 소정의 정규방정식에 기반하여 기준 정보에 대하여 가장 오차가 적도록 하는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최종 위치 및 자세 정보로 산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 5(b)에서는 5개의 공액점을 추출하는 경우 이에 따라 산출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들을 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각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는 도 5(b)와 같이 통상 모바일 단말기(110)와 영상 대상물 간의 직선 경로를 기준으로 좌우로 산포하게 되고,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최종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110)와 영상 대상물 간의 직선 경로 방향으로의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10)의 실제 위치(A)와 산출된 최종 위치(B)를 비교하여 보면, 도 5(b)에서의 타원 형상과 같은 오차를 가지는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면,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만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경우, 개별 영상의 시야(Filed-Of-View, FOV)가 한정됨으로 인하여 다수의 지상점에 수많은 공액점에 대한 번들 조정을 하더라도 한 방향에서 취득된 연속 영상에 대한 위치/자세 결정은 아주 작은 각으로 직선을 교차시켜 3차원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게 되어 그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산출되는 최종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오차가 커질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110)를 사용하여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도 6(a)), 획득된 영상들을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공액점을 추출할 수 있고, 다시 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최종적으로 산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b)에서는 2개의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 5개의 공액점을 추출하는 경우, 이에 따라 산출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들을 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각 공액점에 따르는 각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는 도 6(b)와 같이 통상 모바일 단말기(110)와 영상 대상물 간의 각 직선 경로를 기준으로 좌우로 산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산출되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오차는 도 6(b)의 각 타원과 같이 각 직선 경로를 따라 나타나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2개의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의 공액점들을 함께 고려하여 그 오차를 최소화하는 최종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산정하는 경우, 각 직선 경로에 따라 나타나는 오차를 서로 상쇄하게 되어 모바일 단말기(110)의 실제 위치(A)와 산출된 최종 위치(B)간의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영상 획득 장치가 서로 직교하는 광학축을 가지는 경우에는 보다 효율적으로 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액점을 추출함에 있어서도,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들을 함께 고려하여 산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산출되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도 5의 하나의 영상 획득 장치의 경우와 비교하여 살핀다면,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서 찍힌 연속 영상에 대하여 위치 및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경우, 복수의 공액점에 의한 번들이 큰 각도를 이루는 직선으로 교차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3차원 위치 및 자세 정보를 결정함에 있어 그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면, 단일 영상 획득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우선 번들 조정 수행시 기준점의 분포가 고를수록 더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활용할 경우 위치 및 자세 정보를 결정함에 있어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다양한 시야(FOV)에 대해서 기준 영상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기준점을 추출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사용하거나 나아가 직교하는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공액점에 의한 번들이 큰 각도를 이루는 직선으로 교차하게 되므로 그 정확도를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번들 조정 수행 시 초점거리, 주점의 좌표 등과 같은 카메라 내부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카메라 내부특성변수)가 정확할수록 이를 통해 결정되는 카메라(112)의 위치 및 자세 정보도 정확하게 되는데, 단일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에 대한 번들 조정을 수행하는 경우는 내부특성변수의 부정확함이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자세 정보 결정에 크게 영향을 끼쳐 산출되는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오차가 커질 수 있는 반면,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활용하여 번들 조정을 수행하게 되면 내부특성변수의 부정확함이 위치/자세 결정에 끼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모바일 단말기(110)의 위치 및 자세 정보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도 8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10)의 내부특성변수에 따른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112) 등 영상 획득 장치의 초점거리(f) 등 내부특성변수가 다를 경우 동일한 지상 기준 데이터와 영상점에 대하여 산출되는 위치 및 자세 정보가 달라질 수 있는 반면, 도 8과 같이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기준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초점거리 등 내부특성변수에 따라는 위치 및 자세 정보 산출시의 오차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의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쇄시킴으로써 그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10)가 네트워크 상의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와 연동하여 모바일 단말기(110)의 해당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정밀하게 피드백받는 과정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위와 같은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의 구성 요소들을 모바일 단말기(110)에 위치 자세 결정 장치로서 내장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10)가 직접 위와 같은 최종 외부 표정 요소를 추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110)는 센서 모듈(111), 카메라(112), 및 수집 전송 모듈(113)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초기 위치 자세 결정 모듈(121), 영상 데이터베이스(122), 영상 검색모듈(123), 영상 매칭 모듈(124), 및 위치자세조정모듈(125)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10)는 위치 및 자세 관련 센서 정보와 카메라 영상 등을 통신 네트워크(130) 상의 서버로 전송할 필요없이 직접 위와 같은 정밀한 최종 외부 표정 요소를 추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10)는 자체에서 직접 추정한 최종 외부 표정 요소, 또는 통신 네트워크(130) 상의 위치 자세 결정 서버(120)로부터 정밀하게 추정되어 피드백된 최종 외부 표정 요소, 즉, 최종 위치 정보(φ,λ,h)(위도, 경도, 고도 등) 또는 자세 정보(θRoll, θPitch, θYaw)를 기초로 통신 네트워크(130) 상의 위치 정보 서비스 서버(140)와 통신하여 해당 위치나 자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의 지도 위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10)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이 지도 위에 좀 더 정교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좀 더 정교하게 해당 자세에 맞는 (가상) 영상을 합성하는 증강현실 서비스가 가능하고, 기타 모바일 단말기(110)의 정교한 위치와 자세에 맞는 다양한 추가적 정보제공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110 : 모바일 단말기
111 : 센서 모듈
112 : 카메라
113 : 수집 전송 모듈
120 : 위치 자세 결정 서버
121 : 초기 위치 자세 결정 모듈
122 : 영상 데이터베이스
123 : 영상 검색 모듈
124 : 영상 매칭 모듈
125 : 위치 자세 조정 모듈
130 : 통신 네트워크
140 : 위치 정보 서비스 서버

Claims (18)

  1.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한 복수의 영상에 대하여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위치 자세 결정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 중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로서,
    서로 평행하지 않은 광학축을 가지는 2개 이상의 영상 획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전면 및 측면, 또는 측면 및 후면, 또는 전면, 측면 및 후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 획득한 초기 영상을 기초로 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에서 측정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에서 측정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 또는 초기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초기 위치자세 결정 모듈;
    지오레퍼런싱을 통해 획득된 영상 취득 시의 각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가 명시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미리 저장한 영상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영상 획득 장치가 획득한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포함하는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검색하는 영상 검색 모듈;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서 추출하는 영상 매칭 모듈; 및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공액점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상기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위치 자세 조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자세 조정 모듈은 상기 초기 위치 정보 또는 초기 자세 정보와, 상기 영상 추출 모듈로부터 산출된 공액점의 영상 좌표를 함께 이용하여 번들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에서 측정한 정보는 GPS 모듈에서 측정한 위치 데이터, 컴파스 모듈에서 측정한 방향 데이터,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한 자세 데이터, 또는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가속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매칭 모듈은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가 획득한 영상의 두 영상씩을 비교하여 산출한 하나 이상의 공액점과,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가 획득한 영상과 상기 검색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서로 비교한 하나 이상의 공액점을 산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공액점에 의한 번들이 가장 작은 오차를 가지면서 지상의 한 객체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신뢰성있는 공액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최종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자세 정보를 기초로 다른 서버와 통신하여 해당 위치나 자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의 지도 위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시스템.
  15. (a) 위치 자세 결정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획득한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에 대하여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자세 결정 서버는 상기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 중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 추출하고,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위치 자세 결정 서버가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 정보도 함께 수신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위치 또는 자세 관련 센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지오레퍼런싱을 통해 획득되어 영상 취득 시의 각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가 명시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미리 저장한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포함하는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검색하는 단계;
    (b2)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서 추출하는 단계; 및
    (b3)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공액점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상기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18.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
    위치 및 자세 관련 센서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
    상기 위치 및 자세 관련 센서 정보를 기초로 초기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는 초기 위치 자세 결정 모듈;
    지오레퍼런싱을 통해 획득된 영상 취득 시의 각 카메라 위치와 자세가 명시된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미리 저장한 영상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포함하는 기준 지오레퍼런싱 영상을 검색하는 검색 모듈;
    동일한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다른 영상 획득 장치의 영상끼리 또는 검색된 지오레퍼런싱된 영상을 비교하여 매칭된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점 좌표를 공액점으로서 추출하는 영상매칭 모듈; 및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공액점에 대응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최종 위치 정보와 자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매칭된 영상에 대해 번들 조정에 따른 지오레퍼런싱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위치 정보와 상기 자세 정보를 보정하는 위치 자세 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장치.
KR1020140030174A 2014-03-14 2014-03-14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601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74A KR101601726B1 (ko) 2014-03-14 2014-03-14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74A KR101601726B1 (ko) 2014-03-14 2014-03-14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970A true KR20150107970A (ko) 2015-09-24
KR101601726B1 KR101601726B1 (ko) 2016-03-22

Family

ID=5424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74A KR101601726B1 (ko) 2014-03-14 2014-03-14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7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9990A (zh) * 2017-09-20 2018-04-0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室内位置数据的采集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介质
CN111581407A (zh) * 2020-04-20 2020-08-25 国家卫星气象中心(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一种构建全球地理定位参考影像数据库的方法、装置及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4441B2 (en) 2020-11-19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rrecting meta information of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9990A (zh) * 2017-09-20 2018-04-0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室内位置数据的采集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介质
CN111581407A (zh) * 2020-04-20 2020-08-25 国家卫星气象中心(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一种构建全球地理定位参考影像数据库的方法、装置及介质
CN111581407B (zh) * 2020-04-20 2023-09-12 国家卫星气象中心(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一种构建全球地理定位参考影像数据库的方法、装置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726B1 (ko)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98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and position of a smartphone based on image matching
US11423586B2 (en) Augmented reality vision system for tracking and geolocating objects of interest
JP5255595B2 (ja) 端末位置特定システム、及び端末位置特定方法
US10704863B1 (en) System for tracking a presumed target using network-connected lead and follower scopes, and scope for configured for use in the system
KR101285360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심 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413011B1 (ko) 위치 정보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708820B1 (ko) 거리 및 고도 측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축 시스템 및 거리 및 고도 측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5981371B2 (ja) 姿勢によって拡張現実感の表示を制御する情報端末、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Al-Hamad et al. Smartphones based mobile mapping systems
KR101601726B1 (ko)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CN108492334A (zh) 一种基于定位定向数据实现商用相机照片地理标定的方法
US20120026324A1 (en) Image capturing terminal, data processing terminal, image captur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0878781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크기 및 좌표를 측정하는측량 방법
KR2015007760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룡 유적지 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89673B2 (en) Target determining method and system
US11143508B2 (en) Handheld device for calculating locations coordinates for visible but uncharted remote points
EP2696168A1 (en) Using gravity measurements within a photogrammetric adjustment
JP5285650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高度情報取得システム、高度情報取得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74425B1 (ko) 옥외 광고물 크기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의 크기 측정방법
Orlandi et al. Spatial-Temporal Calibration for Outdoor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JP2017125908A (ja) 地物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