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493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493A
KR20150107493A KR1020140030523A KR20140030523A KR20150107493A KR 20150107493 A KR20150107493 A KR 20150107493A KR 1020140030523 A KR1020140030523 A KR 1020140030523A KR 20140030523 A KR20140030523 A KR 20140030523A KR 20150107493 A KR20150107493 A KR 2015010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spring
heat
outdoor
hea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374B1 (ko
Inventor
김각중
정재화
윤필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0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7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장박스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냉매튜브와 연결되는 방열판과; 방열판이 발열소자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방열판을 탄지하는 탄성기구를 포함하여, 방열판과 발열소자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전장박스의 서비스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발열소자가 냉매에 의해 냉각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plit type)이 있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와 실내 송풍기을 포함하는 실내기와,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실외 송풍기를 포함하는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압축기나 실외 송풍기 등의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은 전장박스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공기를 전장박스 내부를 유입시킨 후 배출시킬 경우, 실외공기가 전장박스 내부를 방열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장박스 내부를 공랭식으로 냉각시키는 경우, 실외온도변화에 따라 효율적인 온도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KR 10-1324935 B1(2013.11.01)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장박스 열교환기가 전장박스 내에 구비되어 전장박스 내 설치된 전자부품의 서비스시 전장박스 열교환기를 전장박스와 함께 실외기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장박스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와 연결되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과 접촉되어 상기 방열판을 상기 발열소자와 접촉되게 탄성 가압하는 탄성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기구는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탄성기구는 상기 방열판에 접촉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프링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전장박스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방열판과 발열소자 중 하나는 상기 개구부에 관통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서포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개구부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스프링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냉매튜브가 관통되는 냉매튜브 관통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본 발명은 방열판을 발열소자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방열판과 발열소자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시킬 필요가 없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전장박스의 착탈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탄성기구가 전장박스의 개구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전장박스의 개구부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으로 최소화할 수 있고,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과 스프링 서포터의 간단한 구조로 발열소자와 방열판을 접촉, 분리시킬 수 있고, 발열소자와 방열판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과 전장박스가 분리되었을 때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과 전장박스가 분리되었을 때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 바디(2)와, 압축기(4)와, 실외열교환기(6)와, 실외 송풍기(8)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액관 및 기관으로 연결될 수 있고, 냉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구비된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에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팽창기구는 전자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공기가 실외기 바디(2)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열교환기(6)와 열교환된 공기가 실외기 바디(2)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에 설치된 캐비닛 바디(12)(13)(14)와, 캐비닛 바디(12)(13)(14)에 설치된 탑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기 내부를 개폐하는 실외기 커버(16)(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프레임(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2)(13)(14)에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될 수 있고, 캐비닛 바디(12)(13)(14)는 실외공기가 실외기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바디가 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공기흡입구(I)가 복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복수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좌측 실외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바디(12)와, 리어 실외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리어 바디(13)와, 우측 실외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13)는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열교환기(6)를 마주보는 부분에 공기흡입구(I)가 형성된 흡입그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실외 송풍기(8)를 마주보는 부분이 판부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고, 탑 커버(15)는 실외공기가 실외기 외부로 토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토출바디가 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캐비닛(12)(13)(14)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실외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실외 송풍기(8)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베이스(11)와 캐비닛 바디(12)(13)(14)와 프레임(18)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고, 실외기 커버(16)(17)는 실외기의 서비스시 작업자가 분리,장착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기 커버(16)(17)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의 사이를 차폐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실외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적어도 하나가 후술하는 전장박스(40)의 전방을 가리게 배치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적어도 어느 하나(16)가 전장박스(40)의 전방을 가리는 서비스 커버(16)일 수 있다. 작업자는 전장박스(40)의 서비스시 서비스 커버(16)를 분리한 후 전장박스(40)를 실외기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서비스 커버(16)가 분리된 상태에서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 사이를 통해 실외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실외기 바디(2)를 지지할 수 있고, 실외기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실외기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8)은 실외기에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8)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실외 송풍기(8)의 하부와 실외기 커버(16)(17)의 배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 프레임(18A)을 포함할 수 있다. 좌우 프레임(18A)은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좌우 프레임(18A)은 리어 바디(13)와 실외기 커버(16)(17) 사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후 프레임(18B)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 프레임(18B)는 좌우 프레임(18A)에 연결될 수 있다. 전후 프레임(18B)은 복수개의 좌우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전후 프레임(18B)은 복수개의 좌우 프레임(18A) 사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전용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압축기(4)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미도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4)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히트 펌프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압축기(4)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미도시)와 실내열교환기(미도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4)로 유입될 수 있고, 난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와 팽창기구(미도시)와 실외열교환기(6)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4)로 유입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바디(2) 중 베이스(1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커버(16)(17)를 분리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커버(16)(17) 중 더 하측에 위치하는 실외기 커버(17)를 분리하였을 때,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의 사이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압축기(4)는 복수개가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적어도 하나가 운전 주파수 가변에 의해 속도가 가변되는 용량가변 압축기일 수 있고, 인버터 압축기일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실외기 바디(2) 중 베이스(11)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캐비닛 바디(12)(13)(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는 좌측 바디(12)를 마주보는 좌측 열교환부와 우측 바디(14)를 마주보는 우측 열교환부가 리어 바디(13)를 마주보는 리어 열교환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실외열교환기(6)는 좌측 바디(12)를 마주보는 좌측 열교환부와 리어 바디(13)를 마주보는 리어 열교환부가 절곡된 제1열교환기와, 우측 바디(14)를 마주보는 우측 열교환부와 리어 바디(13)을 마주보는 리어 열교환부가 절곡된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공기를 실외열교환기(6)로 유동시킨 후 실외기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 중 탑 커버(15)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그 하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측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쉬라우드(8A)와, 모터(8C)와, 모터(8C)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로워(8D)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모터(8C)가 프레임(18)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모터 마운터(8B)를 통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8C)는 모터 마운터(8B)에 설치될 수 있고, 모터 마운터(8B)는 쉬라우드(8A)와, 탑 커버(15)와, 프레임(18)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쉬라우드(8A)는 탑 커버(15)와 프레임(18)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송풍기(8)는 일부가 탑 커버(15)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토출그릴(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그릴(19)은 실외 송풍기(8) 또는 탑 커버(15)에 설치되어 실외 송풍기(8)를 보호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단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되어 압축기(4)나 실외 송풍기(8) 등의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통신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된 실내 송풍기(미도시) 등의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전장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소자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소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발열되는 발열소자(28)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발열소자(28)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0)과;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되는 전장박스(40)와; 냉매가 통과하고 발열소자(28)와 접촉되는 방열모듈(50)을 포함한다. 방열모듈(50)은 발열소자(28)와 접촉되는 방열판(52)과, 방열판(52)과 연결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방열판(52)과 접촉되어 방열판(52)을 발열소자(28)와 접촉되게 탄성 가압하는 탄성기구(90)를 포함한다.
발열소자(28)는 전장박스(40)의 후판(42)과 비접촉되게 인쇄회로기판(30)에 설치될 수 있다. 발열소자(28)는 인쇄회로기판(30)에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압축기(4)를 구동하는 전동기의 운전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인버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인버터 압축기를 제어하는 인버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인버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에는 지능형 전력 모듈(Intelligent Power Module, IPM) 등과 같이 발열량이 많은 발열소자(28)가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발열소자(28) 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발열소자(28) 및 인쇄회로기판(30)을 포함하는 각종 전기부품을 보호한다. 전장박스(40)는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될 수 있고, 그 서비스시 실외기 바디(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와 서비스 커버(16)(17)와 프레임(18)과 실외 송풍기(8)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적어도 일부가 실외 송풍기(8)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실외기 커버(16)(17)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후판(42)과, 후판(42)에 형성된 테두리(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테두리(44)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30)은 테두리(44)의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전장박스(40)의 후판(42)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과 전장박스(40)의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30)을 전장박스(40)의 후판(42)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46)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방열판(52)과 발열소자(28) 중 하나가 위치될 수 있는 개구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압축기(4)와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및 실내열환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냉동사이클 회로의 고온부와 저온부 중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냉동사이클 회로의 저온부 냉매는 일부가 방열모듈(50)로 유동되어 방열모듈(50)을 통과할 수 있고, 방열모듈(50)을 통과하면서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적어도 일부가 발열소자(28)와 접촉되어 전도방식으로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할 수 있고, 냉매가 발열소자(28)를 냉각시키는 냉매식 냉각 모듈일 수 있다.
방열판(52)은 냉매튜브(54)가 수용되는 냉매튜브 수용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튜브 수용부(53)는 냉매튜브(5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일면(55)이 발열소자(28)를 마주볼 수 있고, 타면(56)이 전장박스(4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전장박스(40)의 외부에 위치하는 타면(56)에 냉매튜브 수용부(53)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탄성기구(9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탄성기구(90)는 방열판(52)을 보호할 수 있다.
방열판(52)은 탄성기구(90)에 의해 발열소자(28)의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탄성기구(90)의 탄성력에 의해 발열소자(28)와 밀착될 수 있으며, 탄성기구(90)의 탄성력에 의해 발열소자(28)와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스크류나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 없이 발열소자(28)와 밀착될 수 있고, 방열판(52)과 발열소자(28)는 스크류나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 없이 그 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일단이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타단이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되거나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방열판(52)과 접촉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방열판(52)에 접촉되는 방열판 접촉부와, 방열판(52)과 비접촉되는 방열판 비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방열판 접촉부가 냉매튜브 수용부(53)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냉매튜브 수용부(53)로 삽입된 부분의 주변부가 전장박스(4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방열판 비접촉부는 적어도 1회 절곡될 수 있고,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하나의 냉매튜브(54)가 복수개의 방열판(52)과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방열판(52)은 냉매튜브(54)의 서로 다른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판(52)은 냉매튜브(54)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판(52)은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판(52)은 높이가 동일할 수 있고, 폭이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판(52)은 냉매튜브(54)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방열판과, 제1방열판과 이격되고 냉매튜브(54)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열판은 제1방열판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방열판(52)을 발열소자(28)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방열판(52)은 탄성기구(90)에서 미는 힘에 의해 발열소자(28)와 밀착될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개구부(47)를 덮게 설치될 수 있다. 개구부(47)는 인쇄회로기판(30)과 탄성기구(9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개구부(47)는 인쇄회로기판(30)과 탄성기구(90)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며, 먼지나 물 등의 이물질이 개구부(47)를 통해 전장박스(4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은 최소화될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되거나 전장박스(40)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전장박스(40)와 마주보게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고, 전장박스(40)와 밀착된 상태에서 방열판(52)을 발열소자(28)의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전장박스(40)의 서비스시 탄성기구(90)는 실외기 바디(2)에 위치 고정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 완료하면, 방열판(52)을 발열소자(28)와 밀착시킬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전장박스(40)의 후방에 위치되게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장박스(40)의 후방에서 방열판(52)을 전방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방열판(52)의 전방에 위치하는 발열소자(28)는 그 배면이 방열판(52)과 밀착될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전장박스(40)의 후방에 위치되게 전장박스(4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장박스(40)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방열판(52)을 발열소자(28)의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전장박스(40)의 서비스시 탄성기구(90)는 전장박스(40)와 함께 실외기 바디(2)에서 분리될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전장박스(40)의 후방에 위치되게 전장박스(4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장박스(40)의 후방에서 방열판(52)을 전방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방열판(52)의 전방에 위치하는 발열소자(28)는 그 배면이 방열판(52)과 밀착될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방열판에 접촉되는 스프링(92)과; 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프링 서포터(100)를 포함한다.
스프링(92)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92)은 일단이 스프링 서포터(100)에 접촉되고, 타단이 방열판(52)에 접촉될 수 있다. 스프링(92)은 방열판(52)과 스프링 서포터(100)의 사이에 압축되게 위치될 수 있고, 방열판(52)을 스프링 서포터(100)의 외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스프링(92)은 스프링 서포터(100)에 지지될 수 있고, 스프링 서포터(100)와 방열판(52) 사이에서 방열판(52)에 의해 압축될 수 있으며, 방열판(52)을 발열소자(28)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스프링(92)은 스프링 서포터(100) 내부에 위치되어 스프링 서포터(1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스프링(92)은 스프링 서포터(100) 내부에서 방열판(52)을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개구부(47)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개구부(47)를 덮을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전장박스(4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전장박스(40)의 외부에서 개구부(47)를 덮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방열판(52)과 발열소자(28) 중 하나가 개구부(47)에 관통되게 위치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일면(55)이 발열소자(28)와 접촉되는 발열소자 접촉면일 수 있고, 발열소자 접촉면의 반대면(56)이 스프링(92)과 접촉되는 스프링 접촉면일 수 있다. 방열판(52)은 발열소자(28) 및 스프링(92)의 각각과 접촉된 상태에서 발열소자(28)의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방열판(52)은 개구부(47)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스프링 서포터(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발열소자(28)는 인쇄회로기판(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부가 개구부(47)를 위치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전장박스(40)의 외부이면서 스프링 서포터(100)의 내부인 위치에서 발열소자(28)와 접촉될 수 있다.
반대로, 방열판(52)은 개구부(47)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일부가 개구부(37)에 위치될 수 있다. 발열소자(28)는 그 전부가 전장박스(4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일부가 개구부(47)를 위치될 수 있고, 전장박스(40)의 내부에서 발열소자(28)와 접촉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실외기 바디(2)와 전장박스(4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전장박스(40)와 결합되지 않고, 실외기 바디(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실외기 바디(2)에 직접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탄성기구 마운터(102)를 통해 실외기 바디(2)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기구 마운터(102)는 실외기 바디(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설치될 수 있고, 스프링 서포터(100)는 탄성기구 마운터(10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탄성기구 마운터(102)는 실외기 바디(2) 중 프레임(18)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기 바디(2) 중 수평 프레임(18A)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의 서비스시, 스프링 서포터(100)는 실외기 바디(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장박스(40)와 함께 분리되지 않고, 작업자는 전장박스(40)만을 간편하게 서비스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전장박스(4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설치되고, 실외기 바디(2)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전장박스(40)와 일체화될 수 있고, 전장박스(40)에 지지될 수 있다. 전장박스(40)의 서비스시, 스프링 서포터(100)는 전장박스(40)와 분리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개구부(47)를 마주보는 면(104)이 개방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개구부(47)를 마주보는 면(104)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스프링(92)이 수용되는 스프링 박스일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스프링(92)이 지지되는 후판(106)와, 지지판(106)에 돌출된 테두리(108)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108)는 그 크기가 개구부(47)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스프링(92)이 수용되는 스프링 수용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테두리(108)의 내측에 스프링 수용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모듈(50)은 방열판(52)과 냉매튜브(54)의 일부와 스프링 수용공간(110)에 함께 위치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그 전부가 스프링 수용공간(110)에 위치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일부가 스프링 수용공간(110)에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방열판(52) 및 냉매튜브(54)를 보호할 수 있다. 방열판(52)은 냉매튜브 수용부(53)가 스프링 수용공간(110)에 위치될 수 있고, 냉매튜브 수용부(53)는 후판(106)을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00)는 냉매튜브(54)가 관통되는 냉매튜브 관통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일부가 스프링 서포터(1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단수개의 스프링 서포터(100)에 단수개의 스프링(92)이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스프링 서포터(100)에 복수개의 스프링(92)이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매튜브(54)에 복수개의 방열판(92)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경우, 탄성기구(90)는 하나의 스프링 서포터(100)에 복수개의 스프링(2)이 방열판(92)의 개수와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스프링 서포터(100)는 냉매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매튜브(54)에 복수개의 방열판(92)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경우, 탄성기구(90)는 방열판(92)의 개수와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복수개의 방열판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제1탄성기구와, 복수개의 방열판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하고 제2탄성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탄성기구(90)와 방열모듈(50)과 전장박스(40)가 장착되는 일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탄성기구(90) 특히 스프링 서포터(100)의 내부에 방열판(52) 및 냉매튜브(54)의 일부를 삽입함과 아울러 탄성기구(90)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수 있다. 탄성기구(90)는 스프링(92)이 스프링 서포터(100)과 방열판(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스프링 서포터(100)는 실외기 바디(2) 또는 별도의 탄성기구 마운터(102)에 장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수 있고, 이때, 발열소자(28)가 방열판(52)의 일면(55)에 접촉되게 장착할 수 있다. 전장박스(40)의 장착시, 방열판(52)은 스프링(92)의 미는 힘에 의해 발열소자(28)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방열판(52)과 발열소자(28)는 밀착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스프링(92)이 미는 힘에 의해 발열소자(28)와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 전장박스(40)를 서비스하는 일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전장박스(40)를 서비스하기 위해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서 분리할 수 있는데,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서 분리할 때, 발열소자(28)가 방열판(52)과 비접촉될 수 있고, 방열판(52)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남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발열소자(28)가 방열판(52)과 분리될 때, 방열판(52)은 스프링(92)의 탄성 복원에 의해 발열소자(28)를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외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고, 작업자는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작업자는 서비스된 기존의 전장박스(40)를 다시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하거나 새로운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수 있는데, 전장박스(40)의 발열소자(28)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위치하는 방열판(52)과 접촉될 수 있고, 스프링(92)은 방열판(52)을 발열소자(28)의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방열판(52)과 발열소자(28)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하는 작업 없이 전장박스(40)를 설치할 수 있다.
2: 실외기 바디 4: 압축기
6: 실외열교환기 8: 실외 송풍기
28: 발열소자 30: 인쇄회로기판
40: 전장박스 50: 방열모듈
52: 방열판 54: 냉매튜브
90: 탄성기구 92: 스프링
100: 스프링 서포터

Claims (11)

  1.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전장박스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와 연결되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과 접촉되어 상기 방열판을 상기 발열소자와 접촉되게 탄성 가압하는 탄성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기구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기구는
    상기 방열판에 접촉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프링 서포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전장박스와 접촉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과 발열소자 중 하나는 상기 개구부에 관통되게 위치되는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개구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서포터 내에 위치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개구부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스프링 수용공간이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서포터는 상기 냉매튜브가 관통되는 냉매튜브 관통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140030523A 2014-03-14 2014-03-14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59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523A KR101590374B1 (ko) 2014-03-14 2014-03-14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523A KR101590374B1 (ko) 2014-03-14 2014-03-14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493A true KR20150107493A (ko) 2015-09-23
KR101590374B1 KR101590374B1 (ko) 2016-02-01

Family

ID=5424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523A KR101590374B1 (ko) 2014-03-14 2014-03-14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473A (ja) * 2003-12-26 2005-07-14 Honda Motor Co Ltd 回路基板の冷却装置
JP2005268491A (ja) * 2004-03-18 2005-09-29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装箱
KR20080068371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그래픽 메모리 실장 테스트시스템의 냉각장치
KR20090052054A (ko) * 2007-11-20 2009-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장치의 실외유닛, 공조장치 실외유닛의 냉각방법,전장박스의 냉각장치
KR101324935B1 (ko) 2011-10-11 201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473A (ja) * 2003-12-26 2005-07-14 Honda Motor Co Ltd 回路基板の冷却装置
JP2005268491A (ja) * 2004-03-18 2005-09-29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装箱
KR20080068371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그래픽 메모리 실장 테스트시스템의 냉각장치
KR20090052054A (ko) * 2007-11-20 2009-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장치의 실외유닛, 공조장치 실외유닛의 냉각방법,전장박스의 냉각장치
KR101324935B1 (ko) 2011-10-11 201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374B1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0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2063192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cooled passage in electrical equipment box and heat pipe
US10634368B2 (en) Control box,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EP2040008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5864918B (zh) 散热单元及包含该散热单元的空气调节器的室外机
KR101132808B1 (ko) 랙 마운트 서버 시스템용 냉각장치
US10480799B2 (en) Outdoor unit
JP201223361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9085466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163378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CN219628094U (zh) 一种服务器散热结构
JP201916387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16638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59037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53939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8702849B (zh) 电气部件模块及空调机的室外机
KR20050062044A (ko) 공기조화기
CN219415017U (zh) 一种空调室外机
CN215175502U (zh) 天花机及空调器
CN218721908U (zh) 电器盒及空调室外机
EP4321811A1 (en) Outdoor unit
KR012891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012892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KR100596258B1 (ko) 공기조화기
JP2012242024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