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151A -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151A
KR20150107151A KR1020140029627A KR20140029627A KR20150107151A KR 20150107151 A KR20150107151 A KR 20150107151A KR 1020140029627 A KR1020140029627 A KR 1020140029627A KR 20140029627 A KR20140029627 A KR 20140029627A KR 20150107151 A KR20150107151 A KR 20150107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minor
major
security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진
곽우혁
김주석
Original Assignee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151A/ko
Publication of KR2015010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공서, 기업 등의 임직원 및 방문객의 레벨에 따라 임직원 및 방문객이 소지한 모바일의 기능(카메라,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USB 등) 제한과, 출입제한 알림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보안 시스템은 보안구역의 곳곳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Bluetooth)가 적용되어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방송하는 비컨센서와; BT(Bluetooth)가 구비되어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고,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외부에 송출하는 모바일과; 상기 모바일이 송출한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여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에 해당하는 보안신호를 상기 모바일에 전송하여 모바일의 기능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모바일에 레벨이 부여된 보안키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가 모바일에 제공하는 보안신호는 상기 보안키에 따라 모바일이 수신한 비컨센서의 메이저 ID와 마이너 ID가 동일하더라도 모바일의 기능 제어를 상이하게 하는 보안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Security system using beacon sensors}
본 발명은 기업, 관공서 등의 보안자료가 내방객 또는 임직원들의 모바일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컴퓨터 보급의 증가로 매년 전자화된 정보, 즉 파일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자 정보의 생성과 저장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보안의 중요성도 날로 커지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기업 내부의 사업계획서, 연구보고서 등 기업 내부의 중요한 정보들도 전자 문서로 저장되어 관리되는 상황이며, 이러한 내부 정보가 기업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각종 보안 장치와 절차들이 도입되고 있다.
기업의 내부 정보가 유출되는 주요 경로로는, 첫째 네트워크를 통해 해커의 침입으로 데이터를 복제 당하는 방법, 둘째 기업 내에 외부자가 침입하여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법, 셋째 내부 직원과 경쟁업체 관계자간 공모 등으로 고의적으로 데이터를 유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 첫째 경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컴퓨터의 침입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보안 방지 솔루션이 많이 나와 있으며 이를 방지하는 다양한 보안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국내 대기업들의 경우에도 기업의 방문객이나 출입 직원에 의한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도입하고 있는 보안 방법은 아직까지 그 수준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업을 내방한 방문객이 소지하고 있는 노트북에서 FDD나 CD드라이버를 제거하거나 봉인 스티커를 붙이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먼저 방문객을 금속탐지기를 통과하게 하여 휴대용 저장장치로 인식될 금속 물질을 탐지하고 이후 허가에 의해 반입되는 노트북에 대해서는 CD드라이버 및 외부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포트 입구를 스티커로 봉인하거나 CD드라이버가 탈착 가능한 경우에는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노트북 및 휴대용 저장장치 반출 시에는 이들을 포맷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저장장치를 포맷하는 것은 기업 정보의 반출 여부와 관계없이 방문객의 저장 장치의 데이터를 완전히 손실시키므로 지나치게 극단적인 방법이고, 노트북의 드라이버를 제거하거나 봉인하는 방법도 정상적으로 정보를 외부로 반출해야 하는 경우 복사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되어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는 윈도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한 파일 검색 대조 소프트웨어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용 저장장치가 테라(Tera) 바이트를 넘어서서 대용량화 됨에 따라 종래 윈도우 API를 이용한 검색, 대조를 하게 되면 예컨대 한 사람의 노트북 반출에도 건당 파일 시스템 대조에 수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효율적인 면에서도 크게 문제가 될 뿐더러, 기존 제품들이 완전하게 대조, 검출을 하지 못하는 프로그램 구현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전히 포맷을 통하여 데이터를 모두 손실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한편, 기업을 내방한 방문객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카메라 렌즈를 스티커로 봉인하는 것이 전부이고, 이러한 스티커는 탈부착이 용이하여 방문객이 필요시 카메라 렌즈에 부착된 스티커를 떼어내고 촬영을 한 다음 다시 스티커를 재부착해도 탈부착 흔적을 알아채기 힘들다. 또한 스마트폰의 내부 기능인 USB 저장소 및 데이터 통신을 제한할 수 없어 보안이 취약하다. 이에 특정한 기업의 경우는 스마트폰을 출입구에서 수거한 후 내방을 허용하는 정책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 방법은 IT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급성장하는 추세에 비하면 매우 원시적인 방법이며, 업무의 원활한 진행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업의 방문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5451호(공개일자 2010년10월28일)
본 발명은 관공서, 기업 등의 임직원 및 방문객의 레벨에 따라 임직원 및 방문객이 소지한 모바일의 기능(카메라,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USB 등) 제한과, 출입제한 알림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구역의 곳곳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Bluetooth)가 적용되어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방송하는 비컨센서와;
BT(Bluetooth)가 구비되어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고,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외부에 송출하는 모바일과;
상기 모바일이 송출한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여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에 해당하는 보안신호를 상기 모바일에 전송하여 모바일의 기능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모바일에 레벨이 부여된 보안키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가 모바일에 제공하는 보안신호는 상기 보안키에 따라 모바일이 수신한 비컨센서의 메이저 ID와 마이너 ID가 동일하더라도 모바일의 기능 제어를 상이하게 하는 보안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안구역의 정책에 따라 임직원 또는 방문객이 소지한 모바일이 특정한 비컨센서의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면 모바일의 기능(카메라, NFC, 와이파이, USB 등)을 제안하거나, 접근금지 등과 같은 알림을 제공하여 모바일을 통한 중요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모바일이 동일한 비컨센서의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더라도 모바일이 갖고 있는 보안키에 따라 서버가 제공하는 보안신호를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등 서버에서의 정보 변경이 용이하여 보안 관리의 유연성이 확보된다.
또한, 모바일의 위치추적이 가능하여 제한된 구역에 진입하는 임직원 또는 방문객을 제지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어 보안이 강화된다.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보안구역(예컨대, 기업, 관공서 등)의 곳곳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Bluetooth)가 적용되어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방송하는 비컨센서(10)와; BT(Bluetooth)가 구비되어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고,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외부에 송출하는 모바일(20)과; 상기 모바일(20)이 송출한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여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에 해당하는 보안신호를 상기 모바일(20)에 전송하여 모바일(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서버(30);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30)는 모바일(20)에 레벨이 부여된 보안키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30)가 모바일(20)에 제공하는 보안신호는 상기 보안키에 따라 모바일(20)이 수신한 비컨센서(10)의 메이저 ID와 마이너 ID가 동일하더라도 모바일(20)의 기능 제어를 상이하게 하는 보안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20)의 기능은 카메라,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USB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USB 기능은 모바일(20)이 수신하는 보안신호에 따라 모두 허용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20)은 수신되는 메이저 ID들 및 마이너 ID들 중 미리 지정한 메이저 ID들 및 마이너 ID들에 대해서는 설정 무선 신호 강도 이상이어야 상기 서버에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비컨센서들의 방송영역의 중첩에 따른 모바일의 정보 혼선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즉, 모바일(20)은 적어도 두 개의 비컨센서에서 각각 방송하는 메이저 ID 및 마이너 ID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는 두 개의 비컨센서의 방송영역이 중첩된 것을 의미하고, 모바일(20)에서 두 개의 비컨센서에서 각각 방송하는 메이저 ID 및 마이너 ID에 해당하는 홍보정보를 모두 모바일(20)에서 제공받는 것 보다 모바일(20)에서 비컨센서와의 신호강도를 체크하여 설정 신호 강도 이상인 경우에만 홍보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모바일의 정보 혼선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살펴보면, 보안 시스템은 비컨센서(10)와, 모바일(20)과, 서버(30)를 포함한다.
비컨센서(10)는 보안구역의 곳곳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가 적용되어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방송하는 구성이다. 보안구역은 기업, 군부대, 관공서 등을 의미하며, 도 2에서는 기업을 예로서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컨센서(10)는 기업의 R&D 센터(200), 사무동(300), 공장(400)의 곳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된 다수개의 비컨센서(10)들은 각각 방송하는 메이저 ID와 마이너 ID가 상이하거나, 메이저 ID는 동일하고 마이너 ID가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비컨센서(10)가 설치된 위치는 서버(30)에 저장되어 있어 모바일(20)이 어느 비컨센서(10)의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면 이를 서버(30)에 송출하고 서버(30)는 해당 비컨센서(10)의 위치를 알고 있기 때문에 모바일(20)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각의 비컨센서(10)가 방송하는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는 동일하지만, 서버(30)에서 해당 메이저 ID와 마이너 ID에 해당하는 보안신호 및 보안정보를 변경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 예컨대, 사무동(300)에 설치된 비컨센서(10)들이 방송하는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받은 모바일(20)은 어느 보안키를 갖는 모바일(20)이든 서버(30)는 카메라,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USB 기능 정지를 제어하는 보안신호를 상기 모바일(20)에 제공하였다가, 기업 내 보안정책이 바뀌어 사무동(300)에서 모바일(20)의 기능을 자유롭게 허용하면, 서버(30)는 카메라,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USB 기능 정지를 제어하는 보안신호가 아닌 보안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안정책이 바뀌더라도 본 발명의 보안 시스템은 유연성 있는 대처가 가능하다.
모바일(20)은 BT(Bluetooth)가 구비되어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고,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외부에 송출하고, 송출한 메이저 ID와 마이너 ID에 해당하는 보안신호를 서버(30)로부터 제공받는다. 그리고 모바일(20)은 서버(30)로부터 레벨이 부여된 보안키를 제공받는데, 레벨은 보안 취급이 가능한 등급을 의미하고, 각 레벨에는 여러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예컨대, 기업 내 임직원 중 이사급 이상은 1레벨이고, 이사급 이하 부장급 이상은 2레벨이고, 부장급 이하 과장급 이상은 3레벨이고, 과장급 이하는 4레벨이라 했을 때, 1레벨은 기업 내 R&D 센터(200), 사무동(300), 공장(400)의 출입이 모두 허용되는 반면, 과장급 이하는 R&D 센터(200), 사무동(300)의 지정된 층 등에 출입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보안키에는 임직원의 직급, 이름, 주소, 전화번호, 근속년수 등 인적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어, 모바일(20)의 보안키 및 모바일(20)이 송출하는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통하여 서버(30)는 모바일(20)을 소지한 임직원이 보안정책을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보안정책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즉, 모바일(20)이 제한된 구역으로 이동하면 서버(30)는 모바일(20)에 출입금지 안내문 등과 같은 보안정보를 전송하고, 카메라,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USB 기능 정지를 제어하는 보안신호를 모바일(20)에 제공하여 기능을 마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서버(30)는 모바일(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보안요원을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시켜 허용되지 않는 모바일(20) 소지자의 제한구역 출입을 저지할 수 있다.
서버(30)는 모바일(20)이 송출한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여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에 해당하는 보안신호를 상기 모바일(20)에 전송하여 모바일(20)의 기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서버(30)는 모바일(20)에 레벨이 부여된 보안키를 제공한다. 그리고 서버(30)가 모바일(20)에 제공하는 보안신호는 보안키에 따라 모바일(20)이 수신한 비컨센서(10)의 메이저 ID와 마이너 ID가 동일하더라도 모바일(20)의 기능 제어를 상이하게 하는 보안신호이다.
한편, 모바일(20)은 수신되는 메이저 ID들 및 마이너 ID들 중 미리 지정한 메이저 ID들 및 마이너 ID들에 대해서는 설정 무선 신호 강도 이상이어야 상기 서버(30)에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여러 비컨센서들의 방송영역이 중첩되더라도 모바일(10)의 정보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안 시스템의 보안 방법은 기업을 방문하는 방문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비컨센서 20: 모바일
30: 서버 40: 통신망
50: DB

Claims (3)

  1. 보안구역의 곳곳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Bluetooth)가 적용되어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방송하는 비컨센서(10)와;
    BT(Bluetooth)가 구비되어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고,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외부에 송출하는 모바일(20)과;
    상기 모바일(20)이 송출한 메이저 ID와 마이너 ID를 수신하여 상기 메이저 ID와 마이너 ID에 해당하는 보안신호를 상기 모바일(20)에 전송하여 모바일(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서버(30);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30)는 모바일(20)에 레벨이 부여된 보안키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30)가 모바일(20)에 제공하는 보안신호는
    상기 보안키에 따라 모바일(20)이 수신한 비컨센서(10)의 메이저 ID와 마이너 ID가 동일하더라도 모바일(20)의 기능 제어를 상이하게 하는 보안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20)은 수신되는 메이저 ID들 및 마이너 ID들 중 미리 지정한 메이저 ID들 및 마이너 ID들에 대해서는 설정 무선 신호 강도 이상이어야 상기 서버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20)의 기능은 카메라,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USB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USB 기능은 모바일(20)이 수신하는 보안신호에 따라 모두 허용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20140029627A 2014-03-13 2014-03-13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150107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27A KR20150107151A (ko) 2014-03-13 2014-03-13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27A KR20150107151A (ko) 2014-03-13 2014-03-13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151A true KR20150107151A (ko) 2015-09-23

Family

ID=5424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627A KR20150107151A (ko) 2014-03-13 2014-03-13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1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973A1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028201B2 (en) 2016-06-28 2018-07-17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rizing access to a service according to device proximity
KR20190006724A (ko) * 2017-07-11 2019-01-21 구현주 특정구역 출입시 스마트폰 카메라의 작동 중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카메라의 작동 중지방법
US11804086B2 (en) 2015-11-23 2023-10-31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973A1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805533B2 (en) 2015-11-23 2017-10-31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10192378B2 (en) 2015-11-23 2019-01-29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10755503B2 (en) 2015-11-23 2020-08-25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11373468B2 (en) 2015-11-23 2022-06-28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11804086B2 (en) 2015-11-23 2023-10-31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10028201B2 (en) 2016-06-28 2018-07-17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rizing access to a service according to device proximity
KR20190006724A (ko) * 2017-07-11 2019-01-21 구현주 특정구역 출입시 스마트폰 카메라의 작동 중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카메라의 작동 중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errudo An emerging US (and world) threat: Cities wide open to cyber attacks
EP3296916B1 (en) Electromagnetic persona generation based on radio frequency fingerprints
EP33372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capture of sensitive information by proximate devices
KR102210995B1 (ko) 전자 장치에서 보안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Min-Allah et al. A survey of COVID-19 contact-tracing apps
US97564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nsitive data stored on a wireless computing device
US9460599B1 (en) School perimeter security system
JP6590575B2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計算処理システム
KR20150107151A (ko) 비컨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110070005A (ko) 개인통신 단말기의 보안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230377B2 (en) Mobile device security
KR101732019B1 (ko)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75577B1 (en) Non-jamming security zone access control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Hussein et al. Digital surveillance systems for tracing COVID-19: Privacy and security challenges with recommendations
KR101272136B1 (ko) 이동성이 강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위치 기반 보안 구현 방법
TW201535143A (zh) 文檔保護系統及方法
CN105230058A (zh) 用于控制蜂窝自组网中远程无线电设备的丢失和盗窃的技术
Kshetri et al. 5G, Security, and You.
JP5181182B2 (ja) セキュリティが管理される無線通信デバイス、セキュリティを管理するためのサーバ・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026481A (ja) モバイル端末による情報持ち出し管理方法
CN114239015B (zh) 数据的安全管理方法、装置、数据云平台以及存储介质
KR20150050794A (ko) 네트워크에 기반한 출입 관리 서비스 장치, 네트워크에 기반한 출입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0334444B1 (en) Automatically switching to a barricade mode to secure mobile computing devices in response to predetermined mobile computing device events
Decker Location-Aware Access Control: Scenarios, Modeling Approaches, and Selected Issues
Vanjari et al. A Study on Wireless Network Secu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