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019B1 -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019B1
KR101732019B1 KR1020110058250A KR20110058250A KR101732019B1 KR 101732019 B1 KR101732019 B1 KR 101732019B1 KR 1020110058250 A KR1020110058250 A KR 1020110058250A KR 20110058250 A KR20110058250 A KR 20110058250A KR 101732019 B1 KR101732019 B1 KR 101732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user terminal
message
program
security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857A (ko
Inventor
김현민
박종희
이상준
최진용
백광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0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1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at application loading time, e.g. accepting, rejecting, starting or inhibiting executable software based on integrity or source reli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7Managing security policies for mobile devices or for controlling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업을 내방하기 위한 방문 신청시 내방객이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을 등록하여 해당 휴대용 단말에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배포하고 설치한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촬영, 파일 복사 및 통신을 이용한 기업 정보의 유출을 통제함으로써 정보 보안을 강화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IN ENTERANCE OF VISITOR SECUR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을 내방하기 위한 방문 신청시 내방객이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을 등록하여 해당 휴대용 단말에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배포하고 설치한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촬영, 파일 복사 및 통신을 이용한 기업 정보의 유출을 통제함으로써 정보 보안을 강화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컴퓨터 보급의 증가로 매년 전자화된 정보, 즉 파일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자 정보의 생성과 저장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보안의 중용성도 날로 커지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기업 내부의 사업계획서, 연구보고서 등 기업 내부의 중요한 정보들도 전자 문서로 저장되어 관리되는 상황이며, 이러한 내부 정보가 기업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각종 보안 장치와 절차들이 도입되고 있다.
기업의 내부 정보가 유출되는 주요 경로로는, 첫째 네트워크를 통해 해커의 침입으로 데이터를 복제 당하는 방법, 둘째 기업 내에 외부자가 침입하여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법, 셋째 내부 직원과 경쟁업체 관계자간 공모 등으로 고의적으로 데이터를 유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 첫째 경로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컴퓨터의 침입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보안 방지 솔루션이 많이 나와 있으며 이를 방지하는 다양한 보안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국내 대기업들의 경우에도 기업의 방문객이나 출입 직원에 의한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도입하고 있는 보안 방법은 아직까지 그 수준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업을 내방한 방문객이 소지하고 있는 노트북에서 FDD나 CD드라이버를 제거하거나 봉인 스티커를 붙이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먼저 방문객을 금속탐지기를 통과하게 하여 휴대용 저장장치로 인식될 금속 물질을 탐지하고 이후 허가에 의해 반입되는 노트북에 대해서는 CD드라이버 및 외부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포트 입구를 스티커로 봉인하거나 CD드라이버가 탈착 가능한 경우에는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노트북 및 휴대용 저장장치 반출 시에는 이들을 포맷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저장장치를 포맷하는 것은 기업 정보의 반출 여부와 관계없이 방문객의 저장 장치의 데이터를 완전히 손실시키므로 지나치게 극단적인 방법이고, 노트북의 드라이버를 제거하거나 봉인하는 방법도 정상적으로 정보를 외부로 반출해야 하는 경우 복사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되어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는 윈도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한 파일 검색 대조 소프트웨어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용 저장장치가 테라(Tera) 바이트를 넘어서서 대용량화 됨에 따라 종래 윈도우 API를 이용한 검색, 대조를 하게 되면 예컨대 한 사람의 노트북 반출에도 건당 파일 시스템 대조에 수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효율적인 면에서도 크게 문제가 될 뿐더러, 기존 제품들이 완전하게 대조, 검출을 하지 못하는 프로그램 구현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전히 포맷을 통하여 데이터를 모두 손실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방법은 IT 기술의 하루가 다르게 급성장하는 추세에 비하면 매우 원시적인 방법이며, 업무의 원활한 진행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업의 방문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기업을 내방하기 위한 방문 신청시 내방객이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의 식별 정보를 등록하여 휴대용 단말에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배포하고 설치한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촬영, 파일 복사 및 통신을 이용한 기업 정보의 유출을 통제함으로써 기업의 정보 보안을 강화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은, 내방객의 방문 예약 시 등록된 방문자의 사용자 단말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고 상기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지 여부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사용자 단말에 상기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전송하는 보안프로그램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출입 관리 장치는 내방객의 방문 예약 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내방객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는 출입 등록부; 상기 출입 등록부에서 확인한 출입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로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는 메시지 요청부; 및 상기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지 여부를 관리하는 처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내방객의 사용자 단말은, 상기 내방객에 대한 보안을 위해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유도하는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 수신부에 수신한 유도 메시지로부터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하는 프로그램 관리부; 및 상기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보안 정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설정하고, 설정한 바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매체에 대한 보안 통제를 실행 또는 해제하는 보안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보안 통제 방법은, 보안이 필요한 영역내 출입 관리 장치가 내방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방문 등록을 예약 또는 신청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서 상기 내방객에 대한 출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내방객의 출입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매체에 대한 보안 정책을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보안 정책에 따라 상기 매체에 대한 보안 통제를 실행하고, 삭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보안 정책을 비활성화시켜 상기 매체에 대한 보안 통제를 해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방식의 보안 프로그램에 의해, 하루에 수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대기업 등에 직원 및 방문객이 출입시 각 휴대용 단말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어 기존의 탈착 확인형 봉인 스티커로 인한 복잡한 절차 및 스티커의 잔여물로 인한 불편을 제거할 수 있고, 카메라 기능 이외의 통제 기능을 확대할 수 있으며, 위치 확인 기능을 통해 영역별 상이한 보안정책 적용이 가능해져 외부 출입자에 의한 정보 유출의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 외 보안이 필요한 영역(zone)으로 확대하여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에서 출입 관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보안 통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참고로, 이하의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내방객은 사내의 직원 및 외부 방문객 모두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은 각 사내(A사, B사 등)에 구비되는 출입 관리 장치(100), 각 사내에 내방하는 내방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0),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를 포함한다.
각 사내에 구비되는 출입 관리 장치(100)는 각 사내(A사, B사 등)를 출입하는 내방객에 대하여 방문 예약 및 등록을 신청한다. 방문 예약 및 등록시 내방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내방객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고 출입 여부에 따라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로 요청한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내방객이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각 사내의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지 여부를 관리한다.
또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내 비허가 구역을 사전 정의해 두고 내방객의 이동 위치를 위치 기반 서비스를 통해 추적하여 비허가 구역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출입 관리 장치(100)는 각 사내의 특성에 맞는 보안 정책을 보안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사내에 출입하는 수많은 내방객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 정보의 유출을 방지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식별 정보를 출입 관리 장치(100)에 등록한 이후부터 사내에 출입하게 되면 통신망(300)을 통해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로부터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만약, 사내 방문시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로부터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유도 메시지로부터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전 정의된 보안 정책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 중지, 메시지 전송 차단, 통신 연결 차단 등 사내 보안 통제를 수행한다.
사내 출문시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로부터 보안 프로그램의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유도 메시지로부터 보안 프로그램을 삭제하여 사내 보안 통제를 해제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카메라, 외장 메모리, 통신 연결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폰, 스마트 폰인 경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유도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고, 그 외의 경우 식별 정보를 통해 푸쉬 형태의 유도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200)과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간, 또는 온라인 마켓 장치(500)와 상호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즉, 통신망(300)은 유선 인터넷 망일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CDMA, W-CDMA 등)을 통해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망(인터넷 망, IMS 등), 또는 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인터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는 각 사내의 보안 정책을 적용한 보안 프로그램을 관리하며, 각 사내의 출입 관리 장치(100)로부터 유도 메시지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메시지 정보를 요청받은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메시지 정보는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할 수 있는 파일 또는 보안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위치로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200)이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통해 접속하여 보안 프로그램을 요청하면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에게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때, 보안 프로그램은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지만, 공개된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서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는 사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사외에 마련되어 외부에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은 특정 기업을 내방하기 위한 방문 신청시 출입 관리 장치(100)에서 내방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출입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하도록 배포한다. 배포 방법으로서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가 사용자 단말(200)로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전송하여 유도 메시지로부터 보안 프로그램을 직접 설치 또는 삭제할 수 있고, 또는 유도 메시지를 통해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 또는 특정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접속하여 보안 프로그램을 제공 받아 설치 또는 삭제함으로써 소프트웨어 방식의 보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업의 보안을 강화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에서 출입 관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출입 관리 장치(100)는 출입 등록부(110), 출입 예약부(120), 메시지 요청부(130), 처리 관리부(140), 보안 정책 관리부(150), 위치 기반 통제 관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저장부(180) 등을 포함한다.
출입 등록부(110)는 각 사내를 출입하는 내방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내방객의 출입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내방객이 사내에 첫 방문이면 방문으로 설정하고 출문하게 되면 내방 종료로 설정하여 출입 여부에 따라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출입 예약부(120)는 사내 방문을 예약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내방객의 방문 등록을 예약하고 예약한 내방객이 방문하게 되면 출입 등록부(110)로 알린다.
메시지 요청부(130)는 출입 등록부(110)에서 확인한 출입 여부에 따라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한다. 이때, 메시지 요청부(130)는 메시지 요청 정보와 함께, 출입 여부에 관한 정보 및 메시지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통신망(도 1의 300)을 통해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도 1의 400)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즉, 인터페이스부(170)는 메시지 요청부(130)에서 요청하는 정보들을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도 1의 400)로 전송하고,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도 1의 400)로부터 메시지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처리 관리부(140)는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각 사내의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여부를 관리하고, 보안 정책 관리부(150) 및 위치 기반 통제 관리부(160)에 설정한 보안 정책 정보를 보안 프로그램에 반영하도록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도 1의 400)로 제공할 수 있다.
보안 정책 관리부(150)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매체 이를 테면, 카메라, 외장 메모리, 통신 연결 장치 등에 대한 보안 정책을 저장부(180)에 저장하고 이의 정책 변경 등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각 사내에서 영상 촬영, 파일 복사 및 통신을 이용한 기업 정보의 유출을 통제하기 위해 카메라의 동작, 메시지 전송, 통신 연결을 차단시키는 보안 정책을 각 사내의 보안 특성에 맞게 설정한다.
위치 기반 통제 관리부(160)는 사내 비허가 구역을 사전 정의해 두고 사용자 단말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여 비허가 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한다. 사용자 단말이 비허가 구역에 접근하거나 출입하게 되면 경고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게 보내고 경고 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은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등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의 이동 위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로부터 확인하거나, 또는 GPS와 같은 위치 기반 관리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받아 확인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출입 예약부(120) 및 출입 등록부(110)를 통해 방문 예약 또는 등록한 내방객의 정보(181)를 저장하고, 보안 정책 관리부(150)에서 사전 정의된 보안 정책 정보(183)를 저장하며, 각 사내의 보안 정책 정보(183)를 반영한 보안 프로그램(185)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메시지 수신부(210), 프로그램 관리부(220), 보안 설정부(230) 등을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210)는 사내 보안을 위한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사내 방문시 메시지 수신부(210)는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다. 사내 출문시의 경우 메시지 수신부(210)는 보안 프로그램의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다.
프로그램 관리부(220)는 메시지 수신부(210)에 수신한 유도 메시지를 통해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한다. 이때, 프로그램 관리부(220)는 유도 메시지에 보안 프로그램이 첨부된 경우 직접 보안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유도 메시지에 액세스 정보가 포함된 경우 액세스 정보를 통해 접속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요청하고 제공 받는다. 액세스 정보는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도 1의 400)에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일 수 있으며 또는 특정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마켓에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일 수 있다.
보안 설정부(230)는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사내 보안 정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설정하고, 설정한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매체(카메라, 외장 메모리, 통신 연결 장치 등)에 대한 보안 통제를 실행 또는 해제한다.
또한, 보안 설정부(220)는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각 사내의 비허가 구역에 대한 보안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단말 내에서 직접 위치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GPS와 같은 위치 기반 관리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보안 프로그램에 포함된 사내 지도를 통해 비허가 구역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고 비허가 구역에 접근하게 되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보안 통제 방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내방객은 방문하고자 하는 사내의 출입 관리 장치에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여 방문 등록을 신청한다(S300).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메시지 수신부(210)를 통해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다(S310).
만약 사용자 단말(200)이 사내를 방문한 경우 메시지 수신부(210)에서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를 유도하는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출문하는 경우에는 보안 프로그램의 삭제를 유도하는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그램 관리부(220)가 수신한 유도 메시지로부터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한다(S320). 유도 메시지를 이용한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 방법은 직접 또는 액세스 정보를 이용한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일회성 내방객은 보안 프로그램의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통해 삭제를 진행할 수 있다. 삭제 이후부터는 하기의 과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한 경우, 보안 설정부(230)에서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사내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S330).
이후, 기 설정한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되는 각종 매체에 대한 보안 통제를 실행 또는 해제한다(S340).
이를 테면, 사내 보안을 위해 보안 정책을 활성화시키면 보안 정책 정보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 차단, 메시지 전송 차단, 통신 연결 차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차단시키는 보안 통제를 실행한다.
이와 반대로, 보안 정책을 비활성화시키면 활성화에 의해 실행하였던 보안 통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내의 재방문 예정시 사용자 단말(200)은 메시지 수신부(210)를 통해 보안 프로그램의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였지만 보안 프로그램을 삭제하지 않고 보안 설정부(230)에서 보안 정책을 비활성화시키고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에서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매체에 대한 보안 정책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보안 정책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매체에 대한 보안 통제를 실행하고, 이후 삭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면 보안 정책을 비활성화시켜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매체에 대한 보안 통제를 해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사용자 단말이 비허가 구역에 위치하면 경고를 발생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안 통제 시스템을 이용한 보안 통제 방법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각 기업의 출입 관리 장치(100)는 사내를 출입하는 내방객 및 내방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등록한다(S100).
이후, 출입 관리 장치(100)는 내방객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고, 출입 여부에 따라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로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한다(S110).
요청 시 출입 관리 장치(100)는 내방객의 출입 여부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메시지 요청 정보를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로 전송한다.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는 출입 관리 장치(100)로부터 요청 받은 메시지 정보를 구별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200)로 유도 메시지를 전송한다(S120).
예를 들어, 내방객이 사내 방문의 경우이면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반대로, 내방객이 내방 업무를 종료하고 사내를 출문하는 경우이면 보안 프로그램의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200)은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로부터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고(S130), 수신한 유도 메시지에 첨부된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하여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한다(S140, S150).
상기의 과정은 유도 메시지에 보안 프로그램이 첨부된 경우이다.
이와 다른 실시 예로, 유도 메시지에 보안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위치로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 경우 보안 통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기업의 출입 관리 장치(100)에서 내방객 및 내방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S200), 내방객의 출입 여부에 따라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로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며(S210),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200)로 유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과정(S220, S230)은 도 4에서의 방법과 동일하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유도 메시지를 통해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 또는 특정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마켓으로 접속한다(S240). 여기서, 유도 메시지는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 또는 특정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마켓으로 접속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접속한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 또는 특정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마켓으로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요청한다(S250).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400) 또는 특정 온라인 어플리케이션 마켓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요청 받은 보안 프로그램을 조회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제공한다(S260, S270).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다운로드 받은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하여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한다(S280, S29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이해의 편의상 본 발명의 보안 통제 시스템을 보안이 필요한 기업 내에 활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기업 외 보안이 필요한 존(zone) 어디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종래 기업의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은 FDD나 CD드라이버를 제거하거나 봉인 스티커를 붙이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발명은 내방객 방문 신청시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에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배포하고 설치한 보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기업의 보안 정책에 맞게 통제함으로써 기업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 효과가 있다. 이로써, 특정 기업을 방문하는 내방객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보안 기술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출입 관리 장치 200: 사용자 단말
300: 통신망 310: 기지국
400: 보안프로그램 제공 장치
110: 출입 등록부 120: 출입 예약부
130: 메시지 요청부 140: 처리 관리부
150: 보안 정책 관리부 160: 위치 기반 통제 관리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저장부
181: 내방객 정보 183: 보안 정책 정보
185: 보안 프로그램 정보 210: 메시지 수신부
220: 프로그램 관리부 230: 보안 설정부

Claims (16)

  1. 내방객의 방문 예약 시 등록된 방문자의 사용자 단말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고 상기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지 여부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 장치; 및
    상기 출입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사용자 단말에 상기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전송하는 보안프로그램 제공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메시지는 상기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할 수 있는 파일 또는 상기 보안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위치로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보안이 필요한 영역(zone) 또는 상기 보안이 필요한 영역으로부터 원격에 마련되어 상기 출입 관리 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4. 내방객의 방문 예약 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내방객의 출입 여부를 확인하는 출입 등록부;
    상기 출입 등록부에서 확인한 출입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로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하기 위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는 메시지 요청부; 및
    상기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지 여부를 관리하는 처리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방객의 방문 등록을 예약하고, 예약한 내방객이 방문하게 되면 상기 출입 등록부로 알리는 출입 예약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영상 촬영, 파일 복사 및 통신을 이용한 기업 정보의 유출을 통제하기 위해 카메라의 동작, 메시지 전송, 통신 연결을 기 설정된 보안정책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보안 정보를 관리하는 보안 정책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위치를 추적하여 각 사내의 비허가 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는 위치 기반 통제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 정책 관리부에서 설정한 보안 정보는 상기 보안 프로그램에 반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메시지는 상기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할 수 있는 파일, 또는 상기 보안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위치로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장치.
  8. 내방객의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내방객에 대한 보안을 위해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유도하는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 수신부에 수신한 유도 메시지로부터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삭제하는 프로그램 관리부; 및
    상기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보안 정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여부를 설정하고, 설정한 바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매체에 대한 보안 통제를 실행 또는 해제하는 보안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관리부는
    상기 유도 메시지에 첨부된 보안 프로그램을 직접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상기 유도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정보로 접속하여 해당 보안 프로그램을 제공 받아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보안이 필요한 영역 내 출입 관리 장치가 내방객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방문 등록을 예약 또는 신청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장치에서 상기 내방객에 대한 출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내방객의 출입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내방객이 방문한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보안 프로그램의 설치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고,
    상기 내방객의 출문한 경우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보안 프로그램의 삭제를 위한 유도 메시지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는 상기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각 사내의 보안 정책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지 여부를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위치를 추적하여 사내의 비허가 구역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유도 메시지에 보안 프로그램을 첨부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보안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위치로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방법.
  15.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매체에 대한 보안 정책을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보안 정책에 따라 상기 매체에 대한 보안 통제를 실행하고,
    삭제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보안 정책을 비활성화시켜 상기 매체에 대한 보안 통제를 해제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비허가 구역에 위치하면 경고를 발생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10058250A 2011-06-16 2011-06-16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2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250A KR101732019B1 (ko) 2011-06-16 2011-06-16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250A KR101732019B1 (ko) 2011-06-16 2011-06-16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857A KR20120138857A (ko) 2012-12-27
KR101732019B1 true KR101732019B1 (ko) 2017-05-24

Family

ID=4790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250A KR101732019B1 (ko) 2011-06-16 2011-06-16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0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403A (ko)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펀앤뉴 모바일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KR102381146B1 (ko) * 2021-10-14 2022-04-01 전종식 군부대 내 단말 보안 통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668A (ko) * 2013-01-16 2014-07-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105176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91706B1 (ko) * 2014-09-15 2015-02-11 박준희 앱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60547B1 (ko) * 2015-11-20 2023-07-26 주식회사 케이티 전용망에서의 이동 단말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2158526B1 (ko) * 2016-01-07 2020-09-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코드를 사용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5287B1 (ko) * 2018-06-18 2019-05-07 (주)삼성디지탈솔루션 내부자료 유출방지를 위한 스마트단말 작동제어 보안시스템
KR102437525B1 (ko) * 2020-11-25 2022-08-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핵심기술 정보 유출 차단을 위한 통합 보안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872B1 (ko) 2005-12-26 2006-11-28 주식회사 팬택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048817A (ja) 2009-07-27 2011-03-10 King Tsushin Kogyo Kk 入退出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872B1 (ko) 2005-12-26 2006-11-28 주식회사 팬택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1048817A (ja) 2009-07-27 2011-03-10 King Tsushin Kogyo Kk 入退出管理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403A (ko)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펀앤뉴 모바일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KR102381146B1 (ko) * 2021-10-14 2022-04-01 전종식 군부대 내 단말 보안 통제 장치 및 방법
KR20230053486A (ko) * 2021-10-14 2023-04-21 전종식 군부대 내 단말 보안 통제 장치 및 방법
KR102537475B1 (ko) * 2021-10-14 2023-05-26 전윤재 군부대 내 단말 보안 통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857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019B1 (ko)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75221B2 (en) Context-aware permission control of hybrid mobile applications
JP4778970B2 (ja) 携帯端末、アクセス制御管理装置及びアクセス制御管理方法
US10728234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ecurity configurations
US10505983B2 (en) Enforcing enterprise requirements for devices registered with a registration service
US10027648B2 (en) Geolocation dependent variable authentication
WO200915749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個人用情報機器及びアクセス管理方法
US97564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ensitive data stored on a wireless computing device
KR101402109B1 (ko) 사설망 접근 관리 장치 및 방법
EP3337149B1 (en) Device restrictions during events
US11706077B2 (en) Contextual generation of ephemeral networks
US12010515B2 (en) Security management on a mobile device
US9756173B2 (en) Leveraging mobile devices to enforce restricted area security
US20160381552A1 (en) Handling risk events for a mobile device
US11741245B2 (en) Self-management of devices using personal mobile device management
US10951612B2 (en) System and method of inter-account resource access management
JP2008250930A (ja) データ利用制限システム、ユーザ情報管理装置、データ利用判定装置及び移動機並びにデータ利用制限方法
US10904376B1 (en) Location specific container based management of mobile devices
KR101283884B1 (ko) 세이프가드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6184136A1 (zh) 一种保障终端安全的方法和装置
KR101789007B1 (ko)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모바일 통제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KR101975287B1 (ko) 내부자료 유출방지를 위한 스마트단말 작동제어 보안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