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68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681A
KR20150106681A KR1020140029064A KR20140029064A KR20150106681A KR 20150106681 A KR20150106681 A KR 20150106681A KR 1020140029064 A KR1020140029064 A KR 1020140029064A KR 20140029064 A KR20140029064 A KR 20140029064A KR 20150106681 A KR20150106681 A KR 20150106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ube
laundry
ai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718B1 (ko
Inventor
은성용
박지수
김지은
이상업
이은래
장석모
정승은
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71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5/00Washing machines having beating, rubbing or squeezing means in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 D06F15/02Washing machines having beating, rubbing or squeezing means in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articles being washed are squeezed by a flexible diaphragm or ba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공기압을 이용한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세탁물과 세탁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세탁조 유닛과, 세탁조 유닛 내부에서 공기압에 의해 팽창 가능하게 마련되는 튜브 유닛과, 튜브 유닛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압 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공기압 발생 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는 튜브 유닛의 상호 압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압을 이용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해서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이러한 원심 회전을 이용하는 세탁 및 고속 회전을 이용하는 원심 탈수 기술은 과다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 진동소음 및 회전 균형(balance)을 맞추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진동 소음 저감 능력에 한계를 갖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압을 이용한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저진동, 저소음의 개선된 구조의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낮은 소모 전력의 신개념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세탁물을 비비고 두드리고 쥐어짜는 세탁 무브먼트를 구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세탁물과 세탁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세탁조 유닛과, 상기 세탁조 유닛 내부에서 공기압에 의해 팽창 가능하게 마련되는 튜브 유닛과, 상기 튜브 유닛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압 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는 상기 튜브 유닛의 상호 압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조 유닛은, 세탁물과 세탁수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주머니형상의 세탁 커버와, 상기 세탁 커버 외측에 마련되는 바스켓 유닛과, 상기 바스켓 유닛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 커버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세탁물과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와,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스켓 유닛은, 적층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내면에 상기 튜브 유닛이 설치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어 세탁수가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은,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튜브 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 호스와, 상기 에어 호스의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 유닛은, 플렉시블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압 튜브와, 상기 공기압 튜브를 상기 지지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지지부에는 상기 공기압 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호스 연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펌프, 컴프레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와 상기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세탁물의 종류 및 재질에 따라 상기 튜브 유닛의 공기 유출입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 튜브의 팽창 또는 수축 동작에 따라, 세탁물을 비비는 동작과 두드리는 동작과 쥐어짜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스켓 유닛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무회전 공기압 세탁 및 무회전 압축 탈수에 의해 진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 간소화에 따른 소형화와 그에 따른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 가있다.
또한, 세탁조의 튜브가 세탁물을 주무르고 비비고 두드리고 쥐어짜는 다양한 세탁 무브먼트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 유닛과 공기압 발생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튜브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 유닛과 공기압 발생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튜브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과 세탁수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세탁조 유닛(20)과, 세탁조 유닛(20) 내부에서 공기압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튜브 유닛(40)과, 튜브 유닛(4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압 발생 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세탁조 유닛(20)으로 세탁물과 세탁수를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11)가 형성되고, 개구(11)에는 탑 커버 어셈블리(12)가 마련될 수 있다.
탑 커버 어셈블리(12)의 상면에는 본체(10)의 개구(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면 후단부에는 사용자가 세탁기(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가 마련될 수 있다.
또, 탑 커버 어셈블리(12)의 하부에는 세탁조 유닛(20)으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14)가 마련된다.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미도시)은 일측이 도시되지 않은 외부 급수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4)와 연결된다.
따라서,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4)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세탁조 유닛(20)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급수관에는 급수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세탁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세탁조 유닛(20)은 세탁물과 세탁수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세탁 커버(21)와, 세탁 커버(21)의 외측에 튜브 유닛(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링 형상의 원형 바스켓 유닛(22)과, 바스켓 유닛(22)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23)을 포함한다.
세탁 커버(21)는 플렉시블(flexible)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의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탁물과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입구(21a)와,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유출구(21b)를 포함한다.
유입구(21a)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투입될 수 있도록 세탁 커버(21)의 상단에 배치되며, 유출구(21b)는 세탁수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세탁 커버(21)의 하단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세탁 커버(21)는 고무, 우레탄 고무 등 사출 성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 커버(21)는 바스켓 유닛(22)의 내부에 마련되며, 유연한 재질의 세탁 커버(21)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세탁 커버(21)의 상단 유입구(21a)를 바스켓 유닛(22)의 상단에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26)이 마련될 수 있다.
세탁 커버(21)는 후술하는 공기압 발생 유닛(30)의 가압에 의해 유연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그 표면에 주름부(21c)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26)은 바스켓 유닛(22)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면 테두리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2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25)과의 사이에 세탁 커버(21) 상단 가장자리가 고정 및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25)은 바스켓 유닛(22)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고정 브라켓(26)은 상부 프레임(25)의 내주연에 대응되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25)과 고정 브라켓(26)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 브라켓은 상부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세탁 커버가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바스켓 유닛(22)은 세탁 커버(21)의 외측에서 세탁 커버(21)를 지지하고, 그 내주면에 튜브 유닛(40)이 장착되도록 마련된다.
바스켓 유닛(22)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용량에 따른 맞춤형 가변 용량 세탁이 가능하게 된다.
바스켓 유닛(22)은 상단에 배치되는 제1 바스켓(22a)과, 하단에 배치되는 제3 바스켓(22c)과, 중간에 배치되는 제2 바스켓(2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스켓 유닛은 제1 내지 제3 바스켓을 포함하는 3단 인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세탁물의 용량에 따라 바스켓을 추가하거나 분리하여 세탁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바스켓(22c)은 상호 적층 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각각의 바스켓(22a,22b,22c)은 그 내측 상하 단부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결합부(29)가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 유닛(22)의 하단에는 본체(10)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받침대(23a)가 형성되는 프레임(23)이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23)은 제3 바스켓(22c)의 하단에 결합되며, 프레임(23)의 중심에는 세탁 커버(21)의 유출구(21b)와 연결되어 세탁수가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23b)가 형성된다.
배출구(23b)에는 배수관(16)이 연결된다. 배수관(16)에는 세탁수의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바스켓 유닛(22)은 적층되는 제1 내지 제3 바스켓(22c)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5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50)는 제1 내지 제3 바스켓(22a,22b,22c)의 외측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1 바스켓(22a)과 제3 바스켓(22c)의 외주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제1 연결부(51)가 형성되고, 연결부재(50)에는 제1 연결부(51)가 결합되도록 제2 연결부(52)가 형성된다.
제1 연결부(51)와 제2 연결부(5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50)는 제1 내지 제3 바스켓(22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부재(50)에 의해 제1 바스켓(22a) 내지 제3 바스켓(22c)은 서로 견고히 적층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바스켓(22c)의 내부에는 튜브 유닛(4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가이드부(28a)가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28)이 마련된다.
지지 브라켓(28)은 제1 내지 제3 바스켓(22a,22b, 22c)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 둘레에는 튜브 유닛(40)이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28a)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8a)는 지지 브라켓(28)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튜브 유닛(40)이 삽입 및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튜브 유닛(40)은 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세탁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프레임(23)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23)에 배치되는 튜브 유닛(40)은 배수구(23b)의 외측 둘레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튜브 유닛(40)은 제1 바스켓(22a)의 지지 브라켓(28)의 둘레에 8개가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 바스켓 유닛(22)은 원형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브 유닛(40)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 바스켓 유닛(22)의 지지 브라켓(28)에 설치된다.
튜브 유닛(40)은 플렉시블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압 튜브(41)와, 공기압 튜브(41)를 바스켓 유닛(22)의 지지 브라켓(28)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튜브 지지부(43)를 포함한다.
튜브 지지부(43)는 공기압 튜브(41)의 전면 테두리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부(43a)와, 공기압 튜브(41)의 후방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부(43b)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43b)는 공기압 튜브(41)의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호스 연결부(42)가 형성된다. 제2 지지부(43b)에는 지지 브라켓(28)의 가이드부(28a)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43b)는 결합부(29)가 지지 브라켓(28)의 가이드부(28a)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기압 튜브(41)는 길이 가변 가능하도록 주름으로 형성되어, 공기압의 유입에 의해 팽창 시에는 바스켓 유닛(2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공기압의 유출에 의해 수축 시에는 제2 지지부(43b)측으로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공기압 튜브(41)는 실리콘 코팅하여 세탁물을 보호하거나,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하여 세탁물과의 마찰을 높여 세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압 튜브(41)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압 발생 유닛(30)은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1)와, 구동부(31)와 튜브 유닛(4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에어 호스(32)와, 에어 호스(32)를 통한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되는 밸브(45)를 포함한다.
구동부(31)는 펌프, 컴프레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본체(10)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31)와 연결되는 에어 호스(32)는 분기되어 각각의 튜브 유닛(40)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1)를 통해 발생되는 공기는 에어 호스(32)를 통해 각각의 튜브 유닛(40)으로 공급되고, 튜브 유닛(40)의 공기압 튜브(41) 내부로 주입되어 공기압 튜브(41)를 팽창하게 하고, 이러한 공기압 튜브(41)의 상호간의 압력에 의해 세탁 커버(21) 내부의 세탁물을 가압하여 세탁하게 된다.
에어 호스(32)에는 공기압 튜브(41)를 통해 공기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밸브(45)가 마련된다.
이때, 밸브(45)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구동부(31)와 밸브(45)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부(60)는 공기압 튜브(41)에 주입되는 공기의 순서 또는 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세탁 커버(21) 내에 세탁물을 투입하면, 세제공급장치(14)를 통해 세탁수가 세탁 커버(21) 내로 세제와 함께 공급된다.
세탁 시, 공기압 발생 유닛(30)의 구동부(31)에 의해 발생된 공기는 에어 호스(32)를 통해 튜브 유닛(40)으로 공급된다.
튜브 유닛(40)의 공기압 튜브(41)에 공기가 공급되면, 공기압 튜브(41)는 세탁물 측으로 팽창하여 세탁물에 압력을 가하여 주무르는 방식으로 세탁을 한다.
이때, 제어부(60)는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각각의 튜브 유닛(40)의 공기압 튜브(41)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토출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 입력하는 세탁물의 종류 및 재질 정보에 따라, 튜브 유닛(40)의 공기 유입 및 토출을 제어 할 수 있다.
또, 제어부(60)는 공기압 튜브(41)의 팽창 또는 수축 동작을 제어하여, 세탁물을 비비는 동작과 두드리는 동작과 쥐어 짜는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세탁물의 탈수시에는 공기압 튜브(41) 전체에 동시에 공기를 주입 및 토출하게 함으로써 세탁물을 압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하여 탈수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10 : 본체
11 : 개구 12 : 탑 커버 어셈블리
14 : 세제공급장치 20 : 세탁조 유닛
21 : 세탁 커버 22 : 바스켓 유닛
23 : 프레임 30 : 공기압 발생 유닛
31 : 구동부 32 : 에어 호스
40 : 튜브 유닛 41 : 공기압 튜브
43 : 튜브 지지부 45 : 밸브
50 : 연결부재 60 : 제어부

Claims (12)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세탁물과 세탁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세탁조 유닛과,
    상기 세탁조 유닛 내부에서 공기압에 의해 팽창 가능하게 마련되는 튜브 유닛과,
    상기 튜브 유닛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압 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는 상기 튜브 유닛의 상호 압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 유닛은,
    세탁물과 세탁수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주머니형상의 세탁 커버와,
    상기 세탁 커버 외측에 마련되는 바스켓 유닛과,
    상기 바스켓 유닛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커버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세탁물과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와,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유닛은,
    적층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내면에 상기 튜브 유닛이 설치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출구와 연결되어 세탁수가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발생 유닛은,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튜브 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 호스와,
    상기 에어 호스의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유닛은,
    플렉시블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압 튜브와,
    상기 공기압 튜브를 상기 지지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튜브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지지부에는 상기 공기압 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호스 연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펌프, 컴프레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탁물의 종류 및 재질에 따라 상기 튜브 유닛의 공기 유출입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 튜브의 팽창 또는 수축 동작에 따라, 세탁물을 비비는 동작과 두드리는 동작과 쥐어짜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유닛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40029064A 2014-03-12 2014-03-12 세탁기 KR10222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64A KR102226718B1 (ko) 2014-03-12 2014-03-12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64A KR102226718B1 (ko) 2014-03-12 2014-03-12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681A true KR20150106681A (ko) 2015-09-22
KR102226718B1 KR102226718B1 (ko) 2021-03-11

Family

ID=5424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064A KR102226718B1 (ko) 2014-03-12 2014-03-12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7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978B1 (ko) * 1995-05-31 1998-12-15 배순훈 공기주머니를 이용한 세탁기
KR20020082558A (ko) * 2001-04-24 2002-10-31 홍종수 압축식 탈수기를 가지는 세탁기
KR20050038832A (ko) * 2003-10-23 2005-04-29 홍종수 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978B1 (ko) * 1995-05-31 1998-12-15 배순훈 공기주머니를 이용한 세탁기
KR20020082558A (ko) * 2001-04-24 2002-10-31 홍종수 압축식 탈수기를 가지는 세탁기
KR20050038832A (ko) * 2003-10-23 2005-04-29 홍종수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718B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96B1 (ko) 복합세탁장치
EP2476791B1 (en) Detergent ca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6219871B1 (en)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flexible container to improve cleaning efficiency and minimize space occupancy
CN101328670A (zh) 复合洗衣装置
KR2018005318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44244B1 (ko) 세탁기
CN203795180U (zh) 全自动仿手搓洗袜机
KR102165604B1 (ko) 세탁기
US20140208810A1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70080028A (ko) 여성 속옷 세탁기
CN103451890B (zh) 多功能一体洗衣机
CN109234980B (zh) 一种波轮洗衣机
KR102640363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02108616A (zh) 一种用于洗衣机上的洗鞋装置及其洗衣机
KR20150043792A (ko) 신발내부세척기능이 구비된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KR102226718B1 (ko) 세탁기
CN108070976A (zh) 一种洗袜机
KR10264902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10359240A (zh) 洗衣机
KR102513380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02459745A (zh) 允许在洗衣机内洗涤鞋类的设备
US20120192596A1 (en) Actuation Mechanism Configured to Exert Mechanical Forces on Laundry Items in a Wash Basin
CN203654004U (zh) 多功能一体洗衣机及其洗衣工区单元
JP5914295B2 (ja) 洗濯機の脱水構造
KR102117426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