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321A -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 Google Patents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321A
KR20150106321A KR1020140160796A KR20140160796A KR20150106321A KR 20150106321 A KR20150106321 A KR 20150106321A KR 1020140160796 A KR1020140160796 A KR 1020140160796A KR 20140160796 A KR20140160796 A KR 20140160796A KR 20150106321 A KR20150106321 A KR 20150106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cartridge
receptacle
sw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정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연 filed Critical 정우연
Publication of KR20150106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3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8Means to eject the cartridge after b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wherein the maker produces a coffee drink such as espresso in which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is sprayed onto a pack type of cartridge covered with a porous outer skin of, for example, a capsule or a non-woven fabric, and in particular a cartridge holding a coffee powder, 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cking means where a cap through swing and ascending/descending displacement of a mounting plate on which a receptacle is mounted which is sealing the insertion part of the receptacle and thus can effectively pressurize a cartridge mounted on the receptacle.

Description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본 발명은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특히 커피 파우더가 내장된 카트리지에 고온,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에스프레소 등의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것으로, 리셉터클이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의 스윙 및 승하강 변위를 통하여 캡이 리셉터클의 끼움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리셉터클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 type cartridge packaged in a porous casing such as a capsule or a nonwoven fabric, in particular,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jet is sprayed onto a cartridge containing a coffee powder to produce a coffee beverage such as espresso, And a locking means for allowing the cap to close the fitt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through swinging and lifting and lowering displacement of the plate so as to effectively pressurize the cartridge mounted on the receptacle.

현대인들 각각의 개성이 다양하고 존중받는 현대 사회에서 각자 입맛에 맞는 커피 등의 음료를 직접 제조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발맞춰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카트리지 형식으로 제작하여, 사람들의 기호에 맞는 커피를 손쉽게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In today's modern society where the individuality of each person is varied and respected, more and more people are trying to make and drink coffee beverages that suit their tastes.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coffee are manufactured in a cartridge type, and devices capable of easily extracting and drinking coffee in accordance with people's preferences are being developed.

보통 커피 메이커라 불리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에 끼워진 커피 카트리지에 고온고압의 열수를 분사하여 음용커피를 짧은 시간 내에 생성하며, 이렇게 커피 카트리지와 물을 믹싱하여 원하는 농도의 음용커피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커피 메이커는 커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과 이 리셉터클에 안착된 커피 카트리지를 가압하여 밀폐하고, 가압과 동시에 고온,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상부 천공핀이 내장된다.
A cartridge extracting drink maker, usually called a coffee maker, injects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hot water into a coffee cartridge inserted in a cartridge receptacle to produce drinking coffee in a short time, and thus mixes the coffee cartridge and water to produce a desired concentration of drinking coffee do. Such a coffee maker includes a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a coffee cartridge and an upper perforation pin for pressurizing and sealing the coffee cartridge seated on the receptacle, and for spraying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simultaneously with the pressurization.

상술한 커피메이커 등의 음료 메이커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0236856호(등록일자 1999년10월05일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 및 카트리지 홀더]가 있는데, 상기 등록 특허는 어떠한 에스프레소 기계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beverage maker such as a coffee maker, there is a patent registration No. 10-0236856 (Oct. 05, 1999 [Cartridge extraction device and cartridge holder] It is proposed to provide a cartridge extracting device configured to be adapted.

또 특허공개 제10-2010-0113447호(공개일자 2010년10월21일)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가 있는데, There is als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disposable capsule having a capsule centering mechanism,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0-0113447 (published on October 21, 2010)

상기 공개특허는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 또는 기타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1회용 캡슐에 수용된 물질을 추출 혹은 희석함으로써 커피 또는 기타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atent is directed t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or other food from a disposable capsule and t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coffee or other hot beverage by extracting or diluting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disposable capsule.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067540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있는데, Further, Patent Registration No. 10-1067540 (date of registration September 19, 20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everage]

상기 등록특허는 음료 전구 물질 액체는, 음료 카트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조 챔버의 폐쇄의 개시에 기초하여 공급될 수 있다. 뚜껑 제어 기구는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막도록 제 위치에 저장통 뚜껑을 잠글 수 있고, 제조 챔버의 폐쇄에 응답하여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뚜껑을 해제할 수 있고, 저장통 뚜껑은 제조 챔버가 개방될 때 동시에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저장통 뚜껑은 저장통을 공압식으로 밀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저장통을 제조 챔버로 수력으로 가압되게 하고, 저장통 내의 물은, 예를 들어 히터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열 차단 스위치의 개방에 기초하는, 물이 충분하게 가열되었다는 감지에 응답하여, 제조 챔버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atent discloses that the beverage precursor liquid may be supplied based on the onset of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surround the beverage cartridge. The lid control mechanism can lock the reservoir lid in place to prevent access to the reservoir and release the lid to allow access to the reservoir in response to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reservoir lid can pneumatically seal the reservoir, for example, causing the reservoir to be hydraulically pressed into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water in the reservoir can, for example, block power to the heater In response to detection that the water has been sufficiently heated, based on the opening of the thermal shut-off switch.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1-0122702호(공개일자 2011년11월10일) [음료 조제 기계]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음료 성분의 사전-포장 용기(prepackaged container)를 이용하는 유형의 음료 조제 기계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Patent Disclosure No. 10-2011-0122702 (November 10, 2011) disclo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which compri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of the type using a prepackaged container of beverage ingredient .

상기 발명들은 캡을 카트리지가 끼워진 리셉터클 상부에 정확하게 밀폐시키면서 열수 분출에 따른 압력에 대항하여 캡과 리셉터클 사이가 벌어지지 않아야 하는데, 락킹수단의 내열성 및 내압성이 매우 떨어져 커피 카트리지에 고온, 고압의 열수를 이용하여 원활하게 음료를 추출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The above-describe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ap must be accurately sealed on the receptacle on which the cartridge is inserted, and the cap and the receptacle should not be opened against the pressure caused by the hot water jetting. There is a problem in extracting the beverage smoothly by using it.

즉, 카트리지를 가압하면서 고온의 열수를 분사하는 상부 천공핀과 커피 카트리지의 상면이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아서 상부 천공핀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커피 카트리지를 내장하는 리셉터클 외부로 유출되거나 커피 카트리지 내측으로 인입된 물도 다시 역류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That is,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rtridge and the upper perforation pin for spraying the hot water are not properly engaged with each other, water sprayed from the upper perforation pin flows out to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containing the coffee cartridge, There was a problem such as backflow.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커피 카트리지 상면이 맞물리는 부분의 소재 등의 문제 발생 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무엇보다 제대로 작동하던 락킹수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하는 커피캡슐 내부의 높은 압력에 대해 가압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것에서 가장 큰 원인을 찾을 수 있다.
The above problem may be caused by factors such as the material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cartridg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means, which has been operating properly, pressurizes the high pressure inside the coffee capsule One can find the biggest cause of failure to maintain effective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캡이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밀폐하고, 이를 유지시켜 커피 추출 시 고온, 고압으로 분사되는 열수 및 추출된 커피의 외부 유출을 막는 것과 동시에, 리셉터클의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져 추출되고 남은 고온의 잔수에 의한 화상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크부재와 연결된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리셉터클이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가 스윙 변위됨과 동시에, 승하강이 이루어져, 캡이 상기 리셉터클의 끼움부를 밀폐시키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cap seals the receptacle holding the cartridge and keeps the receptacle closed to prevent hot water sprayed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during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and the escape of the extracted coffee, and at the same time, the detachment of the receptacle is easily performed, The mounting plate on which the receptacle is mounted is swung and displaced upwardly and downwardly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connected to the link member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image due to the residual water and the locking means for sealing the fitt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And to provide a drink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락킹수단을 통한 장착 플레이트의 스윙 변위 및 승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착 플레이트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회동축을 갖고, 프레임부에 상기 제1 회동축이 결합되어 장착 플레이트의 스윙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원호 형상의 제1 안내부와, 상기 제1 안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안내부로 구성된 제2 안내홈, 그리고 장착 플레이트의 제1 회동축이 결합되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안내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pivot shaft projecting laterally from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swinging displacement of the mounting plate through the locking means and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mounting plate can be stably performed, and the first pivot shaft is coupled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of a first guide portion having an arc shape to be guided in a swing direction of the plate and a second guide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a second guid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과 장착 플레이트를 변위시킬 때, 가압 압력이 작용하는 반대 방향으로 발생되는 반발력을 해소하고, 레버의 작동에 따른 장착 플레이트의 스윙 변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버의 작동부에서 돌출된 제2 회동축을 갖고, 프레임부에 상기 제2 회동축이 결합되어 작동부의 스윙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원호 형상의 제3 안내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p and the mounting plate are displaced,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ressure is applied is eliminated, and the swinging displacement of the mounting plat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is stabilized. And an arc-shaped third guide groove which has a protruding second coaxial shaft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rotation shaft in the frame portion so as to be guided in the sw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

나아가 본 발명은 음료 추출 후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를 쉽게 분리하여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장착 플레이트가 하강 스윙 변위될 때 상기 끼움부에서 카트리지의 플렌지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tridge extractable drink maker comprising a separating means for pressing and releasing a flange of a cartridge from the fitting portion when the mounting plate is displaced downward to swing, so that the cartridg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ceptacle after beverage extraction, And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objec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rink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캡이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입설되는 프레임부로 구성된 프레임본체;A frame body including a body portion on which a cap is installed and a frame portion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리셉터클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스윙축을 갖는 장착 플레이트; 및A mounting plate having a receptacle on which the cartridge is fitted and having a first swinging shaf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상기 장착 플레이트를 변위시켜, 상기 캡이 상기 리셉터클의 끼움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And locking means for displacing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cap seals the fitt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상기 락킹수단은 The locking means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스윙축을 경계로 작동부와 가압부를 갖는 레버,A lever having an operating portion and a pressing portion on the basis of a second swing ax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일단이 상기 작동부에 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축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And a link member, one end of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actu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상기 레버를 가압 변위시켜,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스윙축을 축으로 스윙 변위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lever is pushed and displaced such that the mounting plate is swung and displaced about the first swing axis to move up and dow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1 회동축을 갖고,In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late has a first pivot shaft projecting laterally and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회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스윙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원호 형상의 제1 안내부와 상기 제1 안내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 회동축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제2 안내부로 구성된 제1 안내홈, 그리고 상기 제1 스윙축이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제2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frame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having an arc shape in which the first rotation axis is coupled and guided in the sw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and a second guide portion having a second guide portion, A first guide groove formed of a guide portion, and a second guide groove coupled to the first swing shaft so as to be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서 상기 레버는 상기 작동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2 회동축을 갖고,Further, in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has a second pivot shaft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opera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회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의 스윙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원호 형상의 제2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frame portion includes an arc-shaped second guide groove which is coupled with the second rotation axis and is guided in the sw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하강 스윙 변위될 때, 상기 리셉터클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플렌지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parating means for pressing and releasing the flange of the cartridge from the receptacle when the mounting plate is downward swing-displaced in the drink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리셉터클이 장착된 장착 플레이트를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스윙 및 승하강 변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수단을 도입하여, 캡이 리셉터클의 끼움부를 고압으로 완전하게 밀폐시켜, 커피 추출 시 고온, 고압으로 분사되는 열수나 추출된 커피가 커피 카트리지나 리셉터클의 상부로 역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locking means for swinging and up and down displacement of the mounting plate on which the receptacle on which the cartridge is inserted is mount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So that the hot water sprayed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high pressure during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or the extracted coffe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ffee cartridge or the receptacle and flowing out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레버의 작동부와, 장착 플레이트에 양단이 축 결합된 링크부재를 통해 레버의 스윙 작동이 장착 플레이트의 스윙 및 승하강 변위 작동으로 전환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특히, 장착 플레이트가 캡을 향해 스윙 후 상승되면서 끼움부가 캡에 의하여 밀폐되기 때문에 캡과 리셉터클 간의 밀폐력을 더욱 증대시켜 리셉터클의 밀폐 및 가압 유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in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ing operation of the lever is switched to the swing and up / down displacement operation of the mounting plate through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lever and the link member having both ends thereof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Especially, since the fitting portion is sealed by the cap while the mounting plate is lifted after swing toward the cap,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cap and the receptacle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sealing and pressure holding function of the receptacle can be improv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장착 플레이트와, 레버의 작동부 각각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회동축을 도입하고, 상기 각 회동축들이 구비된 해당 부재의 스윙 및 승하강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홈들을 도입함에 따라, 장착 플레이트의 스윙 및 승하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락킹수단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리셉터클에 내장된 커피 카트리지에 고온, 고압의 열수를 분사시켜 보다 양질의 커피 추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Furthermore,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unting plate and a pivoting shaft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o each of the operating portions of the lever, and is guided in the swinging and lifting / lowering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members provided with the pivoting shafts The swinging and up-and-down movement of the mounting plate is more stably performed. 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locking means,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hot water is injected into the coffee cartridge built in the receptacl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수평 상태의 장착 플레이트가 하강 스윙 변위된 상태로 대기되므로, 리셉터클을 장착 플레이트에서 쉽게 분리하여 카트리지의 탈착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In addition, the drink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because the horizontal mounting plate is placed in a state of being displaced by a downward swing, so that the receptacl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late and the cartridge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장착 플레이트가 하강 스윙 변위될 때 분리봉이 가압판에 접촉함에 따라 자동으로 상승하여 카트리지를 리셉터클에서 분리시키므로, 카트리지의 교체가 매우 쉽다.
In addition,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ascends as the separating bar contacts the pressing plate when the mounting plate is displaced downward swing, thereby separating the cartridge from the receptacle, so that replacement of the cartridge is very eas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측방향 투영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락킹수단의 작동 상태를 각각 도시한 내부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내부 1차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리셉터클을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의 리셉터클의 단면도들.
도 10은 카트리지의 단면도.
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inter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locking means of the drink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5 is an internal firs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p of a drink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7;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receptacle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rtridg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설명함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피 카트리지를 특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트리지로 개별 포장되어 음료 추출이 가능한 모든 음료 메이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음료의 원재료가 되는 분말 등을 직접 수용하거나 카트리지로 개별 포장되지 않더라도 다른 방식으로 추출 대상을 수용하고 고온,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진 모든 음료 메이커를 포함한다.
Prior to describing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cartridges are specifically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beverage maker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cartridges but also to all beverage makers having the function of directly receiving the powder or the like serving as a raw material of beverage or extracting the beverage by inject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

또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보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전후 및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In describing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nstructured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may be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vity acts is referred to as a front direction, Front and rear and top and bottom, left and right, and directions are specified 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relating to other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크게, 캡(110)과 열수 공급 수단(미도시)이 설치되는 프레임본체(100)와, 카트리지(C)가 끼워지는 리셉터클(R)이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120) 및 카트리지(C)가 캡(110)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리셉터클(R)의 끼움부를 캡(110)의 하부로 가압하여 밀폐되도록 하는 락킹수단(L)을 포함한다.1 to 9, a drink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body 100 on which a cap 110 and a hot water supply unit (not shown) are installed, A mounting plate 120 on which the receptacle R to which the receptacle R is fitted and a locking portion for pressing the fitt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110 so that the cartridge C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110, (L).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100)는 캡(110) 및 열수 공급 수단이 설치되는 몸체부(101)와, 상기 몸체부(101)의 양측에 입설되는 프레임부(102), 그리고 프레임부(102)를 연결하는 바닥부(107)와, 상기 바닥부(107)를 지지하는 다리부(108)로 구성된다.1 to 6, the frame body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01 on which a cap 110 and a water supply means are installed, and a frame portion 101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01. [ A bottom part 107 connecting the frame part 102 and a leg part 108 supporting the bottom part 107. The frame part 102 is connected to the frame part 102,

상기 프레임본체(100)는 음료 메이커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미도시)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107)의 중앙 일부에 개구된 공간 및 다리부(108) 사이의 공간은 후술하는 장착 플레이트(120)의 스윙 변위 시 리셉터클(R)을 탈착할 수 있는 탈착구로 활용된다.The frame body 100 is embedded in a housing (not shown)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drink maker. The space between the legs 108 and the space open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107 is formed by a mounting And is used as a detachable attachment / detachment mechanism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receptacle R when the plate 120 swings.

상기 몸체부(101)에는 장착홀(101a)이 수직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이 장착홀(101a)에 각종 관로 등을 포함하는 열수 공급 수단 및 이와 연결된 상부 천공수단으로써의 상부 천공핀(111; 도 6 참고.)을 포함하는 장착드럼(114)이 설치되며, 장착드럼(114)의 하부에는 캡(110)이 구비되어 캡(110)에 의하여 리셉터클(R)의 끼움부(11)가 밀폐되어, 캡(110)의 하부에 카트리지(C)의 커버시트(C1; 도 10 참고.)가 밀착된다.A mounting hole 101a is formed in the body 10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ounting hole 101a is provided with hot water supply means including various conduits and the like. The upper hole pin 111 (upper hole) The mounting drum 114 is provided with a cap 110 at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drum 114 so that the fitting portion 11 of the receptacle R is closed by the cap 110, So that the cover sheet C1 (see Fig. 10) of the cartridge C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110. Fig.

상기 캡(110)은 중앙에 상부 천공 핀(111)이 구비되어, 캡(110)과 리셉터클(R)이 밀폐될 때, 상부 천공핀(111)이 카트리지(C)의 커버시트(C1)를 천공하게 되고, 이렇게 천공된 열수 유입공을 통해 열수가 카트리지(C) 내부로 고온, 고압 상태로 분출되어 음료의 추출이 진행된다. The cap 110 has an upper perforation pin 111 at its center so that when the cap 110 and the receptacle R are closed, the upper puncturing pin 111 is engaged with the cover sheet C1 of the cartridge C And the hot water is injected into the cartridge C through the hot water inflow hole thus drilled in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ate, and the beverage is extracted.

참고로 상기 카트리지(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형 바디(Ca) 내부에 추출대상체(미도시)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측 개구부를 커버시트(C1)가 밀폐하고 있는 구성이며, 이하 카트리지(C)와 관련된 설명은 도 10을 참고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카트리지(C) 내부에 거품증가체와 같은 부가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조사의 종류, 음료의 종류 등에 따라 카트리지(C)의 크기, 형태 등은 달라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cartridge C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ver sheet C1 closes the upper opening in a state where an extraction object (not shown) is stored in the capsule body Ca, 10, the cartridge C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 foam increasing body, and may be provided in the cartridge C, The size and shape of the cartridge C may vary.

다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10)은 특히, 하향 볼록형 캡바디(1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밀폐 후 열수가 카트리지(C) 내부로 분출되면서 커버시트(C1)가 상측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더라도 하향 볼록형 캡바디(110A)에 의하여 커버시트(C1)가 가압되므로, 열수 분출에 의한 압력에 대항하여, 압력을 해소하게 된다.2 and 6, the cap 110 includes a downwardly convex cap body 110A so that the cap sheet C1 is discharged while the hot water is ejected into the cartridge C The cover sheet C1 is pressed by the downwardly convex cap body 110A even if it is bulged upward, so that the pressure is relieved against the pressure caused by the hot water jetting.

이는 본 발명이 후술하는 락킹수단(L)을 통해 캡(110)과 리셉터클(R)의 밀폐상태가 유지되는데, 커버시트(C1)가 소정 높이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is is because the cap 110 and the receptacle R are kept in a hermetically sealed state through the locking means L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events the cover sheet C1 from swelling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캡(110)은 소정 이상의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부재로써, 고무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밀착 시 리셉터클(R)의 끼움부(11)를 가압하면서 밀폐시킨다.The cap 110 is a flexibl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e cap 1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rubber and seals the fitting portion 11 of the receptacle R while pressing it.

본 발명의 캡(110)은 볼록형 캡바디(110A)에, 카트리지(C)의 커버시트(C1) 테두리에 접촉되는 제1, 제2 밀폐부(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볼록형 캡바디(110A)와, 밀폐부 등의 구체 구성 및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326682호(2013.11.01.) "카트리지(C)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구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ap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sealing portions (not shown) and the like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rim of the cover sheet C1 of the cartridge C to the convex cap body 110A.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convex type cap body 110A and the sealing part are described in a patent application No. 10-1326682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niversal drink maker for extracting the cartridge (C) "Can be used, and the related contents are omitted.

그리고 상기 캡(110)은 하향 볼록형 캡바디(110A)뿐만 아니라, 상향 오목형 캡바디(미도시)로 구성되어, 밀폐 후 열수가 카트리지(C) 내부로 분출되면서 커버시트(C1)가 상측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더라도 상향 오목형 캡바디의 함몰된 이격 공간에 부풀어 오른 커버시트(C1)가 수용되어 열수 분출에 의한 압력을 일정 정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ap 110 is composed of a downwardly convex cap body 110A and an upwardly concave cap body (not shown). After the sealing, hot water is blown into the cartridge C and the cover sheet C1 is moved upward The cover sheet C1 inflated in the recessed spaced space of the upwardly recessed cap body can be received and the pressure due to the hot water jetting can be relieved to a certain degree.

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들 외에도, 상기 프레임본체(100)가 내장되는 하우징, 음료 추출에 사용되는 열수 공급을 위하여 장착가능한 물탱크를 더 구비한다. 물탱크의 본질은 '추출용매 공급수단'이며, 음료의 본질상 수도시설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생수 등 자연 상태에서 획득할 수 있는 100% 물이거나, 음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을 혼합한 물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에 장착되는 물탱크 뿐 아니라 수도꼭지, 정수기, 냉온수기 등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모든 물 함유 용매 공급수단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frame body 100 is housed, and a water tank that can be mounted for hot water supply for extracting beverages. The essence of the water tank is 'extraction solvent supply means', which can be 100% water that can be obtained in a natural state, such as water or liv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facility in the essence of a drink, or water mixed with various drinking- It may be any water-containing solvent supplying means connected to a faucet, a water purifier, a cold / hot water heater, etc., as well as a water tank mounted on the housing.

그밖에 상기 하우징에는 조작부가 구비되며, 이는 on/off 버튼, 스팀다이얼(스팀 또는 희석을 위한 열수 배출 노즐은 편의상 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메뉴선택버튼(음료 추출량 조절, 스팀 또는 열수 배출 선택 등)로 구성되는데, 스팀다이얼은 희석, 설거지 등을 위한 열수 배출이나 스팀 배출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통상의 커피 머신과 대동소이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portion, which is provided with an on / off button, a steam dial (a hot water discharge nozzle for steam or dilution is not shown for convenience), and a menu selection button (such as a beverage extraction volume control, steam or hot water discharge selection) The steam dial functions to regulate the discharge of hot water and the discharge and discharge of steam for dilution, washing dishes, etc., and has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coffee machin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 상기 하우징에는 통상의 커피 메이커와 같이 고온, 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보일러 및 펌프, 이의 제어 및 안전성 보장을 위한 각종 센서 및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마이컴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핵심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boiler and a pump, a microcomputer serving as a sens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oiler and the pump, and the like for spray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like a normal coffee maker.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이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10)은 카트리지(C)가 끼워지는 리셉터클(R)의 끼움부(11) 상부를 덮어 밀폐시킨다.1 to 5, the cap 110 covers and seals the upper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11 of the receptacle R into which the cartridge C is fitted.

상기 장착드럼(11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10) 사이에 가압디스크(115)가 배치되어 상호 결합된다.As shown in FIG. 6, the mounting drum 114 is provided with a pressure disk 115 between the caps 110 and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가압디스크(115)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캡(110)의 상부에에 억지끼움되며, 상향 돌출된 돌출부(115a)를 복수개 구비하여 장착드럼(114)의 나사공(114a)에 각각 끼워지고, 이어서 볼트가 나사돌기에 끼워져 확고한 고정을 보장하게 된다.The pressing disk 115 is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114a of the mounting drum 114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5a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11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 And then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screw projection to ensure a firm fixation.

이는 상기 장착드럼(114)에는 열수 공급을 위한 열수 공급 수단(미도시)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가압디스크(115)와 상기 장착드럼(114)을 별도의 부재로 개별 제작하여 제조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This is because the mounting drum 114 is provided with hot water supply means (not shown) for supplying hot water so that the pressing disk 115 and the mounting drum 114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s separate members, .

상기 장착드럼(114)은 도시되지 않은 열수 물탱크, 펌프로부터 열수가 이송되는 호스 등의 부재가 결합되는 각종 관로 또는/및 호스 등으로 구성된 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부와 상부 천공 핀(111) 사이에 형성된 열수 유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열수의 공급, 분출이 이루어진다.The mounting drum 114 is provided with a nozzle part composed of various pipes and / or hoses to which members such as a hot water tank (not shown) and a hose to which hot water is transferred from the pump are connected. The nozzle part and the upper hole pin 111, (Not shown) is formed to supply and discharge hot water.

상기 상부 천공 핀(111)은 커버시트(C1)의 천공 및 열수 공급 기능에 따라 철재의 별도 부재로 제작되어 상기 가압디스크(115)에 고정되면서 상부 천공 핀(111)의 첨단부가 캡(110)의 중앙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캡바디(110)에 상부 천공 핀(111)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음.).The upper piercing pin 111 is manufactured as a separate member of iron according to the piercing and hot water supply function of the cover sheet C1 and fixed to the pressing disk 115. The tip of the upper piercing pin 111 is connected to the cap 110, (For example, the cap body 110 is shown as having an upper perforation pin 111 in FIG. 6).

상기 가압디스크(115)는 장착드럼(114)에 결합되기 전에 중앙 장착공에 상부 천공핀(111)이 걸림턱에 구속 결합되며, 수밀성은 걸림턱 상부에 결합된 오링(미지칭)을 통하여 보장하게 된다.
The upper disc 100 is restrained in the center mounting hole by the upper punch pin 111 and the waterproofness is ensured through the O-ring (not show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114 before the pressure disc 115 is coupled to the mounting drum 114 do.

다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본체(100)는 양 프레임부(102)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부로써, 함몰 형성된 축공(103)과 제1 내지 제3 안내홈(104, 105, 106)이 구비되며, 1 to 5, the fram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hole 103 and a first through third guide grooves 103, (104, 105, 106)

상기 축공(103) 및 제1 내지 제3 안내홈(104, 105, 106)에, 레버(130)와 장착 플레이트(120)의 제1, 제2 스윙축(121, 131) 및 제1, 제2 회동축(122, 132)이 각각 축 결합되고, The first and second swing shafts 121 and 131 of the lever 130 and the mounting plate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swing shafts 121 and 131 of the shaft 130 and the first to third guide grooves 104, Two coaxial axes 122 and 132 are axially coupled,

레버(130)와 장착 플레이트(120)가 링크부재(14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레버(130)의 스윙 변위에 따라 장착 플레이트(120)의 스윙 및 승하강 변위가 이루어진다.The lever 130 and the mounting plat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link member 140 so that the swinging and the upward and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mounting plate 12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wing displacement of the lever 130.

또 상기 프레임본체(100)는 몸체부(101)의 장착홀(101a) 양측에 상하로 천공된 통과홀(101b)이 구비되어, 레버(130)와 장착 플레이트(120)를 연결하는 링크부재(140)가 상기 통과홀(101b)에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140)의 승하강 변위 시 양단(상단 및 하단)이 전후 이동(흡사 양단이 시소 운동을 하듯이)을 하게 되므로 상기 통과홀(101b)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 너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frame body 10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01b formed at both sides of the mounting hole 101a of the body 101 so as to be vertically perforated so as to connect the lever 130 and the mounting plate 120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link member 140 move back and forth (as in the case of a seesaw movement at both ends) when the link member 140 is moved up and down, The holes 101b are form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이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는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양 프레임부(102)에 힌지 결합되어, 제1 스윙축(121)을 축으로 상하 스윙 변위 및 승하강 변위가 이루어진다.1 to 5, the mounting plate 120 is hinged to both frame portions 102 of the frame body 100, and the swing shaft 121 is swung up and down And up and down displacement are performed.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는 카트리지(C)가 끼워지는 끼움부(11)를 갖는 리셉터클(R)이 탈착되는데, 리셉터클(R)의 교체 또는 카트리지(C)의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는 반원형 형상의 탈착부(120A)가 전방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탈착부(120A)에 리셉터클(R)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한다.The mounting plate 12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ceptacle R with the fitting portion 11 into which the cartridge C is fitted so that the mounting plate 12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receptacle R The plate 120 is formed with a semicircular detachable portion 120A open at the front and allows the receptacle R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detachable portion 120A.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부(120A)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120a))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리셉터클(R)은 상기 가이드홈(120a))에 슬라이딩 결합된다.6, a guide groove 120a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achable portion 120A, and the receptacle R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20a.

따라서 리셉터클(R) 또는 카트리지(C)를 교체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를 하강 스윙 변위시킨 상태에서 리셉터클(R)의 손잡이(41B)를 잡고 잡아당기듯이 상기 리셉터클(R)을 장착 플레이트(120)에서 빼낸 다음, 카트리지(C)의 교체를 행하거나, 또는 리셉터클(R)의 교체를 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eceptacle R or the cartridge C is to be replaced, the user holds the handle 41B of the receptacle R in a state of swinging down the mounting plate 120, The cartridge C can be replaced or the receptacle R can be replaced after the cartridge is removed from the mounting plate 120. [

즉, 본 발명은 동종의 카트리지만을 사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제조사별 카트리지의 형태, 종류 등에 맞게 상기 리셉터클을 복수개 구비하여, 리셉터클을 교체 사용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ll kinds of cartridges by using only the same kind of cartridges, and further by using a plurality of the receptacl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and type of cartridges for each manufacturer.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에는 복수개의 리셉터클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가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리셉터클을 하우징과 별개로 별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housing (not shown)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or a plurality of receptacles may be separately stored separately from the housing.

상기 리셉터클(R)의 끼움부(11)는 카트리지(C)의 종류, 크기, 형상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카트리지(C)의 형태에 맞게 상광하협의 원통형 끼움부(11)가 구비된 리셉터클(R)이 대표로 도시되어 있다.The fitting portion 11 of the receptacle 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size and shape of the cartridge C.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receptacle R provided with a cylindrical fitting portion 11 having a light-narrowed cross-section.

상기 리셉터클(R)은 경우에 따라 동종, 이종의 복수개로 구성되어 카트리지(C)의 종류에 따라 리셉터클(R)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각 리셉터클(R)은 상기 끼움부(11)의 형상, 형태만이 다르게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receptacle R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identical or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 case so that the receptacle R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rtridge C. In this case, (11) is remov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plate (120)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shape and shape of the unit (11) are different.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R)의 중앙 하부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음료 배출공(14)이 구비되며, 음료 배출공(14) 둘레에는 카트리지(C)가 하측으로 가압될 때 카트리지(C) 본체의 바닥면을 천공하는 하부 천공수단으로써, 하부 천공 핀(30)이 더 구비된다.7 to 9, a beverage discharging hole 14 is formed in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receptacle R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beverage discharging hole 14, a cartridge C The lower punch pin 30 is further provided as a lower punch means for pier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artridge C when pressed downward.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서 상기 하부 천공 핀(30)을 포함하는 상, 하부 천공수단은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써,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In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the upper and lower drilling means including the lower drilling pin 30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14) 둘레에 하부 천공수단이 배치되는 경우만이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하부 천공수단이 리셉터클(R)의 내부에 구비되어 카트리지(C)에 대하여 하부의 천공이 이루어지는 구조 또한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the lower perforation means is disposed around the discharge hole 14, a separate lower perforation means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receptacle R, The structure in which the perforation is made is also possible, and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나아가 상기 리셉터클(R)은 배출공(14) 하부에 거품증가체(20)와 같은 거품 발생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공으로 배출된 음료는 거품증가체의 소통공(24)을 지나면서 거품이 발생되고, 거품이 발생된 음료는 리셉터클의 배출노즐(19)로 최종 배출된다.Further, the receptacle R may further include a foam generating means such as the foam increasing body 2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ing hole 14, and the beverag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ing hole may pas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4 of the foam increasing body Foam is generated, and the bubbled beverage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nozzle 19 of the receptacle.

상기 거품증가체(20)의 소통공(24) 구조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351782호 "거품발생수단이 구비된 카트리지(C) 추출용 음료 메이커"의 거품 발생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hole 24 of the foam increasing body 20 is similar to that of the registered patent No. 10-1351782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may be used, and the related contents are omitted.

이때 상기 소통공과 연통된 배출 노즐(19)은 지그재그 구조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배출 노즐(19)로부터 낙하하는 음료의 낙하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nozzle (19) communicated with the communication hole is preferably provided so as to form a flow path of a zigzag structure to reduce the falling pressure of the beverage falling from the discharge nozzle (19).

즉, 음료가 소통공(24)을 지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일자형의 배출노즐을 통해 바로 배출될 경우, 음료를 받는 용기와의 높이 차에 의하여 음료가 튈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배출 노즐(19)을 지그재그 구조의 유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장착 플레이트(120)가 스윙 변위를 통해 캡(110)의 하부에 밀착되는 경우, 음료의 최종 배출 위치가 리셉터클의 전방에 형성되어, 그 하부에 컵 등의 용기를 받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directly through the straight discharge nozz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4, the beverage may be splashed by the height difference with the container receiving the beverage. When the mounting plate 1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110 through the swing displacement, the final discharging position of the beverage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receptacle 120. Therefore, So that a container such as a cup can be supported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이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리셉터클(R)의 상하 스윙 변위 및 승하강 변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락킹수단(L)을 설명한다.Next, the locking means L for causing the upper and lower swing displacement and the rising and falling displacement of the receptacle R to be perform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상기 락킹수단(L)은 크게, 상기 프레임부(102)의 축공(103)에 축 결합되는 제2 스윙축(131)을 축으로 상하 스윙 변위(시소 운동)를 하는 레버(130)와, 상기 레버(130)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를 연결하여 레버(130)의 작동에 의하여 장착 플레이트(120), 즉, 리셉터클(R)을 스윙 및 승하강 변위시키는 링크부재(140)로 구성된다.The locking means L mainly includes a lever 130 that swings up and down about a second swing shaft 131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hole 103 of the frame portion 102, And a link member 140 connecting the lever 130 and the mounting plate 120 to swing the mounting plate 120, that is, the receptacle R, by lifting the lever 130.

상기 레버(130) 및 장착 플레이트(120)의 스윙 변위를 위하여, 상기 레버(130)는 상기 제2 스윙축(131)을 사이에 두고 작동부(130A)와 가압부(130B)로 구성되고,The lever 130 is composed of an actuating part 130A and a pushing part 130B with the second swing shaft 131 interposed therebetween for swinging displacement of the lever 130 and the mounting plate 120,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의 양측면 후방에는 제1 스윙축(121)이 구비되어 있으며,A first swing shaft 121 is provided behind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120,

상기 링크부재(140)는 하측 단부의 제1 축부(141)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의 양측면 전방에 축 결합되고, 상측 단부의 제2 축부(142)가 상기 레버(130)의 작동부(130A) 양측면에 축 결합된다.The link member 140 has a first shaft portion 141 at a lower end thereof shaft-engaged at the front sides of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120 and a second shaft portion 142 at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being engaged with an operation portion of the lever 130 130A.

이러한 레버(130)와 연결된 링크부재(140)를 이용한 본 발명의 락킹수단(L)은 반찬용기 등에 많이 사용되는 속칭 매미고리 또는 캠록(cam lock)의 원리와 유사하다.The locking means L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link member 140 connected to such a lever 130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a nickname cicada ring or a cam lock which is often used in a side dish or the like.

즉, 상기 프레임부(102)에 축 결합된 제2 스윙축(131)을 축으로 레버(130)의 움직임에 따라 지렛대의 원래에 의하여That is, the second swing shaft 131 axially coupled to the frame unit 102 is axially moved by the lever 13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130,

작동부(130A)가 스윙 변위되면서, 링크부재(140)가 제1, 제2 축부(141, 142)를 기점으로 동시에 회동되면서 움직이게 되고,The operating member 130A is swung and displaced so that the link member 140 moves while being simultaneously rot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haft portions 141 and 142,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장착 플레이트(120)가 스윙과 함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As a result, the mounting plate 120 finally ascends and descends with the swing.

따라서 가압부(130B)를 하측으로 가압, 스윙시키면, 제2 스윙축(131)을 축으로 상기 작동부(130A)가 원호 형상으로 상향 스윙 변위되면서 상기 링크부재(140)를 상승시키고, 링크부재(140)가 상승되면서 상하 단부에 형성된 축부의 전후 위치가 역전되면서,Accordingly, when the pushing portion 130B is pushed downward and swung downward, the actuating portion 130A is swung upwards in an arcuate shape about the second swinging shaft 131 to lift the link member 140,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shaft portion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reversed,

전방으로 기울어져 개방된 상태의 장착 플레이트(120)가 제1 스윙축(121)을 축으로 원호 형상으로 상향 스윙 변위되어 수평 상태가 된 다음, 가압부(130B)를 계속하여 스윙 변위시키면, 수평 상태의 장착 플레이트(120)가 그대로 상승하여 끼움부(11)가 캡(110)에 의하여 밀폐된다.When the mounting plate 120 which is tilted forward and opened is in a horizontal state by swinging upward in an arc shape around the first swing shaft 121 and then swinging displac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130B, The mounting plate 120 in the state is lifted and the fitting portion 11 is sealed by the cap 110. [

이에 따라 상기 레버(130)의 가압부(130B)를 아래로 가압하여 내리게 되면 레버(130)와 링크부재(140)의 각 축부에 특유의 힘 작용지점 다원화로 캠록의 원리와 같이 작동하여, 캡(110)의 하부에 리셉터클(R)의 끼움부(11)가 강한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리셉터클(R) 내에서 추출용 열수의 분출 압력에 대항하여 레버(130) 및 링크부재(140)의 복귀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portion 130B of the lever 130 is pressed downward and downward, the lever 130 and the link member 140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cam follower, The fitting portion 11 of the receptacle R is kept in tight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ptacle R with the strong pressure so that the lever 130 and the link member 140 can be prevented.

그리고 반대로, 가압부(130B)를 상측으로 가압, 스윙시키면, 상기한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져, 장착 플레이트(120)는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개방되어, 사용자는 리셉터클(R)을 장착 플레이트(120)에서 분리하여, 리셉터클(R) 또는 카트리지(C)의 교체(또는 제거)를 행할 수 있으며,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ing portion 130B is pushed upward and swung upward,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reversed so that the mounting plate 120 is tilted forward to open and the user removes the receptacle R from the mounting plate 120 (Or removal) of the receptacle R or the cartridge C,

따라서 추출되고 남은 열수가 커버시트(C1)의 상면으로 배출되어 잔존하더라도, 잔존 열수가 자중에 의하여 커버시트(C1)를 타고 흘러내리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잔존 열수가 커버시트(C1) 상에 잔존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extracted hot water is dischar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heet C1 and remains, the remaining hot water flows down on the cover sheet C1 due to its own weight, so that the remaining hot water is discharged onto the cover sheet C1 It does not remain.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를 추출 할 때 선(先) 상향 스윙, 후(後) 상승, 그리고 음료 추출이 완료되고 나면 선(先) 하강, 후(後) 하향 스윙되는 장착 플레이트(120)를 도입하여, 캡(110)에 의한 끼움부(11)의 밀폐성 향상과 동시에, 리셉터클(R) 분리의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when extracting a beverage, a swinging upward, a swinging upward, and a beverage extraction are completed, a mounting plate 120 swinging downward and then swinging downward is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rmeticity of the fitting portion 11 by the cap 110 and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separating the receptacle R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레버(130), 링크부재(140), 장착 플레이트(120)는 제1, 제2 스윙축(121, 131)에 의하여 프레임부(102)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힘 작용지점 다원화를 통하여 레버(130)의 가압부(130B)의 스윙 방향에 따라 장착 플레이트(120)가 동반하여 작동하는데, 각 축부의 접힘 및 펼침 작동에 의한 장착 플레이트(120)의 스윙 및 승하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레버(130)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는 프레임부(102)에서 각각의 변위 운동이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제2 회동축(122, 132)을 포함한다.Since the lever 130, the link member 140 and the mounting plate 120 are fixed to the frame portion 102 by the first and second swing shafts 121 and 131, The swing of the mounting plate 120 due to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each shaft portion and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of the mounting plate 120 can be more stably performed by the swing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30B of the lever 130, The lever 130 and the mounting plate 120 include first and second pivot shafts 122 and 132 for allowing respective displacement motions in the frame portion 102 to be restricted.

먼저 상기 제1 회동축(122)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다.First, the first rotating shaft 122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120.

상기 제1 회동축(122)은 장착 플레이트(120)의 양측면 전방(제1 스윙축(121)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에 구비되면 족하나, 제작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축부(141)에 제1 회동축(122)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first rotating shaft 12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120 (relatively forward of the first swing shaft 121)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coaxial shaft 122 is provided.

이 경우, 상기 제1 축부(141)와 제1 회동축(122)은 각각 2개의 축, 즉, 장착 플레이트(120)와 링크부재(140)를 연결하는 하나의 축과, 링크부재(140)와 프레임부(102)를 연결하는 또 다른 하나의 축으로 구성되거나,In this case, the first shaft 141 and the first pivot 122 are each formed by two shafts, that is, one shaft connecting the mounting plate 120 and the link member 140, And the frame portion 102,

또는 하나의 축이 장착 플레이트(1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링크부재(140)의 하측 단부를 관통하여 프레임부(1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대표적으로 하나의 축, 즉, 제1 회동축(122)만이 구비되어 제1 축부(141)로써의 기능이 동시에 구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이는 후술하는 제2 회동축(13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Or one axis may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mounting plate 120 and penetrate the lower end of the link member 140 to be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102. In the figure, Only the one-time coaxial shaft 122 is provided and functions as the first shaft 141 are realized at the same time, which is also appli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32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회동축(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방 하측에서 후방 상측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의 제1 안내부(104a)와, 상기 제1 안내부(104a)의 상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형상의 제2 안내부(104b)로 구성된 제1 안내홈(104)이 구비된다.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02, a first guide portion 104a having an arc shape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up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vot 122 and a second guide portion 104a And a second guide portion 104b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04b.

상기 제1 회동축(122)은 상기 제1 안내홈(104)에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장착 플레이트(120)의 스윙 변위 시 제1 회동축(122)은 제1 안내부(104a)에 구속된 상태로 안내되고,The first rotation shaft 1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104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122 when the swinging displacement of the mounting plate 120 causes the first rotation shaft 122 to be constrain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104a State,

장착 플레이트(120)의 승하강 변위 시 제1 회동축(122)은 제2 안내부(104b)에 구속된 상태로 안내된다.When the mounting plate 120 is lifted and lowered, the first rotating shaft 122 is guided in a state of being restrained by the second guide portion 104b.

즉, 상기 제1 안내홈(104)의 제1, 제2 안내부(104a)(104b)는 각각 제1 회동축(122)의 스윙 궤적 및 승하강 궤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회동축(122)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보장하고, 특히, 상향 스윙 후 상승(또는 하강 후 하향 스윙) 시 제1 회동축(122), 즉 장착 플레이트(120)의 방향 전환을 안내, 강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104a and 104b of the first guide groove 104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wing trajectory and the upward / downward trajectory of the first pivot 122,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operation of the pivot shaft 122 in a stable manner and particularly to guide the change of direction of the first pivot shaft 122, that is, the mounting plate 120 at the time of the upward movement (or the downward swing after the downward swing) .

이때 상기 프레임부(102)는 상기 제1 안내홈(104)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 형상의 제2 안내홈(105)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스윙축(121)이 상기 제2 안내홈(105)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장착 플레이트(120)의 스윙 변위를 위한 축 기능과, 장착 플레이트(120)의 승하강을 위한 가이드 기능이 동시에 구현된다.The frame 102 includes a second guide groove 105 formed in the rear of the first guide groove 104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wing shaft 121 is engaged with the second guide groove 105, The shaft function for swinging displacement of the mounting plate 120 and the guiding function for moving the mounting plate 120 up and down are realized at the same time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plate 120 is inserted and constrained.

상기 제2 안내홈(105)은 상기 제2 안내부(104b)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단부가 상기 제1 안내부(104a)의 상단부(제1 안내부(104a)에서 제2 안내부(104b)로 이어지는 부분)와 동일한(또는 상응하는)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guide groove 105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uide portion 104b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105a is form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guide portion 104a (Or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104b).

따라서 장착 플레이트(120)의 스윙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1 스윙축(121)은 상기 제2 안내홈(105)의 하단부에 구속되어 장착 플레이트(120)의 스윙축으로 기능하게 되고, Therefore, when the swing operation of the mounting plate 120 is performed, the first swing shaft 121 is constrain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105 to function as a swing shaft of the mounting plate 120,

장착 플레이트(120)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1 스윙축(121)은 상기 제2 안내홈(105)을 따라 슬라이딩 승하강되어 장착 플레이트(120)의 가이드로 기능하게 된다.
When the mounting plate 120 is moved up and down, the first swing shaft 121 slides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guide groove 105 to function as a guide for the mounting plate 120.

다음으로 상기 제2 회동축(132)은 상기 레버(130)의 작동부(130A), 보다 바람직하게는 작동부(130A)와 링크부재(140)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축부(142) 위치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second turning shaft 132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 130A of the lever 130 and more preferably to the second shaft portion 142 connecting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actuating portion 130A and the link member 140, In the outward direction.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스윙축(131)이 축 결합되는 축공(103)의 후방 상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회동축(13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방 상측에서 후방 하측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의 제3 안내홈(106)이 구비된다.The second swing shaft 131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part 10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vot shaft 132 along the rear upp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hole 103 to which the second swing shaft 131 is axially coupled, And an arc-shaped third guide groove 106 extending downward is provided.

상기 제2 회동축(132)은 상기 제3 안내홈(106)에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레버(130)의 스윙 변위 시 제2 회동축(132)이 상기 제3 안내홈(106)에 구속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안내된다.The second rotation shaft 132 is inserted into the third guide groove 106 so that the second rotation shaft 132 is constrained to the third guide groove 106 when the lever 130 swings. And is guided while sliding.

즉, 상기 제3 안내홈(106)은 상기 제2 회동축(132)의 스윙 궤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2 회동축(132)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레버(130)의 스윙 작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at is, the third guide groove 106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wing trajectory of the second pivot shaft 132,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econd pivot shaft 132 is stable, And functions to guide the operation.

이때 상기 제3 안내홈(106)은 상기 제1 안내부(104a)의 형성 각도보가 더 크게 형성되어, 레버(130) 가압(특히 가압부(130B)를 하측으로 밀어서 장착 플레이트(120)를 상승시켜 캡(110)에 밀착시킬 때) 시, 장착 플레이트(120)의 상승이 완료된 상태에서 소정 간격만큼 레버(130)의 스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캠록 원리에 의하여 캡(110)과 리셉터클(R)의 밀착(밀폐)이 보다 강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each of the third guide grooves 106 is formed to have a larger foot of each of the first guide portions 104a so that the lever 130 is pressed (particularly, the pushing portion 130B is pushed downward, The swing of the lever 130 is continuously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plate 120 is fully raised when the cap 110 and the receptacle 11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p 110, So that the tightness (tightness) of the pressing force (R) can be maintained at a stronger pressure.

즉, 상기 제3 안내홈(106)에 의하여 제2 회동축(132)이 이동하는 각도가, 상기 제1 안내부(104a)에 의하여 제1 회동축(122)이 이동하는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각도의 차이만큼 레버(130)가 더 스윙 변위되면서 레버(130)의 가압 상태를 유지시켜, 장착 플레이트(120)가 상승하여 캡(110)에 밀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열수 분출 압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angle of movement of the second pivot shaft 132 by the third guide groove 106 is larger than the angle of movement of the first pivot shaft 122 by the first guide portion 104a The lever 130 is further swung and displaced by the difference in angle so that the lever 130 is maintained in the pressed state so that the mounting plate 120 is raised so as to be firmly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cap 110, So that the pressure can be relieved.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3 안내홈(106)의 상측 단부에는 별도의 원터치 식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고, 레버(130)의 복귀 동작을 강제하는 탄성수단이 더 구비되어, 레버(130)의 가압 상태를 강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복귀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hird guide groove 106 is further provided with another one-touch fixing means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ans for forcing the return operation of the lever 130, 130 are forcibly held in a state of being pressed, the fixing means can be released and the return opera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2, 도 4,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가 하강 스윙 변위될 때, 리셉터클(R)에서 상기 카트리지(C)의 플렌지(C3)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분리수단(50)을 포함한다.Next, as shown in Figs. 2, 4, and 7 to 9, when the mounting plate 120 is swung downward, the flange C3 of the cartridge C in the receptacle R And a separating means 50 for separating the pressurized water from the water.

상기 분리수단(50)은 상기 리셉터클(R)의 몸체(10) 측벽에 내장된 승강부(51a)와, 상기 승강부(51a)의 하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리셉터클(R)의 외측으로 돌출된 접촉부(51b)로 구성된 분리봉(51),The separating means 50 includes a lifting portion 51a built in the side wall of the body 10 of the receptacle R and a lifting portion 51b which is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portion 51a and protruded outside the receptacle R A separation rod 51 composed of a contact portion 51b,

상기 몸체부(101)의 하부, 즉, 프레임본체(100)의 바닥부(107)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의 하강 및 하향 스윙 변위 시 상기 접촉부(51b)가 접촉되어 상기 승강부(51a)를 상승시키는 경사면(53a)을 갖는 가압판(53)으로 구성된다.The contact portion 51b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1, that is, at a bottom portion 107 of the frame body 100. When the mounting plate 120 is downwardly and downwardly swung, And a pressing plate 53 having an inclined surface 53a for raising the pressing plate 51a.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리셉터클(R)은 측벽부(12)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승강홀(12a)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홀(12a)의 하부는 외측면이 소정 높이만큼 개구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ceptacle R is provided with a lift hole 12a vertically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side wall portion 1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 hole 12a is formed with an opening .

그리고 상기 분리봉(51)은 승강부(51a)가 상기 승강홀(12a)에 내장된 상태에서 접촉부(51b)가 승강홀(12a)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리셉터클(R)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The separating bar 51 is form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51b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R through the opening portion of the lift hole 12a in a state in which the lift portion 51a is housed in the lift hole 12a do.

또 상기 가압판(53)은 전방 하측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53a)과, 상기 경사면(53a)의 후단부에서 후방 하측으로 경사진 수용홈(53b)을 포함한다.The pressure plate 53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53a inclined from the front lower side to a rear upper side and a receiving groove 53b inclined rearward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53a.

따라서 장착 플레이트(120)가 하강하여, 제1 회동축(122)이 제1 안내부(104a)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51b)는 상기 경사면(53a)에 접촉되고,The mounting plate 120 is lower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51b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53a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ivot 122 enters the first guide portion 104a,

장착 플레이트(120)가 계속하여 하향 스윙될 때 상기 접촉부(51b)는 경사면(53a)을 타고 올라가면서 상측으로 가압되어(즉, 상기 경사면(53a)이 접촉부(51b)의 스윙 궤적을 간섭하여, 장착 플레이트(120)가 스윙될 때 상기 접촉부(51b)는 동일한 궤적으로 스윙되지 않고 경사면(53a)에 의하여 상측으로 밀리게 됨.), 결국 상기 승강부(51a)가 상승하면서 리셉터클(R)에 끼워진 카트리지(C)의 플렌지(C3)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카트리지(C)를 강제로 분리, 이탈시킬 수 있다.When the mounting plate 120 is continuously swung downward, the contact portion 51b is upwardly pushed up on the inclined surface 53a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53a interferes with the swing trajectory of the contact portion 51b, The contact portion 51b does not swing in the same locus but is pushed upward by the inclined surface 53a when the mounting plate 120 swings)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C3 of the inserted cartridge C can be pressed upward to forcibly separate and detach the cartridge C. [

또 상기 리셉터클(R)은 상기 승강홀(12a) 상에 상기 분리봉(51)을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51c)가 더 구비되어,The receptacle R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51c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parating bar 51 downward on the elevating hole 12a,

분리봉(51) 상승 후 장착 플레이트(120)가 계속하여 스윙 변위되면, 접촉부(51b)가 경사면(53a)의 상단부를 타고 넘어가 상호간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51c)의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부(51b)가 상기 수용홈(53b) 상으로 인입된다.When the mounting plate 120 is continuously swung and displaced after the separating bar 51 is lifted up, the abutting portion 51b rides over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53a, The contact portion 51b is drawn into the receiving groove 53b.

따라서 사용자는 이렇게 분리봉(51)에 의하여 리셉터클(R)에서 한번 이탈된 카트리지(C)를 쉽게 빼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분리봉(51)은 다시 탄성 복귀되어 리셉터클(R) 하측으로 인입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R)에 다시 끼워서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cartridge C which has once been separated from the receptacle R by the separating rod 51. In this case, the separating rod 51 is resiliently return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ceptacle R Therefore, the new cartridge C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R again to perform the beverage extraction.

상기 탄성체(51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The elastic body 51c may be a coil spring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hereto.

이상의 설명에서 마이컴에 의한 음료 메이커의 제어방법, 보일러, 펌프, 사용모드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well-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beverage maker, the boiler, the pump, the use mode, and the like by the microcomputer are omitted, but it can be guessed, deduced and reproduced easily by an ordinary technician.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카트리리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 : 카트리지 Ca : 바디
Cb : 플렌지 Ca : 커버시트
R : 리셉터클 10 : 몸체
11 : 끼움부 12 : 측벽
20 : 거품증가체 30 : 하부 천공핀
50 : 분리수단 51 : 분리봉
51a : 승강부 51b : 접촉부
51c : 탄성체 53 : 가압판
53a : 경사면 53b : 수용홈
100 : 프레임본체 101 : 몸체부
101a : 장착홀 101b : 통과홀
102 : 프레임부 103 : 축공
104 : 제1 안내홈 104a : 제1 안내부
104b : 제2 안내부 105 : 제2 안내홈
106 : 제3 안내홈 107 : 바닥부
108 : 다리부 110 : 캡
111 : 상부 천공핀 110A : 캡바디
114 : 장착드럼 115 : 가압디스크
120 : 장착 플레이트 120A : 탈착부
120a : 가이드홈 121 : 제1 스윙축
122 : 제1 회동축 130 : 레버
130A : 작동부 130B : 가압부
131 : 제2 스윙축 132 : 제2 회동축
140 : 링크부재 141 : 제1 축부
142 : 제2 축부 L : 락킹수단
C: Cartridge Ca: Body
Cb: flange Ca: cover sheet
R: Receptacle 10: Body
11: fitting portion 12: side wall
20: foam increasing body 30: lower bore pin
50: separating means 51: separating rod
51a: elevating portion 51b:
51c: elastic body 53: pressure plate
53a: inclined surface 53b: receiving groove
100: frame body 101:
101a: Mounting hole 101b: Through hole
102: frame part 103:
104: first guide groove 104a: first guide portion
104b: second guide portion 105: second guide groove
106: third guide groove 107: bottom part
108: leg portion 110: cap
111: upper pierce pin 110A: cap body
114: mounting drum 115: pressure disk
120: mounting plate 120A:
120a: Guide groove 121: First swing shaft
122: first coaxial shaft 130: lever
130A: Operation part 130B:
131: second swing shaft 132: second coaxial shaft
140: link member 141: first shaft portion
142: second shaft portion L: locking means

Claims (4)

캡이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입설되는 프레임부로 구성된 프레임본체;
카트리지가 끼워지는 리셉터클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스윙축을 갖는 장착 플레이트; 및
상기 장착 플레이트를 변위시켜, 상기 캡이 상기 리셉터클의 끼움부를 밀폐하도록 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스윙축을 경계로 작동부와 가압부를 갖는 레버,
일단이 상기 작동부에 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축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레버를 가압 변위시켜,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스윙축을 축으로 스윙 변위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A frame body including a body portion on which a cap is installed and a frame portion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 mounting plate having a receptacle on which the cartridge is fitted and having a first swinging shaf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And locking means for displacing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cap seals the fitt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The locking means
A lever having an operating portion and a pressing portion on the basis of a second swing ax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a link member, one end of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actua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axial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Wherein the lever is pressed and displaced such that the mounting plate is swung and displaced about the first swing axis to move up and dow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1 회동축을 갖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회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스윙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원호 형상의 제1 안내부와 상기 제1 안내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 회동축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제2 안내부로 구성된 제1 안내홈, 그리고 상기 제1 스윙축이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제2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late has a first pivot shaft projecting laterally and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Wherein the frame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having an arc shape in which the first rotation axis is coupled and guided in the swing direction of the mounting plate, and a second guide portion having a second guide portion, A first guide groove formed of a guide portion, and a second guide groove coupled to the first swing shaft so as to be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작동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제2 회동축을 갖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2 회동축이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의 스윙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원호 형상의 제2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ver has a second pivot shaft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actua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Wherein the frame portion includes an arc-shaped second guide groove for allowing the second rotation shaft to be coupled and guided in the swing direc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하강 스윙 변위될 때, 상기 리셉터클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플렌지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separating means for pressing and releasing the flange of the cartridge from the receptacle when the mounting plate is displaced by a downward swing.
KR1020140160796A 2014-03-11 2014-11-18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KR2015010632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61 2014-03-11
KR20140028361 2014-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321A true KR20150106321A (en) 2015-09-21

Family

ID=5424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796A KR20150106321A (en) 2014-03-11 2014-11-18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3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325A (en) * 2018-03-14 2019-09-24 대상 주식회사 Ferment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325A (en) * 2018-03-14 2019-09-24 대상 주식회사 Ferment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9755B (en)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removable injection member
TWI459920B (en)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ingredients supported by an encoded insert
KR100924447B1 (en) Espresso coffee extractor
KR20130067206A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KR101572956B1 (en)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CN101237798B (en) Closing mechanism for brewing device
KR20070119661A (en) Device and disposable capsule for producing liquid products, in particular beverages
JP2017511714A (en) Brewing unit for food preparation machine
KR20180119263A (en) Beverage maker
CN105848535A (en) Beverage machine
KR20150106321A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KR101448275B1 (en)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separator cartridge
KR200455581Y1 (en) Beverage Capsule Receptor
EP3165136B1 (en) A coffee machine used with a capsule
KR101600563B1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ed with receptacle storage
KR20160110108A (en) Receptacle for cartridge and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the same
JP5799428B2 (en) Beverage extractor
CN211961774U (en) Brewing device and beverage machine
KR101572952B1 (en) Receptacle for beverage
KR101499424B1 (en) The infusing tea maker of Watertight unit
CN218552089U (en) Dual-purpose coffee machine and top cap subassembly
CN112741496B (en) Brewing device and beverage machine
JP2014061086A (en) Beverage extractor and operation method of beverage extractor
KR20160059199A (en) Receptacle for cartridge
KR20170101682A (en) Receptacle for cartridge and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