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020A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020A
KR20150106020A KR1020140027694A KR20140027694A KR20150106020A KR 20150106020 A KR20150106020 A KR 20150106020A KR 1020140027694 A KR1020140027694 A KR 1020140027694A KR 20140027694 A KR20140027694 A KR 20140027694A KR 20150106020 A KR20150106020 A KR 2015010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work
image
purchaser
ar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보윤
Original Assignee
장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보윤 filed Critical 장보윤
Priority to KR102014002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020A/ko
Publication of KR2015010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술품의 감상 및 구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미술품 검색 조건을 입력하며, 상기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되, 하나의 미술품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에 선택된 미술품 영상을 등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종료 후에 상기 등록된 미술품 영상의 상세 정보 출력 또는 상기 미술품 영상과 대응되는 미술품의 구매 프로세스 진행을 하는 구매자 디바이스; 및 복수의 미술품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미술품 영상을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미술품 영상의 상세 정보 또는 상기 미술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 따르면, 구매자는 미술품의 감상 및 구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인 구매자 디바이스를 이용해 중개 서버에 접속하여, 미술품을 검색하고 구매자 디바이스로 미술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쉽고 편리하게 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중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미술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개 서버가 구매자가 입력한 미술품 검색 조건과 구매 내역을 이용하여 추천 미술품을 선정해 구매자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큰 미술품을 추천하여 구매자의 미술품 감상 및 구매에 도움을 주고, 미술품의 판매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ART BROKERAGE SYSTEM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술품을 구매하는 방법을 저작권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면, 저작권이 있는 미술품의 경우에는 주로 원본 작품이 전문 판매점인 화랑을 통해서 거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광고방법은 판매점 자체의 공간에서의 전시에 의존하는 것이고, 저작권이 없는 미술품의 경우에는 인쇄 포스터의 형식으로 그 사본이 거래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미술품 거래에도 변화가 일어나 미술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사이트가 생겨나기도 했으며, 저작권이 만료되어 공유 재산이 된 그림 사본을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사이트도 생겨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화가 컴퓨터, 구매자 컴퓨터, 대리점 컴퓨터 및 이들을 중개하는 그림 중개 사이트의 웹 서버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화가 등 저작자에게는 자신의 그림을 전시, 광고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되고,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고화질의 작품을 손쉽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그림 중개 시스템 및 중개 방법이 개시된바 있다(공개특허 제10-2003-0025353호).
그러나 선행기술은, 작품의 원본이 아닌 복사본을 판매하는 방법으로서, 원본 작품을 판매하는 통상적인 미술품 거래 실정과 부합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특히, 일부 유명 작가가 아닌 아마추어 작가나 학생 작가 등은 실제로 미술품을 전시하고 판매할 수 있는 채널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원본 작품을 쉽게 판매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구매자는 미술품의 감상 및 구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인 구매자 디바이스를 이용해 중개 서버에 접속하여, 미술품을 검색하고 구매자 디바이스로 미술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쉽고 편리하게 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중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미술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개 서버가 구매자가 입력한 미술품 검색 조건과 구매 내역을 이용하여 추천 미술품을 선정해 구매자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큰 미술품을 추천하여 구매자의 미술품 감상 및 구매에 도움을 주고, 미술품의 판매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은,
미술품의 감상 및 구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미술품 검색 조건을 입력하며, 상기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되, 하나의 미술품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에 선택된 미술품 영상을 등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종료 후에 상기 등록된 미술품 영상의 상세 정보 출력 또는 상기 미술품 영상과 대응되는 미술품의 구매 프로세스 진행을 하는 구매자 디바이스; 및
복수의 미술품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미술품 영상을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미술품 영상의 상세 정보 또는 상기 미술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는,
상기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술품 촬영 및 등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미술품 촬영 및 등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미술품을 촬영한 미술품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미술품 영상을 상기 중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작가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가 디바이스는,
상기 미술품 영상과 대응되는 미술품의 구매 가격을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개 서버는,
복수의 미술품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과 매칭되는 미술품 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모듈; 및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의 구매 요청에 따라, 결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구매 프로세스를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구매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 및 구매자의 구매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미술품 영상 중에서 추천 미술품 영상을 선정하여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추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미술품을 경매 대상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경매를 진행하고 낙찰가를 결정하는 경매 진행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 따르면, 구매자는 미술품의 감상 및 구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인 구매자 디바이스를 이용해 중개 서버에 접속하여, 미술품을 검색하고 구매자 디바이스로 미술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쉽고 편리하게 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중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미술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개 서버가 구매자가 입력한 미술품 검색 조건과 구매 내역을 이용하여 추천 미술품을 선정해 구매자 디바이스에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큰 미술품을 추천하여 구매자의 미술품 감상 및 구매에 도움을 주고, 미술품의 판매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미술품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구매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미술품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 구매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상세 정보가 출력된 구매자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중개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미술품을 등록하는 작가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은, 구매자 디바이스(100) 및 중개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작가 디바이스(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구매자는 미술품의 감상 및 구매를 위한 구매자 애플리케이션(110)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인 구매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해 중개 서버(200)에 접속하여 미술품을 검색하고, 구매자 디바이스(100)로 미술품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쉽고 편리하게 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중개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는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미술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작가가 작가 디바이스(300)를 이용해 미술품을 직접 중개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랑이나 갤러리 이용이 어려운 작가들도 작가 애플리케이션(310)을 통해 구매자에게 쉽게 미술품 영상을 제공하여 전시 및 판매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매자 디바이스(100)는, 미술품의 감상 및 구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미술품 검색 조건을 입력하며,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되, 하나의 미술품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중에 선택된 미술품 영상을 등록하여, 디스플레이 종료 후에 등록된 미술품 영상의 상세 정보 출력 또는 미술품 영상과 대응되는 미술품의 구매 프로세스 진행을 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매자 디바이스(1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서버(200)에 접속하여 미술품을 검색하고, 미술품 영상을 감상 및 구매할 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탑재되는 미술품의 감상 및 구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통신망 등에서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관리하는 설치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치된 실행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미술품 검색 조건의 용이한 입력과 미술품 영상의 효과적인 디스플레이를 위한 각종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미술품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구매자 디바이스(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는, 구매자가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미술품 검색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미술품 검색 조건은, 가격, 테마, 공간, 작가, 주제 등 카테고리별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검색어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 애플리케이션(110)을 이용해 구매자가 미술품 검색 조건을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미술품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구매자 디바이스(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는, 구매자 디바이스(100)가 미술품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결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을 중개 서버(200)로부터 전송받고,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미술품의 실제 크기에 비하여 작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구매자가 미술품 영상을 충분히 감상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 디바이스(100)는,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자동 넘김 기능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미술품 영상이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구매자가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조작 없이 복수의 미술품 영상을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미술품 영상의 디스플레이 중에 마음에 드는 미술품 영상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화면에서, “찜하기” 버튼을 이용하여 마음에 드는 미술품을 선택하여 등록해 놓을 수 있다. 중개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 구매자는 등록된 미술품 영상을 더욱 상세히 감상하거나 상세 정보를 볼 수 있으며, 미술품 영상과 대응되는 미술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상세 정보가 출력된 구매자 디바이스(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는, 구매자가 “찜하기” 기능을 이용하여 등록한 미술품의 상세 정보를 중개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구매자 디바이스(100)가 출력할 수 있다. 상세 정보는, 작가명, 미술품의 크기, 장르, 가격, 작품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가 등록된 미술품 영상과 대응되는 원본 미술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바로구매” 또는 “경매신청” 버튼을 이용해 중개 서버(200)로부터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받아, 미술품을 구매할 수 있다. 바로 구매의 경우, 상세 정보에 제시된 미술품의 가격을 지불하고 미술품을 구매하는 것으로서,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구매자 애플리케이션(110)은, 배송지 입력, 결제 프로세스 등 구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원활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매신청의 경우 중개 서버(200)가 경매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해당 미술품에 대한 경매를 진행하여 낙찰자를 선정하고 낙찰된 가격에 미술품이 판매될 수 있다.
중개 서버(200)는, 복수의 미술품 영상을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구매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된 미술품 영상을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전송하며,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미술품 영상의 상세 정보 또는 미술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중개 서버(2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중개 서버(2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의 중개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 검색 모듈(220) 및 구매 처리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천 모듈(240), 경매 진행 모듈(250) 및 통신 모듈(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0)는, 복수의 미술품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210)는 중개 서버(200)의 운영자, 화랑, 작가 등에 의해 등록된 미술품의 미술품 영상과 상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미술품 영상은, 이미지 형태가 일반적일 것이나, 동영상, 멀티미디어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상세 정보는, 미술품을 제작한 작가, 미술품의 크기, 장르, 가격, 작품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텍스트 또는 음성 녹음, 음악 등의 음향 형태일 수도 있다.
검색 모듈(220)은, 구매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과 매칭되는 미술품 영상을 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검색 모듈(220)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미술품 영상 중에서, 구매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미술품 검색 조건과 매칭되는 미술품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를 수신한 구매자 디바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술품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구매자가 원하는 미술품을 검색하여 감상하도록 할 수 있다.
구매 처리 모듈(230)은,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구매 요청에 따라, 결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구매 프로세스를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매 처리 모듈(230)은, 계좌이체, 신용카드, 포인트 결제 등 통상적인 모바일 결제 수단을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제공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개 서버(200)가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작가 개인이 제공하기 어려운 다양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결제를 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처리 모듈(230)은, 구매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구매 정보 등을 작가와 배송 업체 등에 전달함으로써, 미술품의 원활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추천 모듈(240)은, 구매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 및 구매자의 구매 내역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복수의 미술품 영상 중에서 추천 미술품 영상을 선정하여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추천 모듈(240)은, 검색 조건 및 구매 내역을 이용해 구매자의 관심 분야를 분석하고, 관심 분야에 따라 미술품 영상을 선정하여 구매자에게 추천해 줄 수 있다. 특히, 구매자의 미술품 검색, 감상 및 구매 이후에 새로운 미술품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된 경우, 추천 모듈(240)이 새로 등록된 미술품 중 구매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미술품의 영상을 추천 미술품 영상으로 선정하여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에게 맞춤형 미술품 영상을 제공하여 구매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경매 진행 모듈(250)은,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미술품을 경매 대상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경매를 진행하고 낙찰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구매자가 경매 신청을 하면, 경매 진행 모듈(250)은 해당 미술품을 경매작품으로 하여 경매 시작 시각을 설정하고, 설정된 경매 시작 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경매를 진행할 수 있다. 최고 가격으로 입찰에 참여한 구매자가 낙찰자가 되어 낙찰가에 해당 미술품을 구매할 수 있다. 구매 처리 모듈(230)은, 경매 진행 모듈(250)에 의해 낙찰자로 선정된 구매자의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미술품의 구매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260)은, 구매자 디바이스(100) 및 작가 디바이스(300)와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중개 서버(200)는, 통신 모듈(260)을 통해 구매자 디바이스(100)로부터 미술품 검색 조건을 수신하고 미술품 영상, 상세 정보, 구매 프로세스 등을 전송할 수 있으며, 작가 디바이스(300)로부터 미술품 영상, 상세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작가 디바이스(300)는, 미술품 촬영 및 등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미술품 촬영 및 등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미술품을 촬영한 미술품 영상을 획득하며, 획득된 미술품 영상을 중개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작가 디바이스(300)는, 미술품 영상과 대응되는 미술품의 구매 가격을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작가는 미술품을 직접 제작한 작가일 수 있으나, 미술품을 소장한 자로서 미술품을 전시 및 판매하고자 하는 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작가 디바이스(300)는, 미술품 촬영 및 등록을 위한 작가 애플리케이션(310)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이때, 구매자 애플리케이션(110)과 작가 애플리케이션(310)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로그인 계정이나 회원 구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 미술품을 등록하는 작가 디바이스(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에서는, 작가가 작가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작가 애플리케이션(310)을 실행하고 미술품의 상세 정보 및 미술품 영상을 입력하여 중개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할 수 있다. 작가 애플리케이션(310)은 작가 디바이스(300)에 구비된 카메라 등을 연동하여 미술품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구매자 디바이스 110: 구매자 애플리케이션
200: 중개 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20: 검색 모듈 230: 구매 처리 모듈
240: 추천 모듈 250: 경매 진행 모듈
260: 통신 모듈 300: 작가 디바이스
310: 작가 애플리케이션

Claims (7)

  1. 중개 시스템으로서,
    미술품의 감상 및 구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기기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미술품 검색 조건을 입력하며, 상기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되, 하나의 미술품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에 선택된 미술품 영상을 등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종료 후에 상기 등록된 미술품 영상의 상세 정보 출력 또는 상기 미술품 영상과 대응되는 미술품의 구매 프로세스 진행을 하는 구매자 디바이스(100); 및
    복수의 미술품 영상을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을 이용해 상기 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된 미술품 영상을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전송하며,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미술품 영상의 상세 정보 또는 상기 미술품의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중개 서버(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는,
    상기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미술품 촬영 및 등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미술품 촬영 및 등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미술품을 촬영한 미술품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미술품 영상을 상기 중개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는 작가 디바이스(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가 디바이스(300)는,
    상기 미술품 영상과 대응되는 미술품의 구매 가격을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버(200)는,
    복수의 미술품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과 매칭되는 미술품 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모듈(220); 및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구매 요청에 따라, 결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구매 프로세스를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제공하는 구매 처리 모듈(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버(200)는,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 및 구매자의 구매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복수의 미술품 영상 중에서 추천 미술품 영상을 선정하여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에 제공하는 추천 모듈(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버(200)는,
    상기 구매자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미술품을 경매 대상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경매를 진행하고 낙찰가를 결정하는 경매 진행 모듈(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KR1020140027694A 2014-03-10 2014-03-10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KR20150106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694A KR20150106020A (ko) 2014-03-10 2014-03-10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694A KR20150106020A (ko) 2014-03-10 2014-03-10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020A true KR20150106020A (ko) 2015-09-21

Family

ID=5424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694A KR20150106020A (ko) 2014-03-10 2014-03-10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02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57B1 (ko) * 2017-09-19 2018-06-08 제노테크 주식회사 미술품 경매 시스템을 이용한 경매방법
KR20190006270A (ko) 2017-07-10 2019-01-18 강태구 예술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89714B1 (ko) * 2018-09-18 2020-03-16 조경환 배경 이미지의 원격관리, 정산 및 통계 처리가 가능한 스튜디오 시스템
KR102099562B1 (ko) * 2019-04-26 2020-04-09 김창덕 아마추어 미술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미술작품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09228A (ko) * 2020-02-27 2021-09-06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작품작성진위 확인이 가능한 작품거래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제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270A (ko) 2017-07-10 2019-01-18 강태구 예술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65157B1 (ko) * 2017-09-19 2018-06-08 제노테크 주식회사 미술품 경매 시스템을 이용한 경매방법
KR102089714B1 (ko) * 2018-09-18 2020-03-16 조경환 배경 이미지의 원격관리, 정산 및 통계 처리가 가능한 스튜디오 시스템
KR102099562B1 (ko) * 2019-04-26 2020-04-09 김창덕 아마추어 미술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미술작품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109228A (ko) * 2020-02-27 2021-09-06 예스튜디오 주식회사 작품작성진위 확인이 가능한 작품거래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6642B2 (en) Remote and/or virtual mall shopping experience
US8645230B2 (en) Virtual closet for storing and accessing virtual representations of items
CN106796700A (zh) 用于电子商务的使用标记媒体、3d索引虚拟现实图像和全球定位系统位置的用户界面
JP566197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06020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미술품 중개 시스템
US20140032363A1 (en) Methods and systems to provide interactive marketplace with time-limited negotiation
KR101657585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해시 태그 기반 상품 거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7091A (ko)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JP5343161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57588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52051B1 (ko)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내의 중첩형 마이크로 마켓플레이스 기법
US8725558B1 (en) Intra-site product advertising system
WO2009024990A1 (en) System of processing portions of video stream data
TWI569220B (zh) A management device, a management method, and a non-temporary recording medium
TW202247064A (zh) 商品資訊處理系統、商品資訊處理方法及程式
KR101657583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431521B1 (ko) 뷰티정보 포털사이트 운영방법
KR101858616B1 (ko) 가상현실 중고물품 거래 서버 및 가상현실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KR101791676B1 (ko) 스타 연동 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8214A (ko) 아트 용품 판매 중개 사이트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60128965A (ko) 증강현실과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JP2022132687A (ja) 売買管理装置、売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90016A (ja) リユース商品販売システム、リユース商品販売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KR101657582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2196A (ko) 인터넷 동영상매체를 이용한 개인 홈쇼핑방송 구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