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582B1 -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582B1
KR101657582B1 KR1020150159626A KR20150159626A KR101657582B1 KR 101657582 B1 KR101657582 B1 KR 101657582B1 KR 1020150159626 A KR1020150159626 A KR 1020150159626A KR 20150159626 A KR20150159626 A KR 20150159626A KR 101657582 B1 KR101657582 B1 KR 101657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ller
buyer
tag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범석
Original Assignee
(주)제이케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케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제이케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5015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F17/3026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중앙서버가 제공하는 웹을 통해서 판매 상품의 이미지를 등록하면 등록된 판매 상품을 구매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웹을 통한 상품 거래를 제공함에 있어, 등록된 판매 상품 이미지를 태그와 결합하여 저장 관리하며 별도로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추출하여 저장 관리하고, 추출한 해시 태그를 이용해서 등록된 판매 상품을 구매할 확률이 높은 구매자에게 판매 상품 등록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웹을 통한 상품 거래에 있어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함에 따라 구매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품 이미지와 해시 태그를 결합하여 관리함으로써 구매 확률이 높은 구매자에게 상품 구매를 권유하여 상품 거래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Extracting Hash Tag of Product Image using Web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중앙서버가 제공하는 웹을 통해서 판매 상품의 이미지를 등록하면 등록된 판매 상품을 구매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웹을 통한 상품 거래를 제공함에 있어, 등록된 판매 상품 이미지를 태그와 결합하여 저장 관리하며 별도로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추출하여 저장 관리하고, 추출한 해시 태그를 이용해서 등록된 판매 상품을 구매할 확률이 높은 구매자에게 판매 상품 등록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웹을 통한 상품 거래에 있어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함에 따라 구매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품 이미지와 해시 태그를 결합하여 관리함으로써 구매 확률이 높은 구매자에게 상품 구매를 권유하여 상품 거래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 등 온라인을 이용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고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거래하거나 대여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 오프라인에서 행해지던 상품 거래를 온라인 상에서 구현할 때 중요한 점은 상품 거래 확률을 높이고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의 수를 늘리며 상품을 구매하기 전 상품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것 등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온라인을 이용한 상품 거래 관련 기술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요구들을 만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하였으며 특히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태그 정보와 함께 구매자의 구매 성향을 이용하여 특정한 상품을 구매할 확률이 높은 구매자를 추출하여 상품을 추천하는 기술은 찾기 어렵다.
온라인 상에서 상품 거래를 제공하는 종래 기술 중 하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549611호 '디지털 데이터 상품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디지털 데이터 상품 구매를 신청하면 구매 신청한 디지털 데이터 상품을 가상 하드디스크 시스템으로 데이터 전송하며 사용자는 가상 하드디스크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디지털 데이터 상품을 이용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등록특허 제10-0549611호는 거래되는 상품의 종류가 디지털 데이터 상품인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가상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상품 거래를 중개하는 기술에 불과할 뿐, 상품 이미지 업로드에 의하여 판매 상품 등록을 한 후 상품 이미지에서 해시 태그를 추출하거나, 추출한 해시 태그를 이용해서 등록된 판매 대상 상품의 거래 성사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기술과는 거리가 멀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중앙서버가 제공하는 웹을 통해서 판매 상품의 이미지를 등록하면 등록된 판매 상품을 구매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웹을 통한 상품 거래를 제공함에 있어, 등록된 판매 상품 이미지를 태그와 결합하여 저장 관리하며 별도로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추출하여 저장 관리하고, 추출한 해시 태그를 이용해서 등록된 판매 상품을 구매할 확률이 높은 구매자에게 판매 상품 등록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웹을 통한 상품 거래에 있어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함에 따라 구매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품 이미지와 해시 태그를 결합하여 관리함으로써 구매 확률이 높은 구매자에게 상품 구매를 권유하여 상품 거래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추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중앙서버가 제공하는 웹을 통해 판매 상품의 이미지를 등록하면 등록된 판매 상품을 구매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거래 시스템에 있어, 특히 등록된 상품 이미지를 태그와 결합하여 저장 관리하며 별도로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추출하여 저장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웹을 통해 판매자단말기로 세부 상품 분류 예시를 제공하며, 상품 판매 신청과 판매자 개인 정보를 상기 판매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판매 상품 등록을 수행하며, 웹을 통해 구매자 개인 정보를 구매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판매등록수단과,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에 관해 상기 판매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본 태그를 기본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며 분류한 기본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결합하고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추출하여 해시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결합하는 태그관리수단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삽입된 기본 태그 및 해시 태그를 분석하여 판매 대상 상품과 일정한 수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구매자를 추출하여 추출한 구매자의 상기 구매자단말기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구매자단말기로부터 상품 구매 신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품 구매 신청을 판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에서의 게시판을 통해 상기 판매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거래관리수단과,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과거 거래 정보를 분석하여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도출하는 거래정보분석수단과,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판매자단말기로 전송하며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구매자단말기로 전송하고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며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거래정보제공수단을 포함하는 중앙서버; 상품 판매 신청과 판매자 개인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며, 상품 구매 신청을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고,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며, 판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는 판매자단말기;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품 구매 신청을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하며, 구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구매자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판매등록수단이 상기 판매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품 판매 신청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 판매 대상 상품의 상세 정보, 판매 대상 상품의 세부 상품 분류 및 판매 대상 상품의 기본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래관리수단은, 기본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기본 태그와, 각각의 기본 태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구매자 개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며, 해시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해시 태그와, 각각의 해시 태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구매자 개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래정보제공수단이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는, 판매자 회원 또는 구매자 회원 평균 대비 판매 또는 구매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태그관리수단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각각의 해시 태그 카테고리별로 1 이상씩 추출하되 해시 태그 카테고리는 기설정되어 있으며 해시 태그 카테고리 중 기본 태그 카테고리와 중복되는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기본 태그를 해시 태그로서 설정하며 기본 태그가 입력되지 않은 해시 태그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기본 태그와는 별도로 해시 태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중앙서버가, 웹을 통해 판매자단말기로 세부 상품 분류 예시를 제공하며, 상품 판매 신청과 판매자 개인 정보를 상기 판매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판매 상품 등록을 수행하며, 웹을 통해 구매자 개인 정보를 구매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중앙서버가,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에 관해 상기 판매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본 태그를 기본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며 분류한 기본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결합하고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추출하여 해시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중앙서버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삽입된 기본 태그 및 해시 태그를 분석하여 판매 대상 상품과 일정한 수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구매자를 추출하여 추출한 구매자의 상기 구매자단말기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구매자단말기로부터 상품 구매 신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품 구매 신청을 판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에서의 게시판을 통해 상기 판매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중앙서버가,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과거 거래 정보를 분석하여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중앙서버가,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판매자단말기로 전송하며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구매자단말기로 전송하고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며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판매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상품 판매 신청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 판매 대상 상품의 상세 정보, 판매 대상 상품의 세부 상품 분류 및 판매 대상 상품의 기본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중앙서버가, 기본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기본 태그와, 각각의 기본 태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구매자 개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며, 해시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해시 태그와, 각각의 해시 태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구매자 개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중앙서버가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는, 판매자 회원 또는 구매자 회원 평균 대비 판매 또는 구매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중앙서버가, 기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해시 태그 카테고리별로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1 이상의 해시 태그를 추출하되, 해시 태그 카테고리 중 기본 태그 카테고리와 중복되는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기본 태그를 해시 태그로서 설정하며 기본 태그가 입력되지 않은 해시 태그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기본 태그와는 별도로 해시 태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을 통한 상품 거래에 있어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함에 따라 구매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품 이미지와 해시 태그를 결합하여 관리함으로써 구매 확률이 높은 구매자에게 상품 구매를 권유하여 상품 거래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은, 중앙서버(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구매자단말기(300)를 포함하며, 중앙서버(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구매자단말기(300)는 웹 기반으로 각종 정보를 서로 송수신한다.
우선, 중앙서버(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서비스와, 상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서버로서, 상품 이미지 등록을 통한 판매 등록 기능과, 등록된 이미지로부터 태그를 추출하여 추출한 태그를 등록된 이미지와 결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과, 태그 또는 개인별 거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상품을 구매할 확률이 높은 잠재적인 구매자를 추출하여 잠재적인 구매자에게 구매를 권유하는 기능과, 상품 거래를 성사시키는 기능과, 판매자와 구매자의 거래 정보를 분석해서 분석된 정보를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기능과, 상품 거래와 관련한 정보들이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서도 확대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및 상품 거래에 최적화된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중앙서버(100)는 판매등록수단(110), 태그관리수단(120), 거래관리수단(130), 거래정보분석수단(140) 및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을 포함한다.
판매등록수단(110)은 웹을 통하여 상품 판매 신청을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며 판매 상품을 등록하는데, 상품 판매 신청에 포함되는 판매 대상 상품에 대한 세부 상품 분류를 웹을 통하여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다.
상품 판매 신청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 판매 대상 상품 상세 정보, 판매 대상 상품 태그, 판매자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판매 대상 상품 상세 정보는, 판매 상품명, 판매 대상 상품에 대한 세부 상품 분류, 매매 또는 대여 여부, 신규 또는 중고 여부, 판매 가격, 대여료, 대여 기간, 상품 상세 기능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판매자 개인 정보는,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전화번호, 성별, 연령, 직업, 취미, 관심 상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등록수단(110)은 웹을 통해 구매자 회원으로부터 구매자 개인 정보를 수신하며, 구매자 개인 정보 항목은 판매자 개인 정보 항목과 마찬가지일 수 있고, 판매 대상 상품 상세 정보 항목과 마찬가지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매자 회원은 구매를 원하는 구매 상품명, 구매 대상 상품에 대한 세부 상품 분류, 매매 또는 대여 여부, 신규 또는 중고 여부, 판매 가격, 대여료, 대여 기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구매자 회원은 판매자 회원과 기계적으로 분리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회원은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되거나 판매자이면서 구매자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품을 판매하거나, 빌려주기를 원하는 판매자는 먼저 상품을 촬영하여 상품 사진을 준비한다. 그리고 판매자는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웹상에서 서비스 가입을 하며 상품 판매 신청을 한다. 상품 판매 신청 시, 판매자는 기본적으로 상품 이미지를 업로드 하여 등록한다. 아울러 판매자는 판매 상품의 종류와 명칭, 원하는 판매 가격, 대여를 원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대여료와 대여 기간 등의 상세 정보를 입력하며, 판매자 자신의 성명, 전화번호, 성별, 연령 직업, 취미, 관심 있는 상품 분류 등의 상세 정보를 입력한다. 아울러 판매자는 자신이 등록하는 상품 이미지의 태그를 1 이상의 키워드로 입력한다.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은 중고 상품인 경우가 많을 것이다.
판매자가 자신이 등록하는 상품 이미지에 대해 입력하는 태그는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1년 동안 사용한 국산 유아용 침대'인 경우, 태그(키워드)는 '가구, 침대, 중고, 1년, 유아, 국산' 등으로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중앙서버(100)의 판매등록수단(110)은 판매자의 태그 입력과는 별도로 상품 분류 예시를 판매자에게 제공하며 판매자가 상품 분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위의 예에서, 판매자는 중앙서버가 제공하는 다양한 대분류 중 '가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중앙서버는 '가구'의 하위 분류로서 다양한 세부 상품을 제공하며, 그러한 하위 분류 중 판매자는 '침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태그관리수단(120)은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에 대해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기본 태그를 기본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며, 기본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삽입 결합하고,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별도로 추출하여 해시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삽입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판매자로부터 입력받은 태그를 기본 태그라 하며, 위의 예에서 기본 태그는 '가구, 침대, 중고, 1년, 유아, 국산' 등일 수 있다. 기본 태그 카테고리는 기본 태그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한 카테고리이다. '가구', '침대'는 기본 태그 카테고리 중 상품명 카테고리에 해당할 수 있고, '중고'는 신규 여부 카테고리에 해당할 수 있으며, '1년'은 사용 기간 카테고리에 해당할 수 있고, '유아'는 사용 대상 카테고리에 해당할 수 있으며, '국산'은 생산 지역 카테고리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해시 태그는 중앙서버(100)에 의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기준에 따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태그일 수 있다. 해시 태그는 해시 태그 카테고리별로 추출될 수 있으며 해시 태그 카테고리는 이미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예를 들어 해시 태그 카테고리는 상품명 카테고리, 상품 분류 카테고리, 상표 카테고리, 신규 여부 카테고리, 사용 기간 카테고리, 사용 대상 카테고리, 생산 지역 카테고리, 제조사 카테고리, 판매 또는 대여 가격 카테고리 등일 수 있다. 해시 태그는 각각의 해시 태그 카테고리별로 1 이상이 추출되며, 해시 태그 카테고리 중 판매자가 입력한 기본 태그를 분류한 기본 태그 카테고리와 중복되는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이미 입력된 기본 태그를 해시 태그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기본 태그가 입력되지 않은 해시 태그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기본 태그에 추가로 중앙서버(100)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태그관리수단(120)이 추출하는 해시 태그는, 판매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특성 정보를 기저장된 기준 이미지의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판매 상품 이미지와 일정한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기준 이미지의 해시 태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추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출된 해시 태그는 독자적으로 사용되거나, 아니면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해시 태그에 추가로 누적되어 사용될 수 있다. 태그관리수단(120)은 다양한 기준 이미지와 함께 기준 이미지별 특성 정보, 기준 이미지별 해시 태그를 미리 설정 저장하고 있다. 판매 상품 이미지로부터 특성 정보가 추출되어 추출된 특성 정보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이미지별 특성 정보와 비교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유사도 이상의 특성 정보를 갖는 기준 이미지에 미리 결합하여 관리되고 있는 해시 태그를 채택하면 되는 것이다.
특성 정보는 특성 영역 또는 특성 포인트일 수 있다. 특성 영역은, 상품 이미지 사이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품 이미지의 특성에 관한 특성 포인트를 추출하는 주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특성 영역은, 상품 이미지가 포함하는 윤곽선, 윤곽선 중에서도 코너 등의 모퉁이, 상품 이미지의 변형에 따라 불변 또는 가변하는 영역, 또는 주변 명암보다 밝거나 어두운 영역 등일 수 있다. 특성 포인트는 상품 이미지의 특성 정보를 벡터 값으로 표현한 값일 수 있다. 특성 포인트는 상품 이미지에 있어 특성 영역의 위치, 특성 영역의 명암, 색상, 선명도, 스케일 또는 패턴 정보 등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본 태그 또는 해시 태그를 이미지에 삽입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품 이미지인 비트맵 이미지의 화질을 조금 손상시키더라도 비트맵 이미지의 일부 픽셀에 텍스트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비트맵 이미지의 일부 픽셀에 대해, 픽셀 당 0.375 바이트 내지는 1 바이트 크기의 텍스트 데이터(기본 태그 또는 해시 태그)를 삽입할 수 있다. 픽셀 당 1 바이트의 텍스트 데이터인 경우, 한글이라면 두 픽셀 당, 한 글자 정도가 들어가는 수준이다. 소설 한 권이 16만 자 정도라 하면, 비트맵 이미지에 최대로 텍스트 데이터를 삽입하는 경우, 800*400 크기의 비트맵 이미지(상품 이미지)에 대해 소설 한 권이 넘는 텍스트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거의 모든 상품 이미지에 의한 기본 태그 또는 해시 태그를 충분히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거래관리수단(130)은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에 대해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웹을 통해 상품 구매 신청을 수신하되, 특히,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삽입된 기본 태그 및 해시 태그를 분석하여 판매 대상 상품과 일정한 수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구매자를 추출하며 추출한 구매자의 구매자단말기(300)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상품 구매 신청을 판매자단말기(200)로 전송함으로써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구매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웹상으로 접속하여 자신의 단말기 화면을 통해 상품 판매 등록을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판매 대상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매자는 자신의 단말기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상품 판매 등록을 직접 하나하나 확인하며 임의의 상품 판매 등록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상품 판매 등록에 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구매자는 특정한 키워드를 검색어로 입력하고 그에 관한 검색 결과를 자신의 단말기 화면을 통해 확인하는 방식으로 특정한 상품 판매 등록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서비스 메인 화면의 검색어 입력란에 '유아 and 침대'를 입력한다면, 유아용 침대에 대하여 등록된 일정한 개수의 상품 판매 등록이 검색되어 제공될 것이며, 그 중 임의의 상품 판매 등록을 클릭 또는 터치한다면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매자는, 임의의 상품 판매 등록에 대해 표시되는 구매 신청 메뉴를 클릭 또는 터치함으로써, 구매 신청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거래관리수단(130)은 다수의 구매자 회원 중 특정한 회원에게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구매자 회원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회원으로 가입할 때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며, 판매자 회원과 구매자 회원은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판매자가 구매자가 될 수도 있고, 구매자가 판매자가 될 수도 있다. 구매자 회원은 자신이 원하는 구매 상품의 종류와 명칭, 원하는 구매 가격, 대여를 원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대여료와 대여 기간 등의 상세 정보를 입력한다. 아울러 구매자 자신의 성명, 전화번호, 성별, 연령, 직업, 취미, 관심 있는 상품 분류 등의 상세 정보를 입력한다.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결합한 기본 태그를 이용하여 판매 대상 상품을 임의의 구매자에게 추천하는 경우, 기본 태그가 '가구, 침대, 중고, 1년, 유아, 국산'이라 하자. 기본 태그는 상품명 카테고리, 신규 여부 카테고리, 사용 기간 카테고리, 사용 대상 카테고리, 생산 지역 카테고리에 관한 것이다. 거래관리수단(130)은 구매자 회원이 입력한 정보들이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결과를 판매 대상 상품에 관한 기본 태그와 비교하여 양 정보의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특정한 수의 구매자 회원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구매자 회원이, 자신의 원하는 구매 상품의 종류로서 가구-침대를 입력하였고, 신규 여부로서 중고를 입력하였으며, 사용 기간으로서 0년 내지 2년을 입력하였으며, 사용 대상으로서 유아를 입력하였고, 생산 지역으로서 국산을 입력하였다고 하자. B라는 구매자 회원은, 자신이 원하는 구매 상품의 종류로서 가구-침대를 입력하였고, 신규 여부로서 중고를 입력하였으며, 사용 기간으로서 2년 내지 4년을 입력하였고, 사용 대상으로서 유아를 입력하였고, 생산 지역으로서 '무관'을 입력하였다고 하자.
이러한 예에서, 거래관리수단(130)은 유사도 비교 항목으로서 기본 태그 카테고리 수인 5가지 항목을 채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항목마다 기본 태그와 구매자 회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항목에는 1점을 부여할 수 있다. A 회원의 입력 정보는 5가지의 항목에서 기본 태그와 일치하므로 5점이 부여될 수 있고, B 회원의 입력 정보는 사용 기간에서는 기본 태그와 일치하지 않으나 4가지 항목에서 기본 태그와 일치하므로 4점이 부여될 수 있다. 5가지 항목 중 일부 또는 전체 항목에는 일정한 값의 가중치가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항목별로 부여된 점수에 항목별로 설정된 가중치가 곱해진 점수가 최종 항목별 점수가 될 수 있다.
유사도 비교를 위하여 기본 태그 또는 기본 태그 카테고리를 사용하거나, 해시 태그 또는 해시 태그 카테고리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기본 태그와 해시 태그를 모두 사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유사도 비교가 가능할 수 있다. 기본 태그와 해시 태그를 모두 사용하여 유사도를 비교하는 경우, 각각의 점수를 합산한 총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유사도 비교를 할 수 있다.
거래관리수단(130)이 추출한 구매자 회원 중 가장 유사도가 높은 회원이 A 회원이며, 그 다음 회원이 B라고 하면, 거래관리수단(130)은 A 회원부터 한 명씩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A 회원으로부터 구매 신청을 수신하게 되면 판매 절차가 마무리되나, A 회원으로부터 구매 거부 신청을 수신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구매 신청을 수신하지 못하면 그 다음 유사도가 높은 회원인 B 회원에게 다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10명 등 일정한 숫자만큼의 회원에게 일차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받은 구매자 회원 중 누구에게라도 구매 신청을 수신하게 되면 판매 절차가 마무리되는 것으로 할 수 있고, 10명 중 누구에게라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에 구매 신청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10명 모두에게 구매 거부 신청을 수신하게 되면, 그 다음으로 유사도가 높은 10명의 구매자 회원에게 다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판매 절차를 계속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거래관리수단(130)이 구매자 회원으로부터 구매 신청을 수신하면, 이러한 구매 신청을 판매자 회원에게 전송한다. 판매자 회원에게 구매 신청을 전송하는 경우, 구매자 회원의 전화번호, Email, 개인 온라인 공간 주소 등 개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판매자 회원이 직접 구매자 회원에게 연락함으로써 이후의 판매 대금 결제 등 판매 절차가 마무리되도록 할 수 있다.
구매 신청을 판매자 회원에게 전송하는 경우, 전송 방식은, 판매자단말기(200)에서의 팝 업, SMS 또는 MMS 메시지, 판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에서의 게시판 새 글 등록 등 다양할 수 있다.
거래관리수단(130)은 구매자로부터 특정한 상품에 대해 구매 예약을 받을 수도 있다. 구매자는 중앙서버(100)로부터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에 관해 추천을 받은 경우이거나, 아니면 추천을 받지 않은 상황이더라도 자신이 구매하기 원하는 상품에 대해 미리 웹을 통해 구매 예약 신청을 할 수 있다. 구매 예약 신청은, 구매를 원하는 상품명, 상품 분류, 가격, 사용 기간, 제조사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거래관리수단(130)이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판매등록수단(110)이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구매자로부터 미리 구매 예약 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거래관리수단(130)은 구매 예약 신청과 대응되는 판매 대상 상품이 등록되면 이러한 정보를 미리 구매 예약을 한 구매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거래관리수단(130)이 임의의 판매 대상 상품을 구매자 회원에게 추천하는 경우,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판매등록수단(110)이 판매자 회원과 구매자 회원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때, 판매자 회원 위치 정보, 구매자 회원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임의의 판매자로부터 판매 대상 상품 등록이 있는 경우, 판매등록수단(110)은 다수의 구매자 회원 위치를 검색하여 판매자 위치로부터 근접한 순서대로 구매자 회원에게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판매 대상 상품 정보 제공은 상술한 기본 태그 유사도 기반 방식 또는 해시 태그 유사도 기반 방식과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중복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위의 예에서, 유아용 침대를 판매 대상 상품으로 등록한 판매자가 가구전문점을 운영하는 판매자로서 가구전문점 매장의 위치가 미리 입력되어 있다고 하자. 구매자 회원 A는 자신의 위치로서 자신의 집을 입력하였으며 그 위치는 판매자 매장과 1km 떨어져 있고, 구매자 회원 B는 자신의 위치로서 자신의 회사를 입력하였으며 그 위치는 판매자 매장과 2km 떨어져 있다. 구매자 회원 중 판매자 위치와 가장 가까운 구매자 회원이 A이고 그 다음으로 가까운 구매자 회원이 B라면, A에게 먼저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에도 A로부터 구매 신청이 없거나 아니면 A로부터 구매 거부 신청을 수신한 경우, 그 다음으로 B에게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위치는 미리 입력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지 아니하고 실시간으로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위치를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다. 판매 대상 상품이 등록되는 시점, 또는 그러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지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판매자단말기(200) 또는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는 GPS 신호로부터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며, 그 거리가 가까운 구매자에게 먼저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거래정보분석수단(140)은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과거 거래 정보를 분석하여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판매자가 판매 등록한 상품 정보와, 임의의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성사된 상품 거래 정보 등은 모두 저장되어 관리된다. 이러한 정보와 함께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회원 정보를 이용하면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회원 A는 위의 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1년 동안 사용한 국산 유아용 침대를 구매하였다. A는 판매자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A는 회원 가입 후 지금까지 구매자로서 침대, 책상, 의자를 구매하였으며 각각의 구매 가격, 사용 기간, 색상, 재질 등의 정보는 모두 거래정보분석수단(140)에 저장되어 있다. A는 판매자로서 TV, 냉장고, 세탁기를 판매하였으며 역시 각각의 판매 가격, 사용 기간, 색상, 제조사 등의 정보는 모두 거래정보분석수단(140)에 저장되어 있다.
거래정보분석수단(140)은 회원 A에 대하여, 각각의 구매 또는 판매 상품에 대하여, 회원 평균 대비 구매 또는 판매 가격 성향, 회원 평균 대비 구매 상품 사용 기간 또는 판매 상품 사용 기간, 전체 구매 또는 판매 상품별 색상 정보, 전체 구매 또는 판매 상품별 재질 정보, 전체 구매 또는 판매 상품별 제조사 정보 등을 통계 분석하여 회원별 개인 성향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은 판매자별 거래 정보,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판매자단말기(200)로 전송하며, 구매자별 거래 정보,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구매자단말기(300)로 전송하고,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판매자별 거래 정보,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며,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구매자별 거래 정보,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은 회원별로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데, 임의의 회원은 구매자 회원 또는 판매자 회원이거나, 구매자 겸 판매자 회원일 수 있다. 개인 온라인 공간은 개인별 홈페이지일 수 있으며, 개인별 홈페이지에는 회원별 구매 또는 판매 거래 정보, 회원별 구매 또는 판매 거래 정보를 이용한 개인 성향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개인 온라인 공간에는 회원별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상품 등을 별도로 등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상품들은 상품 이미지의 형태로 등록되고, 이러한 상품 이미지는 회원이 직접 촬영한 상품 사진일 수 있다.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은 개인 온라인 공간으로서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블로그를 제공할 수 있다. 거래관리수단(130) 또는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은 판매자로부터 판매 상품 등록이 있는 경우 판매 상품을 웹상으로 다른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데, 특히 판매 상품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로 제공한다. 구매자가 이러한 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특정한 판매 상품 이미지를 클릭 또는 터치하면, 판매 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개인 블로그가 구매자의 단말기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은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의 이미지에 대상 상품을 등록한 판매자의 개인 블로그 URL을 링크 설정하여 둔다.
위의 예에서, 회원 A는 유아용 침대를 구매한 이후 구매 거래 정보를 구매자단말기(300)를 통해 전송받으며, 구매 거래 정보에는 상품 이미지, 상품명, 상품 가격, 신규 또는 중고 여부, 상품 사용 기간, 상품 색상, 상품 재질, 상품 제조사, 상품 사용 연령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원 A가 TV를 판매한 경우, 판매 거래 정보로서 상품 이미지, 상품명, 상품 가격, 신규 또는 중고 여부, 상품 사용 기간, 상품 색상, 상품 재질, 상품 제조사 등의 다양한 정보를 판매자단말기(200)를 통해 수신하며, 회원 A의 단말기는 경우에 따라 판매자단말기(200) 또는 구매자단말기(300)가 될 수 있다.
아울러, 회원 A의 판매 또는 구매 거래 정보와, 회원 A의 개인 성향 등은 회원 A에게 할당되는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임의의 사용자들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회원 A가 유아용 침대를 구매한 경우 그와 관련한 구매 거래 정보, 또는 TV를 판매한 경우 그와 관련한 판매 거래 정보 등은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임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회원 A에 대하여, 회원 평균 대비 구매 또는 판매 가격 성향, 회원 평균 대비 구매 상품 사용 기간 또는 판매 상품 사용 기간, 전체 구매 또는 판매 상품별 색상 정보, 전체 구매 또는 판매 상품별 재질 정보, 전체 구매 또는 판매 상품별 제조사 정보 등이 회원 A의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회원 A는 자신의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자신이 판매하였거나 또는 판매하고 싶거나, 자신이 구매하였거나 또는 구매하고 싶거나, 아니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 또는 소지품들을 상품 이미지의 형태로서 등록할 수 있다. 회원 A가 등록한 다양한 상품에 대한 이미지들은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된다. 임의의 사용자는 회원 A의 개인 온라인 공간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을 판매하거나 구매할 수 있다.
회원 A에 대한 개인 성향은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통계 처리되어 제공된다. 회원 A는 이러한 개인 성향을 불특정인에게 공개된 상태로 설정하거나 비공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개인 성향 통계 정보 중, 예를 들어 회원 A의 구매 상품별 구매 가격 등은 평균 대비 막대그래프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회원 A가 소유하고 있는 전체 상품별 색상 비율은 원그래프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은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개인 성향 정보 등을 별도의 SNS 서버로 전송하여, 별도의 SNS 서버가 SNS 계정에 이러한 정보들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품 거래 정보, 개인 성향 정보 등이 SNS를 통해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별 상품 거래 정보나 개인 성향 정보 등은 회원 단말기로 제공되면서 회원별 개인 온라인 공간에서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와 별도로 회원별 SNS 계정을 통해 불특정인에게 공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은 회원별 상품 거래 정보, 거래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개인 성향 정보 등을 별도의 SNS 서버로 전송한다. 별도의 SNS 서버는 이러한 정보들을 SNS 계정에 등록함으로써 다양한 루트를 통한 상품 거래 확률을 최대화하며 회원들이 자신의 취향에 맞게 꾸미고 관리하는 개인 온라인 공간을 다수의 사용자와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아울러,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은 판매 대상 상품 등록 정보에 관한 공유 여부, 공유 방법 및 공유 대상 단말기 정보 선택 요청을 구매자단말기(300)로 전송하며,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공유 방법 및 공유 대상 단말기 정보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공유 대상 단말기로 판매 대상 상품 등록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의해 제1 구매자는 판매 대상 상품 등록 정보를 수신하면 그에 관한 정보를 제2 구매자에게 공유해 줄 것을 요청함으로써 다수의 지인과 공유할 수 있다. 공유 방법으로는 SMS, SNS, 이메일 방식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이 제1 구매자에게 임의의 판매 대상 상품 등록 정보에 관한 공유 여부, 공유 방법 및 공유 대상 단말기 정보 선택 요청을 전송하면, 제1 구매자는 판매 대상 상품 등록 정보를 자신의 지인인 제2 구매자에게도 전송하여 자신과 공유하려 할 수 있다. 제1 구매자는 SMS 방식을 선택하고, 제2 구매자의 단말기 정보로서 제2 구매자의 단말기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은 SMS의 형태로 판매 대상 상품 등록 정보를 작성하여 제2 구매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해서 직접 제2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별도의 이동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별도의 이동통신사 서버가 이를 제2 구매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판매자단말기(200)는, 판매 대상 상품에 대한 세부 상품 분류를 포함하는 상품 판매 신청을 웹을 통해 중앙서버(100)로 전송하며, 상품 구매 신청을 웹을 통해 중앙서버(100)로부터 수신하고, 판매자별 거래 정보,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웹을 통해 중앙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며, 판매자는 판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판매자별 거래 정보,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중앙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구매자단말기(300)는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신청을 웹을 통해 중앙서버(100)로 전송하되, 특히 상품 구매 신청을 중앙서버(100)로 전송하기 전에, 중앙서버(100)로부터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웹을 통해 수신하며, 구매자별 거래 정보,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웹을 통해 중앙서버(100)로부터 수신하고, 구매자는 구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구매자별 거래 정보,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중앙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서비스가 구현되는 모바일 웹에 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단 고정화면(1)은 더 보기(아이콘), BI, 검색창 등으로 구성되며, 2 Depth 화면까지 노출될 수 있다. 주요메뉴 노출 영역(2)을 보면, 해당 페이지로 링크되는 메뉴가 표시된다. 배너 영역(3)에는 이벤트, 광고, 기획전 등의 배너가 노출될 수 있다. 상품 추천 영역(4)에는, CMS에서 타이틀 명을 입력하는 메뉴, 카테고리를 선정하는 메뉴, 컨텐츠 등록 메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타이틀 영역은 텍스트로 구성되며, 상품선택은 해당 상품 뷰 페이지로 링크되고, 더 보기 메뉴는 해당 카테고리 리스트 페이지가 링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 메인화면에서 상단 고정영역의 더 보기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노출되는 LNB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환경설정(1)은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한다. 닫기 표시는 LNB 메뉴영역이 닫히는 메뉴이다. 개인화 영역(2)은, 로그인 상태일 때, 닉네임, 아이디, 보유 마일리지, 로그아웃 버튼 등을 보여준다. 또한, 로그아웃 상태에서는 로그인, 회원가입 메뉴를 보여준다. 메뉴 영역(3)은 메뉴 선택 시 LNB가 닫히며 해당 페이지로 이동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인 렌탈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데, 거래 발생 시 상단의 마이페이지 아이콘에 거래 숫자가 표시된다. 카테고리 영역(1)은 렌탈 서비스에 특화하여 구성된다. 리스트 필터 기능(2)은, 낮은 가격순, 높은 가격순, 인기순 등으로 정렬 가능하며, 지역 검색 가능하고, 상품 등록시 설정한 지역과 동일한 지역의 상품 군만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 영역(3)은, 썸네일 이미지로서 상품 등록 시 첫 번째 이미지를 사이즈 변환하여 노출할 수 있다. 아래에서 위로 플리킹 시 리스트를 추가로 노출할 수 있다. 리스트 정렬 디폴트는 최신 등록일일 수 있다. 썸네일 아이콘(4)은 플러스 버튼이 상품 등록하기 페이지로 이동하는 버튼이며, 로그아웃 상태인 경우 알람을 표시한다. TOP 버튼은 스크롤이 아래로 내려간 경우 노출되는 아이콘으로서 클릭 시 스크롤 첫 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6과 도 7에서 상품 뷰를 확인할 수 있다. 뒤로가기 버튼(1) 선택 시 목록으로 이동한다. 글 제목, 상품 만족도(2)는, 상품 만족도로서 해당 상품에 등록된 상품평의 평균 별 개수를 표시한다(0.5 단위). 상품 이미지(3)는 1개 단위로 노출하며 플리킹 방식으로 최대 5개를 노출할 수 있다. 신고, 상품 공유 영역(4)은, 신고 버튼은 해당 상품의 버튼을 포함하여 신고페이지로 이동하며, 상품 공유 메뉴는 아이콘 선택 팝업을 노출한다. 해당 상품 페이지 URL을 선택한 서비스에 공유할 수 있다. 렌탈 신청하기 메뉴(5)는 신청 팝업 노출을 수행한다. 도 8에서, 상품 뷰 메뉴 중, 상품 제공 유저 정보(1)는 유저 아이디 및 해당 유저의 전체 상품 평균 만족도를 제공한다. 렌탈 상품 정보 영역(2)은 렌탈 판매자가 입력한 내용대로 노출할 수 있다.
도 9는 상품 뷰에서 거래 신청하기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렌탈 신청 팝업(1)에서, 거래 종류로서 렌탈을 선택하며, 렌탈 기간으로서 시작일, 종료일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셀렉트 휠 박스를 통해 연월일을 선택할 수 있다. 거래신청 완료 시 상품 뷰 페이지의 거래 신청하기 버튼이 변경된다(2). 판매자에게 메시지 남기기, 거래신청 취소 등이 가능하다. 판매자에게 메시지 남기기는 메시지함 페이지로 이동하며, 거래신청 취소는 알람이 노출된다.
도 10은 상품 뷰에서 상태 변경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글 수정 버튼(1)은 상품등록 페이지로 이동한다. 해당 상품의 정보가 입력된 상태로 상품등록 페이지로 이동한다. 상품 상태 표시(2)는 판매자만 확인할 수 있는 영역으로 렌탈 중이거나, 렌탈 가능, 중고판매 완료 항목 등으로 구분한다. 버튼 영역(3)은 거래 요청함, 즉 해당 상품의 거래요청함 페이지로 이동하는 메뉴를 포함한다. 또한 상품 상태 변경하기 메뉴로서, 팝업 노출하여 현재 상품의 상태를 변경하는 메뉴를 포함한다.
도 11 역시 상품 뷰에서 상태 변경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상품 상태 변경하기 버튼 클릭 시 노출되는 팝업으로 상품등록 후 첫 실행 시 디폴트는 '렌탈 대기중'이며, 이후 팝업 노출 시에는 상품 상태와 동일한 항목으로 선택되어 노출된다. 렌탈 대기중 상태는, 해당 상품이 렌탈 오픈마켓 리스트에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렌탈 구매자 영역은 비활성 상태이다. 적용 버튼 클릭시 알람이 실행된다. 렌탈 중 상태는, 렌틀 구매자 드롭다운 박스가 활성 상태이다. 해당 상품의 렌탈 신청한 유저 리스트 노출하여 선택한다. 거래신청 유저가 여러 명인 경우 선택된 유저 외 모두 거래거부 처리한다. 적용버튼을 클릭시 상황별로 알람이 실행된다. 렌탈 구매자 정상 선택 후 클릭의 경우, 'ooo 님에게 렌탈 중인 상태로 변경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알람이 실행될 수 있다. 렌탈 구매자 미선택 상황에서 클릭한 경우, '렌탈 구매자를 선택해 주세요'라는 문구가 알람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도 12에서 개인 렌탈 > 상품 등록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뒤로가기 버튼(1)은 선택 시 목록으로 이동한다. 사진 등록 영역(2)은 사진등록 버튼 선택 시 등록 페이지로 이동하며, 선택한 사진을 좌측부터 순서대로 노출한다. 첫 번째 사진이 대표사진으로 설정된다. 상품 카테고리 선택 영역(3)은, 카테고리 대분류, 소분류 등으로 분류되는 메뉴이다. 상품 정보 입력 영역(4)은, 제목 50 바이트, 내용 200 바이트까지 입력 가능하다. 상품 제공방식(5)은 체크박스를 제공한다. 렌탈기간, 렌탈금액 입력 영역(6)은, 렌탈 가능 기간으로서 날짜선택 팝업을 노출하며, 렌탈 금액으로서 숫자 패드를 노출한다. 비용결제 방법(7)은 체크박스로 구성하며 선택한 항목만 상품 뷰 페이지에 노출한다. 거래 희망지역(8)은 시, 군, 구 영역의 경우, 또는 일반 시의 경우 시와 구 이름을 합친 상태로 노출한다. 정책 동의 메뉴(9)는 체크박스에 체크가 되어야만 등록 가능하다. 등록하기 버튼 클릭 시 상황별로 알람이 실행된다. 정책 미동의의 경우 '유저 오픈마켓 정책에 동의하셔야 상품등록이 가능합니다'라는 알람이 실행될 수 있다. 사진 1장 이하로 등록한 경우 '상품사진은 2장 이상 등록하셔야 합니다'라는 알람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3에서, 개인 렌탈 > 상품 등록 > 사진 등록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섯 개의 사진등록 이미지를 선택 시, 팝업으로 메뉴를 노출한다(촬영/앨범 선택 등). 사진 촬영(1)은 단말기의 카메라 실행하여 사용 시 사진 한 장을 등록한다. 앨범에서 선택하기(2)는 단말기의 앨범 실행하여 사진을 최대 5장까지 선택하도록 한다. 취소(3)는 팝업이 닫힌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방법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서버(100)가, 웹을 통해 판매자단말기(200)로 세부 상품 분류 예시를 제공하며, 상품 판매 신청과 판매자 개인 정보를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판매 상품 등록을 수행하며, 웹을 통해 구매자 개인 정보를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다(S10).
S10 단계에서 중앙서버(100)가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상품 판매 신청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 판매 대상 상품의 상세 정보, 판매 대상 상품의 세부 상품 분류 및 판매 대상 상품의 기본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앙서버(100)가,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에 관해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기본 태그를 기본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며 분류한 기본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결합하고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추출하여 해시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삽입 결합한다(S20).
S20 단계는, 중앙서버(100)가, 기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해시 태그 카테고리별로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1 이상의 해시 태그를 추출하되, 해시 태그 카테고리 중 기본 태그 카테고리와 중복되는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기본 태그를 해시 태그로서 설정하며 기본 태그가 입력되지 않은 해시 태그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기본 태그와는 별도로 해시 태그를 추출하며, 판매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특성 정보를 기저장된 기준 이미지의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판매 상품 이미지와 일정한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기준 이미지의 해시 태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추출한 해시 태그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앙서버(100)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삽입된 기본 태그 및 해시 태그를 분석하여 판매 대상 상품과 일정한 수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구매자를 추출하여 추출한 구매자의 구매자단말기(300)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하며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상품 구매 신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품 구매 신청을 판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에서의 게시판을 통해 판매자단말기(200)로 전송한다(S30).
S30 단계는, 중앙서버(100)가, 기본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기본 태그 또는 해시 태그와, 각각의 기본 태그 카테고리 또는 해시 태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구매자 개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며, 1 이상의 기본 태그 카테고리에 부여되어 있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판매 대상 상품과 구매자 개인 정보와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30 단계는, 중앙서버(100)가,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특정한 상품에 관한 구매 예약 신청을 수신한 경우, 구매 예약 신청에 대응하는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구매 예약 신청을 전송한 구매자단말기(300)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30 단계는, 중앙서버(100)가,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상품 판매 신청이 수신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판매자단말기(200) 및 구매자단말기(300)의 위치를 검색하며 판매자단말기(200)와 구매자단말기(300) 간의 거리가 가장 근접한 구매자단말기(300)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앙서버(100)가,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과거 거래 정보를 분석하여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도출한다(S40).
마지막으로, 중앙서버(100)가,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판매자단말기(200)로 전송하며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구매자단말기(300)로 전송하고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며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한다(S50).
S50 단계에서 중앙서버(100)가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는, 판매자 회원 또는 구매자 회원 평균 대비 판매 또는 구매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50 단계는, 중앙서버(100)가,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소유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50 단계는, 중앙서버(100)가, 판매자별 개인 블로그를 생성하며, 판매 상품 등록이 있는 경우 등록된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판매자별 개인 블로그 URL을 링크하여 두고,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서비스 홈페이지를 구매자단말기(300)로 제공하며,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링크된 판매자별 개인 블로그를 구매자단말기(300)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50 단계는, 중앙서버(100)가, 판매 대상 상품 등록 정보에 관한 공유 여부, 공유 방법 및 공유 대상 단말기 정보 선택 요청을 구매자단말기(300)로 전송하며,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공유 방법 및 공유 대상 단말기 정보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공유 대상 단말기로 판매 대상 상품 등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중앙서버
110 : 판매등록수단
120 : 태그관리수단
130 : 거래관리수단
140 : 거래정보분석수단
150 : 거래정보제공수단
200 : 판매자단말기
300 : 구매자단말기

Claims (4)

  1.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에 있어,
    웹을 통해 판매자단말기(200)로 세부 상품 분류 예시를 제공하며, 상품 판매 신청과 판매자 개인 정보를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고 판매 상품 등록을 수행하며, 웹을 통해 구매자 개인 정보를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는 판매등록수단(110)과, 특정한 판매 대상 상품에 관해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기본 태그를 기본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며 분류한 기본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결합하고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추출하여 해시 태그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결합하는 태그관리수단(120)과,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에 삽입된 기본 태그 및 해시 태그를 분석하여 판매 대상 상품과 일정한 수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구매자를 추출하여 추출한 구매자의 상기 구매자단말기(300)로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구매자단말기(300)로부터 상품 구매 신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품 구매 신청을 판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에서의 게시판을 통해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거래관리수단(130)과,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과거 거래 정보를 분석하여 판매자별 및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도출하는 거래정보분석수단(140)과,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로 전송하며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구매자단말기(300)로 전송하고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판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며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생성하여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을 포함하는 중앙서버(100);
    상품 판매 신청과 판매자 개인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하며, 상품 구매 신청을 상기 중앙서버(100)로부터 수신하고,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며, 판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판매자별 거래 정보와 판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100)로부터 제공받는 판매자단말기(200); 및
    판매 대상 상품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며, 상품 구매 신청을 상기 중앙서버(100)로 전송하고,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며, 구매자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구매자별 거래 정보와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를 상기 중앙서버(100)로부터 제공받는 구매자단말기(300);를 포함하되,
    상기 판매등록수단(110)이 상기 판매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상품 판매 신청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 판매 대상 상품의 상세 정보, 판매 대상 상품의 세부 상품 분류 및 판매 대상 상품의 기본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래관리수단(130)은, 기본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기본 태그와, 각각의 기본 태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구매자 개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며, 해시 태그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해시 태그와, 각각의 해시 태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구매자 개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래정보제공수단(150)이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온라인 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판매자별 또는 구매자별 개인 성향 정보는, 판매자 회원 또는 구매자 회원 평균 대비 판매 또는 구매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태그관리수단(120)은 판매 대상 상품 이미지로부터 해시 태그를 각각의 해시 태그 카테고리별로 1 이상씩 추출하되 해시 태그 카테고리는 기설정되어 있으며 해시 태그 카테고리 중 기본 태그 카테고리와 중복되는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기본 태그를 해시 태그로서 설정하며 기본 태그가 입력되지 않은 해시 태그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기본 태그와는 별도로 해시 태그를 추출하며, 판매 상품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특성 정보를 기저장된 기준 이미지의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판매 상품 이미지와 일정한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기준 이미지의 해시 태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추출한 해시 태그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태그관리수단(120)이 추출하는 해시 태그의 특성 정보는 특성 영역 및 특성 포인트이며, 특성 영역은, 상품 이미지의 특성에 관한 특성 포인트를 추출하는 주요 영역이며, 특성 포인트는, 상품 이미지에 있어 특성 영역의 위치, 특성 영역의 명암, 색상, 선명도, 스케일 및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태그관리수단(120)이 판매 상품 이미지에 해시 태그를 결합하는 방식은, 판매 상품 이미지인 비트맵 이미지의 일부 픽셀에 대해 픽셀 당 0.375 바이트 내지는 1 바이트 크기의 텍스트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59626A 2015-11-13 2015-11-13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626A KR101657582B1 (ko) 2015-11-13 2015-11-13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626A KR101657582B1 (ko) 2015-11-13 2015-11-13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582B1 true KR101657582B1 (ko) 2016-09-19

Family

ID=5710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626A KR101657582B1 (ko) 2015-11-13 2015-11-13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5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383A (ko) * 2000-06-03 2000-09-05 민태홍 인터넷 정보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55391A (ja) * 2008-08-28 2010-03-11 Fujifilm Corp 商品分析装置、商品提案装置、商品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95944A (ja) * 2009-10-29 2011-05-12 Sbi Holdings Inc 電子商取引管理及び電子決済一体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4164447A (ja) * 2013-02-22 2014-09-08 Ntt Data Corp レコメンド情報提供システム、レコメンド情報生成装置、レコメンド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383A (ko) * 2000-06-03 2000-09-05 민태홍 인터넷 정보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55391A (ja) * 2008-08-28 2010-03-11 Fujifilm Corp 商品分析装置、商品提案装置、商品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95944A (ja) * 2009-10-29 2011-05-12 Sbi Holdings Inc 電子商取引管理及び電子決済一体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4164447A (ja) * 2013-02-22 2014-09-08 Ntt Data Corp レコメンド情報提供システム、レコメンド情報生成装置、レコメンド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5288B2 (en) Useful and novel shopping application
KR102658873B1 (ko) 구매를 위한 증강 현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0559019B1 (en) System for centralized E-commerce overhaul
US11049176B1 (en) Systems/methods for identifying products within audio-visual content and enabling seamless purchasing of such identified products by viewers/users of the audio-visual content
JP71948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28533B2 (en) Aggregation of group of products content and providing ways to display, view, access, share and consume content
US20120265635A1 (en) Social network recommendation polling
US9818145B1 (en) Providing product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interactions
KR101657585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해시 태그 기반 상품 거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588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US116206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nline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S202200127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Garment Recommendations
KR101979237B1 (ko)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57583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32693A1 (en) Aggregation of group of products content and providing ways to display, view, access, share and consume content
KR101657589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 기반 상품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586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거래 정보 기반 개인 성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587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상품 거래 정보 기반 개인 성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30202A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홍보 방법 및 상품 판매 시스템
KR101644172B1 (ko) 고객이 구매하여 제공하는 상품 관련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에 기초한 상품 판매 방법
KR20170019394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101657582B1 (ko) 웹을 이용한 상품 이미지의 해시 태그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584B1 (ko) 웹을 이용한 해시 태그 기반 상품 거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