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689A -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689A
KR20150105689A KR1020140027552A KR20140027552A KR20150105689A KR 20150105689 A KR20150105689 A KR 20150105689A KR 1020140027552 A KR1020140027552 A KR 1020140027552A KR 20140027552 A KR20140027552 A KR 20140027552A KR 20150105689 A KR20150105689 A KR 20150105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ata
touch
bone
inspected
touch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681B1 (ko
Inventor
오윤석
윤대길
김지훈
심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681B1/ko
Priority to US14/296,845 priority patent/US20150253913A1/en
Publication of KR2015010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분리 방법은 복수의 노드에서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되는 순서로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 중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골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TOUCH SEPARATION METHOD AND TOUCH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과 같은 터치스크린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장치로서, 최근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제한된 폼팩터에서 다양한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장치로 터치스크린의 채용 비율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길고 다양한 입력 방법과 제스처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적용 비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전용량 방식은 저항막 방식에 비해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가 용이하여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폭넓게 적용된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일정한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터치 입력에 의해 정전용량 변화가 생성되는 복수의 노드가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해 정의된다. 2차원 평면에 분포하는 복수의 노드는, 터치 입력에 의해 자체 정전용량(Self-Capacitance) 또는 결합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의 변화를 생성하며, 복수의 노드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 변화에 가중 평균 계산법 등을 적용하여 터치 입력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최근 터치스크린 장치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다양한 제스쳐를 인식하기 위하여 멀티 터치가 입력될 수 있는데, 하나의 터치 그룹으로 인식되는 멀티 터치를 정밀하게 검출하기 위하여는 하나의 터치 그룹을 분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3-0078462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그룹으로 설정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로부터 터치 그룹을 분리하기 위한 골을 결정하여 하나의 터치 그룹을 적어도 2개의 터치 그룹으로 분리할 수 있는 터치 감지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노드에서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되는 순서로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 중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골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분리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은 사전에 설정되는 기준값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열되는 상기 기준값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노드 수를 사전에 설정되는 노드 수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노드 수가 상기 노드 수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해당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노드 수가 상기 노드 수 설정값 보다 큰 경우, 해당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둘러싸는 디지털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조합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드를 후보 중심 골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값 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중심 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가장 작은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과 사전에 설정되는 연산값을 비교하여, 상기 후보 중심 골 및 상기 후보 연결 골을 각각 중심 골 및 연결 골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상기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중심 골 및 상기 후보 연결 골을 각각 상기 중심 골 및 상기 연결 골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을 사전에 설정되는 데이터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은 중심 골 및 연결 골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된 경우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되지 않은 경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가 연결 골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가 연결 골이 아닌 경우,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가 연결 골인 경우,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 중 레벨이 가장 낮은 2개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과 사전에 설정되는 연산값을 비교하여, 상기 후보 연결 골을 연결 골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상기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연결 골을 상기 연결 골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노드에서의 정전용량 변화를 디지털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되는 순서로 검사하고,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의 조합의 디지털 레벨에 따라 골을 결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분리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은 사전에 설정되는 기준값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노드 수가 사전에 설정되는 노드 수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해당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조합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드를 중심 후보 중심 골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중심 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가장 작은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과 사전에 설정되는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중심 골 및 상기 후보 연결 골을 각각 중심 골 및 연결 골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골은 중심 골 및 연결 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중심 골 및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을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골은 중심 골 및 연결 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현재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가 종료된 경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드가 상기 연결 골인지 판단하고,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 중 레벨이 가장 낮은 2개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후보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사전에 설정되는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연결 골을 상기 연결 골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노드에서의 정전용량 변화를 디지털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 중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의 조합의 디지털 레벨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분리하고, 이전 프레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분리 여부에 따라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임계값을 조정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터치 그룹에서 피크 점을 검출할 필요 없이 골 부분을 검출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하나의 터치 그룹을 적어도 2개의 터치 그룹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패널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패널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분리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터치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계값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10), 입력부(120), 음성 출력을 위한 오디오부(130) 등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일체화되어 접촉 감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 같은 경우 접촉 감지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접촉 감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이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빛 투과율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접촉 감지 장치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PI(Polyimide), PMMA (Polymethylmethacrylate) 등과 같이 투명한 필름 재질의 베이스 기판에 투명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ITO(Indium-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탄소 나노 튜브(CNT, Carbon Nano Tube), 또는 그라핀(Graphene)과 같은 물질로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극을 Ag, Al, Cr, Ni, Mo, 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제조되는 도전체 세선(細線)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에는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 패턴이 배치되며, 배선 패턴은 베젤 영역에 의해 시각적으로 차폐되므로 은(Ag),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정전용량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가정하므로, 소정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정전용량 감지 회로와, 정전용량 감지 회로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연산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패널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200)는 기판(210), 기판(210)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극(220, 230)을 포함한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전극(220, 230) 각각은 배선 및 본딩 패드를 통해 기판(210)의 일단에 부착되는 회로 기판의 배선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는 컨트롤러 집적회로(제어부)가 실장되어 복수의 전극(220, 230)에서 생성되는 감지 신호를 검출하고, 그로부터 터치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20, 230)은 기판(2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에는 마름모,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의 패턴을 갖는 복수의 전극(220, 230)이 도시되었으나, 이 외에 직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형 형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전극(220, 230)은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220)과, Y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은 기판(210)의 양면에 마련되거나, 서로 다른 기판(210)에 마련되어 교차될 수 있으며, 기판(210)의 일면에 모두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의 교차 지점에 부분적으로 소정의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220, 230)이 형성되는 영역 이외에, 복수의 전극(220, 230)과 연결되는 배선이 마련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통상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되는 배선을 시각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소정의 인쇄 영역이 기판(21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20, 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는, 터치 입력에 의해 복수의 전극(220, 230)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로부터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제1 전극(220)은 컨트롤러 집적 회로에서 D1~D8로 정의되는 채널에 연결되어 소정의 구동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으며, 제2 전극(230)은 S1~S8로 정의되는 채널에 연결되어 접촉 감지 장치가 감지 신호를 검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 집적 회로는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 사이에서 생성되는 결합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 신호로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패널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패널부(200)를 Y-Z 평면으로 잘라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에서 설명한 기판(210), 복수의 감지 전극(220, 230) 이외에 접촉을 인가받는 커버 렌즈(240, Cover Len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렌즈(240)는 감지 신호 검출에 이용되는 제2 전극(230) 상에 마련되어 손가락 등의 접촉 물체(250)로부터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다.
채널 D1~D8을 통해 제1 전극(320)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 신호가 인가된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 사이에서 결합 정전용량이 생성된다. 커버 렌즈(240)에 접촉 물제(250)가 접촉 되면, 접촉 물체(250)가 접촉된 영역과 인접한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 사이에서 생성되는 결합 정전용량에서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한다.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는 접촉 물체(250)와 구동 신호가 인가된 제1 전극(220) 및 제2 전극(230) 사이의 중첩된 영역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채널 D2 및 D3에 각각 연결된 제1 전극(220)과 제2 전극(230) 사이에서 생성된 결합 정전용량이 접촉 물체(250)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패널부(310), 구동 회로부(320), 감지 회로부(330), 신호 변환부(340), 및 연산부(350)를 포함한다. 이 때, 구동 회로부(320), 감지 회로부(330), 신호 변환부(340) 및 연산부(350)는 하나의 집적 회로(IC)로 구현될 수 있다.
패널부(310)는 제1축 - 도 4의 가로 방향 -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행의 제1 전극 X1-Xm(구동 전극)과, 제1축에 교차하는 제2축 - 도 4의 세로 방향 -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열의 제2 전극 Y1-Yn(감지 전극)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극 X1-Xm과 복수의 제2 전극 Y1-Yn의 교차점에서는 정전용량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노드 커패시터 C11~Cmn는 복수의 제1 전극 X1-Xm 및 제2 전극 Y1-Yn의 교차점에서 생성되는 정전용량을 커패시터 성분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동 회로부(320)는 패널부(310)의 복수의 제1 전극 X1-Xm에 소정의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구동 신호는 소정 주기와 진폭을 갖는 구형파(Square Wave), 사인파(Sine Wave), 삼각파(Triangle Wave) 등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전극 X1-Xm 각각에 순차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도 4에는 구동 신호를 생성 및 인가하기 위한 회로가 복수의 제1 전극 X1-Xm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구동 신호 생성 회로를 구비하고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제1 전극 X1-Xm 각각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성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모든 제1 전극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거나 일부의 제1 전극에만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단순히 터치 입력의 유/무만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감지 회로부(330)는 복수의 제2 전극 Y1-Yn으로부터 노드 커패시터 C11-Cmn의 정전용량을 검출한다. 감지 회로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증폭기와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C-V 컨버터(3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C-V 컨버터(335) 각각은 복수의 제2 전극 Y1-Yn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C-V 컨버터(335)는 노드 커패시터 C11-Cmn의 정전용량을 전압 신호로 변경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복수의 C-V 컨버터(335) 각각은 정전용량을 적분하는 적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적분 회로는 정전용량을 적분하여 소정의 전압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C-V 컨버터(335)의 구성이 연산 증폭기의 반전단과 출력단에 사이에 커패시터 CF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회로 구성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도 4에서는 하나의 연산증폭기와 하나의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복수의 연산증폭기와 복수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 X1-Xm 에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경우,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정전용량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으므로, C-V 컨버터(335)는 복수의 제2 전극 Y1-Yn의 개수인 n개 만큼 구비될 수 있다.
신호 변환부(340)는 감지 회로부(34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 SD를 생성한다. 일례로, 신호 변환부(340)는 전압 형태로 감지 회로부(330)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가 소정의 기준 전압 레벨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 SD로 변환하는 TDC(Time-to-Digital Converter) 회로 또는 감지 회로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이 소정 시간 동안 변화하는 양을 측정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 SD로 변환하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350)는 디지털 신호 SD를 이용하여 패널부(310)에 인가된 접촉 입력을 판단한다. 디지털 신호 SD를 이용하여 패널부(310)에 인가된 터치 입력의 개수, 좌표, 제스처 동작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연산부(350)가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데에 기초가 되는 디지털 신호 SD는 노드 커패시터 C11~Cmn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수치화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특히 터치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와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의 정전용량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장치에서, 전도성 물체가 접촉된 영역은 접촉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에 비해 정전용량이 감소하므로, 전도성 물체가 접촉된 영역의 정전용량의 변화는 접촉되지 않은 영역에 비하여 정전용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분리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 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분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분리 방법은 연산부(350)가 디지털 신호를 획득하는 것으로 시작된다(S505). 디지털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구동 회로부(320)가 복수의 제1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구동 신호가 인가된 제1 전극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감지 회로부(330)가 정전용량을 검출할 수 있다. 감지 회로부(330)는 적분 회로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며, 감지 회로부(330)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는 신호 변환부(340)에 의해 디지털 신호 SD로 변환된다. 연산부(350)는 디지털 신호 SD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분리하고, 분리된 터치 입력으로부터 터치 입력의 개수, 좌표, 제스처 동작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디지털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의 복수의 제1 전극 X1-Xm과 복수의 제2 전극 Y1-Yn 이 각각 18개, 10개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디지털 신호는 복수의 제1 전극 X1-X18과 복수의 제2 전극 Y1-Y10이 교차하는 각각의 노드에서의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350)는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S510). 터치 그룹은 최초에 하나의 단일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되는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터치 그룹에는 사전에 설정되는 기준값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는데, 하나의 터치 그룹에는 기준값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이란 유효한 터치와 노이즈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값이 100으로 설정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2 터치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연산부(350)는 설정된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노드 수를 사전에 설정되는 노드 수 설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S515). 연산부(350)는 터치 그룹에 대응하는 노드 수를 노드 수 설정값과 비교하는데, 노드 수 설정값이 큰 경우에 터치 그룹이 충분히 작은 것으로 판단하여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다만, 노드 수 설정값 보다 터치 그룹의 노드 수가 큰 경우 터치 그룹이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큰 것으로 판단하여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할 수 있다. 이 때, 연산부(350)가 비교하는 터치 그룹의 노드 수는 터치 그룹 전체에 포함되는 노드 수, 터치 그룹의 최단 거리, 최장 거리, 가로, 세로를 정의하는 노드 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전에 설정되는 노드 수 설정값이 10이고, 연산부(350)가 터치 그룹의 전체에 포함되는 노드 수를 노드 수 설정값과 비교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연산부(350)는 도 8의 제2 터치 그룹의 노드 수 5는 노드 수 설정값 10보다 작으므로 제2 터치 그룹은 단일 터치로 판단하여,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고, 제1 터치 그룹의 노드 수 21은 노드 수 설정값 10보다 크므로 제1 터치 그룹을 분리하기 위해 제1 터치 그룹의 각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할 수 있다.
연산부(350)는 터치 그룹 내의 모든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되는 순서로 검사하는데(S520),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골(Valley)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골은 중심 골 및 연결 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연산부(350)는 터치 그룹 내에서 피크치를 찾는 것이 아닌 골을 검출하고, 골에 따라 터치 그룹을 분리할 수 있다.
주변 디지털 데이터란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둘러싸는 디지털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도 8의 노드 (X7, Y3)의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 대상인 경우, 노드 (X7, Y3)을 둘러싸는 8개의 노드의 디지털 데이터가 주변 디지털 데이터일 수 있다.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를 하나의 조합으로 정의하는 경우, 연산부(350)는 각 조합의 디지털 레벨을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값과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임계값 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S525).
상기 임계값은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는데(제1 임계값>제2 임계값), 이 때, 연산부(350)는 어느 하나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제2 임계값 보다 크고, 어느 하나의 디지털 데이터가 제1 임계값 보다 큰 지 판단할 수 있다.
.
마주보는 주변 디지털 데이터란,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노드를 중심으로 할 때, 대칭(가로 방향, 세로 방향,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노드의 디지털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7에서 노드(X7, Y3)이 검사 대상인 경우, 연산부(350)는 노드 (X6, Y2) 및 (X8, Y4)의 제1 조합, 노드 (X7, Y2) 및 (X7, Y4)의 제2 조합, 노드 (X8, Y2) 및 (X6, Y4)의 제1 조합, 노드 (X6, Y3) 및 (X8, Y3)의 제4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모든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어느 하나라도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드를 후보 중심 골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검사 대상의 디지털 데이터가 후보 중심 골으로 판단되지 않는 경우, 연산부(350)는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하기 위하여 S555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데, S555 단계에 관하여는 이 후 상술하도록 한다.
비교 결과, 어느 하나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연산부(350)는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드를 후보 중심 골로 판단할 수 있다(S530).
일예로, 임계값이 1000으로 설정되는 경우, 도 8의 제4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1279, 1100이 모두 임계값 1000 보다 크므로,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 886에 대응하는 노드 (X7, Y3)를 후보 중심 골로 판단할 수 있다.
후보 중심 골이 결정된 경우, 연산부(350)는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가장 작은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합에 대응하는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판단하고(S535), 이 후,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을 사전에 설정된 연산값과 비교할 수 있다(S540).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사전에 설정된 연산값 보다 큰 경우 S555 단계가 실행되고,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사전에 설정된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후보 중심 골 및 후보 연결 골을 각각 중심 골 및 연결 골로 결정할 수 있다(S545).
상술한 도 8의 예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가장 작은 조합은 노드 (X6, Y2) 및 (X8, Y4)의 제1 조합인데, 제1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은 945로써 설정값 1000보다 작으므로 연산부(350)는 후보 중심 골 및 후보 연결 골을 각각 중심 골 및 연결 골로 결정할 수 있다.
연산부(350)는 중심 골과 연결 골이 결정된 경우, 중심 골과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 값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S550),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 값이 0인 경우 도 8은 도 9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이 후, 연산부(350)는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하기 위하여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55),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된 경우 터치 분리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되지 않은 경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의 노드가 연결 골인지를 판단하는데(S560), 연결 골이 아닌 경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검사할 수 있다(S565).
다만,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의 노드가 연결 골인 경우, 연결 골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 중 레벨이 가장 낮은 2개의 디지털 데이터의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선택할 수 있다(S570). 예를 들어, 도 9에서 노드 (X8, Y4)가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검사 대상인 경우, 노드 (X8, Y4)는 연결 골이므로 연산부(350)는 연결 골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 중 가장 레벨이 낮은 2개의 디지털 데이터 0, 60에 대응하는 노드 (X7, Y3) 및 (X8, Y5)를 후보 연결 골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연산부(350)는 전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후보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을 사전에 설정된 연산값과 비교할 수 있다(S575). 비교 결과 후보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연산값 보다 큰 경우 S555 단계를 실행하고, 위와 달리 후보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후보 연결 골을 연결 골로 결정한 후(S580),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S585). 예를 들어, 도 9에서 노드 (X7, Y3) 및 (X8, Y5)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은 60으로 사전에 설정된 연산값 1000보다 작으므로, 노드 (X7, Y3) 및 (X8, Y5)을 연결 골로 결정하고, 결정된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 값인 0으로 변경하는 경우(S585), 도 9는 도 10와 같이 변형 될 수 있다. 이어서, 연산부(350) 현재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후 순위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하기 위하여 S555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제1 터치 그룹이 2개의 그룹으로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연산부(350)는 분리된 터치 그룹에 따라 터치 입력의 개수, 좌표, 제스처 동작 등을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계값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연산부(350)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의 모든 교차 노드에서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한 번 획득함으로써, 연속적인 프레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련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는 일정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전 프레임에서의 터치 그룹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현재 프레임에서의 임계값을 조정할 수 있다.
연산부(350)는 이전 프레임에서 현재 프레임의 검사 대상이 되는 터치 그룹이 분리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10). 현재 프레임에서 검사 대상이 되는 터치 그룹이 이전 프레임에서 적어도 2개의 그룹으로 분리된 경우, 연산부(350)는 현재 프레임의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값을 이전 프레임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S1120). 다만, 현재 프레임에서 검사 대상이 되는 터치 그룹이 이전 프레임에서 하나의 터치 그룹으로 유지된 경우 연산부(350)는 현재 프레임의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값을 이전 프레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S1130).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10: 패널부
320: 구동 회로부
330: 감지 회로부
340: 신호 변환부
350: 연산부

Claims (33)

  1. 복수의 노드에서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른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되는 순서로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 중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골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분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은 사전에 설정되는 기준값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터치 분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열되는 상기 기준값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터치 분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노드 수를 사전에 설정되는 노드 수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분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노드 수가 상기 노드 수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해당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하지 않는 터치 분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노드 수가 상기 노드 수 설정값 보다 큰 경우, 해당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하는 터치 분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지털 데이터는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둘러싸는 디지털 데이터인 터치 분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조합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드를 후보 중심 골로 결정하는 터치 분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값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터치 분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중심 골로 판단하는 터치 분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가장 작은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판단하는 터치 분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과 사전에 설정되는 연산값을 비교하여, 상기 후보 중심 골 및 상기 후보 연결 골을 각각 중심 골 및 연결 골로 결정하는 터치 분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골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상기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중심 골 및 상기 후보 연결 골을 각각 상기 중심 골 및 상기 연결 골로 결정하는 터치 분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을 사전에 설정되는 데이터 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분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골은 중심 골 및 연결 골을 포함하는 터치 분리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현재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치 분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된 경우 알고리즘을 종료하는 터치 분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모든 디지털 데이터가 검사되지 않은 경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가 연결 골인지 판단하는 터치 분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가 연결 골이 아닌 경우,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하는 터치 분리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가 연결 골인 경우,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 중 레벨이 가장 낮은 2개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선택하는 터치 분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과 사전에 설정되는 연산값을 비교하여, 상기 후보 연결 골을 연결 골로 결정하는 터치 분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상기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연결 골을 상기 연결 골로 결정하는 터치 분리 방법.
  23. 복수의 노드에서의 정전용량 변화를 디지털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되는 순서로 검사하고,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의 조합의 디지털 레벨에 따라 골을 결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분리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은 사전에 설정되는 기준값 이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노드 수가 사전에 설정되는 노드 수 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해당 터치 그룹에 포함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검사하지 않는 터치스크린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조합에 따라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드를 중심 후보 중심 골로 결정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 모두가 사전에 설정되는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중심 골로 판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4개의 조합 중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가장 작은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판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조합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과 사전에 설정되는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중심 골 및 상기 후보 연결 골을 각각 중심 골 및 연결 골로 결정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골은 중심 골 및 연결 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중심 골 및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을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 값으로 변경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골은 중심 골 및 연결 골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현재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검사가 종료된 경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드가 상기 연결 골인지 판단하고, 상기 후 순위의 디지털 데이터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 중 레벨이 가장 낮은 2개의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하는 노드를 후보 연결 골로 선택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후보 연결 골의 디지털 데이터의 합이 사전에 설정되는 연산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후보 연결 골을 상기 연결 골로 결정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33. 복수의 노드에서의 정전용량 변화를 디지털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터치 입력을 판단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의 레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디지털 데이터 중 검사 대상이 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주변 디지털 데이터의 조합의 디지털 레벨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을 분리하고, 이전 프레임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그룹의 분리 여부에 따라 현재 프레임에서 상기 임계값을 조정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20140027552A 2014-03-10 2014-03-10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101565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552A KR101565681B1 (ko) 2014-03-10 2014-03-10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
US14/296,845 US20150253913A1 (en) 2014-03-10 2014-06-05 Touch separation and touchscree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552A KR101565681B1 (ko) 2014-03-10 2014-03-10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689A true KR20150105689A (ko) 2015-09-18
KR101565681B1 KR101565681B1 (ko) 2015-11-03

Family

ID=5401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552A KR101565681B1 (ko) 2014-03-10 2014-03-10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53913A1 (ko)
KR (1) KR101565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351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WO2020171607A1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도 변화에 따른 오류 터치를 방지하는 터치 회로, 터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7546B2 (en) * 2014-06-30 2018-05-22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Determining finger separation through groove analysis in a touch scree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156B2 (ja) * 1988-03-07 1998-01-26 ソニ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1134069A (ja) 2009-12-24 2011-07-07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KR101339570B1 (ko) 2012-05-30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감지 방법 및 장치
US20130328617A1 (en) * 2012-06-11 2013-12-12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thereof
US9811214B2 (en) * 2013-03-15 2017-11-07 Tactual Labs Co. Fast multi-touch noise redu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351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WO2020171607A1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도 변화에 따른 오류 터치를 방지하는 터치 회로, 터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662859B2 (en) 2019-02-19 202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circuit for preventing erroneous touch due to temperature chang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ouch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53913A1 (en) 2015-09-10
KR101565681B1 (ko)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570B1 (ko) 터치 감지 방법 및 장치
US20140168171A1 (en)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KR101444549B1 (ko) 터치 감지 방법 및 터치 감지 장치
US20150153870A1 (en) Touchscreen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KR101367677B1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
KR101565681B1 (ko) 터치 분리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20150103455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US9465493B2 (en) Touchscreen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KR101525674B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50268750A1 (en) Touchscreen appa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KR20150062714A (ko) 터치스크린 장치
KR20150107337A (ko) 터치 감지 방법 및 터치스크린 장치
US20140327647A1 (en) Touchscreen device, method for sensing touch input and method for generating driving signal
KR101504031B1 (ko) 터치스크린 장치
KR20160022583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KR20150104784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KR20150006328A (ko) 터치스크린 장치
KR20150121484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KR20160067670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KR20160025802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KR20150057651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134273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KR20160084625A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
KR20160072690A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
KR20150057652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