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17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보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보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173A
KR20150105173A KR1020140125833A KR20140125833A KR20150105173A KR 20150105173 A KR20150105173 A KR 20150105173A KR 1020140125833 A KR1020140125833 A KR 1020140125833A KR 20140125833 A KR20140125833 A KR 20140125833A KR 20150105173 A KR20150105173 A KR 20150105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in
modem
mhz
iip2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973B1 (ko
Inventor
이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639,344 priority Critical patent/US9461756B2/en
Publication of KR2015010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4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of other parameters, e.g. DC offset, delay or propagation ti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4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the who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e.g. self-test loop-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모뎀과, 상기 모뎀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체인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모뎀으로 전달하는 수신 체인과, 포락선 검파기와,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온오프 하기 위한 스위치를 통해 상기 송신 체인의 출력단과 상기 수신 체인의 출력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락선 검파기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모뎀을 통해 1MHz의 원 톤 신호를 상기 송신 체인으로 입력하여 상기 송신 체인의 디씨 옵셋 전압 및 I 신호와 Q 신호의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오프하고 상기 수신 체인을 통해 상기 모뎀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조정하여 IIP2(second order input intercept point) 특성값을 보정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보정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ECOND ORDER INPUT INTERCEPT POINT CALIBR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IIP2(second order input intercept point)를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3GPP 규격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은 30개 이상으로 690MHz에서 2.7GHz까지 다양하게 구성된다. 또한 4세대 무선 통신 규격인 LTE(Long Term Evolution)기술은 3GPP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왜곡 없이 송수신하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LTE를 지원하는 단말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기존의 2G와 3G 모드의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각 모드 간의 핸드오버도 자유로워야 한다. 또한 하나의 단말로 여러 국가의 사업자와 연동되어 통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현재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은 기본적으로 MMMB(Multi Mode Multi Band) 기능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통신 단말이 다양한 모드와 다양한 밴드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RF(Radio Frequency) 프론트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이하 FEM) 의 부품들이 각 주파수 대역마다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단말의 하드웨어의 복잡성으로 이어지며, 또한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FEM 부품들을 간소화 하거나 광대역으로 구현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한편, 단말의 수신단에 사용되는 SAW 필터(saw filter)는 수신 밴드 이외의 송신 출력 누설 신호나 간섭 신호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SAW 필터를 사용하면 수신 감도(sensitivity)를 최대한 열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의 복잡성 등의 문제로 모든 수신단의 주파수 밴드에서 SAW 필터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현재의 단말에서는 듀플렉서(duplexer) 이외의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런데 수신단에서 SAW 필터(saw filter) 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송신 누설 신호(TX leakage)의 IMD2(intermodulation distortion 2) 성분이 수신단의 기저대역으로 주파수 하향 변환(down conversion)되고 이로 인하여 수신단의 NF(noise figure) 성능이 열화된다. 따라서 최대한 송신 누설 신호로 인한 IMD2 성분이 작아야 하며, 이는 IIP2가 가능한 한 커야 함을 의미한다. IMD2 성분으로 인한 IIP2 는 회로의 비선형성과 미스매치(mismatch)에 의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그 크기는 주파수 별, 샘플 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신단에서 IIP2 성분을 효율적으로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보정을 수행하는 장치는, 모뎀과, 상기 모뎀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체인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모뎀으로 전달하는 수신 체인과, 포락선 검파기와,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온오프 하기 위한 스위치를 통해 상기 송신 체인의 출력단과 상기 수신 체인의 출력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락선 검파기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모뎀을 통해 1MHz의 원 톤 신호를 상기 송신 체인으로 입력하여 상기 송신 체인의 디씨 옵셋 전압 및 I 신호와 Q 신호의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오프하고 상기 수신 체인을 통해 상기 모뎀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조정하여 IIP2(second order input intercept point) 특성값을 보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모뎀을 통해 1MHz의 사인파 신호를 상기 단말의 송신 체인으로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체인과 수신 체인을 연결하는 포락선 검파기를 온 하고 상기 송신 체인의 디씨 옵셋 전압(DC offset voltage) 및 I 신호와 Q 신호의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오프하고 상기 수신 체인을 통해 상기 모뎀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조정하여 IIP2(second order input intercept point) 특성값을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내의 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IIP2가 RX sensitivity 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RFIC 송신체인의 IQ 부정합 보정과 DC 옵셋 보정 장치 및 보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RFIC 수신체인의 IIP2 보정 장치 및 보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C 보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IIP2와 RX sensitivity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내의 송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신기(100)는 송신 신호에 대한 주파수 상향 변환, 필터링 등을 처리하는 송신 체인(110),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120), 안테나(130), 듀플렉서(duplexer)(140), 수신 신호에 대한 주파수 하향 변환, 필터링 등을 처리하는 수신 체인(150), 송수신체인 연결부(170), 그리고 모뎀(1260)을 포함한다.
송신 체인(110)은 베이스밴드 회로(111),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믹서(112)와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113), 그리고 증폭기(114)를 포함한다. 수신 체인(150)은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151), 주파수 하향 변환을 위해 RF(Radio Frequency) 신호와 국부 발진(Local Oscillation : LO) 신호의 주파수 합성을 수행하는 믹서(152), 국부 발진 신호를 발생시키는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153), 베이스밴드 회로(154)를 포함한다. 믹서(152)는 안테나(130)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 대역의 RF 신호를 입력 받아 국부 발진 신호와 합성하여 저주파 대역의 기저대역(baseband: BB)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을 수행한다. 믹서(152)의 이득(gain), 잡음, 선형성(linearity), 그리고 전력 소모 등은 믹서(152)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들이다. 그리고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시스템과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같이 송신 체인(110)과 수신 체인(150)이 함께 동작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er) 시스템 경우, 듀플렉서(duplexer)(140)를 통해 송신 체인(110)으로부터 수신 체인(150)으로 유입되는 송신 누설신호(TX Leakage)에 의한 혼변조(intermodulation: IM)의 영향은 믹서(152)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들 중 하나로 고려된다.
한편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송수신기는 송신 누설신호(TX Leakage)를 제거하기 위해 저잡음 증폭기(151)와 믹서(152) 사이에 표면 탄성파 필터인 SAW 필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SAW 필터를 사용하는 기존 수신기는 외부 소자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최근 수신기에서는 SAW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능동 스위칭 믹서(active switching mixer)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고, 3차 비선형성(3rd-order nonlinearity) 관점에서 높은 선형성을 갖는 수동 스위칭 믹서(passive switching mixer)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수동 스위칭 믹서는 직류(DC)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플리커 노이즈(flicker noise)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 그러나 수동 스위칭 믹서 자체의 2차 비선형성(2nd-order nonlinearity) 또는 IIP2(second-order input intercept point) 특성은 수신기에서 주파수 하향 변환기의 부정합 인자(mismatch factor)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수신 감도 열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IIP2 특성에 대해 설명하면, IIP2 특성은 회로의 선형성을 나타내는 인자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주파수 차이를 갖는 채널 간의 간섭 또는 신호 대역 내의 신호들이 상호 간섭하여 수신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으며, IIP2 특성은 수신 신호의 왜곡을 발생시키는 요인들 중 2차 상호 변조(IM2)에 의한 왜곡 양과, 입력 주파수의 증폭 양과의 관계를 통해 회로의 선형성을 나타내도록 정의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기에서 수신 신호의 전력이 계속 증가되면, IM2 왜곡 신호의 전력도 급격한 기울기로 증가되며, 수신 신호와 IM2 왜곡 신호가 교차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 점을 수신기의 입력 단에서 바라본 것을 IIP2라 정의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높은 선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IIP2 특성이 높아야 하며, 이는 IM2 왜곡이 최소화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는 상기 IIP2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이 높은 값을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믹서에서 상기 IIP2 특성을 결정짓는 상기 IM2의 원인은 크게 다음과 같은 3 가지 성분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트랜지스터(transistor)들로 구성된 믹서 자체의 사이즈나 그 사이즈에 따른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 VTH) 부정합(mismatch)에 의한 성분이고, 둘째는 RF 입력과 LO의 입력 간의 서로 다른 누설 신호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한 성분이며, 셋째는 LO 신호의 경로 또는 LO AC 커플링(AC-coupling)의 부정합에 의한 성분이다. 따라서 IIP2 특성을 최적화 하기 위해서 믹서의 사이즈를 크게 설계하거나, 믹서의 레이아웃 대칭성(layout symmetry)과 정합(matching)을 개선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SAW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처리, 전압, 온도(process, voltage, temperature)(PVT) 변화에 대해 안정적인 IIP2 특성을 얻기 위한 다양한 IIP2 특성 보정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도 2는 IIP2가 RX sensitivity 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IP2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RX sensitivity 열화는 나타나지 않으며, IIP2가 55dBm 이하가 되면 RX sensitivity가 서서히 열화된다. 따라서 IIP2가 최소 57dBm 이상이면 0.5dB 이내의 RX sensitivity 열화를 가져 오므로 수신단의 SAW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RF FEM 회로(RF IC) 중에는 IIP2 calibration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calibration 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0.5dB 이내의 RX sensitivity 열화만 있을 정도의 IIP2 성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듀플렉서의 송수신 격리(TX to RX isolation) 특성이 좋을 수록 TX leakage 양이 작아져서 IIP2 사양이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향후 개발되는 단말에서는 여러 개의 주파수 밴드를 지원해야 하며, 이때 듀플렉서 등의 FEM 이 튜너블(tunable) 소자로 대체 될 수 있으므로 TX to RX isolation 특성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RF IC에서의 IIP2 calibration 필요성이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IIP2 calibration 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투톤(2 tone)의 RF 주파수 대역에서의 사인파(sine wave)를 LNA(Low Noise Amplifier) 입력단에 인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단말 제조 라인에서 투톤의 사인파를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 장비를 이용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말의 모뎀에서 투톤의 사인파를 생성하여 RFIC 로 인가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뎀의 하드웨어를 수정해야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실시간으로 IIP2 성분을 측정하여 보상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주어진 환경 (주파수, 온도, 신호 세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는 장접이 있으나, 보상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고 모뎀과 RFIC에 별도의 보상 회로들을 추가해야 하므로 IC 칩의 크기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의 수정을 최소화하면서 IIP2 보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RFIC의 송신체인에서 수행하는 부정합 보정을 수신체인의 IIP2 보정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송신체인에서 수행하는 IQ 부정합 보정과 DC 옵셋 부정합 보정에 대해 설명한다.
RFIC 는 공정상 발생하는 부정합으로 인하여 보정을 해야 하는 항목들이 있으며, 송신체인의 경우에는 IQ 부정합 보정과 DC 옵셋 보정(또는 반송파 누설 보정)을 수행해야 한다.
반송파 누설(Carrier leakage)은 RFIC의 송신체인의 DC 옵셋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데, DC 옵셋 전압이 클수록 RFIC 송신체인의 출력단에서의 LO 누설 양이 커진다. 따라서 DC 옵셋 보정을 위해 모뎀의 DAC 출력단으로부터 1MHz의 1 톤 사인파(sine wave) 신호를 RFIC의 송신체인의 입력단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RFIC의 송수신체인 연결부(170)의 포락선 검파기(envelop detector)를 온 한다. envelop detector는 LO 누설 양에 비례하여 1MHz 의 사인파를 RFIC의 수신체인의 출력단으로 내보내며 모뎀(160)에서 FFT가 적용된다. RFIC 제조 과정에서 이러한 동작을 반복(iteration)하여 최종 출력되는 신호가 최소값이 되도록 하는 RFIC DC offset 값을 찾는다.
또한 RFIC 송신체인의 I 채널 경로와 Q 채널 경로의 부정합으로 인하여 반송파 주파수-1MHz에서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를 IQ 부정합이라 한다. IQ 부정합 보정을 위해 envelop detector는 RFIC 송신 체인의 출력단에서의 이미지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2MHz 크기의 사인파를 RFIC의 수신 체인의 출력단으로 내보내고 모뎀에서 FFT를 통하여 이미지 신호의 크기가 최소가 되도록 보정 작업을 수행한다.
도 3은 RFIC 송신체인의 IQ 부정합 보정과 DC 옵셋 보정 장치 및 보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정을 위해 envelop detector가 온 되고 이에 따라 송신 체인(110)의 출력단 신호가 수신 체인(150)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보정을 위해 모뎀(160)의 출력단인 A 지점에서 RFIC로 1MHz의 사인파 신호(310)를 인가한다. 그러면 송신체인(110)의 출력단인 B 지점에서는 송신 체인(110)의 DC 옵셋으로 인하여 LO 신호가 누설되어 출력되는 신호(Fo, 311)와 함께 원하는 신호인 Fo+1MHz 신호(315), 그리고 송신 체인(110)의 IQ 부정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미지 신호인 Fo-1MHz 신호(313)가 출력된다. 따라서 원하는 신호인 Fo+1MHz 신호(315)를 제외한 신호들은 제거해야 한다. 특히, Fo 신호(311)는 DC 옵셋 보정을 통해 제거해야 하고 Fo-1MHz 신호(313)는 IQ 보정을 통해 제거해야 한다.
또한 envelop detector가 온 된 상태이므로 1MHz 의 사인파는 LO 누설 양에 비례하여 RFIC의 수신체인(150)의 출력단인 D 지점으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D 지점에서는 1MHz의 신호(317)가 출력되어 모뎀(160)으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모뎀(160)에서는 317의 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송신 체인(110)의 DC 옵셋 값을 조정한다.
또한 1MHz 의 사인파(300) 신호는 송신 체인(110)의 출력단의 이미지 신호(313)의 크기에 비례하여, envelop detector를 통해 RFIC의 수신 체인(150)의 출력단으로 전달되며, D 지점에서 원하는 신호(313)와 이미지 신호(315)의 차이인 2MHz의 사인파 신호(319)가 출력되어 모뎀(160)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모뎀(160)에서는 이미지 신호(319)가 최소가 되도록 I 신호와 Q 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조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면 보정후의 B 지점에서는 신호가 321,323,325와 같이 출력되고, D 지점에서는 신호가 327,329와 같이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C 수신 체인의 IIP2 보정은 상술한 송신 체인의 보정 방법 및 회로를 이용한다. 즉, 송신 체인의 IQ 부정합 보정과 DC 옵셋 보정이 완료되면 envelop detector를 오프시키고 송신 체인의 베이스밴드 회로의 I 경로와 Q 경로 중 하나를 오프 시킨다. 이때 여전히 모뎀은 1MHz 사인파 신호를 RFIC에 인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IQ 경로가 부정합 되어 B 지점의 이미지 신호는 원하는 신호와 같은 크기가 된다. 따라서 1 MHz 사인파의 원톤 신호만으로 RFIC 송신 체인의 출력단에서 2MHz의 투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투톤 신호가 PAM과 FEMID를 거쳐서 RFIC의 수신 체인의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2MHz의 사인파 신호가 RFIC의 수신 체인의 출력단으로부터 모뎀으로 인가되어 FFT를 통해 2MHz 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IIP2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RFIC 수신체인의 IIP2 보정 장치 및 보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정을 위해 송신 체인(110)의 IQ 부정합 보정과 DC 옵셋 보정이 완료되면 스위치를 통해 envelop detector를 오프시키고 송신 체인(110)의 베이스밴드 회로(111)의 I 경로와 Q 경로 중 하나를 오프 시킨다. 그러면 IQ 경로 부정합으로 인해 모뎀(160)에서 A 지점으로 인가되는 1MHz 사인파 신호(300)는 송신 체인(110)을 통과한 후 B 지점에서 411,413,415와 같이 나타난다. 즉, 이미지 신호(413)는 원하는 신호(415)와 같은 크기가 된다. 이와 같이 IQ 경로 부정합에 따라 1 MHz 사인파(300)의 원톤 신호만으로 RFIC 송신 체인의 출력단에서 2MHz의 투톤 신호(413,415)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투톤 신호가 PAM(120)과 FEMID(130)를 거쳐서 RFIC의 수신 체인(150)의 입력단으로 인가된다. 즉, C 지점에서 411a, 413a, 415a와 같은 신호가 수신 체인(150)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2MHz의 사인파 신호(413a, 415a)는 RFIC의 수신 체인(150)을 거쳐서 D 지점에서 419와 같은 신호로 출력된다. 최종적으로 모뎀(160)에서는 2MHz 신호(419)가 최소가 되도록 IIP2 파라미터 값을 조정하며, 따라서 보정을 수행한 후의 D 지점에서의 신호는 429와 같이 나타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C 보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정을 위해 RFIC로 1MHz의 사인파 신호를 인가한다(501). 그리고 송신 체인의 보정을 위해 envelop detector(ED)를 온 하고 송신 체인의 베이스밴드 회로의 I 경로와 Q 경로를 모두 온 한다(503). 그리고 수신 체인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1MHz의 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DC 옵셋 값을 조정한다(505). 다음, IQ 부정합 보정을 위해 이미지 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I 신호와 Q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정한다(507). 이렇게 송신 체인의 보정이 완료되면 수신 체인의 보정을 위해 ED를 오프시키고 송신 체인의 베이스밴드 회로의 I 경로와 Q 경로 중 하나를 오프 시킨다(509). 그리고 RFIC의 수신 체인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2MHz 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IIP2 특성값을 조정한다(51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뎀 - RFIC - PAM - FEMID 로 이어지는 단말의 송신장치에서의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의 누설 신호 경로를 이용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송신 신호 누설로 인해 발생하는 IMD2 성분과 이에 의한 수신 감도 열화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IIP2 보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송신기에서 수행되는 DC 옵셋 보정 및 IQ 부정합 보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신기의 IIP2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구현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IIP2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단말 제조 공정 단계에서 보정을 수행하여 보상값을 메모리에 저장해 놓기 때문에 보정을 위한 별도의 시간과 회로 없이도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보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뎀과,
    상기 모뎀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 체인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모뎀으로 전달하는 수신 체인과,
    포락선 검파기와,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온오프 하기 위한 스위치를 통해 상기 송신 체인의 출력단과 상기 수신 체인의 출력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락선 검파기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모뎀을 통해 1MHz의 원 톤 신호를 상기 송신 체인으로 입력하여 상기 송신 체인의 디씨 옵셋 전압 및 I 신호와 Q 신호의 보정을 수행하고,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오프하고 상기 수신 체인을 통해 상기 모뎀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조정하여 IIP2(second order input intercept point) 특성값을 보정하는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오프하고 상기 송신 체인의 I 신호와 Q 신호 중 하나를 오프하여 상기 1MHz의 원 톤 신호로부터 2MHz의 투 톤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MHz의 투 톤 신호가 상기 송신체인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수신체인의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보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체인을 통해 상기 모뎀으로 입력되는 2MHz 신호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IIP2 특성값을 조정하는 보정 장치.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보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뎀을 통해 1MHz의 사인파 신호를 상기 단말의 송신 체인으로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체인과 수신 체인을 연결하는 포락선 검파기를 온 하고 상기 송신 체인의 디씨 옵셋 전압 및 I 신호와 Q 신호의 보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오프하고 상기 수신 체인을 통해 상기 모뎀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조정하여 IIP2(second order input intercept point) 특성값을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보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IP2 특성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포락선 검파기를 오프하고 상기 송신 체인의 I 신호와 Q 신호 중 하나를 오프하여 상기 1MHz의 원 톤 신호로부터 2MHz의 투 톤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보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IP2 특성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2MHz의 투 톤 신호가 상기 송신체인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수신체인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보정 방법.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IP2 특성값을 보정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체인을 통해 상기 모뎀으로 입력되는 2MHz 신호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IIP2 특성값을 조정하는 보정 방법.
KR1020140125833A 2014-03-06 2014-09-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215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39,344 US9461756B2 (en) 2014-03-06 2015-03-05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48891P 2014-03-06 2014-03-06
US61/948,891 2014-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173A true KR20150105173A (ko) 2015-09-16
KR102159973B1 KR102159973B1 (ko) 2020-09-28

Family

ID=5424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833A KR102159973B1 (ko) 2014-03-06 2014-09-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보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4305B2 (en) 2017-01-17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nsceiver performance by switching between a coupler path and receive pat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5798A (ja) * 2012-04-23 201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Dcオフセット除去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5798A (ja) * 2012-04-23 201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Dcオフセット除去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4305B2 (en) 2017-01-17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nsceiver performance by switching between a coupler path and receive pa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973B1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57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inconvenient power amplifier load characteristics in an envelope tracking based system
US9178559B2 (en) Method and system of calibration of a second order intermodulation intercept point of a radio transceiver
US933866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therefor
JP6352330B2 (ja) テスト信号生成のための再構成可能な受信機回路
US9479203B2 (en) Transceiver capable of IQ mismatch compensation on the fly and method thereof
US2013024280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374127B2 (en) Balancing method of tunable duplexer
US9461756B2 (en)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18285B2 (en) Compensation of a transmitter distortion
KR20130058293A (ko) 고주파 수신기
JP5732373B2 (ja) 高周波信号処理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20113946A1 (en) I/q imbalance compensation
US20140376420A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using training signal injected to transmission path for transmission noise suppression/cancellation and related method thereof
CN108141241B (zh) 收发器设备
JP2017532861A (ja) オンチップの直線性較正
KR10215997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보정 방법 및 장치
US8995569B2 (en) Quadrature digital-IF transmitter without inter-stage SAW filter and devices using same
US10659098B2 (en) Duplexing apparatus, transceiver apparatus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signal leakage
del Rio et al. A wideband millimeter-wave up-conversion mixer for future backhaul e-band point-to-point links with a 0dbm 1-db compression point
US20240106463A1 (en) Intermediate frequency filter for millimeter-wave carrier aggregation
EP2779561A1 (en) Estimation and reduction of second order distortion in real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