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148A -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148A
KR20150105148A KR1020140027425A KR20140027425A KR20150105148A KR 20150105148 A KR20150105148 A KR 20150105148A KR 1020140027425 A KR1020140027425 A KR 1020140027425A KR 20140027425 A KR20140027425 A KR 20140027425A KR 20150105148 A KR20150105148 A KR 20150105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account
remitter
information
financial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648B1 (ko
Inventor
박민수
양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핑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핑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핑거
Priority to KR102014002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트라스트 뱅킹 방법이 개시된다. 그 트라스트 뱅킹 방법은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수취인 휴대 단말이 이체요청 메시지를 금융기관 서버에 전송하면,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수취인의 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계좌등록 메시지를,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은 트라스트 뱅킹 앱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동의를 요구하는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포함한 이체신청을 상기 금융기관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로부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상기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ust banking}
본 발명은 네트워크 뱅킹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체거래가 이루어질 때 이체 프로세스에 있어서 안정성과 보안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이체 프로세스를 위한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과 인프라의 발전에 따라 무선단말은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에 현대 생활의 필수요소인 금융거래 역시 무선단말을 이용한 방식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무선 단말을 이용한 금융거래는 복잡한 정보 입력과 보안처리로 인해 사용 상에 많은 불편함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빈번하게 있다.
한편, 온라인 뱅킹은 이용자가 자신의 휴대폰 등의 단말을 이용하여 은행 등 금융기관의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좌 거래 사실을 조회하거나 타인의 계좌로 송금하는 것으로 이용자가 직접 은행에 가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과 이체 수수료의 저렴함으로 인하여 그 이용이 확산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 단말 간 금융거래 방법은 공개번호 2009-000787 (가상계좌를 이용한 무선단말 간 금융거래 방법 및 시스템 파이를 위한 기록매체)등에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이체거래가 이루어질 때 이체 프로세스에 있어서 안정성과 보안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이체 프로세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이체거래가 이루어질 때 이체 프로세스에 있어서 안정성과 보안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이체 프로세스를 위한,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트라스트 뱅킹 방법은, (a)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수취인 휴대 단말이 이체요청 메시지를 금융기관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수취인의 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계좌등록 메시지를,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은 트라스트 뱅킹 앱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동의를 요구하는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포함한 이체신청을 상기 금융기관에게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로부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상기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의 수취인의 계좌등록 메시지는 상기 금융기관서버에게 수취인의 계좌 등록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는 가상계좌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트라스트 뱅킹 앱은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에 기반하여 송금인을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송금인이 선택되면 입금계좌로서 수취인 본인계좌 또는 가상계좌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입금계좌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입금계좌 정보가 포함된 이체요청 메시지를 금융기관 서버의 알림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알림서버는 SMS, SNS 또는 푸시를 이용하여 송금인 휴대 단말로 상기 수취인의 이체요청과 입금계좌 정보를 송금인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송금인 휴대단말은 SMS, SNS 또는 푸시 알림을 통해 수취인의 이체요청과 입금계좌 정보를 수신하면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실행하고, 수취인의 이체요청과 입금계좌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은 트라스트 뱅킹 앱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송금인이 수취인에게 지급할 이체금액에 상응하는 이체 공탁금을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의 트라스트 뱅킹 앱을 실행하여 이체 대상자를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체 대상자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또는 SNS 매체를 선택하여 상기 이체대상자를 바로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하고 계좌 선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소액 뱅킹, 패밀리 뱅킹, 목표달성 이체 및 B2B 조건부이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뉴로 제공하고, 상기 SNS 매체가 선택되면 화면을 좌우로 쓸어 넘기는 플리킹되어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보여주고 이체 대상자를 선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플리킹된 화면에서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화면상에서 상기 이체 대상자에게 보낼 이체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의 트라스트 뱅킹 앱과 연동되는 메인 계좌 정보와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체대상자 리스트는 적어도 이체실행 횟수 또는 이체 시기에 따른 랭킹화된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트라스트 뱅킹 방법은,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송금인 휴대 단말이 상기 트라스트 뱅킹앱을 실행하여 이체 대상자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체대상자 선택화면을 통해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이체 조건과 계좌정보 및 이체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체 조건과 계좌정보 및 이체정보가 입력되면, 트라스트 뱅킹 앱이 금융기관 서버로 상기 이체 대상자 정보, 이체조건, 계좌 정보 및 이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알림서버를 이용하여 SMS 또는 SNS 푸시를 통해 송금인의 이체를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 알리는 단계;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상기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체 대상자 선택은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또는 SNS 매체를 선택하여 상기 이체대상자를 선택하고, 상기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바로 이체조건 메시지를 입력하고 계좌 선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소액 뱅킹, 패밀리 뱅킹, 목표달성 이체 및 B2B 조건부이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뉴로 제공하고, 상기 SNS 매체가 선택되면 화면을 좌우로 쓸어 넘기는 플리킹되어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보여주고 이체 대상자를 선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플리킹된 화면에서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화면상에서 상기 이체 대상자에게 보낼 이체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라스트 뱅킹 방법은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의 트라스트 뱅킹 앱과 연동되는 메인 계좌 정보와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체대상자 리스트는 적어도 이체실행 횟수 또는 이체 시기에 따른 랭킹화된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트라스트 뱅킹 시스템은, 이체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수취인 휴대단말;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이체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계좌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금융기관 서버; 및 상기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동의를 요구하는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포함한 이체신청을 상기 금융기관에게 전송하며,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송금인 휴대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로부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은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이체거래가 이루어질 때 이체 프로세스에 있어서 안정성과 보안성 및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라스트 뱅킹 방법에 의하면 송금 및 수취가 필요할 때 계좌번호를 몰라도 메시지 이체를 통해 이체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장점을 특화시켜 트라스트 뱅킹이 이루어지는 단계 별로 푸시 알림, 수취 대상의 연락처(SNS) 기반 조회, 이체신청 절차 간소화, 메시지 전달, 이체 수취 거부시 환불 과정 간소화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a는 수취인의 이체요청 메시지 전송 서비스 즉 리퀘스트(request) 이체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송금인의 이체 조건을 수취인이 승인하면 수취인이 등록한 은행의 수취계좌 또는 가상계좌를 통해 이체가 실행되는 트라스트(trust) 이체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 앱을 이용한 트라스트 뱅킹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리퀘스트(request) 이체 서비스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트라스트 뱅킹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이체 서비스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휴대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상에서 연락처와 SNS를 활용하여 SMS 또는 푸시 알림을 이용하는 이체 신청 단계의 UI/UX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 뱅킹앱과 연동하여 이체 대상자를 선택하는 거래 단계에서 자동으로 대상자 순위(랭킹화)를 나타내는 UI/UX 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한 것이다.
도 10은 트라스트 이체의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트라스트 이체시 인터넷 뱅킹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트라스트 뱅킹(Trust banking)은 금융기관 예를 들어 은행 이체 거래 시 보다 안전한 금융거래가 이루어지게 하는 보안성과 편리성을 강화한 송금인과 수취인 간의 이체 거래 메시지에 포함된 이체 요청 또는 이체 조건에 대한 승인을 통한 이체 거래를 말한다. 트라스트 뱅킹은 종래의 뱅킹 이체 거래와는 달리, 수취인이 메시지를 통해 송금인에게 이체를 먼저 요청할 수 있는 뱅킹 서비스이며, 송금인이 이체 금액을 공탁의 의미로 은행에 예치하고 상기 이체 조건에 대한 수취인의 승인 또는 동의가 있으면 은행의 이체 실행으로 이체가 완료되는 금융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은행에 공탁과 수취 조건 합의를 거치는 이유는 이체 거래시 양자 간의 관계(채권/채무자)와 이체 거래의 조건과 증빙에 대해서 수취인의 자발적인 동의를 확인하는 과정을 두어 안전하게 금융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트라스트 뱅킹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수취인 휴대 단말이 수취계좌를 등록하고 이체 요청메시지를 금융기관 서버에 보낸다(100). 금융기관 서버는 계좌 등록 메시지를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전달한다.(110) 상기 계좌는 가상 계좌도 가능하다.
송금인 휴대 단말은 금융기관 서버에게 이체 신청을 한다.(120) 이 때 금융기관 서버에 이체금을 공탁할 수 있다.(120) 금융기관 서버는 송금인 휴대 단말로부터 이체 조건이 포함된 이체 신청을 받으면 수취인 휴대 단말에게 이체 조건을 알린다.(130) 수취인 휴대 단말은 이체조건을 수신하여 이체조건에 대한 동의여부를 금융기관 서버에게 알린다.(140) 여기서 수취인이 송금인의 이체 조건을 승인할 때 공인인증서에 전자서명을 할 수도 있다. 금융기관 서버는 수취인의 이체 조건 승인 여부를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알리고 이체실행 시점도 알릴 수 있다.(150) 그리고 금융기관 서버는 수취인의 등록된 수취계좌로 이체를 실행한다.(160)
도 2a는 수취인의 이체요청 메시지 전송 서비스 즉 리퀘스트(request) 이체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수취인의 이체요청 메시지 전송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수취인 휴대단말이 이체 요청을 은행서버 등 금융기관 서버에 신청한다.(200) 이는 이체 요청 메시지와 수취계좌를 등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은행 서버 등 금융기관 서버는 송금인 휴대단말에게 수취계좌 또는 가상계좌가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계좌 메시지를 전송하면(210), 송금인 휴대단말은 즉시 이체를 하거나 송금인의 이체조건에 대한 수취인의 승인이 있을 때 이체가 실행되는 트라스트 이체를 실행한다.(220)
도 2b는 송금인의 이체 조건을 수취인이 승인하면 수취인이 등록한 은행의 수취계좌 또는 가상계좌를 통해 이체가 실행되는 트라스트(trust) 이체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며, 트라스트 이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송금인 휴대 단말은 은행 등 금융기관 서버에 이체 신청을 한다.(250) 이 때 이체금을 은행 등 금융기관에 공탁할 수 있다. 은행 등 금융기관 서버는 이체조건을 수취인 휴대 단말로 전송한다.(260) 수취인 휴대 단말은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이체조건을 수신하고, 이체 조건에 동의할 것인지 거절할 것인지를 금융기관 서버에 전송하면(260), 금융기관 서버는 이체 조건에 대한 수취인의 동의 또는 거절을 송금인 휴대단말에게 전송한다.(250) 만일 수취인이 송금인의 이체조건에 대해 동의하면 은행 등 금융기관 서버는 이체실행 시점을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전송하고 이체를 실행할 수 있다.(260)
이 때, 수취인의 승인 또는 동의 결과를 은행 등 금융기관 서버가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알린 후, 송금인의 이체 실행에 대한 변심이 있을 수 있으며, 수취인의 거절 시 환불 조치 여부, 이체 또는 환불 시점까지의 이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데 이러한 문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체시 해당 계좌의 잔액이 부족할 때 거래가 성사 또는 취소될 때 까지 송금 계좌의 잔액을 묶어두는 출금의 권한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는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질권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 앱을 이용한 트라스트 뱅킹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 앱을 이용한 트라스트 뱅킹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와 도 3을 참조하면, 트라스트 뱅킹 앱(1245)이 설치되어 있는 수취인 휴대 단말(1240)이 이체요청 메시지를 금융기관 서버(1220)에게 전송하면(300단계), 금융기관 서버(1220)는 상기 수취인의 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계좌등록 메시지를, 트라스트 뱅킹 앱(1205)이 설치되어 있는 송금인 휴대 단말(1200)에게 전송한다.(310단계)
송금인 휴대 단말(1200)은 금융기관 서버(1220)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동의를 요구하는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포함한 이체신청을 금융기관 서버(1220)에게 전송한다.(320 단계)
금융기관 서버(1220)는 송금인 휴대 단말(1200)로부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수취인 휴대 단말(1240)로 전송한다.(330단계)
수취인 휴대 단말(1240)은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상기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통해 금융기관 서버(1220)로 전송한다.(340단계)
금융기관 서버(1220)는 송금인 휴대 단말(1200)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를 실행한다.(350단계)
상기 300단계에서의 수취인의 계좌등록 메시지는 금융기관서버(1220)에게 수취인의 계좌 등록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는 가상계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300 단계에서의 수취인 휴대 단말(1240)에 설치된 트라스트 뱅킹 앱(1245)은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에 기반하여 송금인을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고, 송금인이 선택되면 입금계좌로서 수취인 본인계좌 또는 가상계좌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입금계좌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입금계좌 정보가 포함된 이체요청 메시지를 금융기관 서버(1220)의 알림서버(1225)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서버(1225)는 SMS, SNS 푸시를 이용하여 송금인 휴대 단말(1200)로 상기 수취인의 이체요청과 입금계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송금인 휴대단말(1200)은 SMS, SNS 푸시 알림을 통해 수취인의 이체요청과 입금계좌 정보를 수신하면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1205)을 실행하고, 수취인의 이체요청과 입금계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20단계에서,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1200)은 트라스트 뱅킹 앱(1205)을 이용하여 금융기관서버(1220)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송금인이 수취인에게 지급할 이체금액에 상응하는 이체 공탁금을 금융기관 서버(1220)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 서비스에 대한 적용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예는, 경조금 또는 소액 채무에 트라스트 뱅킹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계좌번호 보안 서비스로서, 경조금을 이체 받아야 할 때 송금인에게 계좌번호를 알려주기가 어려운 상황일 경우 또는 소액 또는 특정 금액 예를 들어 1만원 단위의 이체를 받아야 할 경우, 트라스트 뱅킹 앱으로 가상계좌를 신청하여 경조금 또는 소액 채무의 입금을 요청할 수 있다.
두번째 예로는, 금전적 채권/채무에 적용될 수 있다. 친구로부터 소액의 금전을 빌려달라는 의뢰를 받았을 경우, 트라스트 이체로 상환일과 이자 등의 대여 조건을 메시지로 작성한 후 트라스트 이체를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트라스트 뱅킹을 안내하고, 이체 조건에 대한 수락을 증빙할 수 있다.
세번째 예로는, 가족 간의 이체에 적용될 수 있다. 부모가 자녀에게 용돈을 보낼 때 부모의 마음과 함께 자녀의 금전 사용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트라스트 이체시 이체 조건 메시지에 금전 사용에 대한 약속과 다짐을 받을 수 있고, 자녀에게 합리적인 소비지출의 필요성과 함께 가족 간의 약속의 중요성도 확보할 수 있다.
네번째 예는, 회사 간(B2B)의 조건부 계약 이체에 적용할 수 있다. 거래처로부터 납품을 담보로 선납 이체를 요구 받았다면, 납품 물건의 상태 확인과 함께 계약 조항과 납입을 동시에 보장받고자 할 경우, 계약서를 첨부하여서 이체하면 된다. 계약서에 명시된 계약 이행 조건 승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은 종래 뱅킹 이체 프로세스와는 달리 안전성, 보안성 및 편리성을 가져다 준다. 송금 및 수취가 필요할 때 계좌번호를 몰라도 메시지 이체를 통해 이체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장점을 특화시켜 트라스트 뱅킹이 이루어지는 단계 별로 푸시 알림, 수취 대상의 연락처(SNS) 기반 조회, 이체신청 절차 간소화, 메시지 전달, 이체 수취 거부시 환불 과정 간소화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인의 연락처(SNS)로 수취 또는 송금 등의 이체가 가능하다. 계좌번호를 몰라도 연락처나 SNS를 이용하여 이체할 수 있다. 대상자의 연락처, 페이스북, 카카오톡을 통해 입력하여 이체 요청을 신청하고, 송금인/수취인의 연락처나 SNS로 트라스트 뱅킹 이체를 알린다. 대상자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설치하여 입출금 계좌를 선택하여 입금할 수 있다. 여기서, 이체 희망자는 본인의 가상 계좌로 은행에 공탁하는 방식이므로 이체 절차상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지인의 SNS이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주 사용하는 계좌, 최근 입금 계좌, 내 계좌 등을 뱅킹과 연동하여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뱅킹 앱을 이용한 트라스트 뱅킹은 이체 희망자의 수취 승인 조건에 대한 코멘트를 적용하고 전자 서명을 이용할 수 있다. 이체 희망자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 이체금을 먼저 공탁하고, 이체 조건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한다. 이체조건에 대한 수취인의 수락여부가 확인되면, 이체를 실행한다.
이체 확인을 위한 수취인의 전자서명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체 희망자를 선택 할 때 전자서명과 본인인증을 필수로 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수취인이 전자서명 할 때 조건과 이체 확인의 절차를 승인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는 데, 이 때 조건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는 이체 코멘트를 이용하고, 수취인의 전자서명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체금 공탁을 요구할 수 있다. 트라스트 뱅킹의 이체 희망자는 지정되는 본인의 가상계좌 이체금을 공탁하는 방식으로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 연락처로 이체를 신청할 수 있으며, 이 때 입금 계좌를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수취인 계좌를 확인할 필요도 없다.
또한 진행 단계별 푸시 알림을 통하여 별도의 확인 절차가 필요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최종 이체 실행시 자동 푸시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SNS/연락처 기반의 이체 방식으로 이체 입력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리퀘스트(request) 이체 서비스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수취인 휴대단말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뱅킹 앱을 실행하면(400단계), 송금인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송금인이 선택되면(405 단계), 수취계좌 예를 들어 본인계좌나 가상계좌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디스플레이된 수취계좌 화면에서 수취계좌가 선택되면(410단계), 이체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것인지 묻고(415단계),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이체 요청 메시지를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고 금융기관 서버는 알림서버(420)를 통해 송금인 휴대단말로 메시지 전송을 알린다.
송금인 휴대단말은 SMS 또는 SNS 푸시 알림을 통해 이체 조건이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한다.(425단계) 송금인 휴대 단말은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실행하고(430단계), 송금인의 이체 조건이 포함된 이체 요청 메시지를 확인한다.(435단계) 이체조건에 대해 송금인이 동의하면 이체 실행을 한다.(440단계)
이 때, 즉시 이체를 할 수도 있고 트라스트 이체를 할 수도 있다. 먼저 즉시 이체를 할 경우에는 통상적인 이체 방법대로 계좌를 선택하고(460단계), 이체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470단계), 이체를 실행한다.(480단계)
트라스트 이체를 할 경우, 송금인은 트래스트 뱅킹 앱이 제공하는 UI화면을 통해 이체 조건을 입력하고(445단계), 필요하면 계좌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고(450단계), 이체정보를 입력한 후(455단계), 이체를 요청하여 이체를 실행한다.(480단계)
금융기관 서버(485)에서 이체가 이루어지면, 수취인 휴대 단말은 설치되어 있는 뱅킹앱을 실행하여(490단계), 입금이나 트라스트 이체를 확인한다.(495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트라스트 뱅킹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와 도 5를 참조하면, 트라스트 뱅킹 앱(1205)이 설치되어 있는 송금인 휴대 단말(1200)이 트라스트 뱅킹앱(1205)을 실행하여 이체 대상자 선택 화면을 제공한다.(500단계) 상기 이체대상자 선택화면을 통해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이체 조건과 계좌정보 및 이체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제공한다.(510단계)
상기 이체 조건과 계좌정보 및 이체정보가 입력되면, 트라스트 뱅킹 앱이 금융기관 서버로 상기 이체 대상자 정보, 이체조건, 계좌 정보 및 이체 정보를 전송한다.(520단계)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알림 서버를 이용하여 SMS 또는 SNS 푸시를 통해 송금인의 이체를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 알린다.(530단계) 수취인 휴대 단말(1240)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상기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1245)을 통해 금융기관 서버(1220)로 전송한다.(540단계) 금융기관 서버(1220)는 송금인 휴대 단말(1200)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한다.(550단계)
상기 이체 대상자 선택은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또는 SNS 매체를 선택하여 상기 이체대상자를 선택하고, 상기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바로 이체조건 메시지를 입력하고 계좌 선택을 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소액 뱅킹, 패밀리 뱅킹, 목표달성 이체 및 B2B 조건부이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뉴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NS 매체가 선택되면 화면을 좌우로 쓸어 넘기는 플리킹되어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보여주고 이체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플리킹된 화면에서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화면상에서 상기 이체 대상자에게 보낼 이체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트라스트 뱅킹 앱을 이용한 트라스트 뱅킹 방법은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의 트라스트 뱅킹 앱과 연동되는 메인 계좌 정보와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체대상자 리스트는 적어도 이체실행 횟수 또는 이체 시기에 따른 랭킹화된 리스트가 될 수 있다.
송금 요청시 상대방의 연락처에 기반하여 SMS/SNS 푸시로 최초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최소 사용 송금인은 앱 설치 이후, 입금계좌와 금액을 확인하고 출금 피드백 가능하다. 이후 송금인은 즉시 이체 또는 트라스트 이체를 선택하여서 안정적으로 출금처리 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이체 서비스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맞춤화 이체 서비스를 위해, 연락처를 이용하여 SMS 또는 SNS 푸시로 최초 전송하고, 최초 사용 수취인은 트라스트 뱅킹 앱을 설치한 후 이체조건을 확인하고 이체조건에 대한 응답(Y/N)을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한다. 송금인과 수취인 간 이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단계 별로 푸시 기능을 이용한 푸시 알림을 제공하여 이체 서비스의 신뢰를 높인다.
도 12와 도 6을 참조하여, 트라스트 이체 서비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수취인 휴대단말(1240)은 트라스트 뱅킹 앱(1245)을 실행하여(600단계) 트라스트 이체를 선택한다.(605단계) 이체에 대한 수취 조건 입력이 있으면(610단계), 수취 조건을 입력하고(615단계), 계좌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한다.(620단계) 그리고 이체정보를 입력하고(625단계) 비밀번호와 인증서 암호를 입력하고(630단계), 가상계좌로 이체를 실행한다.(635단계)
가상계좌로 이체금 공탁을 하고 송금인 휴대단말(1200)로 SMS, SNS 푸시를 통해 트라스트 이체를 알리면, 송금인 휴대단말(1200)은 이를 수신하고(655단계), 트라스트 뱅킹 앱(1205)을 실행한다.(660단계) 수취조건을 확인하여(665단계), 수취를 승인하면(670단계), 입금계좌를 입력하거나 선택한다.(675단계) 공인인증서와 전자서명을 한 후(680단계), 입금 신청을 완료하고(685단계), 입금을 확인한다.(690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먼저, 트라스트 뱅킹 앱에서 메인 메뉴, 친구찾기 메뉴, 트라스트 이체 메뉴 및 이체결과 확인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주소록(연락처)를 가져와서 이체신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SMS로 이체 확인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계좌조회 이전 단계인 로그인은 PIN 로그인을 적용할 수 있다. 트라스트 뱅킹 이체 신청(이체조건 작성)까지는 별도 인증서 로그인이 없으며 이체신청 실행 단계에서 뱅킹 로그인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친구찾기 메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체 대상에 대한 손쉬운 조회와 적용을 위해 본인 단말기의 연락처를 읽어와서 이체 신청이 가능하게 한다. 이체 대상 수신인은 최초 SMS 또는 SNS로 확인할 수 있고 트라스트 뱅킹 앱을 설치하고 조건을 확인하고 수취계좌 등록 단계를 거치게 할 수 있다.
트라스트 이체 메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트라스트 뱅킹을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조건이체, 약속이체, 가족이체 및 목표이체 등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조건이체는 채무에 대한 조건 이체를 목적으로 하는 이체이며, 약속이체는 친구나 지인 간의 소액 이체를 목적으로 하는 이체이다. 가족이체는 가족이나 연인사이의 편지형 이체를 목적으로 하는 이체이고, 목표이체는 자신 또는 1:1의 목표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이체이다.
이체결과 확인 메뉴는 트라스트 이체 조건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수취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메뉴이다. 이를 위해 알림푸시 관리를 수행하며 푸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푸시서비스는 수신확인, 조건확인, 조건결과, 이체실행, 예약이체시, 결과 알림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휴대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상에서 연락처와 SNS를 활용하여 SMS 또는 푸시 알림을 이용하는 이체 신청 단계의 UI/UX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라스트 뱅킹 앱을 휴대 단말에서 실행하면 이체 대상자를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는 UI화면(710, 750)를 제공한다. 송금인 휴대 단말의 트라스트 뱅킹 앱과 연동되는 메인 계좌 정보와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75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기 내 연락처 또는 SNS 매체를 선택하여 이체 대상자를 바로 선택하거나 메시지를 입력하거나 계좌선택을 할 수 있다. 매체 선택시 좌측화면 플리킹(flicking) 되어 대상자 리스트를 보여주고 선택할 수 있다. 이체 대상의 선택과 함께 대상자에게 메시지 입력를 입력하고 메시지는 연럭처 입력 화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시지 내용은 조건, 목적, 전달 내용이 될 수 있다. 또한 첨부파일도 동봉이 가능하다. 이 체대상자에게 화면상에서 바로 입력할 수 있는 화면(710)을 제공하여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체 입출금액을 입력하고, 가상계좌 유지를 위한 기간선택을 하게 할 수 있고 메시지 전송을 하며 스마트 폰 앱 내의 url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이체대상자 리스트는 적어도 이체실행 횟수 또는 이체 시기에 따른 랭킹화된 리스트로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 뱅킹앱과 연동하여 이체 대상자를 선택하는 거래 단계에서 자동으로 대상자 순위(랭킹화)를 나타내는 UI/UX 를 나타낸 것이다.
인터넷 뱅킹과 연동되는 스마트 폰 뱅킹 앱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앱을 실행한다. 앱에 로그인하고 뱅킹 메인 이체 거래 대상자를 선택하는 UI를 제공한다.
이체 거래 단계에서 자동으로 이체 대상자를 자동으로 보여주어 편리성을 제공한다. 자주 사용하는 계좌, 최근 입금 계좌, 자동이체 계좌, 내 계좌, 최다 이체 계좌, 스피드 이체 계좌에 대한 지난 3개월 또는 지정한 기간 내에 이체 실행된 회수에 대해 연산하여 순위(랭킹화)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최근 그리고 사전 등록 대상으로 이체 거래가 많은 순위로 랭킹화할 수 있다. 출금계좌를 선택한 후 이체 거래 단계를 진행한다.
스마트 폰 뱅킹 서비스 상에서 메트로 UI를 이용하여 거래 대상을 구현할 수 있다. 메트로 UI를 통한 이체 거래 대상자에 대한 많고 적음에 대한 분류를 제공하고,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메뉴를 선택하고(900), 이체할 계좌를 선택하고(910), 이체정보를 입력하였다.(920) 그리고 나서 이체정보를 확인하고(930) 이체비밀번호 및 보안카드를 사용하고(940), 전자서명 및 인증서 암호를 입력하여 이체를 완료하였다.(950)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기술의 900, 910 및 920 화면 대신, 트라스트 뱅킹 메뉴화면을 통해 뱅킹 메뉴를 선택하면(960), 이체할 대상을 선택하고(970), 이체 조건을 입력한다.(980)
도 10은 트라스트 이체의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거래 조건을 포함한 계좌이체 신청을 하면(1000단계), 계좌 이체 실행을 하고(1010단계), 수취인 스마트 폰 메시지를 전송한다.(1020단계) 수취인 스마트 폰 앱으로 조건을 수신하고(1030단계), 수취조건에 동의하면(1040단계) 계좌이체를 실행한다. 상기 계좌이체는 가상계좌에서 수취인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1060단계) 그리고 나서 이체 전송결과를 전송한다.(1070단계) 한편 수취조건을 거절하면 가상계좌에서 송신인 계좌로 계좌이체를 실행한다.(1050단계)
도 11은 트라스트 이체시 인터넷 뱅킹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송금자에 관한 정보, 수금자에 관한 정보, 거래내역, 보존기간, 수금자 동의 기간, 특정 약정사항에 관한 사항들이 나타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수취인 휴대단말(1240), 금융기관 서버(1220) 및 송금인 휴대단말(1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취인 휴대단말(1240)은 이체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다.
금융기관 서버(1220)는 수취인 휴대 단말(1240)로부터 상기 이체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계좌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송금인 휴대단말(1200)은 금융기관서버(1220)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동의를 요구하는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포함한 이체신청을 상기 금융기관(1220)에게 전송하며,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다.
금융기관 서버(1220)는 송금인 휴대 단말(1200)로부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수취인 휴대 단말(1240)로 전송하고, 송금인 휴대 단말(1200)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한다.
수취인 휴대 단말(1240)은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금융기관 서버(12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라스트 뱅킹 및 시스템은 구현 예에 따라, 수취인 휴대단말 또는 송금인 휴대단말에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트라스트 뱅킹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단말 대신 컴퓨터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컴퓨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트라스트 뱅킹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00 : 송금인 휴대단말
1205 : 트라스트 뱅킹앱
1220 : 금융기관 서버
1225 : 알림서버
1240 : 수취인 휴대단말
1245 : 트라스트 뱅킹 앱

Claims (17)

  1. (a)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수취인 휴대 단말이 이체요청 메시지를 금융기관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수취인의 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계좌등록 메시지를,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은 트라스트 뱅킹 앱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동의를 요구하는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포함한 이체신청을 상기 금융기관에게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로부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상기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수취인의 계좌등록 메시지는
    상기 금융기관서버에게 수취인의 계좌 등록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는 가상계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에 설치된 트라스트 뱅킹 앱은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에 기반하여 송금인을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송금인이 선택되면 입금계좌로서 수취인 본인계좌 또는 가상계좌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입금계좌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입금계좌 정보가 포함된 이체요청 메시지를 금융기관 서버의 알림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알림서버는
    SMS, SNS 또는 푸시를 이용하여 송금인 휴대 단말로 상기 수취인의 이체요청과 입금계좌 정보를 송금인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송금인 휴대단말은
    SMS, SNS 또는 푸시 알림을 통해 수취인의 이체요청과 입금계좌 정보를 수신하면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실행하고, 수취인의 이체요청과 입금계좌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은 트라스트 뱅킹 앱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송금인이 수취인에게 지급할 이체금액에 상응하는 이체 공탁금을 상기 금융기관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의 트라스트 뱅킹 앱을 실행하여 이체 대상자를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 대상자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또는 SNS 매체를 선택하여 상기 이체대상자를 바로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하고 계좌 선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소액 뱅킹, 패밀리 뱅킹, 목표달성 이체 및 B2B 조건부이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뉴로 제공하고,
    상기 SNS 매체가 선택되면 화면을 좌우로 쓸어 넘기는 플리킹되어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보여주고 이체 대상자를 선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플리킹된 화면에서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화면상에서 상기 이체 대상자에게 보낼 이체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의 트라스트 뱅킹 앱과 연동되는 메인 계좌 정보와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대상자 리스트는
    적어도 이체실행 횟수 또는 이체 시기에 따른 랭킹화된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11.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송금인 휴대 단말이 상기 트라스트 뱅킹앱을 실행하여 이체 대상자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체대상자 선택화면을 통해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이체 조건과 계좌정보 및 이체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체 조건과 계좌정보 및 이체정보가 입력되면, 트라스트 뱅킹 앱이 금융기관 서버로 상기 이체 대상자 정보, 이체조건, 계좌 정보 및 이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금융기관서버는 알림서버를 이용하여 SMS 또는 SNS 푸시를 통해 송금인의 이체를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 알리는 단계;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상기 설치되어 있는 트라스트 뱅킹 앱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 대상자 선택은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또는 SNS 매체를 선택하여 상기 이체대상자를 선택하고,
    상기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바로 이체조건 메시지를 입력하고 계좌 선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소액 뱅킹, 패밀리 뱅킹, 목표달성 이체 및 B2B 조건부이체 중 적어도 하나를 메뉴로 제공하고,
    상기 SNS 매체가 선택되면 화면을 좌우로 쓸어 넘기는 플리킹되어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보여주고 이체 대상자를 선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플리킹된 화면에서 이체 대상자가 선택되면, 화면상에서 상기 이체 대상자에게 보낼 이체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의 트라스트 뱅킹 앱과 연동되는 메인 계좌 정보와 이체 대상자 리스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대상자 리스트는
    적어도 이체실행 횟수 또는 이체 시기에 따른 랭킹화된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스트 뱅킹 방법.
  17. 이체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수취인 휴대단말;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이체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계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계좌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금융기관 서버; 및
    상기 금융기관서버로부터 상기 계좌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취인의 동의를 요구하는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포함한 이체신청을 상기 금융기관에게 전송하며, 트라스트 뱅킹 앱이 설치되어 있는 송금인 휴대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로부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를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송금인 휴대 단말에게 수취인의 상기 조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취인의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수취인 휴대 단말은
    상기 계좌이체 조건 정보에 포함된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하면 상기 계좌이체 조건에 동의한다는 응답을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트라스트 뱅킹 시스템.
KR1020140027425A 2014-03-07 2014-03-07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 KR101707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25A KR101707648B1 (ko) 2014-03-07 2014-03-07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425A KR101707648B1 (ko) 2014-03-07 2014-03-07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148A true KR20150105148A (ko) 2015-09-16
KR101707648B1 KR101707648B1 (ko) 2017-02-20

Family

ID=5424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425A KR101707648B1 (ko) 2014-03-07 2014-03-07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153A (ko) * 2015-12-31 2017-07-10 현대카드 주식회사 금융거래용 어플리케이션, 이를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금융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JP2019519855A (ja) * 2016-06-16 2019-07-11 中国▲銀▼▲聯▼股▲ふん▼有限公司 双方向検証モバイル決済方法及び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316A (ko) * 2000-09-08 2002-03-15 라응찬 인터넷 송금 서비스 방법
KR100885980B1 (ko) * 2008-01-30 2009-03-03 (주)디와이빌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송금하고 사후 승인으로 수금하는송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5492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신한은행 터치스크린 기반의 스마트폰 뱅킹 어플리케이션 이용 방법 및 그 장치, 스마트폰 뱅킹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망을 통한 은행 금융 시스템 운용 방법 및 그 은행 서버
KR101212236B1 (ko) * 2011-06-08 2012-12-13 주식회사 신한은행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316A (ko) * 2000-09-08 2002-03-15 라응찬 인터넷 송금 서비스 방법
KR100885980B1 (ko) * 2008-01-30 2009-03-03 (주)디와이빌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송금하고 사후 승인으로 수금하는송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5492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신한은행 터치스크린 기반의 스마트폰 뱅킹 어플리케이션 이용 방법 및 그 장치, 스마트폰 뱅킹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의 무선통신망을 통한 은행 금융 시스템 운용 방법 및 그 은행 서버
KR101212236B1 (ko) * 2011-06-08 2012-12-13 주식회사 신한은행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153A (ko) * 2015-12-31 2017-07-10 현대카드 주식회사 금융거래용 어플리케이션, 이를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및 금융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JP2019519855A (ja) * 2016-06-16 2019-07-11 中国▲銀▼▲聯▼股▲ふん▼有限公司 双方向検証モバイル決済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48B1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595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ecure generation and processing of data sets representing pre-funded payments
US11829964B2 (en) Apportioning a payment amount among multiple payers
US20220198416A1 (en) Social network payments
US935539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ggregating split payments using a settlement ecosystem
US202001754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und transfer
US8700527B2 (en) Merchant bill pay
AU20182032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icropayments in a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US20150371212A1 (en) Integrated transaction and account system
CN109313762B (zh) 用于表征预存资金支付的数据集的安全生成和处理的系统、方法和设备
US20130036000A1 (en)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CN108292412A (zh) 在交易中提供补充信息的系统和方法
US20130018779A1 (en) Alias-based merchant transaction system
US20230047509A1 (en) Monitoring Data for Determining Condition Satisfaction
US11501297B1 (en) Blockchain agnostic token network
US11636451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facilitating end-to-end transactions on computing devices
US20120066127A1 (en) Overage service subject to condition
US10963872B1 (en) Configurable management of ghost accounts
US20140279506A1 (en) User interface for mobile payment via transfer network
JP2018014106A (ja) 取引記録との関連付けのための取引額の識別
CN116018606A (zh) 可通过商家管理的标识符访问的顾客设备应用程序站点
US20120066077A1 (en) Overage service via mobile device
US20120066126A1 (en) Overage service via transaction machine
US20230325806A1 (en) Electronic layaway
KR101707648B1 (ko) 트라스트 뱅킹 방법 및 시스템
JP7038969B2 (ja) 電子マネー(eマネー)支払処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