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078A -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 Google Patents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078A
KR20150105078A KR1020140027280A KR20140027280A KR20150105078A KR 20150105078 A KR20150105078 A KR 20150105078A KR 1020140027280 A KR1020140027280 A KR 1020140027280A KR 20140027280 A KR20140027280 A KR 20140027280A KR 20150105078 A KR20150105078 A KR 20150105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ction
resistance
ancho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순
장인성
오명학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2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5078A/ko
Publication of KR2015010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78Suction piles, suction c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53Production methods using suction or vacuum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에 관한 것으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저항판; 상기 본체와 저항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톱와이어;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지중에 관입된 후 연직방향의 인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수직으로 접힌 상태의 저항판이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인발력에 대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 Folding Embedded Suction Vertical Loaded Anchor }
본 발명은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지중에서 수평으로 펼쳐지는 저항판을 통해 연직저항력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션매입 앵커는 석션파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지중에 관입되고, 지중 관입 후 앵커로부터 분리되는 석션파일은 지상으로 인출되어 재사용된다.
상기 석션파일 및 앵커는 석션파일의 내부에 물을 외부로 펌핑할 때 발생하는 관입력을 통해 지중으로 관입된다.
또한, 지중 관입된 석션파일에서 앵커를 분리한 후 석션파일의 내부에 물을 채워넣게 되면 석션파일이 다시 지상으로 인발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석션파일 앵커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석션파일 앵커는 석션파일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잭을 동작시키기 위한 유압관이 해상의 유압기에 연결되고, 석션파일의 상단이 해상의 크레인에 연결되며, 석션파일의 상단에 상기 석션파일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관이 설치되어 해상의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유압잭에 의해 석션파일과 결합되는 앵커가 해저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박힌 상태에서 상기 유압잭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석션파일이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앵커의 외측면에 와이어가 고정설치된 형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9985호(2004년 12월 4일 공고)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석션파일 앵커는 연직방향으로 관입되므로 주로 횡방향 저항 앵커로 사용되고, 연직방향으로 계류 하중이 작용하는 연직방향 앵커로 활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석션파일에 장착되어 연직방향으로 관입된 후 해상 부유 구조물에 의한 연직방향의 인발 하중에 안정적으로 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저항판; 상기 본체와 저항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톱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계류와이어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패드아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는 상기 저항판의 하단부에 본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힌지접속부가 마련되고, 상기 저항판의 내측면 상부에 이격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는 상기 스톱와이어의 길이가 저항판의 최대 펼침각도가 90°가 되도록 하는 길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는 상기 저항판이 본체의 외주 형상과 대응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에 의하면, 지중에 관입된 후에 계류와이어를 통해 연직방향의 인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수직으로 접힌 상태의 저항판이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인발 하중에 대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에 의하면, 뛰어난 계류성능을 통해 해상 부유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평면도,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저항판 접힘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지중 관입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지중 관입 후 저항판 펼침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저항판 접힘상태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저항판 접힘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는 본체(110), 저항판(120), 스톱와이어(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통형으로, 석션파일(200)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는 계류와이어(300)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패드아이(111)가 마련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패드아이(111)는 3개가 120˚ 간격으로 마련된 형태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드아이(111)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예측 가능한 개수 및 배열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항판(120)은 복수개가 상기 본체(110)의 외부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열 설치되고, 각 저항판(120)은 상기 본체(11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저항판(120)의 하단부에는 본체(11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힌지접속부(121)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저항판(120)의 내측면 상부에는 이격돌기(122)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판(120)이 수직으로 접힌 상태에서는 이격돌기(122)의 선단이 본체(110)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이때 저항판(120)의 내측면과 본체(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격돌기(122)의 돌출높이만큼의 간격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에서 상기 저항판(120)의 이격돌기(122)는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스톱와이어(130)는 상기 본체(110)와 저항판(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저항판(120)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톱와이어(130)의 일단은 본체(110)의 외주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저항판(120)의 내측면 상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와이어(130)의 길이가 길수록 저항판(120)의 펼쳐지는 각도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에서 상기 스톱와이어(130)의 길이는 저항판(120)의 최대 펼침각도가 90°가 되도록 하는 길이, 즉, 최대로 펼쳐진 저항판(120)이 본체(110)와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길이로 설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120)에 대한 최대 펼침각도 제어는 본체(110)의 하단부에 스톱퍼돌기(미도시)를 마련하여 제어하거나 그 밖의 다른 제어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지중 관입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는 도 4와 같이 석션파일(200)의 하단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석션파일(200)과 함께 지중에 관입된다.
상기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의 지중 관입과정에서 수평상태로 지반 표면에 접촉되는 저항판(120)은 지중 관입과정에서 본체(110) 쪽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가 지중의 목표지점까지 관입된 후에는 그 상단의 석션파일(200)이 분리되어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에서 지중에 남은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의 본체(110)에 접속된 계류와이어(200)를 통해 연직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본체(110) 및 저항판(120)이 인발된다.
상기 본체(110) 및 저항판(120)이 인발되는 과정에서 본체(110)와 수직으로 접힌 저항판(120)의 사이로 토사가 유입되며, 그에 저항판(120)이 본체(110)의 바깥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저항판(120)의 펼침각도는 계류와이어(200)를 통해 전달되는 인발력 및 본체(110)의 상승 정도가 클수록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저항판(120)의 펼침각도가 클수록 더 큰 연직 하중에 대항할 수 있게 되며, 저항판(120)이 수평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가장 큰 대항력이 발휘된다.
도 5a 및 도 5b는 동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지중 관입 후 저항판 펼침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는 지중 관입 후에 연직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저항판(120)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면서 대항하게 되므로 보다 큰 연직 하중을 감당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의 저항판 접힘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는 저항판(120)이 본체(110)의 외주 형상과 대응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는 석션파일(200)과 함께 지중으로 관입될 때에 수직으로 접히게 되는 저항판(120)의 양측 부분이 본체(110)에 나란한 상태로 관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는 관입 과정에서 저항판(120)의 관입 저항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석션파일(200)과 함께 보다 원활하게 관입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100)도 지중 관입 후에 계류와이어(300)를 통해 연직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저항판(120)이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계류와이어(300)를 통한 인발력에 대항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앵커
110 ; 본체
111 : 패드아이
120 : 저항판
121 : 힌지접속부
122 : 이격돌기
130 : 스톱와이어

Claims (5)

  1.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통형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외부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열 설치되고, 상기 본체(11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저항판(120);
    상기 본체(110)와 저항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톱와이어(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계류와이어(300)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패드아이(11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120)의 하단부에 본체(11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힌지접속부(121)가 마련되고,
    상기 저항판(120)의 내측면 상부에 이격돌기(12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와이어(130)의 길이는 저항판(120)의 최대 펼침각도가 90°가 되도록 하는 길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120)이 본체(110)의 외주 형상과 대응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KR1020140027280A 2014-03-07 2014-03-07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KR20150105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280A KR20150105078A (ko) 2014-03-07 2014-03-07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280A KR20150105078A (ko) 2014-03-07 2014-03-07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078A true KR20150105078A (ko) 2015-09-16

Family

ID=5424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280A KR20150105078A (ko) 2014-03-07 2014-03-07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50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4113A (zh) * 2016-04-26 2016-07-27 山东大学 一种新型海洋裙式吸力式基础结构以及应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4113A (zh) * 2016-04-26 2016-07-27 山东大学 一种新型海洋裙式吸力式基础结构以及应用方法
CN105804113B (zh) * 2016-04-26 2018-02-09 山东大学 一种海洋裙式吸力式基础结构以及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408B2 (en) Skirted foundation for penetrating soft material
US9371625B2 (en) Modified spudcan with optimal peripheral skirt for enhanced performance of jackup operations
US9574316B2 (en) Suction foundation having enhanced self-weight penetr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22198B1 (ko) 앵커링 장치
CN106741643A (zh) 用于海上锚固船和钻井平台的重力锚
KR20150105078A (ko) 석션매입 연직저항 앵커
KR20170016824A (ko) 지반에 기초 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어셈블리 및 방법
JP6446515B1 (ja) 地中アンカー
KR20150050618A (ko) 석션 파일
KR101568002B1 (ko) 연직재하 매입앵커
KR101184309B1 (ko) 석션 파일의 시공 장치
NO20170292A1 (en) Excavating pump apparatus and pile installa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1722176B1 (ko) 앵커링 장치
KR101660758B1 (ko) 석션파일로 연결된 평판앵커
KR101206960B1 (ko) 해상 풍력 발전기 지지 장치 및 방법
KR101722166B1 (ko) 앵커링 장치
KR101673152B1 (ko) 석션매입 평판앵커의 시공장치
JP6568875B2 (ja) 管状基礎部材、組立体、及び、管状基礎部材の地盤内への設置方法
KR20140124527A (ko) 선단 확장형 석션파일
NO345713B1 (no) Løsmasse-ankeranordning samt fremgangsmåte for å anordne et ankerfeste i løsmasser
KR101722185B1 (ko) 앵커링 장치
KR101575778B1 (ko) 석션매입 앵커 자동분리장치
KR20160023215A (ko) 잭업리그 인발시공방법 및 구조
KR101662009B1 (ko) 파일 지지 장치
CN102312432B (zh) 一种止回螺旋锚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