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013A -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013A
KR20150105013A KR1020140027138A KR20140027138A KR20150105013A KR 20150105013 A KR20150105013 A KR 20150105013A KR 1020140027138 A KR1020140027138 A KR 1020140027138A KR 20140027138 A KR20140027138 A KR 20140027138A KR 20150105013 A KR20150105013 A KR 20150105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pacity
encrypted
user termi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301B1 (ko
Inventor
신철용
허재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301B1/ko
Priority to US14/639,404 priority patent/US9497574B2/en
Publication of KR2015010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28/025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the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having a maximum bit rate or a bit rate guarant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사용자단말과 비콘장치 간에 블루투스(Bluetooth)를 기반으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데이터용량을 고려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데이터용량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DATA BASED ON BLUETOOTH,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과 비콘장치 간에 블루투스(Bluetooth)를 기반으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데이터용량을 고려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는 근거리에서 기기 간에 저전력으로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으로서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걸쳐서 적용되고 있다.
현재 블루투스가 적용되고 있는 서비스 분야로서는, 휴대폰, 시계, 스포츠, 헬스케어, 센서, 기기제어 등이 있으며, 특히 사용자단말이 매장 내 진입하는 것을 확인하여 확인된 사용자단말에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진입 확인 서비스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진입 확인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단말이 매장 내 설치되어 있는 비콘장치와 접속하여 서로 간에 블루투스를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헌데, 블루투스의 경우 저전력 무선통신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장치 간 서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용량이 제한적이며, 이는 다양한 데이터 전송을 통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데 있어서 큰 방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단말과 비콘장치 간에 블루투스(Bluetooth)를 기반으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데이터용량을 고려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데이터용량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사용자단말은, 비콘장치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비콘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이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은, 기 지정된 전송보장속도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전송보장속도가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용량을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을 기초로 2 이상의 암호화 방식 중 특정 암호 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암호화 방식 각각은,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의 판별과 관련된 서로 다른 보안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비콘장치는, 사용자단말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사용자단말이 비콘장치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상기 비콘장치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은, 비콘장치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비콘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확인단계 이전에,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이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은, 기 지정된 전송보장속도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전송보장속도가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용량을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단계 이전에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암호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단계는,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을 기초로 2 이상의 암호화 방식 중 특정 암호 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암호화 방식 각각은,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의 판별과 관련된 서로 다른 보안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비콘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단말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경우에,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며,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며, 비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단말과 비콘장치 간에 블루투스(Bluetooth)를 기반으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데이터용량을 고려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데이터용량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의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비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비콘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단말(100) 및 사용자단말(200)과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비콘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에 이미 접속된 상태이며, 사용자단말(100)과 비콘장치(200) 간의 접속은 비콘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신호를 인지한 사용자단말(100)과 비콘장치(200) 간에 일련의 페어링(pairing) 절차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에 접속하여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00)에는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비콘장치(200)는 예컨대, 오프라인 매장 내 위치하여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사용자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일컫는다.
여기서, 비콘장치(200)가 채용하고 있는 블루투스 규격으로서는 예컨대 블루투스 v4.0에서 저에너지(Low Energy) 방식인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BLE(Bluetooth Low Energy)에서의 데이터전송속도는 예컨대, 1Mbps이며, 한번에 전송 가능한 전송데이터용량은 20kbytes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단말(100)과 비콘장치(200)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헌데, 블루투스의 경우 저전력 무선통신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장치 간 서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용량이 제한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규격으로서 적용되고 있는 BLE(Bluetooth Low Energy)의 경우, 저에너지 방식을 채택함으로 인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번에 전송 가능한 전송데이터용량이 20kbytes로 매우 제한적이다.
이처럼, 전송데이터용량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종류가 적으며, 이는 블루투스를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 분야 또한 극히 제한적이라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더구나, 사용자단말(100)과 비콘장치(200)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경우, 보안성 이슈로 암호화가 요구되는데, 원본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경우 그 데이터용량이 증가하게 되어, 앞서 언급한 전송데이터용량의 제약 이슈가 커진다 할 것이다.
이렇듯, 블루투스 기반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전송데이터용량이 제한되는 것은, 다양한 데이터 전송을 통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데 있어서 큰 방해가 되므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기반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전송데이터용량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단말(100) 및 비콘장치(200) 모두가 서로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에 따른 구성 및 동작 특성은 사용자단말(100)과 비콘장치(200) 모두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단말(10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비콘장치(200)가 이를 수시하는 상황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단말(100)은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에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용량인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전송데이터용량은, 사용자단말(100)에서 비콘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보장되어야 하는 속도인 전송보장속도를 기초로 결정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의 보안성 취지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암호화 과정 이전에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우선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이처럼,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우선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이 비콘장치(200)에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원본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은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앞서 복수의 암호화 방식 중 하나를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원본데이터가 암호화되는 경우, 추가되는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이 상기 결정된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하거나, 이미 초과한 경우에는 그 초과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암호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암호화 방식의 경우, 그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한 보안성을 갖게 되며, 보안성이 높을수록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에서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지정에 따라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추가데이터용량을 고려하지 않고, 가장 보안성이 높은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사용자단말(100)은 전술한 방식을 통해서 암호화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암호화 방식을 통해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은 원본데이터의 암호화가 완료되는 경우,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추가되는 데이터용량인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게 된다.
이렇게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의 경우,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정보로서 활용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은 추가데이터용량이 판별되면 암호화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분할된 각 부분데이터가 상기 결정된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은 암호화데이터가 부분데이터로 분할되면,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비콘장치(20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부분데이터의 헤더에 분할된 순서와 관련된 정보인 순서정보를 함께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비콘장치(200)로 하여금 상기 순서정보를 기초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상기 순서정보뿐만 아니라, 부분데이터의 헤더에 암호화 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를 인지한 비콘장치(200)로 하여금 복구된 암호화데이터를 인지된 암호화 방식에 따라 원본데이터로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비콘장치(200)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부분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부분데이터 헤더에 삽입된 순서정보를 참고하여,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암호화데이터로 복구하게 된다.
여기서, 부분데이터의 수신 완료의 경우, 마지막 순서의 부분데이터 헤더에 삽입된 종료정보(EOM, End of Message)를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
아울러, 비콘장치(200)는 암호화데이터의 복구가 완료되면, 부분데이터의 헤더로부터 인지된 암호화 방식에 적합한 복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데이터를 원본데이터로 복호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0) 및 비콘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단말(100)과 비콘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 특성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사용자단말(100)을 그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0)은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는 결정부(110),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부(120), 원본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130),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부(140), 및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전송부(1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부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결정부(110), 확인부(120), 암호화부(130), 판별부(140), 및 전송부(150)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100)의 전술한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 및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결정부(110)는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110)는 비콘장치(200)에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용량인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110)는 사용자단말(100)에서 비콘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보장되어야 하는 속도인 전송보장속도를 기초로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규격으로서 BLE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에 따라, 전송 가능한 데이터전송속도의 경우 1Mbps이며, 이에, 보장되어야 하는 속도인 전송보장속도의 경우, 상기 1Mbps 보다 느린 0.8Mbps 지정될 수 있다.
또한, BLE 방식의 경우, 한번에 전송 가능한 전송데이터용량은 20kbytes이므로 앞서 지정된 전송보장속도를 보장하기 위해선, 20kbytes보다 작은 18kbytes로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부(120)는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20)는 비콘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의 보안성 취지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암호화 과정 이전에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우선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이처럼,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우선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이 비콘장치(200)에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암호화부(130)는 원본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부(130)는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앞서 복수의 암호화 방식 중 하나를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원본데이터가 암호화되는 경우, 추가되는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이 상기 결정된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하거나, 이미 초과한 경우에는 그 초과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암호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암호화 방식의 경우, 암호화 데이터의 보안성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종류로서는 예컨대, 공개키 암호화 방식인 RSA(Rivest, Shamir, Aslemen) 및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과, 대칭키 암호화 방식인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및 AES(Advanced Encrypion Standard)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 방식의 경우, 그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한 보안성을 갖게 되며, 보안성이 높을수록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에서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지정에 따라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추가데이터용량을 고려하지 않고, 가장 보안성이 높은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암호화부(130)는 전술한 방식을 통해서 암호화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암호화 방식을 통해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판별부(140)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140)는 원본데이터의 암호화가 완료되는 경우,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추가되는 데이터용량인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게 된다.
이처럼,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것은,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을 전송부(150)에서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송부(150)는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부(150)는 추가데이터용량이 판별되면 암호화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게 된다.
이때, 전송부(150)는 분할된 각 부분데이터가 상기 결정된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하게 된다.
그리고, 전송부(150)는 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부(150)는 암호화데이터 부분데이터로 분할되면,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비콘장치(20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전송부(150)는 부분데이터의 헤더에 분할된 순서와 관련된 정보인 순서정보를 함께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비콘장치(200)로 하여금 상기 순서정보를 기초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송부(150)는 상기 순서정보뿐만 아니라, 부분데이터의 헤더에 암호화 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를 인지한 비콘장치(200)로 하여금 복구된 암호화데이터를 인지된 암호화 방식에 따라 원본데이터로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수신부(160)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60)는 비콘장치(200)로부터 암호화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부분데이터 수신을 완료한 이후, 부분데이터 헤더에 삽입된 순서정보를 참고하여,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암호화데이터를 복구하게 된다.
여기서, 부분데이터의 수신 완료의 경우, 마지막 순서의 부분데이터 헤더에 삽입된 종료정보(EOM, End of Message)를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
아울러, 수신부(160)는 암호화데이터의 복구가 완료되면, 부분데이터의 헤더로부터 인지된 암호화 방식에 적합한 복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데이터를 원본데이터로 복호화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단말(100)과 비콘장치(200) 간에 블루투스(Bluetooth)를 기반으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데이터용량을 고려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데이터용량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의 설계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에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용량인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한다(S110).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사용자단말(100)에서 비콘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보장되어야 하는 속도인 전송보장속도를 기초로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단말(100)은 비콘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의 보안성 취지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암호화 과정 이전에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우선적으로 확인한다(S120).
그런 다음, 사용자단말(100)은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앞서 복수의 암호화 방식 중 하나를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원본데이터가 암호화되는 경우, 추가되는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이 상기 결정된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하거나, 이미 초과한 경우에는 그 초과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암호화 방식을 선택한다(S130).
다음으로, 사용자단말(100)은 원본데이터의 암호화가 완료되는 경우,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추가되는 데이터용량인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한다(S140).
그리고 나서, 사용자단말(100)은 추가데이터용량이 판별되면 암호화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150).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분할된 각 부분데이터가 상기 결정된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하게 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단말(100)은 암호화데이터가 부분데이터로 분할되면,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비콘장치(200)에 전송한다(S160).
이때, 사용자단말(100)은 부분데이터의 헤더에 분할된 순서와 관련된 정보인 순서정보를 함께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비콘장치(200)로 하여금 상기 순서정보를 기초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상기 순서정보뿐만 아니라, 부분데이터의 헤더에 암호화 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를 인지한 비콘장치(200)로 하여금 복구된 암호화데이터를 인지된 암호화 방식에 따라 원본데이터로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비콘장치(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부분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부분데이터 헤더에 삽입된 순서정보를 참고하여,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암호화데이터로 복구한다(S170).
이후, 비콘장치(200)는 암호화데이터의 복구가 완료되면, 부분데이터의 헤더로부터 인지된 암호화 방식에 적합한 복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데이터를 원본데이터로 복호화한다(S18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결정부(110)는 비콘장치(200)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비콘장치(200)에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용량인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한다(S210-S220).
이때, 결정부(110)는 사용자단말(100)에서 비콘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보장되어야 하는 속도인 전송보장속도를 기초로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확인부(120)는 비콘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의 보안성 취지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암호화 과정 이전에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우선적으로 확인한다(S230).
이처럼,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우선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이 비콘장치(200)에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그런 다음, 암호화부(130)는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앞서 복수의 암호화 방식 중 하나를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원본데이터가 암호화되는 경우, 추가되는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이 상기 결정된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하거나, 이미 초과한 경우에는 그 초과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암호화 방식을 선택한다(S240).
여기서, 복수의 암호화 방식의 경우, 암호화 데이터의 보안성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종류로서는 예컨대, 공개키 암호화 방식인 RSA(Rivest, Shamir, Aslemen) 및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과, 대칭키 암호화 방식인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및 AES(Advanced Encrypion Standard)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 방식의 경우, 그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한 보안성을 갖게 되며, 보안성이 높을수록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에서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지정에 따라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추가데이터용량을 고려하지 않고, 가장 보안성이 높은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암호화부(130)는 전술한 방식을 통해서 암호화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암호화 방식을 통해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데이터를 생성한다(S250).
이어서, 판별부(140)는 원본데이터의 암호화가 완료되는 경우,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추가되는 데이터용량인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한다(S260).
나아가, 전송부(150)는 추가데이터용량이 판별되면 암호화데이터를 복수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270).
이때, 전송부(150)는 분할된 각 부분데이터가 상기 결정된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하게 된다.
이후, 전송부(150)는 암호화데이터 부분데이터로 분할되면,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비콘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150)는 부분데이터의 헤더에 분할된 순서와 관련된 정보인 순서정보를 함께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비콘장치(200)로 하여금 상기 순서정보를 기초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송부(150)는 상기 순서정보뿐만 아니라, 부분데이터의 헤더에 암호화 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를 인지한 비콘장치(200)로 하여금 복구된 암호화데이터를 인지된 암호화 방식에 따라 원본데이터로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수신부(160)는 앞선 S210 단계에서, 비콘장치(200)로부터 암호화데이터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부분데이터 수신을 완료한 이후, 부분데이터 헤더에 삽입된 순서정보를 참고하여,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암호화데이터를 복구한다(S300).
이때, 부분데이터의 수신 완료의 경우, 마지막 순서의 부분데이터 헤더에 삽입된 종료정보(EOM, End of Message)를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
이후, 수신부(160)는 암호화데이터의 복구가 완료되면, 부분데이터의 헤더로부터 인지된 암호화 방식에 적합한 복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데이터를 원본데이터로 복호화한다(S3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단말(100)과 비콘장치(200) 간에 블루투스(Bluetooth)를 기반으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데이터용량을 고려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데이터용량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의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과 비콘장치 간에 블루투스(Bluetooth)를 기반으로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데이터용량을 고려하여 암호화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전송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사용자단말
200: 비콘장치
110(210): 결정부 120(220): 확인부
130(230): 암호화부 140(240): 판별부
150(250): 전송부 160(260): 수신부

Claims (14)

  1. 비콘장치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비콘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이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은,
    기 지정된 전송보장속도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전송보장속도가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용량을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을 기초로 2 이상의 암호화 방식 중 특정 암호 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암호화 방식 각각은,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의 판별과 관련된 서로 다른 보안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
  6. 사용자단말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
  7. 사용자단말이 비콘장치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상기 비콘장치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8. 비콘장치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비콘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확인단계 이전에,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데이터용량을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 각각이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은,
    기 지정된 전송보장속도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전송보장속도가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용량을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판별단계 이전에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암호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단계는,
    상기 전송데이터용량을 기초로 2 이상의 암호화 방식 중 특정 암호 방식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를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암호화 방식 각각은,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의 판별과 관련된 서로 다른 보안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방법.
  13. 사용자단말에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장치의 동작 방법.
  14. 원본데이터를 암호화데이터로 암호화하는 경우에, 상기 암호화에 따라 상기 원본데이터의 데이터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추가데이터용량을 판별하며, 판별된 추가데이터용량을 기초로 상기 암호화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비콘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2 이상의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암호화데이터로 생성하며, 비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140027138A 2014-03-07 2014-03-07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14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38A KR102140301B1 (ko) 2014-03-07 2014-03-07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4/639,404 US9497574B2 (en) 2014-03-07 2015-03-05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ased on Bluetooth,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38A KR102140301B1 (ko) 2014-03-07 2014-03-07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013A true KR20150105013A (ko) 2015-09-16
KR102140301B1 KR102140301B1 (ko) 2020-07-31

Family

ID=5401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138A KR102140301B1 (ko) 2014-03-07 2014-03-07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97574B2 (ko)
KR (1) KR102140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046A (ko) * 2019-02-20 2020-08-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관련 데이터의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783B1 (ko) * 2018-07-04 2023-10-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455046A (zh) * 2019-02-20 2021-09-28 Abb电网瑞士股份公司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分配资源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6571A (ko) * 2007-01-12 2008-07-1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부호화 장치, 복호 장치, 부호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복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데이터 전송시스템
KR20090115112A (ko) * 2006-10-19 2009-11-0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컨 코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9573B2 (en) * 2008-02-01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ncatenated codes for beacon chann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112A (ko) * 2006-10-19 2009-11-04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컨 코딩
KR20080066571A (ko) * 2007-01-12 2008-07-1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부호화 장치, 복호 장치, 부호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복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데이터 전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046A (ko) * 2019-02-20 2020-08-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관련 데이터의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301B1 (ko) 2020-07-31
US20150256471A1 (en) 2015-09-10
US9497574B2 (en) 201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809B1 (ko) 데이터 통신 보안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59136B1 (ko) 차량 헤드 유닛과 외부 기기 연동 시 차량 전용 데이터 채널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9948347B (zh) 一种数据存储方法及装置、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RU2013131266A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программа,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CN106465104B (zh) 密钥共享方法和装置
US1199152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8141364B (zh) 用于消息认证的方法和装置
CN104184586A (zh) 消息认证码生成方法,实现该方法的认证装置及认证请求装置
CN107113296B (zh) 用于安全的节点到多节点通信的方法、第一节点、服务器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309650B (zh) 处理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A2921718C (en) Facilitat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a contactless interface
KR20170121242A (ko) 신원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24991B1 (ko) 이동체 기기 및 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11132148B (zh) 用于智能家电设备配置入网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6685644B (zh) 通信加密方法和装置、网关、服务器、智能终端和系统
CN105024807A (zh) 数据处理方法及系统
CN105391516A (zh) 用于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和装置
US8933786B2 (en) RFID tag device and method of recognizing the same
CN111465873A (zh) 一种数据发送方法和电子设备
KR102140301B1 (ko)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10396989B2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transaction keys
CN103427982A (zh) 密码通信方法及装置
CN106657092B (zh) 一种基于ssl/tls的业务处理方法及装置
JP6659462B2 (ja) データ送受信方法およびセンシングシステム
KR101758232B1 (ko) 블록 암호화 또는 블록 복호화 방법, 그 장치 및 블록 암호화 또는 복호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