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810A - Cervical maladjustment corr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Cervical maladjustment corr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810A
KR20150104810A KR1020140026609A KR20140026609A KR20150104810A KR 20150104810 A KR20150104810 A KR 20150104810A KR 1020140026609 A KR1020140026609 A KR 1020140026609A KR 20140026609 A KR20140026609 A KR 20140026609A KR 20150104810 A KR20150104810 A KR 20150104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pressure
support portion
cerv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61135B1 (en
Inventor
박태환
Original Assignee
박태환
송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환, 송승희 filed Critical 박태환
Priority to KR102014002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135B1/en
Publication of KR2015010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1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3Constructive detail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61H2201/1246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by piston-cylinde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vical mis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front lift supporting part in which an upper part thereof supports a lower part of a chin, and a rear supporting part disposed to cover a rear area of a neck.

Description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CERVICAL MALADJUSTMENT CORRECTING DEVICE}[0001] CERVICAL MALADJUSTMENT CORRECT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강제적으로 턱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최대한 목을 후굴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부정렬된 경추를 교정하는 효과를 얻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vical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rvical vertebra correcting apparatus for obtaining an effect of repeatedly performing an operation of forcibly lifting the jaw upwardly and pulling the neck as far as possible to correct the subaligned cervical vertebrae .

일반적으로 목뼈는 생리적인 곡만도(C자형 커브)를 유지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바르지 못한 자세로 장기간 생활을 할 경우에는 목뼈와 주위조직인 근육과 인대에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되므로 목뼈의 곡만도가 기형적으로 변형되게 된다. In general, the neck bone is formed to maintain only physiological music (C-shaped curve). However, in case of long-term life in an unsuitable posture, the continuous load is applied to the muscles and ligaments, such as the neck bone and surrounding tissues, so that the malleolus of the neck bone deforms abnormally.

특히, 장시간에 걸친 컴퓨터의 사용과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목뼈가 일자형으로 변형되는 거북목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교통사고 등 외상으로 인한 후유증과 스트레스, 과로, 부적절한 생활습관 등으로 부정렬된 경추와 이로 인해 야기되는 제반증상은 별도의 교정기를 이용하여 교정해야 개선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use of computers and smartphones for a long time, the use of smart phones to the neck type of turtle neck deformity is increasing, such as traffic accidents and trauma due to aftereffects, stress, overwork and improper lifestyle, such as misaligned cervical spine The symptoms caused by this can be improved by calibrating with a separate calibrator.

경추의 부정렬이란 머리의 무게를 지탱하며 정상적인 목의 가동범위를 가능하게 하는 역학적인 경추의 구조가 흐트러지는 것을 말한다. 경추의 부정렬은 경추 후관절(facet joint 또는 zygoapophyseal joint)의 변위로 초래되는데 경추의 회전(rotation), 병진(translation,수평 이동), 슬라이딩(sliding,수직이동)의 결과이며 후관절과 연결된 인대와 근육의 비정상적 단축 및 약화(늘어짐)에 기인한다. Sub-alignment of the cervical vertebrae refers to the disruption of the mechanical cervical structure that supports the weight of the head and enables the normal range of motion of the neck. The subalignment of the cervical spine is caused by displacement of the facet joint or zygoapophyseal joint, which is the result of rotation, translocation, sliding, and sliding of the cervical spine. And abnormal shortening and weakening (sagging) of muscles.

분절로 이루어진 경추는 상하 경추와 좌우 1쌍의 관절로 연결되는데 이를 후관절(facet joint 또는 zygoapophyseal joint)이라고 한다. 후관절은 후궁(lamina)의 양단에 위치하며 관절막과 활막으로 싸여있다. 후관절의 운동은 다른 관절과 마찬가지로 관절을 덮고 있는 인대와 각 경추의 분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육의 작용으로 일어난다. 적절한 운동이 이루어지려면 각 경추를 연결하는 근육이 적절한 수축과 이완이 일어나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근육의 유연함과 인대의 탄력성이 필요하다. The cervical vertebrae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vertebra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joints, which are called facet joints or zygoapophyseal joints. The posterior joints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amina and are surrounded by synovium and synovial membrane. Movement of the posterior joints occurs as a result of the ligaments covering the joints as well as the other joints and the muscles that enable segmental motion of each cervical vertebra. To achieve proper exercise, the muscles connecting each cervical vertebrae must have proper contraction and relaxation, which requires muscle flexibility and ligament resilience.

그러나, 장시간에 걸친 부적절한 자세 및 교통사고 등 외상으로 인한 후유증과 기타 부적절한 생활습관 등으로 부정렬된 경추는 근육긴장을 초래하게 되고, 인대의 만성적인 손상으로 탄력성이 소실되며 정상적인 강도를 얻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가 장기화되면 머리의 무게를 지탱하기 이한 보상적인 근육단축 및 근력약화를 일으키는데 부정렬된 경추를 더욱 고착시키는 악순환의 고리로 작용한다. 이는 근육의 양단에 연결된 인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작용하여 인대의 단축 및 인대의 약화, 나아가서 인대의 석회화로 부정렬된 경추를 더욱 고착시키는 원인이 된다. However, the cervical spine that is misaligned due to inappropriate posture and traffic accidents afte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after-effects due to trauma and other inappropriate lifestyle, causes muscle tension, resulting in chronic loss of ligaments and loss of elasticity and normal strength . When this condition prolongs, it acts as a vicious circle that further tightens the subaligned cervical spine, causing compensatory muscle shortening and muscle weakness that sustains the weight of the head. This also works on the ligament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uscles, causing shortening of the ligaments and weakening of the ligaments, and furthermore, the calcification of the ligaments leads to fixation of the cervical spine.

후관절은 중력에 의한 부하를 감당하면서 척추의 운동을 조절하는 척추체 관절이다. 정상적인 자세에서 중력에 의한 부하는 척추체와 추간판에 약 70%, 후관절에 약 15-30% 걸린다고 알려져 있다.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로 추간판내 수분이 소실되면 추간판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척추분절의 불안정성도 증가되며 이에따라 후관절도 더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어 후관절 손상의 원인으로 작용한다.The posterior joint is a vertebral joint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pine while taking up gravity load. In normal posture, gravity load is known to take about 70% in the vertebral body and the intervertebral disc, and about 15-30% in the posterior joint. If dehydration of the disc is lost due to the degenerative changes of the disc, the interval between the discs becomes narrower and the instability of the vertebral segments increases, which causes more pain on the posterior joints.

후관절의 상관절돌기의 기울기와 관절면의 방향은 경추에서는 45도 평행을 이루고 흉추에서는 60도 외회전, 요추에서는 90도 내회전을 이룬다. The inclination of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posterior joint and the direction of the joint surface are 45 degrees parallel in the cervical vertebra, 60 degrees in the external thoracic vertebra, and 90 degrees in the lumbar vertebra.

이러한 후관절의 기울기 형태에 따라 척추 각 가동범위의 특징이 결정된다. 흉추의 주요한 동작은 회전운동이지만 측굴운동이 제한되며, 요추부의 주요한 동작은 굴곡과 신전이지만 회전운동은 제한된다. 반면 경추는 굴곡과 신전, 회전과 측굴 어느 동작에도 크게 제한을 갖지 않는 광범위한 운동영역을 가진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n angular range are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posterior joint. The main action of the thoracic vertebrae is rotational movement, but the limb movement is limited. The main action of the thoracic vertebrae is flexion and extension, but rotational movement is limited. The cervical vertebrae, on the other hand, have a wide range of motion, with no significant limitations on flexion and extension, rotation and angulation.

그러나 이러한 광범위한 운동영역이 작은 손상에도 오히려 경추의 기능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하는데 흉추나 요추에 비해 비교적 작은 후관절 접촉면을 가지는 경추로서는 머리의 하중을 직접 감당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며 후관절 손상으로 인한 통증을 회피하기 위하여 주변 근육의 긴장과 단축, 인대의 약화를 쉽게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한 인한 경추의 부정렬도 빈번히 초래하게 된다.However, this wide range of motion is a factor limiting the fun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even for small lesions. The cervical vertebrae, which have a relatively small posterior articular surface compared to the thoracic and lumbar vertebrae, have a burden of directly bearing the load on the head, In order to avoid pain, tension and shortening of surrounding muscles and weakening of ligaments are easily caused, resulting in frequent misalignment of the cervical spine due to this.

경추의 부정렬은 머리 하중의 역학적 구조를 견디는 경추의 구조를 흐트러뜨려 경추 추간판 탈출증,경추 추간공 협착증, 경추 후종인대골화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수 있다. 경추를 지지하는 근육의 단축과 약화,좌우 비대칭적인 척추의 변위는 머리의 하중이 경추의 앞부분에 집중되게 하여 후방으로 추간판이 탈출되는 결과를 일으키며 후종인대에 비정상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인대의 골화(Ossification)를 초래한다. 또한 척추 신경근의 통로인 추간공에도 퇴행성 골화로 인해 추간공이 좁아지는 추간공 협착을 일으킨다.The subalignment of the cervical spine can cause the cervical disc herniation, cervical disc stenosis, and posterior cervical metastasis by disrupting the structure of the cervical spine which endures the mechanical structure of the head load. Shortening and weakening of the muscles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 asymmetric displacement of the vertebrae causes the head load to be concentrated on the anterior part of the cervical vertebrae, resulting in the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intervertebral disc, and the stress due to abnormally applied load Accumulation of ligaments (Ossification) causes. In addition, degenerative ossification causes a narrowed intervertebral foramen in the intervertebral foramen of the spinal nerve root.

따라서 경추의 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추의 부정렬을 교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상태가 아니라면 경추의 부정렬을 무리없이 교정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ervical disease, it is most important to correct the subalignment of the cervical spine.

경추는 제 1경추부터 제 7경추로 이루어졌으며 경추 후관절의 변위로 초래된 부정렬은 두통, 편두통, 어지러움, 고혈압, 만성피로, 안면통, 안면부종,시력 저하,청력 저하, 이명, 코막힘,비염,갑상선 질환, 편도염, 어깨결림등의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며 경추두개증후군,경추 상완증후군,경추 후관절 증후군등의 원인이 된다.The cervical vertebrae consisted of the first to seventh cervical vertebrae and the subalignment caus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posterior cervical vertebrae consisted of headache, migraine, dizziness, hypertension, chronic fatigue, facial pain, facial edema, decreased visual acuity, Rhinitis, thyroid disease, tonsillitis, shoulder stiffness and other symptoms, such as cervical cranial syndrome, cervical upper arm syndrome, cervical spondyloarthropathies are the cause.

또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퇴행성 척추질환인 경추 추간판 탈출증,경추 추간공 협착증,후방인대 골화증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such as cervical disc herniation, cervical stenosis, and posterior ligament ossification may cause causes.

경추 의 가동역은 굴곡 45도,신전 45도,측굴 좌우 각각 45도, 회전 좌우 각각 60도가 대략 정상적 범위에 해당된다. The range of mo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is approximately 45 degrees of flexion, 45 degrees of extension, 45 degrees of right and left of the probe, and 60 degrees of right and left respectively.

따라서 이러한 가동역에 미치지 못할 때 경추의 부정렬을 의심할수 있는데 Therefore, it is suspected that the cervical spine is misaligned when it does not reach this range

본 발명에 있어서 측굴과 회전의 가동역 보다는 굴곡과 신전의 가동역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굴곡과 신전의 가동역이 회복되면 측굴과 회전의 가동역도 개선되는 것을 기대할수 있다. 경추의 굴곡과 신전은 후두부와 제 1경추사이에서 20도, 제1 경추와 제2경추사이에서 15도,제 2경추와 제3경추사이에서 10도,제 3경추와 제 4경추사이에서 15도,제4경추와 제5경추에서 20도,제5경추와 제 6경추사이에서 20도,제 6경추와 제7경추사이에서 17도, 제 7경추와 제1흉추사이에서 9도의 가동역을 보이고 있으므로 후두부와 제1경추를 제외하면 굴곡-신전의 가동역은 제 3-4-5-6 경추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제 3경추에서 제6경추의 후궁에 전방 및 전상하방으로 부채꼴 모양의 압력을 가하여 부정렬을 교정하는 것은 경추의 굴곡-신전의 가동역을 최대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imed to recover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motion of the extension and the movement of the flexion and extension rather than the movement of the digging and rotation. The flexion and extens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are 20 degrees between the occiput and the first cervical vertebra, 15 degre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ervical vertebra, 10 degree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ervical vertebra, 15 degrees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ervical vertebra 20 degrees in the fourth and fifth cervical vertebrae, 20 degrees in the fifth and sixth cervical vertebrae, 17 degrees in the sixth and seventh cervical vertebrae, 9 degrees in the seventh cervical vertebra and the first thoracic vertebra The flexion-extension movement is concentrated in the 3-4-5-6 cervical vertebrae except for the occipital region and the first cervical vertebra. Therefore, correcting the subalignment of the 3rd cervical vertebrae by applying the fan-shaped pressure to the anterior and posterior lower limbs of the sixth cervical vertebrae plays a role in maximizing the flexion-extension movement of the cervical vertebrae.

경추의 부정렬로 야기된 형태의 하나인 거북목을 교정하기 위한 종래 교정기는 공개특허 제10-2013-0059465호 "일자형 목 교정베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베개형태, 수동식 공기주입 또는 트랙션 등의 기계작동에 의하거나 체중을 이용한 수직(축방향) 견인 방식, 특정 형상으로 고정된 교정기를 의복처럼 착용하는 방식들이 있다. A conventional calibrator for calibrating a turtle neck, which is a type caused by sub-alignment of the cervical vertebrae, includes a pillow typ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3-0059465, " straight neck calisthenic pillow, " Vertical (axial) traction by actuation or weight, or by wearing a brace fixed in a certain shape like a garment.

통상 거북목 등의 부정렬된 경추를 교정하려면 직립상태에서 정상적인 목의 C커브를 유지하기 위해 경추부 주변의 인대와 근육이 적절히 지지해 주어야 한다.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단축된 근육은 스트레칭으로 늘리고, 약해진 근육은 강화시켜야 정상적인 목의 커브를 유지하며 머리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Normally, to calibrate the misaligned cervical spine, such as turtle neck, the ligaments and muscles around the cervical spine should be properly supported to maintain a normal neck C curve in an upright state. Shortened muscles stretch for a long time due to a bad posture, and weakened muscles need to be strengthened to maintain normal neck curves and support head weight.

그런데, 베개형태의 교정기는 누운 상태에서 사용되므로, 목 근육이 이완된 상태이므로 베개부의 압박을 통한 목뼈의 교정은 직립상태로 바뀌면 이를 유지하기 위한 인대와 근육의 지지효과를 얻을 수 없어 비정상적인 거북목 형태의 커브로 돌아가게 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the pillow type orthodontic appliance is used in a lying state, the neck muscles are relaxed, so that when the orthodontic correction of the neck bone is performed through the compression of the pillow portion, the supporting effect of the ligament and the muscles for maintaining the orthodontic state can not be obtained. There is a limit to return to the curve of the shape.

또한, 수직견인 방식의 경우, 경추 사이의 공간을 수직견인에 의해 늘려줌으로써 탈출된 추간판이 제자리로 복원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상술한 베개형태의 교정기에서와 마찬가지로 근육과 인대의 단축해소와 강화운동을 얻지 못함으로써 견인 중 일시적 효과에 그치게 된다. 즉, 머리하중으로 인하여 견인을 멈추고 일상생활로 복귀시에는 목뼈의 정렬이 흐트러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축방향 견인의 경우 인체역학적인 지지구조인 경추의 C커브와는 부적합한 방향이다. In the case of the vertical traction method, it is claimed that the space between the cervical vertebrae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increasing the space between the cervical vertebrae by vertical traction. However, as in the above-mentioned pillow type brace, By not getting the exercise, the temporary effect stops during traction. In other words, when you return to daily life by stopping the traction due to the head load, the alignment of the neck bone can not help but be disturbed. Also, in the case of axial traction, it is in a direction unsuitable for the C curve of the cervical spine, which is an anatomical supporting structure.

한편, 의복착용방식은 이미 고정된 상태의 교정기를 착용하여 근육을 압박함으로써 체형을 교정하는 것이나, 인체의 다양한 동역학적 움직임을 고려할 때 단순 지지대 역할에 그치는 한계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arment wearing method has a limitation that it is merely a simple support when considering the various dynamic movements of the human body, and correcting the body shape by pressing the muscles by wearing a calibrator which is already fix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립상태로 머리의 하중을 견디는 자세에서 수직견인을 지양하고 동역학적인 운동을 함으로써 정상적인 C커브로 교정되도록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rvical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for correcting a normal C curve by avoiding vertical traction in an upright posture in which the head is subjected to load in an upright state and performing kinetic motion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북목의 원인인 목 앞면부의 근육, 인대의 단축과 동시에 목 뒷면부의 근육의 약화와 인대의 늘어짐을 함께 교정하여 거북목 등 경추 부정렬의 원인을 직접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neck front, which is the cause of the turtle neck, as well as weakening the muscles of the back of the neck and slackening of the ligaments, And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북목등 경추 부정렬의 원인인 목 앞면부의 근육과 인대의 단축 정도를 측정하여 근육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반복 운동함으로써 무리없이 단축을 해소하고 목 뒤편의 약해진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켜 일회적 교정에 머무르지 않고 교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지지력을 확보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shortening of the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neck front part causing the alignment of the cervical vertebrae such as the turtle neck and to repetitively perform the exercises at preset values according to the muscular condition, Strengthening the ligaments to maintain a calibrated state of support without remaining in a one-time corr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추의 부정렬, 즉 경추의 회전,병진, 후관절 슬라이딩으로 인한 변위로 인하여 분절된 경추의 좌우 어느 한쪽의 후궁(lamina)이 비대칭적으로 후방 돌출되는데 이 부위를 직접 압박함으로써 경추의 좌우 비대칭적 구조를 직접 교정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rvical vertebr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cervical spine which is asymmetrically protruded rearward due to displacement due to subalignment of the cervical vertebrae, that is, rotation, translation, To correct the bilateral asymmetry of the cervical vertebra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는, 목의 전방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단이 턱의 하부를 접촉지지하는 전방승강지지부와; 목의 후방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의 양단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승강지지부는 하강된 초기상태로부터 상부로 상승하며 턱을 가압하여 목을 강제적으로 뒤로 이동시키는 가압상태 간을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방지지부는, 목의 후방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후방접촉지지판과; 상기 후방접촉지지판의 판면에 목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의 상승에 의해 목이 뒤로 이동될 때 목의 뒷면을 접촉하며 가압하는 가압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cervical alignment correction apparatus. The cervical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elevating support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a front region of a neck, the upper portion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jaw; And a rear support portion that is disposed to surround the rear region of the neck and has both ends detach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ront lift support portion. The front lift support portion rises upward from the initial state of the lowered portion, A rear contact support plate which is arranged to repeatedly move between pressurized states for forcibly moving backward,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is arranged to surround a rear region of the neck; And a pressing blade which protrudes toward the neck on the plate surface of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and contacts and presses the back surface of the neck when the neck is moved back by the rise of the front lift support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승강지지부는, 목의 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구비되며, 유체의 유입여부에 의해 압축 및 팽창되며 상기 초기상태와 상기 가압상태 간을 가변하는 가변튜브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ont elevation support unit includes: a base member provided to surround a front of the neck; And a variable tu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member so as to be able to extend upwardly and to be compressed and expanded by the inflow of the fluid and varying between the initial state and the pressurized st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승강지지부는, 목의 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의 상단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링과; 상기 지지본체와 상기 가압링을 연결시키며,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ont elevation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body provided to surround a front of the neck; A pressure ring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and having both ends pivotally coupled to the rear support; And a lifting rod that connects the support body and the pressure ring and is vertically movab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며,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링이 하강 및 상승하며 상기 대기상태와 상기 가압상태 간을 반복 이동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hydraulic cylinder provided in the support main body, the hydraulic fluid being introduc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support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lifting rod to move up and down, The ring moves down and rises and repeatedly moves between the standby state and the pressurized st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지지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가압링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후상방으로 견인하여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대기상태와 상기 가압상태 간을 반복 이동하도록 하는 견인부재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ire for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s of: disposing the tire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support, And a pulling member for guiding the pulling memb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지지부는 의자의 등받이와 연결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등받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후방지지부의 양단은 상기 연결축에 대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ackrest of the chair through a connection shaft, the connection shaft is vertically movable on the backrest, and both ends of the rear support portion are rotatably coupled d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접촉지지판의 양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결합암을 더 포함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coupling arm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and having a coupling member coupled with the front lift support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암은 후방접촉지지판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밴드의 형태로 구비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upling arm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that is coup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날개는 측단면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거나, 판면에 목의 후방 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돌출되는 돌기형으로 형성되거나, 반원형상에 돌기가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sure blades ar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in side cross-sectional shape, a protrusion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truded in a backward direction of the neck on a plate surface, or protrusions are formed on a semicircular shap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날개에는 상기 목의 후방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한 쌍의 압력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과 압력차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wing further includes a pair of 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rear of the neck,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pressure and pressure differences measured by the pair of pressure sensors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날개에는 히팅부재가 구비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sing blade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mb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링의 회동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와; 상기 가압링에 의해 턱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턱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표시부는 상기 회동각도와 상기 턱압력을 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gl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rotation angle of the pressure ring; And a jaw pressure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jaw by the pressure ring,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rotation angle and the jaw pressu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front lift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와 상기 승강링이 턱을 감싸는 벨트에 의해 결합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ont elevating support portion and the elevating ring are coupled by a belt wrapping the jaw.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는 직립상태로 목에 착용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머리의 하중을 견디는 자세에서 반복적으로 턱이 상방향으로 이동 및 하강하는 동역학적인 운동이 수행되므로 경추가 비정상적인 일자상태에서 정상적인 C자형태로 교정될 수 있다.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worn on the neck in an upright state. Therefore, the cervical vertebrae can be calibrated in a normal C-shape in an abnormal state because the dynamic movement in which the jaw moves up and down repeatedly repeatedly is performed in a posturing state in which the head is subjected to load.

특히, 목이 상하로 후굴될 때, 후방지지부의 가압날개가 목 뒷편을 가압하므로 목 후방의 근육과 인대도 함께 단련하여 거북목이 발생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를 제거하더라도 교정된 C자형태의 경추형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neck is folded up and down, the pressing blade of the back support presses the back of the neck so that muscles and ligaments in the back of the neck are also strengthened to eliminate the cause of turtle neck. Therefore, even if the cervical alignment correction device is removed, the corrected C-shaped cervical vertebra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초기상태의 착용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가압상태의 착용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전방승강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후방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초기 상태의 착용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가압상태의 착용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전방승강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후방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후방지지부의 가압날개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n initial state of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 pressurized state of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ront elevation support portion of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ar support portion of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n initial state of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ront elevation support portion of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ck support part of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sure wing of the rear suppor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를 사용자가 착용하고 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초기상태의 사용례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공기가 공급되어 가변튜브(113)가 부풀어 오른 가압상태의 사용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itial use of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ser wears the apparatus and air is not supplied.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air is supplied and the variable tube 113 is swollen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right pressurized stat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는 사용자의 목 전방에 착용되는 전방승강지지부(110)와, 목 후방에 착용되는 후방지지부(120)와, 전방승강지지부(11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30)과, 공기공급관(130)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공기공급부(14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입력부(150)와, 입력부(150)의 입력신호에 따라 공기공급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ervical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elevator support 110 to be worn on the user's neck, a rear support 120 to be worn behind the neck, a front elevator support 110, An ai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air to or discharging air from the air supply pipe 130, an input unit 150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from a user, an input unit 150 for inputting an input of the input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unit 140 according to a signal.

전방승강지지부(110)와 후방지지부(120)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을 감싸고, 전방승강지지부(110)는 공기의 공급여부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사용자의 턱(T)을 가압하거나 이완시킨다. 이에 따라 강제적으로 사용자의 머리(H)를 뒤로 제끼고, 턱을 가압한다(F1). 이와 동시에 후방지지부(120)는 목의 뒤, 경추 뒤 측을 강제적으로 가압하여 압박하므로 경추가 정상적인 C커브로 복귀하도록 한다(F2). The front elevation supporting portion 110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12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user's neck. The front elevation supporting portion 110 is raised or lowered depending on whether air is supplied or not, Or relax. Accordingly, the user's head H is forcibly put back and the jaw is pressed (F1). At the same time, the rear support portion 120 forcibly pressurizes and presses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back of the cervical vertebrae so that the cervical vertebra returns to the normal C curve (F2).

도 1에 도시된 대기상태와 도 2에 도시된 가압상태를 반복적으로 동작하므로 사용자가 기립된 상태로 머리(H)의 하중을 견디는 자세에서 경추의 가압과 이완을 수행하여 경추 뿐만 아니라 목 전방의 근육과 인대, 목 후방의 근육과 인대를 함께 자극하여 약해진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켜 거북목 등 경추 부정렬이 발생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경부 근육의 지지구조를 회복하여 경추가 정상적인 C커브로 복귀되도록 한다.2 and the pressurized state shown in FIG. 2 repeatedly, the pressure and relaxa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are performed in an attitud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load of the head H in a standing state, Muscles, ligaments,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back of the neck are stimulated to strengthen weak muscles and ligaments to eliminate the root cause of cervical alignment such as turtle neck. Thus, restor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cervical muscle allows the cervical spine to return to the normal C curve.

여기서, 본 발명의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는 사용자의 경추 부정렬도를 측정하는 부정렬도 측정부(165)가 구비된다. Here,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unity measurement unit 165 for measuring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degree of the user.

통상적인 거북목 등의 상태와 달리 경추후방인대골화증(OPLL,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이나 탈출정도가 심한 추간판 탈출증에서는 과도한 목의 후굴과 뒷목의 전방 압박은 경수의 압박을 초래할수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후굴각도와 압박의 강도, 운동 횟수를 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통상의 해부학적 영상 이미지를 이용한 검사를 통해 교정 대상을 선별해야 한다. Unlike typical tortoise neck conditions,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or severe dislocation of the intervertebral disc in the extreme neck of the neck and forward compression of the neck may cause compression of the hard water, The angle, the strength of the compression, and the number of exercises should be determined. To do this, the subjects to be calibrated should be screened by using an ordinary anatomical image.

본 발명의 부정렬도 측정부(165)는 경부 전면의 근육 및 인대의 단축정도와 경부 후면의 압박에 대한 저항 정도를 정중선을 중심으로 좌우로 나누어 측정함으로써 부정렬의 좌우 비대칭 정도를 계량화한다. 이에 의해 무리없는 교정에 필요한 후굴각도, 압력의 강도, 운동의 횟수를 설정할수 있으며 좌우 압력차이가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교정 효과를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The degree of misalignment measuring unit 165 measures the degree of shortening of the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entire neck portion and the degree of resistance to the pressing of the back of the neck portion by divi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edian line. Thus, it is possible to set the angle of deflection,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and the number of movements necessary for correct calibr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ressures is within a certain range,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judging the correction effect.

이에 따라, 경추를 옆에서 보았을 때 역학적 구조인 C커브를 만들기 위해 경부 뒷면에 압박하는 부위가 극돌기 또는 극돌기를 연결하는 항인대(ligamentum nuchae)가 아닌 좌우측 경추 후궁(lamina)이므로 경추 후관절의 회전,병진, 상하 슬라이딩으로 초래되는 부정렬을 더욱 정교하게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when the cervical vertebra is viewed from the side, it is not the ligamentum nuchae that connects the cervical spine or the spindle, but the left and right cervical spine (lamina) ,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calibrate the sub-alignment caused by translational movement and up-and-down sliding.

사용자는 부정렬도 측정부(165)에서 측정된 부정렬도를 기초로 입력부(150)에 본인이 희망하는 압력을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 부정렬도에 대한 적절한 압력은 매뉴얼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The user can input the pressure desired by the user to the input unit 150 based on the degree of misalignment measured by the misalignment degree measuring unit 165. [ Appropriate pressure for each subalignm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manual or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승강지지부(1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승강지지부(110)는 사용자의 목 전방을 감싸는 베이스부재(111)와, 베이스부재(111)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공급여부에 따라 상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는 가변튜브(113)를 포함한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ront elevation support 1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front elevating support 110 includes a base 111 surrounding the neck of the user, a variable tube 110 disposed on the base 111 and extending or compressing upward according to the supply of air, 113).

베이스부재(111)는 사용자의 목을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11)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의 동작 중에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부드러운 섬유 소재 또는 쿠션소재로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11)의 하부는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가슴을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11)의 양단에는 후방지지부(12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115)가 구비된다. 제1결합부재(115)는 후방지지부(120)의 제2결합부재(123a)와 결합되어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의 동작중에 전방승강지지부(110)와 후방지지부(12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제1결합부재(115)와 제2결합부재(123a)는 암수 벨크로부재, 단추, 후크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111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cover the user's neck. The base member 111 is formed of a soft fibrous material or a cushioning material so as to feel a comfortable fit during operation of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100.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member 111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press the user's chest. At both ends of the base member 111, a first engaging member 115 coupled to the rear supporting portion 120 is provided. The first engaging member 115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member 123a of the rear supporting portion 120 so that the engaging state of the front elevating supporting portion 110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12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device 100 So that it can be stably maintained. The first engaging member 115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123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male and female velcro member, a button, and a hook.

이 때 제1결합부재(115)와 제2결합부재(123a)는 사용자의 목 두께에 따라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전방승강지지부(110)와 후방지지부(120)가 본인의 목에 밀착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engaging member 115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123a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where the engaging member 115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123a are enga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neck.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forward elevation support 110 and the rear support 120 so that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eck.

가변튜브(113)는 베이스부재(111)의 상단에 구비되며, 공기의 공급여부에 따라 상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된다. 가변튜브(113)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초기상태에는 압축된 상태로 베이스부재(111)에 배치된다. 공기공급부(140)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상태로 팽창되며 상방향으로 신장되어 사용자의 턱(T)을 가압한다. The variable tube 113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member 111 and is elongated or compressed in an upward direction depending on whether air is supplied or not. The variable tube 113 is disposed in the base member 111 in a compressed state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air is not supplied as shown in FIG. 3 (a). When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140, the air is inflated into a variable state as shown in FIG. 3 (b) and is stretched upward to press the chin T of the user.

가변튜브(113)의 팽창높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턱(T)을 가압하여 머리(H)가 후방으로 완전히 제껴져 일자형 경추가 C커브로 변화될 수 있게 구비된다. 가변튜브(113)는 장시간 반복적으로 사용되더라도 내부의 공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과 강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inflation height of the variable tube 113 is provided so as to push the chin T of the user so that the head H can be completely deflected backward so that the straight cervical vertebra can be changed into a C curve. The variable tube 113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durability and strength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internal air pressure even if it is used repeatedly for a long time.

도 4는 후방지지부(12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후방지지부(120)는 가변튜브(113)의 팽창에 의해 사용자의 목이 뒤로 이동될 때 목의 뒤편을 가압하여 자연스럽게 경추의 형상이 C커브를 이루도록 한다. 후방지지부(120)는 목의 후방에 착용되는 후방접촉지지판(121)과, 후방접촉지지판(121)의 양단에 연장형성되어 베이스부재(111)의 양단과 결합되는 결합암(123)과, 후방접촉지지판(121)의 판면에 목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목을 가압하는 가압날개(125)를 포함한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20. As shown in Fig. The back support 120 presses the back of the neck when the user's neck is moved back by the expansion of the adjustable tube 113 so that the shape of the cervical spine naturally forms a C curve. The rear support portion 120 includes a rear contact support plate 121 to be worn on the back of the neck, a coupling arm 123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121 to be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base member 111, And a pressing blade 125 protruding in the neck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support plate 121 to press the neck.

후방접촉지지판(121)은 판상재질로 형성되어 전방승강지지부(110)의 팽창에 의해 목이 뒤로 제껴질 때 목의 후방을 밀착 지지한다. 후방접촉지지판(121)은 목의 상단과 하단, 상부 흉추 영역까지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목은 물론 목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까지 가압하여 가압력이 목 후방의 근육과 인대까지 충분히 전달되도록 한다.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121 is formed of a plate-like material so that the back of the neck is supported by the rear support support plate 121 when the neck is tilted backwar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front lift support 110.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121 is formed to have an area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neck and the upper thoracic region. As a result, the muscles surrounding the throat as well as the neck are pressuriz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is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muscles and ligaments in the back of the throat.

결합암(123)은 후방접촉지지판(121)의 양측에 연장형성되어 전방승강지지부(110)와 결합된다. 결합암(123)의 단부에는 제1결합부재(115)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123a)가 구비된다. The coupling arms 123 are exten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121 and are coupled to the front elevation support 110. [ A second engaging member 123a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member 115 at an end of the engaging arm 123.

가압날개(125)는 후방접촉지지판(121)의 판면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가압날개(125)는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목의 후방을 가압한다. 가압날개(125)는 경질재질로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상태에서 목이 뒤로 제껴질 때 목의 후방, 경추 3,4,5,6번의 좌우 후관절부의 부정렬로 튀어나온 부위(후궁, lamina)를 압박하여 교정되도록 한다.The pressurizing blade 125 protrudes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121. The pair of pressure blades 125 are formed in parallel to press the rear of the neck. As shown in FIG. 2, the pressurizing blade 125 i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when the neck is moved backward as shown in FIG. 2,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neck, cervical vertebrae 3, Abdomen, lamina) to be corrected.

한 쌍의 가압날개(125)에는 각각 압력센서(125a)가 구비된다. 압력센서(125a)는 각 가압날개(125)를 통해 목 뒤로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한다. 한 쌍의 압력센서(125a)에서 측정된 압력은 표시부(155)를 통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좌우 양측으로 인가되는 압력의 차이를 통해 뒷목의 대칭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사용기간에 따라 압력의 차이의 변화를 통해 부정렬도의 교정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Each of the pair of pressure blades 125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125a. The pressure sensor 125a measur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ack of the neck through each pressure wing 125. [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air of pressure sensors 125a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5. [ Accordingly, the degree of symmetry of the rear nose can be grasped through the difference in the pressure appli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degree of misalignment can be judged by changing the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use period.

또한, 가압날개(125)에는 히팅부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히팅부재(미도시)가 발열하면 가압날개(125)가 목을 가압함과 동시에 온열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있다. 이에 경직된 근육의 이완을 도울 수 있다. Also, a heat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corporated in the pressurizing vane 125. Accordingly, when the heating member (not shown) generates heat, the pressure blades 125 press the neck and provide a warm massage effect. This can help to relax the rigid muscles.

가압날개(125)의 형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형(125'), 반원형(125"), 반원돌기형(125"')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pressure blades 125 may be a protrusion 125 ', a semicircular shape 125'', and a semicircular protrusion 125''as shown in FIG.

한편, 도 8은 후방지지부(120b)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후방지지부(120b)는 결합암(123)이 후방접촉지지판(121)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결합밴드(126)가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결합밴드(126)는 후방접촉지지판(121)에 결합된 부착지지부재(128)의 결합홈(128a)을 통해 고정된다.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20b. The rear support portion 120b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oupling arm 123 i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121 but the coupling band 126 is engaged. The coupling band 126 is fix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 128a of the attachment support member 128 coupled to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121. [

결합밴드(126)의 양단에는 결합부재(126a)가 결합되어 전방승강지지부(110)와 고정된다.
The coupling band 126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band 126 to be fixed to the front elevation support 110. [

공기공급관(130)은 베이스부재(111)와 연결되어 공기공급부(140)로부터 공기를 가변튜브(113)로 공급한다. 이 때, 베이스부재(111)의 내부에는 공기공급관(130)과 가변튜브(113)를 연결하는 공기공급로(미도시)가 형성된다. The air supply pipe 130 is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111 to supply air from the air supply unit 140 to the variable tube 113. At this time, an air supply passage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air supply pipe 130 and the variable tube 113 is formed inside the base member 111.

공기공급부(140)는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탱크와, 공기탱크의 공기를 공기공급관(130)으로 공급하는 공기압축기로 형성된다. 공기공급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공기를 가변튜브(113)로 공급하거나 배출한다. The air supply unit 140 is formed of an air tank in which air is stored and an air compressor that supplies air in the air tank to the air supply pipe 130. The air supply unit 140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to supply or discharge air to the variable tube 113.

공기공급부(140)에는 공기압출기로부터 가변튜브(113)로 공급되는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140 may include a pressure gauge (not shown) for measuring the air pressure supplied from the air extruder to the variable tube 113.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전원공급, 사용조건 등을 입력받는다. 사용조건은 최대 압력, 반복주기, 사용시간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가변튜브(113)가 팽창하면서 턱(T)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본인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초기상태와 가압상태가 반복되는 반복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50 receives power supply, use conditions, and the like from a user. Conditions of use may be maximum pressure, repetition period, use time, etc. The user can set the pressure that the variable tube 113 is applied to the jaw T while the user is expanding. It is also possible to set a repetition period in which the initial state and the pressurized state are repeated.

제어부(160)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입력조건에 따라 공기공급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설정된 최대압력 보다 공기공급부(140)의 공급압력이 클 경우 자동으로 공기압축기의 구동이 멈추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설정된 최대압력으로 설정된 반복주기에 따라 공기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공기공급부(14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air supply unit 140 according to an input condition se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50. [ In addition, when the supply pressure of the air supply unit 140 is higher than the set maximum pressure, the air compressor is automatically stopped to be driven.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air supply unit 140 to supply and discharge air according to the repetition period set at the set maximum pressur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는 공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작동유체의 유압에 의해 구동할 수도 있다.
Here, although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ir, it may be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of a working fluid in some cases.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use of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사용에 앞서 사용자는 부정렬도 측정부(165)를 이용해 본인의 경추 부정렬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부정렬도에 기초하여 입력부(150)에 희망하는 적절 압력을 입력한다. Prior to use, the user measures the degree of alignment of the cervical vertebrae by using the subalignment degree measuring unit 165. Then, the desired proper pressure is input to the input unit 150 based on the measured degree of misalign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인의 목에 전방승강지지부(110)와 후방지지부(120)를 착용한다. 전방승강지지부(110)의 제1결합부재(115)와 후방지지부(120)의 제2결합부재(123a)를 서로 결합시켜 결합상태를 고정한다. As shown in FIG. 1, the user wears the front lifting support part 110 and the rear supporting part 120 on his or her neck. The first engaging member 115 of the front elevation suppor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engaging member 123a of the rear supporting portion 1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engaged state.

리모컨의 형태로 구비된 입력부(150) 또는 공기공급부(140)의 외부에 버튼 식으로 형성된 입력부(15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최대 공기압력과 반복주기, 동작시간을 설정한다. Power is supplied through an input unit 150 provided in the form of a remote controller or an input unit 150 formed in a button shape outside the air supply unit 140 and the maximum air pressure, repetition period, and operation time are set.

제어부(160)는 입력된 설정조건을 기초로 공기공급부(140)를 구동한다. 공기가 공급되어 가변튜브(113)로 공급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튜브(113)가 상부로 팽창하며 턱(T)을 가압한다. 최대로 가변튜브(113)가 팽창되면 턱(T)을 위로 완전히 들어올리게 되고, 머리(H)가 뒤쪽으로 제껴지게 된다. The control unit 160 drives the air supply unit 140 based on the input setting conditions. When the air is supplied and supplied to the variable tube 113, the variable tube 113 expands upward and presses the jaw T as shown in Fig. When the variable tube 113 is inflated to the maximum, the chin T is lifted up completely, and the head H is moved backward.

이 때, 후방지지부(120)는 전방승강지지부(110)와 결합상태가 유지되므로 목이 뒤로 제껴짐과 동시에 앞으로 이동하며 목의 후방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가압날개(125)는 목의 후방을 가압하여 목의 후방, 경추 3,4,5,6번의 좌우 후관절부의 부정렬로 튀어나온 부위를 압박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rear support portion 120 is kept in engagement with the front elevation support portion 110, the neck is rearwardly moved and forward, and the back of the neck is tightly supported. The pressurizing blade 125 presses the back of the neck and presses the protruding portions of the back and neck joints of the cervical vertebrae 3, 4, 5, and 6.

목이 뒤로 제껴진 후굴상태에서 후방을 가압하므로 경추는 자연스럽게 C형커브를 이루게 된다. 공기가 다시 배출되고, 가변튜브(113)가 수축되면 목은 다시 초기상태로 내려온다. The cervical spine naturally forms a C-shaped curve because the thigh pushes the backward in the backward tucked state. When the air is again exhausted and the variable tube 113 is retracted, the neck falls back to its initial state.

이렇게 초기상태와 가압상태가 반복되면, 목이 이완상태와 가압상태가 반복되면서 경추는 C형커브로 교정되고, 목 주변의 근육과 인대도 단련되면서 건강해진다. 따라서, 경추의 교정된 상태가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가 제거되더라도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initial state and pressure state are repeated, the cervical vertebrae are corrected with a C-shaped curve while the neck is repeatedly relaxed and pressurized, and muscles and ligaments around the neck are also refreshed and become healthy. Thus, the calibrated state of the cervical vertebrae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apparatus 100 is removed.

본 발명의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는 전방승강지지부에 의해 턱이 상하로 이동되며, 하악의 후상방 거상 또는 견인으로 경추를 후굴시키고, 후방지지부의 가압날개의 경추 압박은 전방 또는 전상방, 전하방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동시에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The cervical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jaw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front elevating support portion, and the cervical vertebra is retracted by the posterior upward collimation or traction of the mandible, and the cervical compression of the pressurizing wing of the rear supporting portion is forward or forward, . This operation is repeated at the same time.

또한, 부정렬도 측정부에 의해 경부 전면의 근육 및 인대의 단축정도와 경부 후면의 압박에 대한 저항 정도를 정중선을 중심으로 좌우로 나누어 측정함으로써 부정렬의 좌우 비대칭 정도를 계량화함으로써 교정에 필요한 후굴각도, 압력의 강도, 운동의 횟수를 설정할수 있으며 좌우 압력차이가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교정 효과를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degree of misalignment, the degree of shortening of the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entire neck and the resistance to the compression of the back of the neck are measured by dividing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idline, thereby quantifying the lateral asymmetry of the sub- The angle,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and the number of movements can be se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ressures is within a certain range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judging the correction effect.

또한, 경추를 옆에서 보았을 때 역학적 구조인 C커브를 만들기 위해 경부 뒷면에 압박하는 부위가 극돌기 또는 극돌기를 연결하는 항인대(ligamentum nuchae)가 아닌 좌우측 경추 후궁(lamina)이므로 경추 후관절의 회전,병진, 상하 슬라이딩으로 초래되는 부정렬을 더욱 정교하게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cervical vertebra is viewed from the side, it is not the ligamentum nuchae that connects the cervical or epicondyle, but the left and right cervical spine (lamina)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calibrate the misalignment caused by translational movement and up-and-down sliding.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a)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는 공기의 공급과 배출에 의해 팽창하는 가변튜브(113)가 상하로 신장하거나 수축하며 턱(T)을 가압하였다. In the cervical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tube 113 expanding by the supply and discharge of air is vertically extended or contracted, and the jaw T is pressed.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a)는 전방승강지지부(170)가 공압실린더(175)와 승강로드(177), 승강로드(177)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링(173)에 의해 구현된다. 승강링(173)은 양단이 후방지지부(120)의 결합고리(12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승강링(173)은 결합고리(127)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The cervical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ront elevating support portion 170 is vertically moved by the pneumatic cylinder 175, the elevating rod 177, and the elevating rod 177 Ring 173,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lifting ring 173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ement ring 127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20. As a result, the lifting ring 173 rotates around the engaging ring 127.

즉, 공기공급부(14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링(173)이 지지본체(171)와 접촉된 초기상태를 유지한다. 공기공급부(140)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드(177)가 공압실린더(175)로부터 상승한다. 승강로드(177)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링(173)은 승강로드(177)의 상승에 연동하여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That is, if air is not introduced from the air supply unit 140, the lift ring 173 maintains the initial state where the lift ring 173 contacts the support body 171 as shown in FIG. 7A. When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140, the lifting rod 177 is lifted from the pneumatic cylinder 175 as shown in FIG. 7 (b). The lift ring 173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 rod 177 is moved upward in conjunction with the lift of the lift rod 177.

승강링(173)의 양단은 후방지지부(120)의 결합구(127)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승강링(173)은 결합구(127)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된다. 이 때, 승강링(173)에는 턱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턱압력감지부(178)가 구비된다. 턱압력감지부(178)에서 감지된 압력은 표시부(155)에 표시된다. Both ends of the lifting ring 173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s 127 of the rear supporting portion 120. Accordingly, the lifting ring 173 is vertically rotated about the coupling hole 127. [ At this time, the lift ring 173 is provided with a jaw pressure sensing unit 178 for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jaw. The pressure sensed by the jaw pressure sensing unit 178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5.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링(173)이 하강된 초기상태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링(173)이 상승된 가압상태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경추부정렬을 교정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lift ring 173 is lowered and the pressurization state in which the lift ring 173 is raised as shown in Fig. 6 are repeatedly moved. This show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cervical alignment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의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200)에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apparatus 100b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form coupled to the chair 200 as shown in FIG.

이 경우, 후방지지부(120c)의 양단의 결합암(128)이 연결축(129)에 의해 의자(200)의 등받이에 결합된다. 결합암(128)은 연결축(129)에 대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사용자의 키에 따라 연결축(129)은 등받이에 대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coupling arms 128 at both ends of the rear support portion 120c are coupled to the backrest of the chair 200 by the coupling shaft 129. The coupling arm 12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shaft 129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user's key, the connection shaft 129 is vertically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전방승강지지부(110)는 후방지지부(120c)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고, 전방승강지지부(110)의 구동에 의해 후방지지부(120c)가 연결축(129)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전방승강지지부(110)는 턱을 감싸는 벨트로 대체될 수 있다. 벨트의 양단은 견인부재에 의해 견인되어 구동될 수 있다. 턱을 감싸는 벨트는 후방지지부와 반드시 결합될 필요는 없다. The front elevating support part 110 is coupled to the rear supporting part 120c and the rear supporting part 120c is rotated around the connecting shaft 129 by driving the front elevating supporting part 110. [ At this time, the front elevating support 110 may be replaced with a belt that covers the jaws. Both ends of the belt can be pulled and driven by the pulling member. The belt surrounding the jaw need not necessarily be joined to the rear support.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100c)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100c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전방승강지지부(170)의 가압링(173)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외에도 견인부재(300)에 의해 견인되어 구동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르래(320)에 결합된 와이어(310)가 가압링(173)의 양측에 연결되고, 와이어(310)의 단부(330)를 상하로 견인하여 가압링(173)이 이동될 수도 있다. 와이어(310)의 단부(330)는 견인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견인구동부(미도시)는 제어부(16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The pressing ring 173 of the front elevation support 170 described above can be pulled and driven by the pulling member 300 in addition to being lifted by hydraulic pressure or air pressure. A wire 310 coupled to the pulley 32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ressing ring 173 and the end portion 330 of the wire 310 is pulled up and down so that the pressing ring 173 moves . The end portion 330 of the wire 310 is moved up and down by a pull driving portion (not shown), and the pull driving portion (not shown) can be driven by the control portion 1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는 직립상태로 목에 착용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머리의 하중을 견디는 자세에서 반복적으로 턱이 상방향으로 이동 및 하강하는 동역학적인 운동이 수행되므로 경추가 비정상적인 일자상태에서 정상적인 C자형태로 교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ervical alignment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worn on the neck in an upright state. Therefore, the cervical vertebrae can be calibrated in a normal C-shape in an abnormal state because the dynamic movement in which the jaw moves up and down repeatedly repeatedly is performed in a posturing state in which the head is subjected to load.

특히, 목이 상하로 이동될 때, 후방지지부의 가압날개가 목 뒷편을 가압하므로 목 후방의 근육과 인대도 함께 단련하여 경추 부정렬이 발생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를 제거하더라도 교정된 C자형태의 경추형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neck is moved up and down, the pressurizing blade of the back support presses the back of the neck so that muscles and ligaments behind the neck are also tied together to eliminate the cause of cervical alignment. Therefore, even if the cervical alignment correction device is removed, the corrected C-shaped cervical vertebra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cervical spine align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know very well.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경추부정렬 교정장치 110 : 전방승강지지부 111 : 베이스부재 113 : 가변튜브
115 : 제1결합부재 120 : 후방지지부
121 : 후방접촉지지판 123 : 결합암
123a : 제2결합부재 125 : 가압날개
125a : 압력센서 126 : 결합밴드
126a : 결합부재 127 : 결합고리
128 : 부착지지부재 128a : 결합홈
130 : 공기공급관 140 : 공기공급부
150 : 입력부 155 : 표시부
160 : 제어부 165 : 부정렬도 측정부
170 : 전방승강지지부 171 : 지지본체
173 : 가압링 173a : 결합구멍
175 : 공압실린더 176 : 각도측정부
178 : 턱압력감지부 177 : 승강로드
200 : 의자 300 : 견인부재
100: cervical alignment correcting device 110: front elevating support part 111: base member 113: variable tube
115: first engagement member 120: rear support portion
121: rear contact support plate 123: coupling arm
123a: second coupling member 125: pressure wing
125a: Pressure sensor 126: Coupling band
126a: coupling member 127: coupling ring
128: attachment support member 128a: engagement groove
130: air supply pipe 140: air supply part
150: input unit 155:
160: control unit 165: sub-alignment degree measuring unit
170: a front elevation supporting portion 171:
173: pressure ring 173a: engaging hole
175: Pneumatic cylinder 176: Angle measuring unit
178: chin pressure detection unit 177: lift rod
200: Chair 300: Traction member

Claims (13)

목의 전방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단이 턱의 하부를 접촉지지하는 전방승강지지부와;
목의 후방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의 양단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승강지지부는 하강된 초기상태로부터 상부로 상승하며 턱을 가압하여 목을 강제적으로 뒤로 이동시키는 가압상태 간을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방지지부는,
목의 후방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후방접촉지지판과;
상기 후방접촉지지판의 판면에 목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의 상승에 의해 목이 뒤로 이동될 때 목의 뒷면을 접촉하며 가압하는 가압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A front elevating support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a front region of the neck and having an upper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jaw;
And a rear support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the rear region of the neck and having both ends detachably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front elevation support portion,
The front elevating support portion moves upward from the initial lowered state and presses the jaw so as to repeatedly move between the pressurized state for forcibly moving the neck backward,
The rear support portion
A rear contact support plate disposed to surround a rear region of the neck;
And a pressing blade which protrudes toward the neck on the plate surface of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and contacts and presses the back surface of the neck when the neck is moved back by the rise of the front lift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승강지지부는,
목의 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구비되며, 유체의 유입여부에 의해 압축 및 팽창되며 상기 초기상태와 상기 가압상태 간을 가변하는 가변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elevation support portion
A base member provided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neck;
And a variable tube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member so as to be able to extend upwardly and which is compressed and expanded by the inflow of the fluid and which varies between the initial state and the pressurized stat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승강지지부는,
목의 전방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지지본체와;
상기 지지본체의 상단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링과;
상기 지지본체와 상기 가압링을 연결시키며,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elevation support portion
A support body provided to surround a front of the neck;
A pressure ring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and having both ends pivotally coupled to the rear support;
And an elevating rod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and the pressure ring and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에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며,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링이 하강 및 상승하며 상기 대기상태와 상기 가압상태 간을 반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hydraulic cylinder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and having a working fluid flowing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support body and supporting the lifting rod to move up and down,
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ring is moved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rod to repeatedly move between the waiting state and the pressing st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가압링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후상방으로 견인하여 상기 승강로드가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대기상태와 상기 가압상태 간을 반복 이동하도록 하는 견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rear support portion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ppor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pulling member connected to the pressure ring by a wire so as to pull the wire backward upward so that the lifting rod is moved up and down so as to repeatedly move between the standby state and the pressurized state. Calibra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는 의자의 등받이와 연결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축은 상기 등받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후방지지부의 양단은 상기 연결축에 대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rear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ackrest of the chair through a connection shaft,
Wherein the connection shaft is vertically movable on the backrest,
Wherein both ends of the rear support portion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shaft.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접촉지지판의 양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결합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6,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arm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and having a coupling member coupled with the front lift support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암은 후방접촉지지판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밴드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upling arm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 coupled to the rear contact support plat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날개는 측단면 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거나, 판면에 목의 후방 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돌출되는 돌기형으로 형성되거나, 반원형상에 돌기가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essing blade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or a protrusion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neck on the plate surface, or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semicircular shape, Calibrat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날개에는 상기 목의 후방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한 쌍의 압력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과 압력차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essure w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pressure applied to the rear of the neck,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ressure difference and a pressure difference measured by the pair of pressure senso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날개에는 히팅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essing blade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의 회동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부와;
상기 가압링에 의해 턱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턱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회동각도와 상기 턱압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 angl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rotation angle of the pressure ring;
And a jaw pressure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applied to the jaw by the pressure ring,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rotation angle and the jaw pressure.
제12항에 있어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승강지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ront elevation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KR1020140026609A 2014-03-06 2014-03-06 Cervical maladjustment correcting device KR1015611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09A KR101561135B1 (en) 2014-03-06 2014-03-06 Cervical maladjustment corr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09A KR101561135B1 (en) 2014-03-06 2014-03-06 Cervical maladjustment correc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10A true KR20150104810A (en) 2015-09-16
KR101561135B1 KR101561135B1 (en) 2015-10-16

Family

ID=5424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609A KR101561135B1 (en) 2014-03-06 2014-03-06 Cervical maladjustment corr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13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385A (en) * 2015-09-22 2018-08-08 넥포커스 에이에스 Neck training device
KR20200022671A (en) 2018-08-23 2020-03-04 문경환 A device for cervical therapy and a method for making it
KR20200092613A (en) * 2019-01-25 2020-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ng device based pillow
CN111603720A (en) * 2020-07-14 2020-09-01 四川大学华西医院 Cervical vertebra function training instrument
KR102179998B1 (en) * 2020-07-07 2020-11-17 (주)퓨어플랜 Apparatus for correcting forward head posture
KR102267484B1 (en) * 2020-08-24 2021-06-21 (주) 재화산업 Straightener for forward head posture
KR20220150702A (en) * 2021-05-04 2022-11-11 하재민 A device for correcting forward head pos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675Y1 (en) 2000-07-07 2001-01-15 박상규 Neck brace
CN202605086U (en) 2012-03-01 2012-12-19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Inflatable neck collar with functions of thermal therapy and hypsokinesi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385A (en) * 2015-09-22 2018-08-08 넥포커스 에이에스 Neck training device
KR20200022671A (en) 2018-08-23 2020-03-04 문경환 A device for cervical therapy and a method for making it
KR20200092613A (en) * 2019-01-25 2020-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ng device based pillow
KR102179998B1 (en) * 2020-07-07 2020-11-17 (주)퓨어플랜 Apparatus for correcting forward head posture
CN111603720A (en) * 2020-07-14 2020-09-01 四川大学华西医院 Cervical vertebra function training instrument
KR102267484B1 (en) * 2020-08-24 2021-06-21 (주) 재화산업 Straightener for forward head posture
KR20220150702A (en) * 2021-05-04 2022-11-11 하재민 A device for correcting forward head pos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135B1 (en)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135B1 (en) Cervical maladjustment correcting device
JP4001637B2 (en) Deformation appliance
CN209285861U (en) Dynamic scoliosis orthoses
KR101813516B1 (en) Three Dimensional Correction Belt for Deformed Spine
US20050043660A1 (en) Orthoses
US200800861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coliosis
KR20090055617A (en) Pelvic anchor brace
US8790371B2 (en) Dynamic logarithmic spinal decompression table and method
KR101865480B1 (en) Medical Cervical Traction For Normal Curve And Release Of Cervical Spine
KR102014976B1 (en) C-curve calibration structure of cervical spine
US20170095390A1 (en) Devices for mobilizing the hip joint capsul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479025B1 (en) Sleeping assist applian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KR20160093231A (en) The backbone correction apparatus using a 3D scanner and 3D printer
KR101849884B1 (en) Appratus for correcting backbone
KR20160010790A (en) The pulling of cervical vertebrae and strengthening of muscular strength equipment
KR101937835B1 (en) Apparatus for lumbar spinal and sacrum traction
CN111053396A (en) Hardness-adjustable bed and chair cushion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KR20140112855A (en) The Backbone Correction Device
KR101667671B1 (en) wearable electrical stimulation correction apparatus
CN204364187U (en) spinal orthosis
KR20220096160A (en) Traction treatment device with adjustable neck angle
KR200324938Y1 (en) Chair for correcting the spine
KR101283784B1 (en)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KR101165679B1 (en) Apparatus for correction of human body
KR102599666B1 (en) Device for correcting turtle ne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