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675A -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675A
KR20150102675A KR1020140181700A KR20140181700A KR20150102675A KR 20150102675 A KR20150102675 A KR 20150102675A KR 1020140181700 A KR1020140181700 A KR 1020140181700A KR 20140181700 A KR20140181700 A KR 20140181700A KR 20150102675 A KR20150102675 A KR 20150102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unction
schedule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루 기시
다츠야 호조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0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6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erly display the state of a system, as an object to be monitored and diagnosed, on various input and output devices. A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has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control system (152) capable of access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includes an avatar (102) which relays the control system (152) corresponding to a connected terminal (151). The avatar (102) includes: a terminal information reception function (105) which receiv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51) and identifies the terminal (151); and a target screen transmission function (106) which transmits a screen for performing monitoring and operating the control system (152), which is a specific target, in a display form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51)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표시 조작 제어 장치{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감시나 조작 등의 대상이 되는 시스템 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조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displaying a status of a system or the like to be monitored or operated.

예컨대, 건축물에 부대하고 있는 각 설비의 감시 제어나, 플랜트 등의 제어에는 제어 시스템이 이용되고, 또한, 기기 관리 장치가 이용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기기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하고 있는 현장에 설치된 프로세스 기기나 각종 센서 등의 필드 기기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고, 예컨대, 파라미터 설정에 의해 교정을 행하며, 또한, 필드 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진단 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감시·조작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아바타(avatar)나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제어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For example, a control system is used for the monitoring control of each facility, a plant, and the like, and a device management apparatus is sometimes used. For example, the device management apparatus exchanges signals with field devices such as process instruments and various sensors installed on the field connected by a network, performs calibration by setting parameters, for example, And the diagnosis result about the state is displayed. Further, in performing such monitoring and operation, there is a technique in which a user accesses a control system using an avatar or an agent (se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감시나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사용자와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는, 전용 머신을 사용하는 것이 통례였다. 특히, 사용자가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감시)하고, 또한, 조작을 행하는 경우, HMI(Human Machine Interface) 머신이 사용되고, 마우스나 터치 등의 조작이 이용되고 있었다. 최근, HMI용 머신으로서 사용되는 기기가 다양화되어, 여러 가지 기기에 부속되는 입출력용의 장치도 다양화되고 있다. 예컨대, 표시에 관해서는, 대화면 표시에서부터, 스마트폰 등의 소형인 것까지 있다. 또한, 입력 장치로는, 멀티 터치, GPS,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등의 보급이 눈부시다. 설비, 기기를 운전/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이들 입출력 장치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게 되었다.In such a system, it has been customary to use a dedicated machin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user and the system for the user to perform monitoring, operation,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a user confirms (monitors) the state of the system and performs an operation, a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machine is used and operations such as a mouse or a touch are used.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devices used as machines for HMI have been diversified, and device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arious devices have also been diversified. For example, display may be from a large-screen display to a miniature such as a smart phone. In addition, as an input device, multi-touch, GPS, voice input, and gesture input are popular.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se input / output devices even in a system that operates / monitors equipment and devices.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9245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092459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37656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09-237656

그런데, 현재 상황에서는, 전술한 여러 가지 입출력 장치(단말)에 대응하여, 각 입출력 장치에 알맞은 표시나 조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별 장치마다 시스템의 개별 기능을 실행하는 처리를 넣을 필요가 있어, 실현이 곤란하였다. 또한, 기능의 실장은, 개별 기기, 기능에 행하기 때문에, 기능의 입력 장치를 입출력 장치에 접속할 때에 사용자 인증 등의 액세스 제어를 행하게 되어, 조작이 번잡해지고, 이 점에서도 실현이 용이하지 않았다.However, in the present situ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display and the operation suitable for each input / outp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input / output devices (terminal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insert a process for executing individual functions of the system for each individual device, . In addition, since the functions are mounted on individual devices and functions, access control such as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when connecting the function input device to th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ope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realization is not easy in this respect.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감시(진단)나 조작 등의 대상이 되는 시스템의 상태가, 여러 가지 입출력 장치에 알맞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display a state of a system to be monitored, diagnosed, or operated, appropriately for various input and output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조작 제어 장치는, 단말로부터 접수한 요청을 감시·조작 대상에 송출하고, 송출된 요청에 대한 대상으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여 대응하는 단말에 송출하는 표시 조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이 가능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 정보를 가지며, 접속된 접속 단말과 대응하는 특정 대상을 중계하는 아바타를 구비하고, 아바타는, 사용자 정보가 송출된 접속 단말과만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기능과, 접속 단말로부터 송출된 접속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단말 정보 접수 기능과, 단말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 단말에 대응한 표시 형태로, 특정 대상의 감시·조작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접속 단말에 송출하는 대상 화면 송출 기능과, 대상 화면 송출 기능이 송출한 화면이 조작된 것에 의해 접속 단말로부터 송출된 특정 대상에 대한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된 요청을 특정 대상에 전송하는 요청 전송 기능과, 요청을 전송한 특정 대상으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고, 접수된 응답을 접속 단말에 전송하는 응답 전송 기능을 구비한다.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sending a request received from a terminal to a monitoring / operation target, receiving a response from a target for the transmitted request, and sending the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an avatar relaying the specif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access terminal, the avatar having the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nnectabl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function for receiv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n access terminal transmitted from an access terminal, and a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function for displaying a display format corresponding to the access terminal A target screen transmitting function for transmitting a screen for monitoring and manipulating a specific object to an access terminal, A request transmission function for receiving a request for a specific object transmitted from the access terminal by the operation of the screen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function and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request to a specific object and receiving a response from the specific object to which the request is transmitted And a response transmiss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response to the access terminal.

상기 표시 조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아바타는, 스케줄이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 설정 기능과, 스케줄 설정 기능에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을 확인하는 스케줄 확인 기능과, 스케줄 확인 기능이 확인한 스케줄을 실시하는 스케줄 실시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아바타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송출 목적지 정보로 특정되는 송출 목적지에 응답을 송출하는 전송 목적지 변경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the avatar includes a schedule setting function in which a schedule is set, a schedule checking function for confirming a schedule set in the schedule setting function, and a schedule execution function for performing a schedule confirmed by the schedule checking function May be provided. The avatar may be provided with a transfer destination changing function for transmitting a response to a sending destination specified by the sending destination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이상 설명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나 조작 등의 대상이 되는 시스템의 상태가, 여러 가지 입출력 장치에 알맞게 표시할 수 있도록 된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xcellent effect that the state of the system, which is the subject of monitoring, operation,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displayed on various input / output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형태 1][Embodiment 1]

처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는, 단말(151)로부터 접수한 요청을 감시·조작의 대상인 제어 시스템(152)에 송출하고, 송출된 요청에 대한 제어 시스템(152)으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여 대응하는 단말(151)에 송출한다.Firs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1 sends out the request received from the terminal 151 to the control system 152 which is the object of monitoring and operation and accepts the response from the control system 152 for the sent out request, And sends it to the terminal 151.

아바타(102)는, 송수신부(121)에 의해, 단말(151)과의 신호(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아바타(102)는, 송수신부(122)에 의해, 제어 시스템(152)과의 신호(정보)를 주고받는다. 예컨대, 송수신부(121)는, 공지된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기능에 의해 단말(151)과 접속한다. 또한, 송수신부(122)는, LAN 기능에 의해 제어 시스템(152)과 접속한다. 또한, 예컨대, 송수신부(121)는, 공중(公衆) 휴대 전화망을 경유하여 단말(151)과 접속한다.The avatar 102 exchanges signals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151 by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21. [ In addition, the avatar 102 exchanges signals (information) with the control system 152 by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22. For example, the transceiver unit 12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51 by a known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functi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152 by a LAN function. For example, the transceiving unit 121 connects to the terminal 151 via the public (public) mobile phone network.

또한,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이 가능한 제어 시스템(152)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 정보를 가지며, 접속된 단말(접속 단말)(151)과, 대응하는 제어 시스템(특정 대상)(152)을 중계하는 아바타(102)를 구비한다.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has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ntrol system 152 capable of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an avatar 102 for relaying a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specific target) 152. [

아바타(102)는, 대상 식별 정보 기억부(103), 접속 확립 기능(104), 단말 정보 접수 기능(105),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 요청 전송 기능(107), 응답 전송 기능(108), 수집 정보 통지 기능(110)을 구비한다.The avatar 102 includes a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3, a connection establishment function 104, a terminal information reception function 105, a target screen transmission function 106, a request transmission function 107, a response transmission function 108 ), And a collected information notification function (110).

대상 식별 정보 기억부(103)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이 가능한 제어 시스템(152)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 정보를 기억한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식별(인증) 정보에 덧붙여 사용자의 명칭, 성별, 연령, 소속 조직, 권한, 자격, 역할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3 stor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ntrol system 152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name, gender, age, affiliation, authority, qualification, and role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접속 확립 기능(104)은, 대상 식별 정보 기억부(10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가 송출된 단말(151)과만의 접속을 확립한다. 접속 확립 기능(104)은, 사용자 정보에 의해 인증을 행하여, 단말(151)과의 접속을 확립한다. 단말 정보 접수 기능(105)은, 단말(151)로부터 송출된 단말(151)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 정보를 접수한다. 단말 정보 접수 기능(105)은, 예컨대, 단말(151)에 있어서의 표시 기능(표시 영역, 표시 성능), 단말(151)의 현재 위치 등의, 단말(151)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접수한다.The connection establishment function 104 establishes a connection only with the terminal 151 from which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3 is transmitted.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function 104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51. [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ption function 105 receive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151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51. [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ption function 105 is a terminal identification function for identifying the state of the terminal 151 such as a display function (display area, display performance)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51 in the terminal 151 We accept information.

또한,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은, 접수된 단말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151)에 대응한 표시 형태로, 특정 대상인 제어 시스템(152)의 감시·조작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단말(151)에 송출한다. 아바타(102)는, 대상 식별 정보 기억부(103)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시스템(152)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이 특정 대상이 되는 제어 시스템(152)만에 관한 화면이, 접속을 확립한 단말(152)에 송출된다. 이 결과, 단말(151)에 있어서의 사용자에 의한 화면의 조작으로 감시·조작이 가능한 대상은, 특정 대상인 제어 시스템(152)만이 된다. 또한, 접수된 단말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때문에, 로그인한 단말(151)의 표시 성능에 알맞은 상태로, 감시나 조작 등의 대상이 되는 제어 시스템(152)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The target screen transmission function 106 also displays a screen for monitoring and operating the control system 152 as a specific target in a display forma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51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151. The avatar 102 targets only the control system 152 stored in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3 and the screen related to only the control system 152 as the specified targe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152). As a result, only the control system 152, which is a specific target, can be monitored and operated by manipulation of the screen by the user in the terminal 151. [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form of the screen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atus of the control system 152, which is the object of monitoring or operation, is displayed in a state suitable for the display performance of the logged- can do.

요청 전송 기능(107)은, 단말(151)로부터 송출된 제어 시스템(152)에 대한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된 요청을 제어 시스템(152)으로 전송한다. 요청은,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이 송출한 화면을, 단말(151) 상에서 사용자가 조작한 것에 의해 송출된다. 사용자의 조작은, 마우스에 의한 입력, 터치 패널 등에 의한 터치, 멀티 터치 등에 의한 입력, 또한, 음성 입력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각속도 센서를 이용한 센서 입력에 의한 제스처 조작이어도 좋다.The request transmission function 107 accepts a request for the control system 152 sent from the terminal 151 and transmits the received request to the control system 152. [ The request is transmitted by the user operating the terminal 151 on the screen transmitted by the target screen transmission function 106. The user's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input by a mouse, touch by a touch panel, input by multi-touch, or voice input. Further, it may be a gesture operation using a sensor input using an angular velocity sensor.

또한, 응답 전송 기능(108)은, 요청을 전송한 제어 시스템(152)으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고, 접수된 응답을 단말(151)에 전송한다. 여기서, 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화면 조작에 의해, 제어 시스템(152)의 현재 상황의 확인이, 요청으로서 송출되어 전송된다. 이 요청에 대하여, 제어 시스템(152)으로부터, 현재는 정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이, 송출되어 전송된다. 이 결과, 단말(151)의 화면에는, 특정 대상인 제어 시스템(152)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다.The response transmission function 108 also accepts a response from the control system 152 that transmitted the request and transmits the received response to the terminal 151. [ Here, for example, confirm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rol system 152 is transmitted as a request and transmitted by the screen operation by the user. For this request, from the control system 152, a response indicating that it is currently stopped is sent out and transmitted. As a resul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51,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rol system 152 as a specific target is stopped is displayed.

또한, 전술한 정지 상태라는 취지의 정보를 인식한 사용자에 의한 화면 조작에 의해, 제어 시스템(152)의 운전 개시가, 요청으로서 송출되어 전송된다. 이 요청에 대하여, 제어 시스템(152)에서는 운전이 시작되고, 운전이 시작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이 송출되어 전송된다. 이 결과, 단말(151)의 화면에는, 특정 대상인 제어 시스템(152)이 운전을 시작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가 감시·조작의 담당으로 되어 있는 제어 시스템(152)에 대해서, 동작 상태의 감시나, 운전 개시의 조작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rt of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152 is transmitted as a request and transmitted by the screen operation by the user who has recognize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bove-mentioned suspended state. In response to this request, the control system 152 starts operation and sends a response indicating that operation has been started. As a resul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51,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rol system 152, which is a specific target, has started operation is displayed. In this manner,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state monitoring, the operation start operation, and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system 152 in which the user is in charge of monitoring and operation.

다음에,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우선, 단계 S201에서 정지의 지시가 접수되지 않는 경우, 단계 S202로 진행된다. 단계 S202에서, 아바타(102)는, 대상 식별 정보 기억부(10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증에 의해 단말(151)의 로그인을 접수하면, 단계 S203에서, 접속 확립 기능(104)이, 사용자 정보가 송출된 단말(151)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단계 S204에서, 단말 정보 접수 기능(105)이, 단말(151)로부터 송출된 단말(151)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 정보를 접수한다.First, when the stop instruction is not received in step S201,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2. In step S202, the avatar 102 receives the login of the terminal 151 by authentication us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3. In step S203, the avatar 102 displays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function 104 And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51 to which the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in step S204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ption function 105 receiv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151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51 .

다음에, 단계 S205에서,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이, 접수된 단말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151)에 대응한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계속해서, 단계 S206에서,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이, 결정된 표시 형태에 따라, 특정 대상인 제어 시스템(152)의 감시·조작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단말(151)에 송출한다.Next, in step S205, the target screen sending function 106 determines the display form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51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bsequently, in step S206, the target screen sending function 106 sends a screen for monitoring / manipulating the control system 152, which is a specific target, to the terminal 151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form.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51)에 대하여 화면을 송출한 후, 요청 전송 기능(107)이, 단말(151)로부터 송출된 제어 시스템(152)에 대한 요청을 접수하면(단계 S207의 y), 단계 S211에서, 접수된 요청을 제어 시스템(152)으로 전송한다. 요청은,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이 송출되어 단말(151) 상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사용자가 조작한 것에 의해 송출된다.Next, when the request transmission function 107 receives a request for the control system 152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51 (YES in step S207) after transmitting the screen to the terminal 151 as described above, ), In step S211, the received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ystem 152. [ The request is sent out by the user operat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erminal 151 after the target screen sending function 106 is sent out.

또한, 요청이 접수되지 않는(검출되지 않는) 경우(단계 S207의 n), 설정되어 있는 시간(대기 시간) 대기하고(단계 S209의 n),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경과하면(단계 S209의 y), 단계 S210에서 단말(151)과의 접속 확립을 해소하여 로그오프 상태로 하고, 단계 S201로 되돌아간다.When the request is not received (not detected) (n in step S207), the set time (waiting time) is waited (n in step S209) and the set time elapses (y in step S209) ,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terminal 151 is canceled and the log-off state is resolved in step S210,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01.

단계 S208에서 요청을 전송한 후, 요청을 전송한 제어 시스템(152)으로부터의 응답이, 응답 전송 기능(108)에 의해 접수되면(단계 S211의 y), 단계 S212에서, 응답 전송 기능(108)은, 접수된 응답을 단말(151)에 전송한다. 응답이 접수되지 않는 경우(단계 S211의 n), 설정되어 있는 시간(대기 시간) 대기하고(단계 S213의 n),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경과하면(단계 S213의 y), 단계 S214에서 단말(151)에 대하여 에러를 통지한다.If the response from the control system 152 that transmitted the request is received by the response transmission function 108 (y in step S211) after transmitting the request in step S208, the response transmission function 108 is transmitted in step S212, The terminal 151 transmits the received response to the terminal 151. (N in step S213) (n in step S213) (y in step S213), in step S214, the terminal 151 ) Of the error.

단계 S212에서 응답을 전송한 후, 단말(151)로부터 로그오프의 지시가 접수되면(단계 S215의 y), 단계 S216에서 단말(151)과의 접속 확립을 해소하여 로그오프 상태로 하고, 단계 S201로 되돌아간다. 한편, 로그오프의 지시가 접수되지 않는 경우, 단계 S207∼단계 S214를 반복한다.If the log-off instruc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51 (y in step S215) after the response is transmitted in step S212,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terminal 151 is canceled and the log-off state is established in step S216, Lt; / RTI > On the other hand, if an instruction to log off is not received, steps S207 to S214 are repeated.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접속된 접속 단말과 대응하는 특정 대상을 중계하는 아바타에 의해, 접수된 단말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감시나 조작 등의 대상이 되는 시스템의 상태가, 단말이 되는 여러 가지 입출력 장치에 알맞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display form of the screen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he avatar relaying the specif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access terminal,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state of the system as a target of various I / O devices serving as terminals.

[실시형태 2][Embodiment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는, 단말(151)로부터 접수한 요청을 감시·조작의 대상인 제어 시스템(152)으로 송출하고, 송출된 요청에 대한 제어 시스템(152)으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여 대응하는 단말(151)에 송출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1 sends out the request received from the terminal 151 to the control system 152 which is the object of monitoring and operation and receives the response from the control system 152 for the sent out request, And sends it to the terminal 151.

아바타(102)는, 송수신부(121)에 의해, 단말(151)과의 신호(정보)를 주고받는다. 또한, 아바타(102)는, 송수신부(122)에 의해, 제어 시스템(152)과의 신호(정보)를 주고받는다. 예컨대, 송수신부(121)는, 공지된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기능에 의해 단말(151)과 접속한다. 또한, 송수신부(122)는, LAN 기능에 의해 제어 시스템(152)과 접속한다. 또한, 예컨대, 송수신부(121)는, 공중 휴대 전화망을 경유하여 단말(151)과 접속한다.The avatar 102 exchanges signals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151 by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21. [ In addition, the avatar 102 exchanges signals (information) with the control system 152 by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22. For example, the transceiver unit 12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51 by a known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functi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152 by a LAN function. For example, the transceiving unit 121 connects to the terminal 151 via the public mobile phone network.

또한,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이 가능한 제어 시스템(152)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 정보를 가지며, 접속된 단말(접속 단말)(151)과, 대응하는 제어 시스템(특정 대상)(152)을 중계하는 아바타(102)를 구비한다.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has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ntrol system 152 capable of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an avatar 102 for relaying a corresponding control system (specific target) 152. [

아바타(102)는, 대상 식별 정보 기억부(103), 접속 확립 기능(104), 단말 정보 접수 기능(105),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 요청 전송 기능(107), 응답 전송 기능(108), 수집 정보 통지 기능(110)을 구비한다. 이들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The avatar 102 includes a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3, a connection establishment function 104, a terminal information reception function 105, a target screen transmission function 106, a request transmission function 107, a response transmission function 108 ), And a collected information notification function (110). The configurations of thes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실시형태 2에서는, 아바타(102)가, 스케줄 설정부(109), 스케줄 확인부(110), 스케줄 실시부(111)를 구비한다. 스케줄 설정부(109)에는, 예컨대, 특정 시스템 데이터의 기록, 대상 장치의 기동 준비, 제어 시스템(152)으로부터 송출된 대상 정보의 수집, 수집된 정보의 통지, 알람의 통지 등이, 스케줄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대상 장치의 기동 준비 개시의 시각, 알람 통지의 조건 등도 설정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avatar 102 includes a schedule setting unit 109, a schedule confirmation unit 110, and a schedule execution unit 111. [ For example, the schedule setting unit 109 is configured to record specific system data, prepare for startup of the target apparatus, collect target information sent from the control system 152, notify the collected information, . In addition, the time of start preparation of the target device, the conditions of the alarm notification, and the like are also set.

스케줄 확인부(110)는, 스케줄 설정부(109)에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을 확인한다. 스케줄 실시부(111)는, 스케줄 확인부(110)에 의해 확인된 스케줄을 실시한다.The schedule confirming unit 110 confirms the schedule set in the schedule setting unit 109. [ The schedule execution unit 111 executes the schedule confirmed by the schedule verification unit 110. [

다음에,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우선, 단계 S301에서, 아바타(102)는, 스케줄 확인부(110)에 의해, 스케줄 설정부(109)에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을 확인한다. 스케줄이 확인되면(단계 S301의 y), 단계 S302에서, 스케줄 실시부(111)가,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을 실시한다.First, in step S301, the avatar 102 confirms the schedule set in the schedule setting unit 109 by the schedule confirmation unit 110. [ When the schedule is confirmed (y in step S301), in step S302, the schedule execution unit 111 executes the set schedule.

예컨대, 특정 시스템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설정되어 있는 시각에 대상 장치의 기동 준비를 실시한다. 또한, 제어 시스템(152)으로부터 송출된 대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대상 식별 정보 기억부(10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로 식별되는 메일 어드레스에 대하여 통지한다. 또한, 발생한 알람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 사용자 정보로 식별되는 메일 어드레스에 대하여 통지한다. 이들 에이전트 동작을, 후술하는 사용자의 로그인까지 계속한다. 다음에, 단계 S303에서 정지의 지시가 접수되지 않는 경우, 단계 S304로 진행된다.For example, specific system data is recorded. In addition, preparation for starting the target device is performed at the set time. The control unit 152 also collects target information sent from the control system 152 and notifi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mail address identified by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targ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3. [ In addition, for the generated alarm, the mail address identified by the user information is notifi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conditions. These agent operations continue until the user's logi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Next, if the stop instruction is not received in step S30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4.

다음에 단계 S304에서, 대상 식별 정보 기억부(10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인증에 의해 단말(151)의 로그인을 접수하면, 단계 S305에서, 접속 확립 기능(104)이, 사용자 정보가 송출된 단말(151)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단계 S306에서, 단말 정보 접수 기능(105)이, 단말(151)로부터 송출된 단말(151)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 정보를 접수한다.Next, in step S304, when the login of the terminal 151 is accepted by the authentication us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3, in step S305,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function 104 acquires the user informa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ption function 105 receiv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151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51 in step S306.

다음에, 단계 S307에서,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이, 접수된 단말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151)에 대응한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계속해서, 단계 S308에서,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이, 결정된 표시 형태에 따라, 특정 대상인 제어 시스템(152)의 감시·조작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단말(151)에 송출한다.Next, in step S307, the target screen transmission function 106 determines the display format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51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bsequently, in step S308, the target screen transmission function 106 transmits a screen for monitoring and manipulating the control system 152, which is a specific target, to the terminal 151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display form.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51)에 대하여 화면을 송출한 후, 요청 전송 기능(107)이, 단말(151)로부터 송출된 제어 시스템(152)에 대한 요청을 접수하면(단계 S309의 y), 단계 S310에서, 접수된 요청을 제어 시스템(152)으로 전송한다. 요청은, 대상 화면 송출 기능(106)이 송출되어 단말(151) 상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사용자가 조작한 것에 의해 송출된다.Next, when the request transmission function 107 receives a request for the control system 152 sent from the terminal 151 (step y309 in step S309) after sending out the screen to the terminal 151 as described above, ), And sends the received request to the control system 152 in step S310. The request is sent out by the user operat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erminal 151 after the target screen sending function 106 is sent out.

또한, 요청이 접수되지 않는(검출되지 않는) 경우(단계 S309의 n), 설정되어 있는 시간(대기 시간) 대기하고(단계 S311의 n),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경과하면(단계 S311의 y), 단계 S312에서 단말(151)과의 접속 확립을 해소하여 로그오프 상태로 하고, 단계 S301로 되돌아간다.If the request is not received (not detected) (n in step S309), the set time (waiting time) is waited (n in step S311) and the set time elapses (y in step S311) ,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terminal 151 is canceled and the log-off state is resolved in step S312,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1.

단계 S310에서 요청을 전송한 후, 요청을 전송한 제어 시스템(152)으로부터의 응답이, 응답 전송 기능(108)에 의해 접수되면(단계 S313의 y), 단계 S314에서, 응답 전송 기능(108)은, 접수된 응답을 단말(151)에 전송한다. 응답이 접수되지 않는 경우(단계 S313의 n), 설정되어 있는 시간(대기 시간) 대기하고(단계 S315의 n),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경과하면(단계 S315의 y), 단계 S316에서 단말(151)에 대하여 에러를 통지한다.After transmitting the request in step S310, if the response from the control system 152 that transmitted the request is received by the response transmission function 108 (y in step S313), then in step S314, The terminal 151 transmits the received response to the terminal 151. When the set time elapses (y in step S315), the terminal 151 (YES in step S315) waits for the set time (waiting time) (step S315: n) ) Of the error.

단계 S314에서 응답을 전송한 후, 단말(151)로부터 로그오프의 지시가 접수되면(단계 S317의 y), 단계 S318에서 단말(151)과의 접속 확립을 해소하여 로그오프 상태로 하고, 단계 S301로 되돌아간다. 한편, 로그오프의 지시가 접수되지 않는 경우, 단계 S309∼단계 S316을 반복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사용자가 로그인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에 따라, 이른바 에이전트로서 동작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If a log off instruc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51 (y in step S317) after the response is transmitted in step S314,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with the terminal 151 is canceled and the log off state is entered in step S318, Lt; / RTI > On the other hand, if an instruction to log off is not received, steps S309 to S316 are repeated.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not logged in, the apparatus operates as a so-called agent according to the set schedul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접속된 접속 단말과 대응하는 특정 대상을 중계하는 아바타를 구비하고, 아바타에 있어서, 단말 정보 접수 기능이, 접수된 단말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나 조작 등의 대상이 되는 시스템의 상태가, 단말이 되는 여러 가지 입출력 장치에 알맞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vatar relaying a specific object corresponding to a connected access terminal is provided. In the avatar, the terminal information receiving function determines the display form of the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us of the system, which is the object of monitoring, operation,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appropriately for various input / output devices serving as terminals.

또한, 표시 조작 제어 장치(101)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연산 처리 장치)와 주기억 장치와 외부 기억 장치와 네트워크 접속 장치 등을 구비한 컴퓨터 기기로서, 주기억 장치에 전개된 프로그램에 의해 CPU가 동작함으로써, 전술한 각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각 기능은, 복수의 컴퓨터 기기에 분산시키도록 하여도 좋다.The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1 is a computer device having, for example,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main storage device,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a network connection device,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re realized. In addition, each function may be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computer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 및 조합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예컨대, 아바타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송출 목적지 정보로 특정되는 송출 목적지, 응답을 송출하는 전송 목적지 변경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아바타는, 대상 정보의 수집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이 로그인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미리 계획되어 있는 지시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many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s can be made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avatar may be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destination specifying function specified by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user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destination changing function for transmitting a response. Further, the avatar is not limited to the collection of the target information, and the planned instruction may be executed in the state where the terminal does not log in.

101 : 표시 조작 제어 장치, 102 : 아바타, 103 : 대상 식별 정보 기억부, 104 : 접속 확립 기능, 105 : 단말 정보 접수 기능, 106 : 대상 화면 송출 기능, 107 : 요청 전송 기능, 108 : 응답 전송 기능, 109 : 대상 정보 수집 기능, 110 : 수집 정보 통지 기능, 121, 122 : 송수신부, 151 : 단말(접속 단말), 152 : 제어 시스템(특정 대상).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102), an avatar, a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section (104) , 109: target information collection function, 110: collected information notification function, 121, 122: transceiver unit, 151: terminal (access terminal), 152: control system (specific target)

Claims (3)

단말로부터 접수한 요청을 감시·조작의 대상에 송출하고, 송출된 요청에 대한 상기 대상으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여 대응하는 단말에 송출하는 표시 조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이 가능한 상기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 정보를 가지며, 접속된 접속 단말과 대응하는 특정 대상을 중계하는 아바타를 구비하고,
상기 아바타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송출된 접속 단말과만의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확립 기능과,
상기 접속 단말로부터 송출된, 상기 접속 단말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 정보를 접수하는 단말 정보 접수 기능과,
상기 단말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접속 단말에 대응한 표시 형태로, 상기 특정 대상의 감시·조작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상기 접속 단말에 송출하는 대상 화면 송출 기능과,
상기 대상 화면 송출 기능이 송출한 화면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 단말로부터 송출된 상기 특정 대상에 대한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된 상기 요청을 상기 특정 대상에 전송하는 요청 전송 기능과,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특정 대상으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고, 접수된 상기 응답을 상기 접속 단말에 전송하는 응답 전송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조작 제어 장치.
A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 request received from a terminal to a target of monitoring and operation, receiving a response from the target for a transmitted request, and sending the response to a corresponding terminal,
And an avatar relaying the specif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access terminal, the avatar having user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bject capable of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The avatar includes:
A connection establishing function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only with an access terminal from which the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A terminal information accepting function for accep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access terminal sent from the access terminal;
A target screen transmiss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 screen for monitoring and manipulating the specific object to the access terminal in a display form corresponding to the access terminal based 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request transmission function for accepting a request for the specific object transmitted from the access terminal by operating the screen transmitted by the target screen transmission function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request to the specific object;
And a response transmission function for receiving a response from the specific entity that transmitted the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response to the access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는,
스케줄이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 설정 기능과,
상기 스케줄 설정 기능에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을 확인하는 스케줄 확인 기능과,
상기 스케줄 확인 기능이 확인한 스케줄을 실시하는 스케줄 실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조작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vatar includes:
A schedule setting function in which a schedule is set,
A schedule confirmation function for confirming a schedule set in the schedule setting function,
And a schedule executing function for executing a schedule confirmed by said schedule checking fun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송출 목적지 정보로 특정되는 송출 목적지에 상기 응답을 송출하는 전송 목적지 변경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조작 제어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vatar includes:
And a transmission destination changing function for transmitting said response to a transmission destination specified by said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said user information.
KR1020140181700A 2014-02-28 2014-12-16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KR2015010267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7944 2014-02-28
JP2014037944A JP2015162155A (en) 2014-02-28 2014-02-28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675A true KR20150102675A (en) 2015-09-07

Family

ID=5394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700A KR20150102675A (en) 2014-02-28 2014-12-16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162155A (en)
KR (1) KR20150102675A (en)
CN (1) CN104880977A (en)
SG (1) SG10201501356P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9401A (en) * 2017-02-24 2018-09-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663A (en) * 2001-02-19 2002-08-30 Daikin Ind Ltd Management system for installation
JP4016286B2 (en) * 2005-03-31 2007-12-05 オムロ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6323596A (en) * 2005-05-18 2006-11-30 Toshiba Corp Network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control system
KR100951837B1 (en) * 2007-08-31 2010-04-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interface
JP5123133B2 (en) * 2008-10-17 2013-0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CN101547343A (en) * 2009-03-06 2009-09-30 深圳市融创天下科技发展有限公司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video monitoring
JP5476250B2 (en) * 2010-07-28 2014-04-23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Staff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staff operation control method
JP5975751B2 (en) * 2012-06-19 2016-08-23 アズビル株式会社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remote ope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80977A (en) 2015-09-02
SG10201501356PA (en) 2015-09-29
JP2015162155A (en)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7549B (en)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biometric authentication processing device,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US10114603B2 (en) Data interac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EP3237991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head wearable devices
US201001750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Field Device
KR20160042569A (en) Multi-conn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RU2013140303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MEDICAL DEVICE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8228025A (en) message display metho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EP321762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US201501164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40135901A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Security-Terminal and Management-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60162985A1 (en) Occupancy monitoring for a remote short term housing rental
KR20150102675A (en) Display operation control device
CN106411681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itiating device, server and participating device
CN113286263A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network connect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5954731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98263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483387B2 (en) Security service support system and security service support method
CN112398909B (en) Data exchange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74519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295530B2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content management device,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6020078B2 (en) Wireless access point,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wireless access point
JP6596991B2 (en) Management program,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JP2020167727A (en) Communication system
KR101526864B1 (en)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Message Using Managing Server and Mobile Device with Fingprint Recognition Sensor, and Managing Server therefor
JP6677302B2 (en) Equipment conn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