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586A - 스마트폰이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이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586A
KR20150102586A KR1020140024647A KR20140024647A KR20150102586A KR 20150102586 A KR20150102586 A KR 20150102586A KR 1020140024647 A KR1020140024647 A KR 1020140024647A KR 20140024647 A KR20140024647 A KR 20140024647A KR 20150102586 A KR20150102586 A KR 20150102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ouse
case
smartphone case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명환
정종곤
Original Assignee
손명환
정종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명환, 정종곤 filed Critical 손명환
Priority to KR102014002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586A/ko
Publication of KR2015010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광학센서를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에 부착하여 스마트폰 케이스의 움직임을 단말기가 인식하도록 하여 무선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젠더 부분에 스마트폰 케이스를 결합하여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이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mouse features a smartphone to a smartphone cas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무선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로서 스마트폰 케이스는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젠더와 스마트폰 케이스를 결속하여 접속부와 케이스의 표면 움직임을 측정하는 움직임센서로 구성하여서 스마트폰을 단말기 조작을 위한 무선 마우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목적으로 한 것이다.
그러하여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 따로 마우스를 구비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케이스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으로 블루투스를 작동시키면 노트북에서 이를 인식하여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케이스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컴퓨터 입력 장치의 하나. 책상 위 따위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화면에 나타난 커서(cursor)가 움직이며, 위에 있는 버튼을 눌러 명령어를 선택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이다. 터치가 가능하며, 별도의 OS를 갖는 휴대전화.
케이스는 물건을 넣는 상자나 갑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1011014020000 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 무선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로, IT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무선마우스 등 여러 가지 기기를 동시에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이 있다.
노트북용 터치패드는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이 대다수이며 그에 따라 마우스를 휴대하게 된다.
기존에도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사용방법이 존재하지만, 정확성이 부족하고 섬세한 이용이 불가능 하다. 사용에 불편함이 많아서 이를 스마트폰 케이스를 이용하여 개선하였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측에 스마트폰의 데이터 소켓부에 연결되는 연결플러그를 구비하고 스마트폰 케이스 몸체의 바닥 일측에 스마트폰 케이스 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앞면에는 좌 클릭, 우 클릭 기능이 가능하게 하여(100)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케이스만으로도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다.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충전부분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기존에도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사용방법이 존재하지만, 정확성이 부족하고 섬세한 이용이 불가능 하다. 사용에 불편함이 많아서 이를 스마트폰 케이스를 이용하여 개선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 하단부분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120)와 광학센서(130)를 부착하여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케이스만으로도 무선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마우스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마우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에 따로 마우스를 구매할 필요가 없이 스마트폰 케이스 구입비용만으로도 저렴하게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로 작동하는 원리이기에 기존의 무선 마우스보다 더욱 먼 거리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오차가 적다.
또한,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건전지를 구입하거나 교체하지 않아도 가능하므로 간편하고 스마트폰 배터리가 부족할 시에는 유선으로 전환하여 충전하며 사용이 가능하다.
도1은 스마트폰 케이스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마우스의 앞면이다.
도2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마우스의 뒷면이다.
도3은 스마트폰 케이스와 스마트폰의 충전부분을 연결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도3처럼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측에 스마트폰의 데이터 소켓부에 연결되는 연결플러그를 구비하고 도2처럼 스마트폰 케이스 몸체의 바닥 일측에 스마트폰 케이스 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스마트폰 연결플러그는 휴대폰 충전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감지수단은 광학센서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광학센서는 금속산화물 CMOS 반도체 (130)를 케이스 하단 부분에 탑재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가속도 센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요소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 뒷면에 기존 마우스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120)와 카메라 작용을 하는 광학센서(금속산화물 CMOS 반도체, 130)를 케이스 하단 부분에 탑재하여 발광 다이오드가 내는 붉은 불빛을 광학센서 위로 반사하여 작동하는 원리이다.
앞면에는 좌 클릭, 우 클릭 기능이 가능하게 하여(100)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케이스만으로도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다.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충전부분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기존에도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사용방법이 존재하지만, 정확성이 부족하고 섬세한 이용이 불가능 하다. 사용에 불편함이 많아서 이를 스마트폰 케이스를 이용하여 개선하였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 무선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로서 스마트폰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광학센서를 뒷면에 탑재하여 단말기와 연동하여 무선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한다.
100은 스마트폰 케이스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마우스의 전면 물리적 버튼 클릭부분이다.
120은 스마트폰 케이스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마우스의 뒷면 적색 발광 다이오드 부분이다.
130은 스마트폰 케이스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마우스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에서 나온 빛을 인식하는 부분이다.

Claims (6)

  1. 스마트폰 케이스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광학센서를 장착하여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2.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마우스의 기능을 한다.
  3. 스마트폰 케이스 마우스의 클릭을 위해 케이스에 물리적 버튼을 사용한다.
  4. 스마트폰 케이스 마우스의 적색 발광다이오드는 가운데에 자리한다.
  5. 스마트폰 케이스 마우스의 구조는 플립케이스 구조이다.
  6. 스마트폰 케이스 마우스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다.
KR1020140024647A 2014-02-28 2014-02-28 스마트폰이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150102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647A KR20150102586A (ko) 2014-02-28 2014-02-28 스마트폰이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647A KR20150102586A (ko) 2014-02-28 2014-02-28 스마트폰이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586A true KR20150102586A (ko) 2015-09-07

Family

ID=5424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647A KR20150102586A (ko) 2014-02-28 2014-02-28 스마트폰이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5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232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having an inward facing input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160767B1 (ko)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120930B1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KR102488699B1 (ko) 전자 장치 및 그 지문 인증 인터페이스 방법
KR101413796B1 (ko) 접촉 감지 입력장치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
KR102385759B1 (ko)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터치 표면에 대한 비활성 영역
US20170024008A1 (en) Smart ring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KR102264444B1 (ko)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JP2014509768A (ja) 親指に装着可能なカーソル制御及び入力デバイス
KR20160132994A (ko) 디스플레이 센서 및 베젤 센서에 대한 도전성 트레이스 라우팅
US20150109200A1 (en) Identifying gestures corresponding to functions
KR10254432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228768B2 (en) Optical user interface
US10318023B2 (en)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input object
KR10251840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시선 정보를 이용한 컨텐트 실행 방법
KR20150102586A (ko) 스마트폰이 마우스 기능을 하게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US20130271386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handwriting input function
KR20170139743A (ko) 스마트폰 터치기능을 클릭 버튼으로 활용하며 마우스 기능을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CN104020862A (zh) 一种新型柔性指套式光电鼠标
US11023054B2 (en) Device case computer mouse
KR20120007707U (ko) 측면 터치 센서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US20140347171A1 (en) Portable wireless tactile control device
CN204009752U (zh) 一种人机交互装置
KR20210047783A (ko) 터치 마우스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