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783A - 터치 마우스 패드 - Google Patents

터치 마우스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783A
KR20210047783A KR1020190131793A KR20190131793A KR20210047783A KR 20210047783 A KR20210047783 A KR 20210047783A KR 1020190131793 A KR1020190131793 A KR 1020190131793A KR 20190131793 A KR20190131793 A KR 20190131793A KR 20210047783 A KR20210047783 A KR 20210047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mouse
pad
touch screen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권
Original Assignee
김중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권 filed Critical 김중권
Priority to KR102019013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783A/ko
Publication of KR2021004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마우스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펜 수납 몸체에 의하여 펜을 수납할 수 있게 하고, 전자펜에 의하여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터치스크린 패드에 의하여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터치스크린 입력 및 펜 입력이 불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터치스크린 입력 및 펜 입력이 불가한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마우스에 있어서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한 펜 수납 몸체, 클릭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클릭버튼, 휠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휠버튼, 바닥면과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몸체 바닥면에 위치하여 구성한 광센서,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한 전자펜,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한 터치스크린 패드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펜 수납 몸체에 의하여 펜을 수납할 수 있게 하고, 전자펜에 의하여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터치스크린 패드에 의하여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터치스크린 입력 및 펜 입력이 불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터치스크린 입력 및 펜 입력이 불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마우스 패드{ Touch mouse pad}
본 발명은 터치 마우스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에 있어서,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한 펜 수납 몸체, 클릭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클릭버튼, 휠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휠버튼, 바닥면과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몸체 바닥면에 위치하여 구성한 광센서,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한 전자펜,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한 터치스크린 패드로 구성 하여서,
펜 수납 몸체에 의하여 펜을 수납할 수 있게 하고, 전자펜에 의하여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터치스크린 패드에 의하여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터치스크린 입력 및 펜 입력이 불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사용자가 컴퓨터에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우스는 마우스몸체, 클릭버튼, 휠버튼, 광센서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마우스는 마우스몸체를 손으로 잡고 광센서를 통하여 움직임 신호를 전달하고 클릭버튼 및 휠버튼을 통하여 사용자가 컴퓨터에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우스는 터치스크린 입력 및 펜 입력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20070020251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마우스가 터치스크린 입력 및 펜 입력이 불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한 펜 수납 몸체, 클릭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클릭버튼, 휠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휠버튼, 바닥면과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몸체 바닥면에 위치하여 구성한 광센서,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한 전자펜,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한 터치스크린 패드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한 펜 수납 몸체, 클릭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클릭버튼, 휠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휠버튼, 바닥면과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몸체 바닥면에 위치하여 구성한 광센서,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한 전자펜,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한 터치스크린 패드로 구성 함으로써, 펜 수납 몸체에 의하여 펜을 수납할 수 있게 하고, 전자펜에 의하여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터치스크린 패드에 의하여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터치스크린 입력 및 펜 입력이 불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충전식 터치 마우스패드위에 무선 마우스를 사용하다가 터치펜이 필요 할 때 마우스에서 뽑아서 사용
즉, 본 발명은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한 (101)펜 수납 몸체, 클릭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102)클릭버튼, 휠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103)휠버튼, 바닥면과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몸체 바닥면에 위치하여 구성한 (104)광센서,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한 (105)전자펜,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한 (201)터치스크린 패드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101)펜 수납 몸체는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105)전자펜은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201)터치스크린 패드는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우스에 있어서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한 (101)펜 수납 몸체, 클릭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102)클릭버튼, 휠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103)휠버튼, 바닥면과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몸체 바닥면에 위치하여 구성한 (104)광센서,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한 (105)전자펜,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한 (201)터치스크린 패드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터치스크린 입력 및 펜 입력이 불가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한 (101)펜 수납 몸체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한 (105)전자펜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한 (201)터치스크린 패드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01: 펜 수납 몸체, 102: 클릭버튼, 103: 휠버튼, 104: 광센서, 105: 전자펜, 201: 터치스크린 패드

Claims (4)

  1. 마우스에 있어서,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한 (101)펜 수납 몸체, 클릭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102)클릭버튼, 휠 조작을 편하게 할 수 있게 몸체 파지시 손가락 끝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103)휠버튼, 바닥면과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몸체 바닥면에 위치하여 구성한 (104)광센서,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한 (105)전자펜,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한 (201)터치스크린 패드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마우스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101)펜 수납 몸체를 통하여 펜을 수납할 수 있게 마우스 후면부에 홈을 구비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마우스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105)전자펜을 통하여 터치스크린패드에 입력할 수 있고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터치스크린패드에 감응되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펜 수납 몸체에 구비된 홈의 사이즈에 맞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마우스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201)터치스크린 패드를 통하여 펜과 손가락에 의한 편한 입력이 가능하고 마우스 이용시에도 마우스 충전을 할 수 있게 정전식 터치패드로 구성하고 전원을 연결하며 무선충전 코일을 탑재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마우스 패드.
KR1020190131793A 2019-10-22 2019-10-22 터치 마우스 패드 KR20210047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793A KR20210047783A (ko) 2019-10-22 2019-10-22 터치 마우스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793A KR20210047783A (ko) 2019-10-22 2019-10-22 터치 마우스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83A true KR20210047783A (ko) 2021-04-30

Family

ID=7574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793A KR20210047783A (ko) 2019-10-22 2019-10-22 터치 마우스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7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3424B1 (en) Stylus devices with eraser
TWM517859U (zh) 磁吸式電容筆
US20100328205A1 (en) Magic finger mouse
US20080174571A1 (en) Pen-Type Input Device with Remote Control
TW200923733A (en) Stylus pen applicable to capacitive touch panel
WO2018000333A1 (en) Wireless stylus with force expression capability
TW201635101A (zh) 電容式指標裝置
KR20210047783A (ko) 터치 마우스 패드
KR20190023953A (ko) 패드 마우스
KR20120045697A (ko) 휴대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부착식 터치패드
US20150370352A1 (en) Active stylus pen, data inpu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ctive stylus pen
CN105204669A (zh) 电容感应式无线多功能鼠标笔
KR20130032424A (ko)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
US10466812B2 (en) Enhancing input on small displays with a finger mounted stylus
US20180341338A1 (en) Using a wearable device to control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pen
TWI507930B (zh) 觸控輸入裝置
EP4058876A1 (en) Mouse input function for pen-shaped writing, reading or pointing devices
JP3234590U (ja) スタイラスモジュール
KR20180059690A (ko) 충전식 usb 무선 마우스
KR20200069666A (ko) 탈부착식 무선 마우스
CN205485968U (zh) 一种主动式触控笔
US11023054B2 (en) Device case computer mouse
KR20200070039A (ko) 노트북 드로잉패드
KR20180060382A (ko) 레이저포인터와 헤드셋을 구비한 터치펜
CN207488975U (zh) 一种带led显示器的写字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