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277A -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277A
KR20150102277A KR1020140023949A KR20140023949A KR20150102277A KR 20150102277 A KR20150102277 A KR 20150102277A KR 1020140023949 A KR1020140023949 A KR 1020140023949A KR 20140023949 A KR20140023949 A KR 20140023949A KR 20150102277 A KR20150102277 A KR 20150102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lot
rotation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훈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277A/ko
Publication of KR2015010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가 개시된다. 이웃하는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는, 상기 제1 트레이와 연결되는 제1 고정연결단과, 상기 제1 고정연결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제1 슬롯이 형성된 제1 회전연결단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2 트레이와 연결되는 제2 고정연결단과, 상기 제2 고정연결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제2 슬롯이 형성된 제2 회전연결단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일치시키되,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연결단과 상기 제2 회전연결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Cable tray connector with earth connection and supporting function}
본 발명은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포설된다. 이 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Tray)를 사용하여 천정 등의 벽체를 따라서 배치하게 된다.
케이블 트레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1317호에는 어느 장소에서든지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전원에서 각 부하로 연결되는 케이블 포설을 위해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재질은 SUS(스테인레스 스틸)이어서 접지(earth)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케이블 트레이의 경로가 일정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진행되며, 수직 방향으로 전환이 필요한 곳도 있어 수직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수직 커넥터가 적용된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제1 트레이(10a)가 제1 트레이 지지대(20a)에 의해 지지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진행되다가 수직 위치(높이)를 달리 하는 제2 트레이 지지대(20b)에 의해 지지되는 제3 트레이(10c)로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 중간에 이를 연결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놓여지는 제2 트레이(10a)가 필요하게 된다. 제1 트레이(10a)와 제2 트레이(10b), 제2 트레이(10b)와 제3 트레이(10c)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여 트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 꺾여 올라가기 용이하도록 하는 커넥터(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은 트레이와 트레이가 서로 떨어져 있고 그 떨어진 간격을 연결해 주기 위함으로, 연결 대상이 되는 트레이 중 어느 한 쪽의 트레이에 접지를 하여도 커넥터를 사용한 부분에서 다른 트레이에 대해 본딩 점퍼(bonding jumper)를 이용하여 접지선을 연결함으로써 접지 연속성(earthing continuous)을 유지시켜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사용으로 인해 서로 연결되는 트레이 사이의 가로지지대(Rung)(30) 간격(도 2의 D1)이 일정 간격(예를 들어, 300mm) 이상일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이 때 트레이 사이의 연결 부분에서 트레이 상에 놓여지는 케이블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1317호
본 발명은 본딩 점퍼 없이도 접지 연속성 유지가 가능하며 서로 이웃하는 트레이가 정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롯 홀을 활용하여 연결 부분에 가로 지지대를 추가할 수 있어 연결 부분에서의 케이블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웃하는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로서, 상기 제1 트레이와 연결되는 제1 고정연결단과, 상기 제1 고정연결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제1 슬롯이 형성된 제1 회전연결단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2 트레이와 연결되는 제2 고정연결단과, 상기 제2 고정연결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제2 슬롯이 형성된 제2 회전연결단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일치시키되,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연결단과 상기 제2 회전연결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동일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이 중첩되어 연통된 슬롯 연통부를 통해 치형 와셔(tooth washer)를 이용하여 볼팅(bolting)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에 의한 1 지점 볼팅 및 상기 슬롯 연통부를 통한 2 지점 볼팅을 포함하는 3 지점 볼팅에 의해 상기 제1 트레이와 상기 제2 트레이 사이에 접지 연속성(earthing continous)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이 중첩되어 연통된 슬롯 연통부를 통해 가로지지대(rung)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슬롯 중 하나 및 상기 제2 슬롯 중 하나는 각각 상기 제1 회전연결단 및 상기 제2 회전연결단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관통 형성되되, 하방에 위치한 상기 제1 슬롯 중 하나와 상기 제2 슬롯 중 하나가 중첩되어 연통된 슬롯 연통부를 통해 가로지지대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연결단은 상기 제1 고정연결단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며, 상기 제2 회전연결단은 상기 제2 고정연결단 대비 상기 제1 트레이 및 상기 제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옆면 두께만큼의 내측 평면에 위치하도록 이중 절곡되어 있어, 상기 가로지지대는 상기 제1 트레이 및 상기 제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가로지지대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딩 점퍼 없이도 접지 연속성 유지가 가능하며 서로 이웃하는 트레이가 정해진 각도를 유지하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롯 홀을 활용하여 연결 부분에 가로 지지대를 추가할 수 있어 연결 부분에서의 케이블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직 커넥터가 적용된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가 적용된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
도 5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부분의 확대도 및 조립도,
도 6은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다양한 체결 각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가 적용된 케이블 트레이의 전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부분의 확대도 및 조립도이고, 도 6은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다양한 체결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트레이(10a), 제2 트레이(10b), 제3 트레이(10c), 제1 트레이 지지대(20a), 제2 트레이 지지대(20b), 제1 주 체결공(12a), 제2 주 체결공(12b),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 제1 연결부재(110), 제1 고정연결단(111), 제1 회전연결단(115), 제1 체결공(112), 제1 회전체결공(116), 제1 슬롯(117), 제2 연결부재(120), 제2 고정연결단(121), 제2 회전연결단(125), 제2 체결공(122), 제2 회전체결공(126), 제2 슬롯(127), 슬롯 연통부(140), 체결부재(130), 가로지지대(rung)(30, 35)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는 서로 이웃하는 트레이들을 연결하면서, 트레이 사이의 각도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블이 제1 트레이(10a)와 상이한 수직 위치(높이)를 가지는 제3 트레이(10c)까지 연결되도록 함에 있어서 제1 트레이(10a)와 제3 트레이(10c)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제2 트레이(10b)를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를 이용함으로써, 그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케이블이 처짐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본딩 점퍼 없이도 접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트레이(10a)와 제2 트레이(10b)를 연결하는 부분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를 중심으로 그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는, 제1 트레이(10a)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110)와, 제2 트레이(10b)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120)와, 체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재(110)는 제1 고정연결단(111)과 제1 회전연결단(115)을 포함하며, 제2 연결부재(120)는 제2 고정연결단(121)과 제2 회전연결단(125)을 포함한다.
제1 고정연결단(111)은 제1 트레이(10a)의 옆면에 설치된다. 제1 고정연결단(111)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체결공(11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체결공(112)은 제1 트레이(10a)의 옆면에 형성된 제1 주 체결공(12a)에 대응되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서로 연통되도록 중첩되어 있는 제1 체결공(112)과 제1 주 체결공(12a)을 지나 삽입 체결됨으로써, 제1 고정연결단(111)이 제1 트레이(10a)의 옆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회전연결단(115)은 제1 고정연결단(111)과 동일 평면 상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 부분에는 회전축에 상응하는 제1 회전체결공(11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회전연결단(115)의 끝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제1 회전연결단(115)의 높이를 직경으로 하는 반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여 그 끝단은 제1 연결부재(110)와 제2 연결부재(120)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제1 회전체결공(116)의 주변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제1 반경을 가지며 소정 크기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제1 슬롯(11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연결단(121)은 제2 트레이(10b)의 옆면에 설치된다. 제2 고정연결단(121)에는 하나 이상의 제2 체결공(12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체결공(122)은 제2 트레이(10b)의 옆면에 형성된 제2 주 체결공(12b)에 대응되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중첩되어 있는 제2 체결공(122)과 제2 주 체결공(12b)을 지나 삽입 체결됨으로써, 제2 고정연결단(121)이 제2 트레이(10b)의 옆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회전연결단(125)은 제2 고정연결단(121)에 대해 내측 및 외측으로 이중 절곡되어 제2 트레이(10b)의 옆면 두께만큼의 내측에서 평행하게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심 부분에 회전축에 상응하는 제2 회전체결공(12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회전연결단(125)의 끝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제2 회전연결단(125)의 높이를 직경으로 하는 반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여 그 끝단은 제1 연결부재(110)와 제2 연결부재(120)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제2 회전체결공(126)의 주변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고 제2 반경을 가지는 소정 크기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제2 슬롯(12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반경과 제2 반경은 동일하여, 제1 회전체결공(116)과 제2 회전체결공(126)이 동일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중첩 체결될 때, 제1 슬롯(117)의 일부와 제2 슬롯(127)의 일부가 중첩되어 연통될 수 있으며, 소정 크기의 슬롯 연통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중첩된 제1 회전체결공(116)과 제2 회전체결공(126)를 지나는 후 체결부재(130)에 의해 제1 연결부재(110)와 제2 연결부재(120)가 체결되는데, , 제1 연결부재(110) 및 제2 연결부재(120)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체결 이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제1 연결부재(110) 및 제2 연결부재(120)는 서로 간에 임의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110)와 제2 연결부재(120)를 결합할 때 그 사이의 다양한 체결 각도(120˚, 150˚, 180˚)가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지의 연속성 및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제1 슬롯(117)과 제2 슬롯(127)이 중첩되어 연통된 부분(슬롯 연통부(140))에도 체결부재(130)를 이용하여 추가 체결이 가능하다.
슬롯 연통부(140)는 최소 2군데 위치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추가 체결 지점은 복수의 지점이 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체결공(116)과 제2 회전체결공(126)이 만나는 지점과, 제1 슬롯(117)과 제2 슬롯(127)이 중첩 연통된 2 지점(슬롯 연통부(140))을 포함하는 3 지점에서 체결부재(130)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볼팅(bolting)이 적용될 수 있으며, 3개의 지점에서 모두 치형 와셔(tooth washer)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본딩 점퍼가 없이도 접지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트레이 역시 강하게 잡아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를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트레이(10a, 10b)에 사용되는 가로지지대(30)와 동일한 길이의 가로지지대(35)를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 사이의 공간에도 적용할 수 있어 트레이 연결에 의해 발생되는 가로지지대(30) 사이의 간격 멀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케이블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레이(10a, 10b)에 사용되는 가로지지대(30)와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에 설치되는 가로지지대(35) 사이의 간격이 D2와 D3로서, 도 2에 도시된 D1에 비해 짧은 간격을 가지게 된다. D2와 D3는 가로지지대 사이의 간격 상한(예를 들어, 300mm 이하)보다 짧아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에 설치되는 가로지지대(35)에 의해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에서 가로지지대(35)는 슬롯 연통부(140) 중에서 하방에 위치한 부분에서 체결부재(130)를 이용하여 고정 체결함으로써 제1 트레이(10a)의 가로지지대(30)와 제2 트레이(10b)의 가로지지대(30) 사이에서 그 수직 위치(높이)를 적정히 맞추어 줄 수 있어, 케이블이 급격한 꺽임없이 트레이 사이의 결합 각도에 따라 안정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회전연결단(115)에 형성된 제1 슬롯(117) 중 하나와 제2 회전연결단(125)에 형성된 제2 슬롯(127) 중 하나는 하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부재(120)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하더라도 슬롯 간의 중첩에 의해 연통되는 슬롯 연통부(140)가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가로지지대(35)의 수직 위치를 제1 트레이(10a)의 가로지지대(30)와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슬롯 연통부(140) 역시 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어 상황에 맞게 가로지지대(35)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연결부재(120)의 제2 회전연결단(125)이 내측으로(즉, 케이블이 지나가는 경로 쪽으로) 제1 트레이(10a)의 옆면 두께만큼 이중 절곡되어 있는 상태인 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 사이의 간격(L1)이 제1 트레이(10a)의 한쪽 옆면에서 반대쪽 옆면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여 트레이(10a)에 적용되는 가로지지대(30)와 동일한 길이의 가로지지대(35)를 이용할 수 있고, 보다 견고한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를 이용해 제1 트레이(10a)에 연결된 제2 트레이(10b)는 제1 트레이(10a)의 끝단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 트레이(10b)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제1 트레이(10a)와는 상이한 높이에 설치된 제3 트레이(10c)의 수직 위치와는 관계없이 한 쌍의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100)를 호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가 트레이의 옆면 외측에서 결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상황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가 트레이의 옆면 내측에서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a : 제1 트레이 10b: 제2 트레이
10c: 제3 트레이 20a: 제1 트레이 지지대
20b: 제2 트레이 지지대 12a: 제1 주 체결공
12b: 제2 주 체결공 100: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110: 제1 연결부재 111: 제1 고정연결단
112: 제1 체결공 115: 제1 회전연결단
116: 제1 회전체결공 117: 제1 슬롯
120: 제2 연결부재 121: 제2 고정연결단
122: 제2 체결공 125: 제2 회전연결단
126: 제2 회전체결공 127: 제2 슬롯
130: 체결부재 140: 슬롯 연통부
30, 35: 가로지지대

Claims (6)

  1. 이웃하는 제1 트레이와 제2 트레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로서,
    상기 제1 트레이와 연결되는 제1 고정연결단과, 상기 제1 고정연결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제1 슬롯이 형성된 제1 회전연결단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제2 트레이와 연결되는 제2 고정연결단과, 상기 제2 고정연결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제2 슬롯이 형성된 제2 회전연결단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일치시키되,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제1 회전연결단과 상기 제2 회전연결단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동일 반경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한 1 지점 볼팅 및 상기 슬롯 연통부를 통한 2 지점 볼팅을 포함하는 3 지점 볼팅에 의해 상기 제1 트레이와 상기 제2 트레이 사이에 접지 연속성(earthing continous)이 유지되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이 중첩되어 연통된 슬롯 연통부를 통해 가로지지대(rung)가 추가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 중 하나 및 상기 제2 슬롯 중 하나는 각각 상기 제1 회전연결단 및 상기 제2 회전연결단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관통 형성되되,
    하방에 위치한 상기 제1 슬롯 중 하나와 상기 제2 슬롯 중 하나가 중첩되어 연통된 슬롯 연통부를 통해 가로지지대가 추가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연결단은 상기 제1 고정연결단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며,
    상기 제2 회전연결단은 상기 제2 고정연결단 대비 상기 제1 트레이 및 상기 제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옆면 두께만큼의 내측 평면에 위치하도록 이중 절곡되어 있어,
    상기 가로지지대는 상기 제1 트레이 및 상기 제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가로지지대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KR1020140023949A 2014-02-28 2014-02-28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KR20150102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49A KR20150102277A (ko) 2014-02-28 2014-02-28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49A KR20150102277A (ko) 2014-02-28 2014-02-28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77A true KR20150102277A (ko) 2015-09-07

Family

ID=5424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949A KR20150102277A (ko) 2014-02-28 2014-02-28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27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02B1 (ko) * 2016-03-25 2016-07-08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CN106058749A (zh) * 2016-06-02 2016-10-26 扬中市美娴电器有限公司 一种桥架转向接头
KR20180002666U (ko) * 2017-03-03 2018-09-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CN109038413A (zh) * 2018-10-09 2018-12-18 江苏泰华消防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角度的桥架弯头
KR101941085B1 (ko) * 2018-11-08 2019-01-23 (주)골드이엔지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배선연결 장치
KR101970595B1 (ko) * 2018-08-07 2019-04-19 권오덕 원터치 조립방식의 무볼트형 케이블 트레이
CN112003226A (zh) * 2020-08-21 2020-11-27 浙江百汇电气有限公司 一种通用型电缆支架
KR102193750B1 (ko) * 2020-05-29 2020-12-21 주식회사 이노플라텍 원터치 조립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KR102526297B1 (ko) * 2022-10-04 2023-04-28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배전선 지지대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02B1 (ko) * 2016-03-25 2016-07-08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CN106058749A (zh) * 2016-06-02 2016-10-26 扬中市美娴电器有限公司 一种桥架转向接头
KR20180002666U (ko) * 2017-03-03 2018-09-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1970595B1 (ko) * 2018-08-07 2019-04-19 권오덕 원터치 조립방식의 무볼트형 케이블 트레이
CN109038413A (zh) * 2018-10-09 2018-12-18 江苏泰华消防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角度的桥架弯头
CN109038413B (zh) * 2018-10-09 2024-02-23 江苏泰华消防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角度的桥架弯头
KR101941085B1 (ko) * 2018-11-08 2019-01-23 (주)골드이엔지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배선연결 장치
KR102193750B1 (ko) * 2020-05-29 2020-12-21 주식회사 이노플라텍 원터치 조립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WO2021242031A1 (ko) * 2020-05-29 2021-12-02 주식회사 이노플라텍 원터치 조립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CN112003226A (zh) * 2020-08-21 2020-11-27 浙江百汇电气有限公司 一种通用型电缆支架
CN112003226B (zh) * 2020-08-21 2021-07-30 浙江百汇电气有限公司 一种通用型电缆支架
KR102526297B1 (ko) * 2022-10-04 2023-04-28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배전선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2277A (ko) 접지 및 지지 기능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커넥터
US10415723B2 (en) Adapter for mounting cable hangers
US7154040B1 (en) Support bracket for electrical junction box
KR102433164B1 (ko) 길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행거
US10581211B2 (en) Busway stab assembl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5431985A (zh) 角度可变的emi屏蔽组件
US11437797B2 (en) Bracket for electrical devices
US8747150B1 (en) Multidirectional modular jack and face panel mounting structure
US10340836B2 (en) Interlock system for mounting and joining photovoltaic modules
KR101399938B1 (ko) 케이블 트레이
US2007010733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outing cabling around leveler legs in a thin modular office panel
US9667047B1 (en) Conduit to box unitary support bracket assembly
US10263375B1 (en) Busbar connector
US20160076691A1 (en) Display apparatus adapted for a variety of placements
JP5977106B2 (ja) アンテナ支持装置
US9543743B2 (en) Pass through faceplate
US8740657B2 (en) Cable lug pad
KR101779746B1 (ko) 송배전 케이블 클리트
CA2753810C (en) Block mounted adjustable end
KR100728313B1 (ko) 송,배전 케이블의 지지장치
KR101195039B1 (ko) 케이블 트레이
US9972468B2 (en) Information technology racks having integrated bus plugs and related systems and busways
US10381811B2 (en) Utility conduit system
US3839696A (en) Connector for electric installation systems
US5339585A (en) Raceway swivel spacer le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