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764A - Aluminium frame type knock down furniture - Google Patents

Aluminium frame type knock down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764A
KR20150101764A KR1020140023443A KR20140023443A KR20150101764A KR 20150101764 A KR20150101764 A KR 20150101764A KR 1020140023443 A KR1020140023443 A KR 1020140023443A KR 20140023443 A KR20140023443 A KR 20140023443A KR 20150101764 A KR20150101764 A KR 20150101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frame
vertical
frame assembl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철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케이에스한국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케이에스한국금속 filed Critical (주)에이치케이에스한국금속
Priority to KR102014002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1764A/en
Publication of KR20150101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7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with panels separate from the fram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An aluminum frame type assemblable furnitur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um frame type assemblable furniture comprises: a frame assembly forming a frame; and a division member coupled to the frame assembly to divide an inner space and an outer space of the frame assembly. The frame assembly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processes a frame and easily assembles the frame assembly and the division member.

Description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ALUMINIUM FRAME TYPE KNOCK DOWN FURNITURE}{ALUMINUM FRAME TYPE KNOCK DOWN FURNITURE}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으로 가구의 뼈대를 형성하고 프레임에 패널 및 도어를 결합하여 가구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in which a frame of furniture is formed of a frame made of aluminum and a panel and a door are combined with a frame to improve the assembling property of the furniture .

가구(furniture, 家具)는 실내에 배치하여 생활에 사용하는 도구의 총칭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의자나 책상같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을 가리키지만, 넓은 뜻으로는 건물에 붙여 만든 옷장이나 벽난로 등도 포함된다. 영어의 퍼니처(furniture)는 '설비된 용구'라는 의미로 한층 더 넓은 내용을 가진다.Furniture (furniture) is a general term for tools used for living in the room, and generally refers to things that can move like a chair or a desk. In a broad sense, it includes a wardrobe or fireplace made of a building. The furniture of English has a wider meaning in the sense of 'equipped utensils'.

가구에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목재, 강철, 경금속, 등덩굴, 대나무, 가죽, 천을 비롯하여 석재도 부분적으로 쓰이고 있으며, 근래에는 플라스틱과 판유리 등도 흔히 사용되고 있다. 사용 재료에 따라 제조법이 다르며 용도도 다르다.Wood, steel, light metal, vine, bamboo, leather, cloth, and stone are also used in some parts of furniture. Plastics and plate glass are also commonly used in recent years. 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the manufacturing method is different and its usage is different.

가구의 가치를 정하는 조건으로서는 다음 사항들을 들 수 있다. 첫째는, 가구 본래의 목적에 맞도록 하기 위한 조건으로 쓰기 편리한가의 여부이다. 둘째로, 제품의 용도에 적합하고 기능을 높이며 구조를 보다 합리적으로 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는 재료가 선정되어야 한다. 셋째, 재료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구조이고 동시에 견고해야 한다. 넷째, 재료에 따라 표현하기 쉬운 모양과 제약이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만들기 쉬운 방법으로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다섯째, 일반 가구는 양산 공정으로 제작되므로 고성능과 저가격은 중요한 조건의 하나이다. 또한, 유지 관리에 경비나 잔손이 가지 않도록 하는 점도 중요하다.The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furniture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or not it is convenient to use as a condition to meet the original purpose of the furniture. Secondly, materials should be selected that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product, have improved functionality, and have a performance that makes the structure more reasonable. Third, the structure should be able to express the beauty of the material and be robust at the same time. Fourth, there are shapes and constraints that are easy to express depending on the material. These conditions must be made in an easy-to-create way. Fifth, general furniture is produced by mass production process, so high performance and low price are important conditions.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sts or waste.

이러한 조건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것도 많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평가 내용도 달라지지만, 각각 요구되는 바를 살려 한층 높은 조화를 이룬 것이 좋은 가구라고 할 수 있다.Many of these conditions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the contents of evaluation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However, it is a good furniture to achieve a higher harmony by taking advantage of each requirement.

대중식당이나 이동식 주방의 싱크대 또는 선반과 같이 상술한 조건 중 특히 저가격화 및 견고성이 요구되는 가구는 일반적으로 프레임형으로 제작된다.Among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such as a sink or a shelf in a public dining room or a mobile kitchen, furniture requiring particularly low cost and robustness is generally made into a frame.

그러나 종래 목재 프레임형 가구는 재질의 특성상 가공이 쉽고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프레임 형태를 표현하기 쉬운 장점이 있으나, 수분에 취약한 목재의 특성상 주방가구와 같이 식재료 및 주방기구의 하중과 열, 수분에 가혹한 환경에서는 쉽게 뒤틀리거나 갈라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ooden frame type furniture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processed and easily expressed in various frame shapes at a low pri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ood which is vulnerable to moisture, the load of food materials and kitchen utensils such as kitchen furniture, There was a problem of being easily twisted or cracked.

한편, 철재 프레임을 적용한 가구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높은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무게가 많이 나가서 이동성이 떨어지고 재질의 특성상 녹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furniture using a steel frame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maintain a high rigidity at a relatively low price, but i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asy to rust due to the weight of the material and the mo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의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프레임 어셈블리와 구획부재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into a frame assembly and a partition member while facilitating the frame processing.

또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높은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방가구와 같이 식재료 및 주방기구의 하중과 열, 수분에 가혹한 환경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can maintain high rigidity with a light weight, and it also provides an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can maintain its shape without being deformed for a long time under severe loads of food and kitchen utensils such as kitchen furniture, heat and moisture.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안쪽과 바깥쪽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에 의하여 달성된다.This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a frame assembly for forming a frame; And a partition member coupled to the frame assembly so as to partition an inner space and an outer space of the frame assembly, wherein the frame assembly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제1 결합부재로 체결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로프레임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덮개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The frame assembly includes: a vertical frame instal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frame coupled with the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engagement member, and the cover frame may be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such that exposure of the first engagement member is prevented.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제1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사각형의 하중지지부; 및 상기 하중지지부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덮개프레임과 결합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프레임에는, 상기 연장부의 안쪽면 또는 바깥쪽면과 각각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한 쌍의 연장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frame includes: a rectangular load support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engaging member is engaged;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load supporting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lid frame, wherein the lid frame is formed with a pair of extending blades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respectively .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연장날개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one of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extended wing, and the other may have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덮개프레임에는 상기 판재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절곡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lid frame may be formed with a bending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surround the edge of the plate material.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스크류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의 결합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screw bolt, and a first engag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one side of which is opened along the engaging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로프레임과 제2 결합부재로 체결되는 가로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스크류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제2 결합부재의 결합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frame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fram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wherein the second coupling member is formed of a screw bolt, And a second fastening hole having one side opened along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members may be formed.

상기 세로프레임은, 사용자가 접근하는 쪽에 설치되는 제1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세로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세로프레임보다 지면을 향해 더 연장되는 제2 세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제1 세로프레임과 지면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vertical frame comprises: a first vertical frame installed on a side to which the user approaches; And a second vertical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extending further toward the ground than the first vertical frame, wherein the partition member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Member.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안쪽과 바깥쪽 공간을 구획하는 바닥패널; 및 상기 바닥패널의 아래쪽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패널보다 상기 제2 세로프레임 쪽에 배치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floor panel that defines an inner space and an outer space of the frame assembly; And a support panel provided below the floor panel and disposed on the second vertical frame side than the floor panel.

상기 세로프레임의 바깥면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향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frame may have a protruding portion facing the horizontal frame, and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may hav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본 발명에 의하면,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프레임 어셈블리의 안쪽과 바깥쪽 공간을 구획하도록,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고, 프레임 어셈블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프레임의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프레임 어셈블리와 구획부재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assembly for forming a skeleton; And a partition member coupled to the frame assembly so as to partition the inner and outer spaces of the frame assembly. Since the frame assembly is made of aluminum, it is possible to easily process the frame and to easily assemble the frame assembly and the partition mem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또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높은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방가구와 같이 식재료 및 주방기구의 하중과 열, 수분에 가혹한 환경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can maintain high rigidity with a light weight, and it also provides an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can maintain its shape without being deformed for a long time under severe loads of food and kitchen utensils such as kitchen furniture, heat and moistur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어셈블리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어셈블리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요부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세로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d는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가로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tire configuration of an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frame assembly and a supporting member of 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frame assembly of 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1;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frame assembly and a supporting member of 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1; Fig.
Figs. 5 to 7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vertical frame of 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1; Fig.
8A to 8C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horizontal frame of 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Fig. 8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rizontal frame of 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는, 프레임의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프레임 어셈블리와 구획부재를 쉽게 조립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높은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방가구와 같이 식재료 및 주방기구의 하중과 열, 수분에 가혹한 환경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ssemble the frame and can easily assemble the frame assembly and the partition member and can maintain high rigidity while being light in weight, , So that it can maintain its shape without being defo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in a harsh environment of mois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어셈블리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프레임 어셈블리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요부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세로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수평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d는 도 1의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의 가로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struction of an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frame assembly and a supporting member of the aluminum fram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main part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frame assembly and a supporting member of 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1, Fig. 5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frame of 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1, Figs. 8a to 8c are sectional views showing horizontal frames of the aluminum frame prefabricated furniture of Fig.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1)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으로 가구의 뼈대를 형성하고 프레임에 패널 및 도어를 결합하여 가구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지며, 프레임 어셈블리(100) 및 구획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a frame of furniture with a frame made of aluminum, and assembling a panel and a door to a frame, And includes a frame assembly 100 and a partition member 500. The frame assembly 100 includes a frame member 500,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1)는 장, 농, 침대, 소파, 화장대, 문갑, 식탁, 책상 등 주거용 가구로 제작되거나, 사물함, 캐비닛, 작업대 등 공공용 가구, 카운터(counter), 진열대 등 상업용 가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싱크볼이나 조리기구가 설치되는 싱크대로서 설명하기로 한다.Frame-type prefabricated furniture (1) is made of residential furniture such as furniture, bed, sofa, vanity, porch, table and desk, or public furniture such as locker, cabinet, work bench,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will be described as a sink in which a sink ball or a cooking device is install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조립식 가구(1)의 뼈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세로프레임(110), 수평프레임(130) 및 가로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he frame assembly 100 includes a vertical frame 110, a horizontal frame 130, and a horizontal frame 150, which constitute a frame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 [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세로프레임(110), 수평프레임(130) 및 가로프레임(15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The vertical frame 110,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horizontal frame 150 constituting the frame assembly 100 are formed of aluminum.

대중식당이나 이동식 주방의 싱크대 또는 선반과 같이 저가격화 및 견고성이 요구되는 가구는 일반적으로 프레임형으로 제작된다.Households that require low cost and robustness, such as sinks or shelves in public dining rooms or mobile kitchens, are typically made in frame form.

그러나 종래 목재 프레임형 가구는 재질의 특성상 가공이 쉽고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프레임 형태를 표현하기 쉬운 장점이 있으나, 수분에 취약한 목재의 특성상 주방가구와 같이 식재료 및 주방기구의 하중과 열, 수분에 가혹한 환경에서는 쉽게 뒤틀리거나 갈라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ooden frame type furniture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processed and easily expressed in various frame shapes at a low pri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ood which is vulnerable to moisture, the load of food materials and kitchen utensils such as kitchen furniture, There was a problem of being easily twisted or cracked.

한편, 철재 프레임을 적용한 가구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높은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무게가 많이 나가서 이동성이 떨어지고 재질의 특성상 녹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furniture using a steel frame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maintain a high rigidity at a relatively low price, but i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asy to rust due to the weight of the material and the mobility.

본 발명의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프레임의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프레임 어셈블리와 구획부재를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높은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방가구와 같이 식재료 및 주방기구의 하중과 열, 수분에 가혹한 환경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ram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aluminum frame that can easily process a frame and can easily assemble the frame assembly and the partitioning member. Accordingly, the frame assembly 100 can maintain high rigidity while being light in weight, And in the harsh environment of the load, heat and moisture of the kitchen utensil, the shape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defo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세로프레임(110)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높이를 형성하고, 가로프레임(150)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가로방향 간격을 형성하며, 수평프레임(130)은 세로프레임(110) 및 가로프레임(150)과 각각 직각을 이루며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폭을 형성하게 된다. The vertical frame 11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the height of the frame assembly 100 and the horizontal frame 15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the horizontal spacing of the frame assembly 100, Ar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50 to form the width of the frame assembly 1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30)은 제1 결합부재(B1)에 의해 결합되고, 세로프레임(110)과 가로프레임(150)은 제2 결합부재(B2)에 의해 결합되며, 수평프레임(130)과 가로프레임(150)은 제3 결합부재(B3)에 의해 결합된다. 세로프레임(110), 수평프레임(130) 및 가로프레임(150)은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설계 형태에 따라 다양한 길이 및 개수로 마련된다. 제1 결합부재(B1), 제2 결합부재(B2) 및 제3 결합부재(B3)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분한 것으로서, 동일한 형태의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결합부위마다 볼트의 규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3,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30 are coupled by a first engagement member B1, and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50 are coupled by a second engagement member B2 , And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horizontal frame 150 are coupled by the third engagement member B3. The vertical frame 110,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horizontal frame 150 are provided in various lengths and number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frame assembly 100. The first engaging member B1, the second engaging member B2, and the third engaging member B3 are di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ngaging member B1, the second engaging member B2, and the third engaging member B3 are made of the same type of bolt. Of course, bolt sizes may vary from bond to bond.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10)은 하중지지부(111), 연장부(113) 및 돌출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로프레임(110)은 지면으로부터 조립식 가구(1)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이며, 도 5 및 도 6과 같이, 요구되는 강도에 따라 다양한 단면적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5 and 6, the vertical frame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ad supporting portion 111, an extending portion 113, and a projection portion 115. The vertical frame 11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 from the ground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cross-sectional areas and shapes depending on the required strength, as shown in Figs. 5 and 6. Fig.

하중지지부(111)는 싱크대의 하중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내부가 빈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결합부재(B1)는 하중지지부(111)를 관통하여 수평프레임(130)과 결합된다.The load supporting portion 111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sink from the ground, and the inside thereof is formed into a hollow rectangular cross sec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engaging member B1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30 through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11. [

연장부(113)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중지지부(111)에서 각각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113)는 수평프레임(130)이 결합되는 쪽의 반대면 양쪽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다. The extension portions 113 are formed as a pair and extend from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11, respectively. Preferably, the extension 113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dges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to which the horizontal frame 130 is coupled.

덮개프레임(170)은 연장부(11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커버(171) 및 연장날개(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lid frame 17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113 and includes a cover 171 and an extension wing 173.

연장날개(173)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연장부(113)의 안쪽면 또는 바깥쪽면과 각각 탄성적으로 밀착되며, 연장날개(173)와 연장부(113)는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장날개(173)의 바깥쪽면이 연장부(113)의 안쪽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extension wings 173 are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113. The extension wings 173 and the extension portion 11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at the contact surface,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ded blade 17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113. [

커버(171)는, 연장날개(173)와 연장부(113)가 결합되면 연장부(113) 사이 공간이 노출되지 않도록 연장부(113)의 단부에 밀착된다. 커버(171)에 의해 제1 결합부재(B1)의 노출이 방지된다. The cover 17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13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s 113 is not exposed when the extension wings 173 and the extension portions 113 are engaged. The cover 171 prevents the first engagement member B1 from being exposed.

연장날개(17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173a)가 형성되고 연장부(113)의 안쪽면에는 돌기(173a)가 삽입되는 결합홈(113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돌기(173a)가 결합홈(113a)에 삽입되면 연장날개(173)와 연장부(113)의 결합력이 증가하게 된다.A protrusion 173a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wing 173 and an engagement groove 113a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173a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1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protrusion 173a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3a,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extended blade 173 and the extended portion 113 is increased.

돌출부(115)는 하중지지부(111)의 수평프레임(130)이 결합되는 쪽 면에 형성된다. 돌출부(115)는 하중지지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형성되며, 수평프레임(130)의 단부에는 돌출부(115)가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삽입홈은 수평프레임(130)의 생산시 형성되거나, 또는 작업현장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rojecting portion 11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11 where the horizontal frame 130 is engaged. The protrusion 115 is formed at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11 and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o insert the protrusion 115. The insertion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produ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30, or may be formed at the work site.

돌출부(115)가 삽입홈에 삽입되면, 세로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30)의 결합시 수평프레임(130)이 세로프레임(1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된 상태에서 결합되지 않고 세로프레임(110)의 중앙에 결합되어 넓은 접촉면을 형성하게 된다.When the protrusion 11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when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30 are coupled, the horizontal frame 130 is not engaged in the state of being deflected to the left or right of the vertical frame 110, 110 to form a wide contact surface.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30)은 내부가 빈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1 결합부재(B1)가 결합되는 제1 체결홀(H1)이 형성된다. 제1 체결홀(H1)은 수평프레임(130)의 내부에서 수평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프레임(130)이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되더라도 항상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8A to 8C, the horizontal frame 130 has a hollow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first fastening hole H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o fasten the first fastening member B1. The first fastening holes H1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30 in the horizontal frame 130 so that the first fastening holes H1 are always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even if the horizontal frames 130 are cut at an arbitrary position .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결합부재(B1)는 스크류볼트로 이루어지고, 제1 결합부재(B1)가 제1 체결홀(H1)에 결합될 때 제1 결합부재(B1)는 제1 체결홀(H1)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결합된다. 제1 체결홀(H1)은, 스크류볼트에 의한 나사산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수평프레임(130)의 길이방향 즉, 제1 결합부재(B1)의 결합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engaging member B1 is formed of a screw bolt, and when the first engaging member B1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hole H1, the first engaging member B1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hole B1, (H1). The first fastening hole H1 is opened at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hat is,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first joining member B1, so that threading by the screw bolt can be easily performed.

제1 체결홀(H1)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 내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fastening holes H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ppos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8A, or may be formed on only on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s. 8B and 8C.

도 8a 및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30)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단차부(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대향하는 면에 단차부(130a)가 형성되면 수평프레임(130)의 비틀림(torton)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8A and 8C, a step 130a may be formed on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horizontal frame 130. As shown in FIG. When the step 130a is formed on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t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30 is preven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50)의 양쪽 단부는 각각 세로프레임(110)에 결합되며,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50)은 하중지지부(151) 및 연장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3, both ends of the transverse frame 150 are each coupled to a longitudinal frame 110, and the transverse frame 150 includes a load support 151 and an extension < RTI ID = 0.0 > 153).

하중지지부(151)는 내부가 빈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결합부재(B2)가 결합되는 제2 체결홀(H2)이 형성된다. 제2 체결홀(H2)은 가로프레임(150)의 내부에서 가로프레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가로프레임(150)이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되더라도 항상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51 has a hollow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second fastening hole H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2 is coupled. The second fastening holes H2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frame 150 in the transverse frame 150 so that the transverse frame 150 is always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even if it is cut at an arbitrary position.

제2 결합부재(B2)는 세로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제2 체결홀(H2)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재(B2)는 스크류볼트로 이루어지며, 제2 결합부재(B2)가 제2 체결홀(H2)에 결합될 때 제2 결합부재(B2)는 제2 체결홀(H2)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결합된다. 제2 체결홀(H2)은, 스크류볼트에 의한 나사산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가로프레임(150)의 길이방향 즉, 제2 결합부재(B2)의 결합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된다. The second engaging member B2 passes through the vertical frame 110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 H2. Preferably, the second engaging member B2 is made of a screw bolt, and when the second engaging member B2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hole H2, the second engaging member B2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hole B2 H2). The second fastening hole H2 is opened at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frame 150, that is,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second joining member B2, so that threading by the screw bolt can be easily performed.

가로프레임(150)은 스크류볼트로 연장부(153)를 관통하여 수평프레임(130)과 결합된다. The horizontal frame 150 is screwed into the horizontal frame 130 through the extension 153 with a screw bol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10), 수평프레임(130) 및 가로프레임(150)이 결합되어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프레임 어셈블리(100)에는 구획부재(500)가 결합된다. 1, when the vertical frame 110,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horizontal frame 150 are coupled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frame assembly 100, the frame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the partition member 500, .

구획부재(500)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결합되어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안쪽과 바깥쪽 공간을 구획하는 구성으로서, 좌측패널(510), 우측패널(520), 후측패널(530), 싱크패널(540), 도어패널(550) 및 지지부재(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artition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frame assembly 100 to divide the inside and outside spaces of the frame assembly 100 and includes a left panel 510, a right panel 520, a rear panel 530, A panel 540, a door panel 550, and a support member 560.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좌측패널(510) 및 우측패널(520)은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스크류볼트로 체결되며, 싱크패널(540)은 프레임 어셈블리(100) 또는 좌측패널(510) 및 우측패널(520)과 결합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left panel 510 and the right panel 520 are fastened to the frame assembly 100 with screw bolts, and the sink panel 540 is fixed to the frame assembly 100 or the left panel 510 and the right panel 52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패널(530)은 후측패널(530)과 접하는 세로프레임(110)의 덮개프레임(170)에 끼움조립된다. 후측패널(530)과 접하는 세로프레임(110)의 덮개프레임(170)에는 후측패널(53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절곡연장부(175)가 형성된다. 7, the rear panel 530 is fitted to the cover frame 170 of the vertical frame 1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ar panel 530. A bending extension 175 is formed on the lid frame 170 of the vertical frame 110 in contact with the rear panel 530 to extend the edge of the rear panel 530.

절곡연장부(175)는 덮개프레임(170)의 커버(17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날개(173)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곡부(175a) 및 제1 절곡부(175a)의 단부에서 후측패널(53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2 절곡부(175b)로 구성된다. The bending extension portion 175 extends from one end of the cover 171 of the cover frame 170 to a first bending portion 175a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wing 173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175b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175a And a second bent portion 175b extending to surround the edge of the rear panel 530. [

절곡연장부(175)가 형성된 덮개프레임(170)은 후측패널(530)과 접하는 좌우 양쪽의 세로프레임(110)에 결합되어 덮개프레임(170)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가 끼움조립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후측패널(530)의 조립이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The lid frame 170 on which the bending extension part 175 is formed is coupl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110 contacting with the rear panel 530 so that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lid frame 170 are fitted and assemb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ssembly of the front panel 100 and the rear panel 530 is simplified.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60)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아래쪽에 결합되며, 바닥패널(561) 및 지지패널(5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 and 4, the support member 56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ssembly 100, and includes a bottom panel 561 and a support panel 563. As shown in FIG.

바닥패널(561)은 평판형태로 이루어져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안쪽과 바깥쪽 공간을 구획하며, 지지패널(563)은 바닥패널(561)의 하측에 배치되어 지면으로부터 바닥패널(561)을 지지하게 된다. The support panel 563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panel 561 and supports the bottom panel 561 from the ground so that the bottom panel 561 supports the bottom panel 561. The bottom panel 561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define an inner space and an outer space of the frame assembly 100, .

지지패널(563)의 앞쪽 즉, 도어가 결합되는 쪽은, 사용자의 발이 조립식 가구(1)의 하단부에 부딪히지 않도록 후측패널(530) 방향으로 인입된 형태로 형성된다.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panel 563, that is, the side to which the door is coupled, is formed into a shape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panel 530 so that the user's foot does not hit the lower end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패널(561)은 세로프레임(110)의 하단부에 결합된 수평프레임(130)과 꺽쇠(U)에 의해 결합된다. 수평프레임(130)과 바닥패널(561)의 결합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꺽쇠(U)에 부딪히지 않도록 꺽쇠(U)에는 안전마개(C)가 결합된다.4, the floor panel 561 is joined by a bracket U to a horizontal frame 1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10. As shown in FIG. When the coupling of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floor panel 561 is completed, the safety cap C is engaged with the bracket U so that the body part of the user does not hit the bracket U made of meta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60)가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하측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세로프레임(110)은 도어 쪽에 설치되는 제1 세로프레임(110a) 및 후측패널(530) 쪽에 설치되는 제2 세로프레임(110b)으로 구분되어 제작된다. 2, the vertical frame 11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110a and a rear panel 530 installed on the door side so that the support member 56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assembly 100, And a second vertical frame 110b provided on the second vertical frame 110b.

제1 세로프레임(110a)은 제2 세로프레임(110b)보다 지지부재(560)의 높이만큼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즉, 제2 세로프레임(110b)의 하단은 지면과 접촉하고, 제1 세로프레임(110a)의 하단은 바닥패널(561)과 접촉하게 된다. The first vertical frame 110a is formed to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second vertical frame 110b by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560. [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110b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a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panel 561.

제1 세로프레임(110a)의 하단이 지면과 접촉하지 않더라도, 조립식 가구(1)의 무게중심이 지지부재(560)의 위쪽에 형성되므로 조립식 가구(1)는 사용 중 흔들리지 않고 안정된 구조로 설치된다.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 is formed above the support member 560 even if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0a does not contact the ground,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 is installed in a stable structure without shaking during use .

본 발명에 의하면,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100); 및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안쪽과 바깥쪽 공간을 구획하도록,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결합되는 구획부재(500)를 포함하고,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프레임의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구획부재(500)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assembly (100) for forming a skeleton; And a partition member 500 coupled to the frame assembly 100 to partition the inner and outer spaces of the frame assembly 100. Since the frame assembly 100 is made of aluminum,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luminum frame type prefabricated furniture 1 that is easy to assemble the frame assembly 100 and the partition member 500 easily.

또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높은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방가구와 같이 식재료 및 주방기구의 하중과 열, 수분에 가혹한 환경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high rigidity with light weight,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without being deformed for a long period even under severe loads of food and kitchen utensils such as kitchen furniture, heat, and moisture. ). ≪ / RTI >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조립식 가구 100 : 프레임 어셈블리
500 : 구획부재 110 : 세로프레임
130 : 수평프레임 150 : 가로프레임
170 : 덮개프레임 171 : 커버
110a : 제1 세로프레임 173 : 연장날개
110b : 제2 세로프레임 173a : 돌기
111 : 하중지지부 175 : 절곡연장부
113 : 연장부 175a : 제1 절곡부
113a : 결합홈 175b : 제2 절곡부
115 : 돌출부 560 : 지지부재
134 : 삽입홈 561 : 바닥패널
H1 : 제1 체결홀 563 : 지지패널
H2 : 제2 체결홀
B1 : 제1 결합부재
B2 : 제2 결합부재
1: Prefabricated furniture 100: Frame assembly
500: partition member 110: vertical frame
130: Horizontal frame 150: Horizontal frame
170: cover frame 171: cover
110a: first vertical frame 173: extension wing
110b: second vertical frame 173a: projection
111: load supporting portion 175:
113: extension part 175a: first bent part
113a: coupling groove 175b: second bent portion
115: protruding portion 560: supporting member
134: insertion groove 561: floor panel
H1: first fastening hole 563:
H2: Second fastening hole
B1: first coupling member
B2: second coupling member

Claims (10)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안쪽과 바깥쪽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A frame assembly forming a skeleton; And
And a partition member coupled to the frame assembly to define an inner space and an outer space of the frame assembly,
Wherein the frame assembly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제1 결합부재로 체결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세로프레임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덮개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assembly includes:
A vertical fram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horizontal frame coupled with the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engagement member,
Wherein the lid frame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such that exposure of the first engagement member is preven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제1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사각형의 하중지지부; 및
상기 하중지지부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덮개프레임과 결합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프레임에는, 상기 연장부의 안쪽면 또는 바깥쪽면과 각각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한 쌍의 연장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ertical frame comprises:
A rectangular load support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engaging member is engaged; And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the load supporting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lid frame,
Wherein the lid frame is formed with a pair of extending blades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연장날개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extended blade, and the other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프레임에는 상기 판재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절곡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d frame is formed with a bending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surround an edge of the plate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스크류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의 결합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engaging member comprises a screw bolt,
And a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is formed along the fastening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로프레임과 제2 결합부재로 체결되는 가로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스크류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제2 결합부재의 결합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ram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frame insta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oupled with the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Wherein the second engaging member is made of a screw bolt,
And a second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one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is formed along the joining direction of the second join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은,
사용자가 접근하는 쪽에 설치되는 제1 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1 세로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세로프레임보다 지면을 향해 더 연장되는 제2 세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제1 세로프레임과 지면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ertical frame comprises:
A first vertical frame installed on a side to which the user approaches; And
And a second vertical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extending further toward the ground than the first vertical frame,
Wherein the partition member includes a support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groun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안쪽과 바깥쪽 공간을 구획하는 바닥패널; 및
상기 바닥패널의 아래쪽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패널보다 상기 제2 세로프레임 쪽에 배치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floor panel that defines an inner space and an outer space of the frame assembly; And
And a support panel provided below the floor panel and disposed on the second vertical frame side than the floor pan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의 바깥면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향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레임형 조립식 가구.
3. The method of claim 2,
A protrusion facing the horizontal fram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at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KR1020140023443A 2014-02-27 2014-02-27 Aluminium frame type knock down furniture KR201501017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443A KR20150101764A (en) 2014-02-27 2014-02-27 Aluminium frame type knock down furni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443A KR20150101764A (en) 2014-02-27 2014-02-27 Aluminium frame type knock down furni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764A true KR20150101764A (en) 2015-09-04

Family

ID=5424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443A KR20150101764A (en) 2014-02-27 2014-02-27 Aluminium frame type knock down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176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16B1 (en) * 2021-08-24 2022-01-11 고영신 si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16B1 (en) * 2021-08-24 2022-01-11 고영신 si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1622A (en) Plastic cabinet
US20170340107A1 (en) Single dovetail tenon joint mechanism
US9661922B2 (en) Outdoor modular frame system
US9770112B2 (en) Chair and furniture set with the chair
KR20150101764A (en) Aluminium frame type knock down furniture
KR20170115812A (en) Assembly tableware dryer
KR101629629B1 (en) Shelf for kitchen
US6000874A (en) Furniture system, in particular a kitchen furniture system
KR20160044182A (en) Versatile Kitchen Drawer
CN204635489U (en) A kind of novel section bar assembly formula cabinet
KR200405626Y1 (en) Separable shelf for kitchen
KR101100150B1 (en) combine type of shelf
CN106419207B (en) It is a kind of can one be split into four multipurpose furniture
JPH0527050Y2 (en)
KR200384820Y1 (en) Sub-shelf for furniture
US4581858A (en) Hutch divider
KR101187557B1 (en) The furniture accepts
KR200443182Y1 (en) Shelf for Kitchen
RU191680U1 (en) Countertop
US1184380A (en) Connecting device.
CN211747899U (en) Plane type shelf and clothes and hat room
KR200199558Y1 (en) Fixed furniture
KR200366528Y1 (en) flame for furniture
KR101635584B1 (en) Component module for kitchen goods
KR200470686Y1 (en) Frame for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