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123A - 옷걸이용 띠줄 - Google Patents

옷걸이용 띠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123A
KR20150101123A KR1020140022396A KR20140022396A KR20150101123A KR 20150101123 A KR20150101123 A KR 20150101123A KR 1020140022396 A KR1020140022396 A KR 1020140022396A KR 20140022396 A KR20140022396 A KR 20140022396A KR 20150101123 A KR20150101123 A KR 20150101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anger
belt
cloth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895B1 (ko
Inventor
구태창
구예림
Original Assignee
구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태창 filed Critical 구태창
Priority to KR102014002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89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Abstract

본 발명은 옷걸이를 걸기 위한 홀이 다수 형성된 띠 형상의 띠줄을 이용하여, 세탁 후 건조를 위한 빨래걸이로 사용하거나 또는 장롱수납공간, 의상실, 옷가게 등에서 의류의 보관, 전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옷걸이용 띠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옷걸이용 띠줄{STRING WITH BELT FOR CLOTHES RACK}
본 발명은 띠(belt)가 줄(string)처럼 길게 뻗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띠(belt)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옷걸이를 걸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어, 세탁 후 건조를 위한 빨래걸이, 장롱의 자투리 빈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또한 의상실, 옷가게 등에서 의류의 보관, 전시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옷걸이용 띠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옷걸이의 기능과 건조대의 기능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종래 개시된 옷걸이 관련 기술들은 대부분, 삼각형상의 옷걸이의 기본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일부 기능을 부가하는 형태이며, 그 예로서, 실용신안 실1992-0004524(공고일자 1992.07.03) '다용도 옷걸이', 등록실용 20-0429655(등록일자 2006.10.19) '의류정보표시부가 구비된 옷걸이', 등록특허 10-1357742(등록일자 2014.01.24) '개량형 옷걸이' 등의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리고 빨래를 건조하기 위한 기술로서, 실용신안실1989-0007319(공고일자 1989.10.25) '세탁물 건조대', 등록실용신안 20-0438003(등록일자 2008.01.07) '접철식 빨래 건조대용 코너 마감부재' 등의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 개시된 건조대의 경우, 티셔츠 등을 걸기 위한 공간이 협소하여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많은 양의 세탁물을 수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그리고 공간활용도가 크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실용신안 실1992-0004524(공고일자 1992.07.03) 등록실용 20-0429655(등록일자 2006.10.19) 등록특허 10-1357742(등록일자 2014.01.24)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옷을 걸어 전시하거나, 또는 건조가 필요한 빨래를 걸어둘 목적으로 원하는 장소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의류가 걸린 옷걸이를 간편하게 거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며, 띠(belt)가 줄(string)처럼 길게 뻗어 있는 형상을 이루고 있어 공간활용도가 매우 뛰어나고, 사용 후에는 말아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사용, 사용 후 보관에 있어 그 기능성이 매우 뛰어난 옷걸이용 띠줄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띠(belt)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옷걸이를 거는 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띠부와,
상기 띠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걸이식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옷걸이용 띠줄을 제공합니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은 띠(belt)가 줄(string)처럼 길게 이루어져 있어 원하는 장소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띠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홀에 옷걸이를 거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의류를 걸어서 보관, 전시 또는 건조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하게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옷가게 등에서 수직방향으로 옷걸이용 띠줄을 설치하고, 여기에 의류를 걸어서 전시하게 될 경우에는 블라인드(blind)를 설치한 듯한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의류의 전시, 홍보 효과 외에 인테리어 효과를 낼 수 있어 미적, 디자인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은 길이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설치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사용상 효율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외에 띠(belt)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 권취기를 이용하여 한쪽으로 말아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을 위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수직방향의 설치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수평방향의 설치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옷걸이용 띠줄(1)에 옷걸이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옷걸이용 띠줄(1)에 의류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의 걸이식 고정수단(20)을 통해 고정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옷걸이용 띠줄(1)의 홀(101)에 옷걸이를 걸어 사용하는 형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옷걸이용 띠줄(1)의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은 띠(belt)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옷걸이를 거는 홀(101)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띠부(10)와,
상기 띠부(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걸이식 고정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띠부(10)는 일측에 걸이식 고정수단(20)이 형성되고, 타측에 띠부(10)를 스프링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는 띠권취부(30)가 형성되어 옷걸이용 띠줄(1)이 이루어진다.
상기 띠권취부(30)는 건물 실내의 벽면 등에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건축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동적으로 감기는 줄자와 동일한 형태의 기술이 적용되어 권취 상태의 띠부(10)를 밑으로 잡아당기면 띠권취부(30) 내부에 롤 형태로 감겨있던 띠부(10)가 외부로 나오게 된다.
이때 띠부(10)를 밑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없애면 띠권취부(30) 내의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상기 띠부(10)를 자동적으로 권취되면서 띠권취부(3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띠부(10)는 전시 또는 세탁물의 건조 목적에 따라 의류를 걸어두는 곳으로서, 발수기능과 내식, 내열, 내마모성의 특성을 갖는다.
상기 띠부(10)는 밀도(Density) 47×28 ea/inch, 무게(Weight) 250 g/㎡, 폭(Width) 57inch, 두께(Thickness) 0.42mm인 나일론 100%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띠부(10)는 발수기능제로 함침처리함으로써 발수기능이 부여되고, 함침처리후에는 내식성, 내마모성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코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발수기능(water repellent)은 물을 완전하게 차단하는 방수(water proof)와 달리 수증기는 통과하고 물방울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으로 섬유 표면에 불소계 발수가공제, 실리콘계 등을 처리하여 물에 대한 접촉각을 크게 발현시켜 물의 흡수를 막는 것이다.
상기 발수기능은 발수기능제를 상기 섬유에 함침시킨 후, 압착, 건조과정을 거침으로써 부여되는 것으로서, 증류수 80~85wt%와, 수성실리콘의 발수제 6~10wt%와, 카본블랙 또는 실리카의 인열보강제 3~7wt%와, 염화마그네슘(MgCl2) 0.5~3wt%와, 가교제 0.1~0.7wt%를 혼합한 후, 25~35분간 균질기(homogenizer)로 교반하여 조성된 발수기능제에 나일론 원단을 넣어 2~4분간 침지시켜 상기 발수기능제가 상기 섬유에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원단에 함침되어 있는 발수기능제를 2~5kfg/㎠의 압력으로 롤러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직물 표면에 발수기능제의 맺힘이 없도록 원단으로부터 발수기능제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건조기를 이용하여 함침 원단을 160~180℃에서 50~100초간 건조한다.
이때 상기 수성실리콘은 금속 Methyl Siliconate 및 Silane계의 액상 발수제로서 물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므로 화재의 위험이 없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교제는 그 종류에 특별히 한정을 두지는 않으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메틸하이드로젠 실록산(Polymethylhydrogen Siloxane)을 사용한다.
상기 발수기능제를 함침시킨 원단은 섬유의 내식성, 내열성 및 내마모성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코팅처리한다.
이때 코팅은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무기물인 Montmorillonite(MMT) 1~5wt%와 은나노 0.1~2wt%를 첨가한 후, 균질기(homogenizer)를 통해 1~3시간 교반하여 조성된 코팅액으로 섬유를 코팅처리한 후, 140~160℃에서 80~110초 동안 건조하여 코팅 원단을 완성한다.
상기 걸이식 고정수단(20)은 주변 시설물 등에 형성된 기돌출부위에 고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돌출형 걸림수단을 구비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띠권취부(30)로부터 빼낸 띠부(1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은 장소 및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식 고정수단(20)을 통해 고정되어 있던 띠부(10)를 놓아줌으로써 자동적으로 상기 띠권취부(30) 내부로 띠부(10)가 감기기 때문에 사용 및 보관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띠부(10)에는 다수의 홀(101)이 형성되며, 상기 홀(10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삼각형상의 옷걸이를 걸기 위한 공간이다.
따라서, 전시, 판매 목적으로 의상을 옷걸이에 끼워넣은 후, 이를 상기 홀(101)에 간편하게 걸어둠으로써, 의류판매점, 가정 등에서 디스플레이용 또는 의류 보관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정 내에서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형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단 세탁물의 건조의 경우, 세탁물을 상기 옷걸이용 띠줄(1)에 걸어둘 경우 위·아래의 세탁물이 중첩되어 보일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상기 홀(101)에 걸리는 옷걸이의 기본 폭이 있기 때문에 측면에서 바라볼 때, 위·아래로 걸린 세탁물은 실질적으로 서로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활한 세탁물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띠부(10)는 일측에 걸이식 고정수단(20)이 형성되고, 타측에 측단면이 '┏┓'의 형상을 이루어 외부의 다른 물체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결합부(40)가 형성되어 옷걸이용 띠줄(1)을 구성한다.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에 도시된 옷걸이용 띠줄(1)과의 차이점은 띠권취부(30)를 대신하여 끼움결합부(40)가 형성됨에 있다.
상기 끼움결합부(40)는 측면 형상이 '┏┓'형상을 이루고 있어, 내부에 빈 공간을 통해 주변 시설물로 끼움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도 2의 경우에는 띠부(10)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정된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또한 끼움결합부(40)를 통해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띠부(10)의 양측 모두에 걸이식 고정수단(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과 같이 길이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측 모두에 걸이식 고정수단(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의 설치 외에, 종래 전통적인 방식의 빨랫줄 형태로 벽과 벽 사이 또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수평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기존의 빨랫줄은 물을 함유하고 있는 세탁물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여 중심부로 갈수록 빨랫줄이 아래 방향으로 늘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세탁물이 빨랫줄의 중심부로 모여들어 세탁물이 서로 중첩되어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제3실시예를 통해 제시하고 있는 옷걸이용 띠줄(1)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옷걸이를 걸기 위한 홀(101)이 개별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홀(101)에 세탁물을 개별적으로 걸어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사용되던 빨랫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띠줄부(1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은 양 방향으로 띠부(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옷가게 등에서 건물의 벽에 설치하기보다는 실내 중심부의 천정에 고정설치하여 양 방향으로 옷을 걸어둠으로써 의류의 전시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옷걸이용 띠줄(1)은 양측에 회전롤러(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롤러(50)를 통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띠부(10)가 회전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의 제5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띠부(10)에 길이조절수단(10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의 경우 띠부(10)의 길이 가변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정된 장소 또는 길이에 맞는 설치장소 외에는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제5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은 버클형태의 길이조절수단(102)을 구비하고 있어,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지정된 장소 외에도 상기 띠부(10)를 상기 길이조절수단(102)을 이용하여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장소에 크게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식 고정수단(20)을 통해 옷걸이용 띠줄(1)을 고정설치하는 방식을 일례로 보인 것이다.
상기 도 9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식 외에도 기 설치되어 있는 주변시설에 상기 걸이식 고정수단(20)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이식 고정수단(20)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1)에 옷걸이를 거는 방식의 일례를 보인 것이며, 도 11은 도 10과 동일한 방식으로 의류를 걸어 전시, 건조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용 띠줄은 빨래의 건조목적으로 활용할 경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많은 빨래를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장롱속의 수납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의상실 등의 전시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벽화 또는 블라인더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여 의류의 상품가치를 높여줄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옷걸이용 띠줄
10: 띠부
20: 걸이식 고정수단
30: 띠권취부
40: 끼움결합부
50: 회전롤러
101: 홀
102: 길이조절수단

Claims (5)

  1. 띠(belt)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옷걸이를 거는 홀(101)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띠부(10)와,
    상기 띠부(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걸이식 고정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띠줄.
  2. 청구항 1에 있어서,
    띠부(10)는 일측에 걸이식 고정수단(20)이 형성되고, 타측에 띠부(10)를 스프링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는 띠권취부(30)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띠줄.
  3. 청구항 1에 있어서,
    띠부(10)는 일측에 걸이식 고정수단(20)이 형성되고, 타측에 측단면이 '┏┓'의 형상을 이루어 외부의 다른 물체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결합부(40)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띠줄.
  4. 청구항 1에 있어서,
    띠부(10)는 양측에 걸이식 고정수단(20)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띠줄.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띠부(10)는 중앙부위에 버클 형태의 길이조절 수단(102)이 구비되어 띠부(1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띠줄.




KR1020140022396A 2014-02-26 2014-02-26 옷걸이용 띠줄 KR10165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96A KR101654895B1 (ko) 2014-02-26 2014-02-26 옷걸이용 띠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96A KR101654895B1 (ko) 2014-02-26 2014-02-26 옷걸이용 띠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23A true KR20150101123A (ko) 2015-09-03
KR101654895B1 KR101654895B1 (ko) 2016-09-06

Family

ID=5424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396A KR101654895B1 (ko) 2014-02-26 2014-02-26 옷걸이용 띠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8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24A (ko) 1990-08-25 1992-03-27 박원희 고경도 내수성 철재 칠판용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철재칠판의 제조방법
JP2003339509A (ja) * 2002-05-28 2003-12-02 Koji Okuda 縦型ハンガー掛け具
KR200429655Y1 (ko) 2006-07-25 2006-10-25 박만식 의류정보표시부가 구비된 옷걸이
KR101192982B1 (ko) * 2011-06-10 2012-10-19 고현정 도어 탈부착용 다용도 걸이
KR101357742B1 (ko) 2012-12-05 2014-02-03 한광수 개량형 옷걸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24A (ko) 1990-08-25 1992-03-27 박원희 고경도 내수성 철재 칠판용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철재칠판의 제조방법
JP2003339509A (ja) * 2002-05-28 2003-12-02 Koji Okuda 縦型ハンガー掛け具
KR200429655Y1 (ko) 2006-07-25 2006-10-25 박만식 의류정보표시부가 구비된 옷걸이
KR101192982B1 (ko) * 2011-06-10 2012-10-19 고현정 도어 탈부착용 다용도 걸이
KR101357742B1 (ko) 2012-12-05 2014-02-03 한광수 개량형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895B1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594B2 (en) Towel rack
KR101654895B1 (ko) 옷걸이용 띠줄
JP2013192918A (ja) ハンガー
US1960607A (en) Clothesline support
CN206319170U (zh) 一种窗帘烘干设备
US20110198308A1 (en) Clothes Hanger System
JP2007144102A (ja) 衣服用ハンガー
KR101345916B1 (ko) 베란다용 이불 및 세탁물건조대
CN205688229U (zh) 一种可展开平铺式晾衣的衣架装置
KR200467009Y1 (ko) 다용도 옷걸이
KR101376706B1 (ko) 세탁물 건조대용 걸이대
KR200459959Y1 (ko) 집게 없는 빨래 건조대
JP3161949U (ja) バスタオルが折らずに干せる衣類用ハンガー
KR20100126623A (ko) 양말걸이대
CN203034267U (zh) 一种组合晾衣架
JP2007185345A (ja) 格納式物干し
JP3196995U (ja) カーテンレールを利用した物干し竿
TWM566526U (zh) Clothes hanger
CN203065847U (zh) 空调晾衣架
JP3151247U (ja) 洗濯用ハンガーを吊るす紐
CN203153593U (zh) 卫浴挂架
KR101162014B1 (ko) 통풍부재가 구비되는 빨래건조대
CN203007671U (zh) 一种防止衣物聚拢的晾衣杆
GB2480283A (en) Garment hanger
KR20100012680U (ko) 버티컬식 빨래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