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117A -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117A
KR20150100117A KR1020140021496A KR20140021496A KR20150100117A KR 20150100117 A KR20150100117 A KR 20150100117A KR 1020140021496 A KR1020140021496 A KR 1020140021496A KR 20140021496 A KR20140021496 A KR 20140021496A KR 20150100117 A KR20150100117 A KR 20150100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editing
preview screen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245B1 (ko
Inventor
박혜진
이은나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는 편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EDIT USING OF PREVIEW}
본 발명은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장치의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그 문서의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문서를 편집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습에 사용되는 학습도구로서의 문제지 또는 문제집은 학습과정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학습자 스스로 확인하여, 그 학습의 성취도를 스스로 평가할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문제지 또는 문제집의 형식은 학습자의 연령이나, 문제 내용, 유형, 출판사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문서작성 소프트웨어에서 문제를 작성한 후, 작성된 문제들을 모아 검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교사가 문제지를 만든 이후 미리 보기가 가능하나 이때 프린트될 모습을 확인하는 것에서 그친다. 따라서 문제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다시 문제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돌아가서 문제를 수정 변경하고 있다. 수정 변경의 대상은 문제의 배치 순서, 제출 기한, 문제 내용, 문제 풀이 공간을 위한 여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문제를 선택하는 화면과 만들어진 문제지를 확인하는 화면을 오가면서 문제를 변경하거나 수정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문제를 선택하는 화면에서는 학생들에게 주어질 문제지의 실제 모습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정 사항을 빠뜨리거나 실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종래에는 교사가 문제지를 생성할 때 출제할 문제를 선택하는 것 외 문제를 직접 수정하거나 문제지의 레이아웃을 수정하는 기능이 부족한 상황이고, 특히 교사의 입장에서는 학생들이 보게 될 문제지가 어떤 형태인지가 매우 중요한데 현재의 경우 문제지 생성이 완료된 후에만 실제 문제지를 확인할 수 있어, 수정하고 싶은 사항이 있을 경우 초기 문제 선택과정부터 다시 해야 하는 어려움이 많았다.
선행기술 1: 한국등록특허 제10-0613704호(2006.08.21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미리 보기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이동 없이 문제와 문제지의 레이아웃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제지 생성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실제 문제지를 확인하고, 그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수정하고 싶은 사항이 있을 경우 그 상태에서 바로 수정할 수 있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단말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문서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정보가 인증된 경우, 상기 문서관리장치로부터 인증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문서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문서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정 명령은 문서의 레이아웃, 내용, 여백, 순서, 제목, 기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명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문서 관련 정보가 저장된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식별정보, 인증정보, 각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인증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장치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의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문서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문서 제공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문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서에 상기 편집 내용을 적용 및 상기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편집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문서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문서관리장치가 제공하는 문서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를 상기 문서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문서 편집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문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에 편집 내용을 적용 및 저장하는 문서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하여 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는 문서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문서 리스트에서 특정 문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문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선택 정보를 문서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문서관리장치는 상기 문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를 획득하여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장치는 문서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문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는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문서를 편집하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를 문서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문서관리장치는 상기 문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문서에 편집내용을 적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보기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이동 없이 문제와 문제지의 레이아웃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문제지 생성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실제 문제지를 확인하고, 그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수정하고 싶은 사항이 있을 경우 그 상태에서 바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학생들에게 주어질 문제지의 형태를 한 화면을 통해 보면서, 문제의 배치 순서, 문제 풀이 공간 여백, 문제의 어휘 등을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편집 모드의 미리보기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문서관리 장치(2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문서관리장치(200)가 제공하는 문서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과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된 문서 내용은 종래 미리보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되는 문서 내용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문서를 편집하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를 문서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단말장치(100)는 문서의 편집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 랩톱(laptop) 컴퓨터, 태플릿(tablet) 컴퓨터 등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문서의 편집이 가능하다면 어느 특정한 단말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단말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문서관리 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 문서들을 제공하고, 단말장치(100)로부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가 수신된 경우, 문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문서에 편집 내용을 반영한다.
이러한 문서관리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문서 수신부(150), 편집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단말장치(100)와 문서관리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음성,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소정 물체의 촬영을 통해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등의 영상 획득 수단, RFID 리더기, 코드 리더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출력부(130)는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스피커 등 청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형태일 있다. 출력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화면, 여러 가지 기능을 보여주는 메뉴화면 등을 제공한다.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가 통신망을 통해 문서들이 저장되어 있다.
문서 수신부(150)는 입력부(120)를 통해 인증정보가 입력된 경우, 그 인증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문서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그 인증정보가 인증된 경우, 문서관리장치로부터 인증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문서 리스트를 수신하여 출력부(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아이디/비밀번호, IPIN 등 다양할 수 있다.
편집부(160)는 출력부(130)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과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편집부(160)는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문서를 편집하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를 문서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수정 명령은 문서의 레이아웃, 문서 내용, 여백, 문서 순서, 문서 제목, 문서 기일 등에 대한 수정명령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출력부(130)에 디스플레이된 문서 리스트중에서 특정 문서를 선택하면, 편집부(160)는 특정 문서의 내용을 출력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문서의 형태대로 보면서 편집을 하고자 미리보기 메뉴를 선택하면, 편집부(160)는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미리 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편집부(160)는 문서의 레이아웃 수정, 문서 내용 수정, 여백 조정, 문서 순서 수정, 문서 제목 수정, 문서 기일 수정 등의 수정 명령이 문서 내용과 함께 표시되는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고, 사용자는 문서 편집 모드에서 문서의 레이아웃 수정, 문서 내용 수정, 여백 조정, 문서 순서 수정, 문서 제목 수정, 문서 기일 수정 등의 수정 명령을 선택하여, 해당 사항을 수정한다.
즉, 사용자가 미리 보기 화면에서 레이아웃 수정 명령을 선택하면, 편집부(160)는 레이아웃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는 문제지의 레이아웃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보기 화면에서 문서 내용 수정 명령을 선택하면, 편집부(160)는 문서 내용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는 선택한 문제를 삭제, 비슷한 문제로 변경, 문제에 사용된 어휘를 직접 text 입력을 통해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보기 화면에서 여백 수정 명령을 선택하면, 편집부(160)는 여백 편집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사용자는 마우스를 드래그(drag) & 드랍(drop)하거나 버튼을 클릭하여 여백을 편집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가 문제 번호를 수정할 경우 편집부(160)는 문제 번호 수정에 맞추어 다른 문제들의 번호가 바뀌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단말장치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문서 수신부(150), 편집부(160) 등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서관리장치(200)는 문서정보 데이터베이스(21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통신부(230), 인증부(240), 문서 제공부(250), 편집 정보 처리부(260),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는 문서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는 문서 식별정보, 문서 내용, 문서 편집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사용자 식별정보, 인증정보, 각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인증부(240)는 단말장치로부터 인증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등록된 인증정보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이용하여 단말장치 사용자를 인증한다.
문서 제공부(250)는 인증부(240)의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 리스트를 단말장치로 제공한다.
또한, 문서 제공부(250)는 단말장치가 접속된 경우,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문서 리스트를 접속된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도 있다.
편집 정보 처리부(260)는 단말장치로부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가 수신된 경우, 문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에 편집내용을 적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편집 정보 처리부(260)는 문서 편집 정보가 수신되면,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문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서에 편집 내용을 적용 및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문서정보 데이터베이스(21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통신부(230), 인증부(240), 문서 제공부(250), 편집 정보 처리부(260) 등 문서관리장치(200)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편집 모드의 미리보기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장치가 문서관리장치에 접속하면(S402), 단말장치는 문서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404). 단말장치가 문서관리장치에 접속하면, 단말장치에는 인증정보 입력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인증정보 입력 화면에서 인증정보를 입력한다. 그러면, 단말장치는 입력된 인증정보를 문서관리장치로 전송하고, 문서관리장치는 인증정보가 등록된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등록된 인증정보인 경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문서 리스트를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장치 사용자가 문서 리스트에서 특정 문서를 선택하면(S406), 단말장치는 선택된 문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선택 정보를 문서관리장치로 전송한다(S408), 그러면, 문서관리장치는 문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410).
단말장치는 문서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문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S412),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되면(S414), 문서 내용과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416).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S418), 단말장치는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S42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문서를 편집한다(S422). 즉, 사용자가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단말장치는 도 5와 같이 수정명령들이 표시된 문서 편집 모드의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문서 편집 모드의 미리보기 화면에는 문제지 제목 영역에 제목 수정 명령, 문제간 여백 조정 명령, 문제 내용 수정명령, 문제 삭제 명령, 문제 순서 변경 명령, 출제일/제출일 변경 명령 등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목 수정 명령을 선택하면, 단말장치에는 제목 수정을 위한 텍스트 입력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 화면을 통해 제목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제간 여백 조정 명령을 선택하면, 단말장치는 여백 조정을 위한 마우스 또는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는 문제를 마우스로 drag & drop하거나 버튼을 클릭하여 문제간 여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제 내용 수정 명령을 선택하면, 단말장치는 문제 내용 수정을 위한 텍스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텍스트 입력 화면을 통해 문제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제 삭제 명령을 선택하면, 단말장치는 삭제할 문제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는 마우스 또는 버튼으로 활성화된 아이콘을 삭제할 문제로 이동시켜 선택된 문제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제 순서 변경 명령을 선택하면, 단말장치는 문서 순서 변경을 위한 마우스 또는 버튼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는 문제를 마우스로 drag & drop하거나 버튼을 클릭하여 문서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런 후, 단말장치가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를 문서관리 장치로 전송하면(S424), 문서관리장치는 문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문서에 편집내용을 적용하여 저장한다(S426).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문서 생성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실제 문서를 확인하고, 그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수정하고 싶은 사항이 있을 경우 그 상태에서 바로 수정할 수 있다.
100 : 단말장치 110,23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저장부 150 : 문서 수신부
160 : 편집부 170, 270 : 제어부
200 : 문서관리장치 210 : 문서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 인증부
250 : 문서 제공부 260 : 편집 정보 처리부

Claims (8)

  1.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는 편집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문서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정보가 인증된 경우, 상기 문서관리장치로부터 인증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문서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문서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명령은 문서의 레이아웃, 내용, 여백, 순서, 제목, 기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정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통신망을 통해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문서 관련 정보가 저장된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식별정보, 인증정보, 각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인증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장치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의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문서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문서 제공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문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서에 상기 편집 내용을 적용 및 상기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편집 정보 처리부;
    를 포함하는 문서 관리 장치.
  5. 문서관리장치가 제공하는 문서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를 상기 문서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문서 편집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문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에 편집 내용을 적용 및 저장하는 문서관리 장치;
    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6. 단말장치가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하여 문서를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
  7.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문서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단말장치는 문서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문서 리스트에서 특정 문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문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선택 정보를 문서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문서관리장치는 상기 문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문서를 획득하여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단말장치는 문서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된 문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문서에서 미리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내용 및 편집 메뉴가 표시된 미리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는 미리보기 화면에서 편집 메뉴가 선택되면, 문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문서의 편집을 위한 수정 명령들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정 명령에 따라 문서를 편집하며, 문서 식별정보 및 편집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정보를 문서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문서관리장치는 상기 문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문서에 편집내용을 적용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방법.
KR1020140021496A 2014-02-24 2014-02-24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KR10189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496A KR101891245B1 (ko) 2014-02-24 2014-02-24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496A KR101891245B1 (ko) 2014-02-24 2014-02-24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17A true KR20150100117A (ko) 2015-09-02
KR101891245B1 KR101891245B1 (ko) 2018-09-28

Family

ID=5424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496A KR101891245B1 (ko) 2014-02-24 2014-02-24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1898B2 (en) 2017-08-31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preview UI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387A (ja) * 2004-05-28 2005-12-08 Takara Printing Co Ltd 文書作成支援方法及び文書作成支援プログラム
KR20060022823A (ko) * 2004-09-08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리보기에서 편집가능한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KR20060048673A (ko) * 2004-09-30 2006-05-1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전자 메일 메시지의 첨부물을 미리보기하고 그에 대하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JP2007079858A (ja) * 2005-09-13 2007-03-29 Canon Inc 文書編集方法及び装置
KR20090074670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복수개의 이종 광고매체 광고 중계처리 방법
JP2009205470A (ja) * 2008-02-28 2009-09-10 Brother Ind Ltd 印刷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126919A (ko) * 2008-06-05 2009-12-09 한경훈 홈페이지를 통한 배너광고 게재방법
KR20110017694A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천사만감 온라인 문서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57081A (ko) * 2011-11-23 2013-05-31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문서편집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387A (ja) * 2004-05-28 2005-12-08 Takara Printing Co Ltd 文書作成支援方法及び文書作成支援プログラム
KR20060022823A (ko) * 2004-09-08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리보기에서 편집가능한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KR20060048673A (ko) * 2004-09-30 2006-05-18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전자 메일 메시지의 첨부물을 미리보기하고 그에 대하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JP2007079858A (ja) * 2005-09-13 2007-03-29 Canon Inc 文書編集方法及び装置
KR20090074670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복수개의 이종 광고매체 광고 중계처리 방법
JP2009205470A (ja) * 2008-02-28 2009-09-10 Brother Ind Ltd 印刷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126919A (ko) * 2008-06-05 2009-12-09 한경훈 홈페이지를 통한 배너광고 게재방법
KR20110017694A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천사만감 온라인 문서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57081A (ko) * 2011-11-23 2013-05-31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문서편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1898B2 (en) 2017-08-31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preview UI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245B1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73350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EP2996015B1 (en) Method to use augmented reality to function as hmi display
CN101090435B (zh) 在文档处理装置中自定义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US201300421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in electronic book
JP2016066368A (ja) 変更要求フォームの注釈
CN103646570A (zh) 量身定做的操作系统学习体验
JP620620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5094381A (zh) 一种书写处理方法和装置
US201803496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 signatures on demand
KR101891245B1 (ko) 미리보기 화면을 이용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76042A1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20220005745A (ko) 이미지에서 문서 작성에 적합한 서식을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261753B1 (ko)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80386A (ko) 메모지와 스티커 기반 스마트 단말의 앱화면 구성 시스템
JP2016091347A (ja) 手書き文字管理システム、手書き文字管理方法、および手書き文字管理プログラム
JP599923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5216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87263B1 (ko) 전자 문서에 템플릿을 적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828586B2 (ja) 表示プログラム、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614981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8095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30019176A (ko) 전자책 상에서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 및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40285840A1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405276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5229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