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971A -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971A
KR20150099971A KR1020140021186A KR20140021186A KR20150099971A KR 20150099971 A KR20150099971 A KR 20150099971A KR 1020140021186 A KR1020140021186 A KR 1020140021186A KR 20140021186 A KR20140021186 A KR 20140021186A KR 20150099971 A KR20150099971 A KR 20150099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button
unit
inpu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396B1 (ko
Inventor
조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96B1/ko
Priority to US14/628,671 priority patent/US9696824B2/en
Priority to EP15156103.2A priority patent/EP2911037B1/en
Publication of KR2015009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가, 입력장치의 장착을 감지하는 입력장치 감지부와;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전자장치에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입력장치에 구비된 버튼 부를 상기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INPUT DEVICE}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컨데 전자장치에 장착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펜이 장착된 전자장치에서는 터치 펜을 탈착 시킨 후, 상기 터치 펜을 이용하여 전자장치에 필기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전자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장치에 터치 펜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전자장치에 보관되어 있을 뿐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장치에 장착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장치가, 입력장치의 장착을 감지하는 입력장치 감지부와;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전자장치에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입력장치에 구비된 버튼 부를 상기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입력장치가, 상기 입력장치가 전자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설정되어 사용되는 버튼 부와; 상기 버튼 부에서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전자장치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자장치에 입력장치의 장착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장치에 구비된 버튼 부를 상기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설정하는 동작과;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장치가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펜이 장착된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 -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에 구비된 버튼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터치 펜의 버튼 부를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사용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 펜이 장착된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터치 펜의 버튼 부를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사용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가전 제품(home appliance)(예: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등),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 예를 들면,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전자 의복,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HMD(head-mounted display),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액자, 전자 앨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또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의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는 터치 펜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터치 펜과 같이 전자장치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면서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모든 장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펜이 장착된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의 장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200)에 구비된 버튼부(210)를 상기 전자장치(100)의 버튼으로 추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된 터치 펜(200)으로부터 버튼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로써 수신단자(1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9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0)는 상기 수신단자(190)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된 터치 펜(200)으로부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200)은 상기 터치 펜이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200)이 노출되는 단부에 버튼 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펜(200)은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100)의 수신단자(190)와 연결되는 송신부로써 송신단자(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신단자(220)는 금속재질 혹은 전기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다른 재질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200)이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송신단자(220)를 통해 상기 버튼 부(210)로부터 발생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전자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전자장치(100)와 입력장치(200)의 구성을 도 2a 1 도 2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2a에서 전자장치(100)와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터치 펜(200)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장치(100)는 RF부(123), 데이터처리부(120), 오디오 처리부(125), 키 입력부(127), 메모리(130), 제어부(110), 카메라부(140), 영상처리부(150), 표시부(160), 전원 공급부(170), 터치 펜 감지부(180) 및 수신단자(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부(123)는 전자장치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키 입력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키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정전식 터치패널, 감압식 터치패널 등이 될 수 있으며, 호버링 입력 또는 펜 입력 감지를 위한 하드웨어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전자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전자장치에 장착된 터치 펜의 버튼 부를 상기 전자장의 버튼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이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 펜(200)으로부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장치의 모드종류(예를 들어, 대기모드, 통화모드, 메시지 모드 또는 음악재생 모드, 웹 브라우징 등)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이 장착되면 상기 터치 펜(200)에 구비된 버튼 부(210)를 상기 전자장치(100)의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펜(200)의 송신단자(220)와 연결되는 수신단자(190)를 통해 상기 터치 펜(200)의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 펜 감지부(180)로부터 상기 터치 펜의 장착을 알리는 장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원공급 부(170)를 통해 상기 터치 펜(200)의 버튼 부(210)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터치스크린부로 사용될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복수의 센서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TSP: Touch Screen Panel)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센서패널은 손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정전 식 센서패널 및 터치 펜과 같이 세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유도 센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200)의 장착에 따라 추가 버튼이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70)는 상기 전자장치(100)의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전원 공급부를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지 않은 상기 터치 펜(200)이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200)의 버튼 부(210)의 입력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되도록, 상기 터치 펜(200)의 버튼 부(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 감지부(18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 또는 탈착되는 상기 터치 펜(200)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 감지부(18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의 장착을 알리는 상기 장착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 감지부(18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이 탈착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의 탈착을 알리는 상기 탈착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단자(19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200)의 송신단자(2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신단자(190)는 상기 터치 펜(200)의 송신단자(220)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200)은 버튼 부(210)와 송신단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210)는 상기 터치 펜(200)이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될 때 상기 터치 펜(200)이 노출되는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의 버튼 부(210)의 구성은 도 3a - 도 3b에서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도 3a -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에 구비된 버튼부의 회로 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a와 같이, 상기 버튼 부(210)는 풀 다운 저항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된 상기 터치 펜(200)의 버튼 부(2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버튼 부(210)의 스위치는 온(on)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210)의 스위치가 온(on)가 상태가 되면, 상기 VCC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100)의 전원공급 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수신되고, 상기 VCC를 통해 수신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버튼 부(210)는 하이(high, "1") 신호를 상기 송신단자(220)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 3b와 같이, 상기 버튼 부(210)는 풀 업 저항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된 상기 터치 펜(200)의 버튼 부(21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버튼 부(210)의 스위치는 오프(off)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210)의 스위치가 오프(off)가 상태가 되면, 상기 VCC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100)의 전원공급 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수신되고, 상기 상기 VCC를 통해 수신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버튼 부(210)는 하이(high, "1")신호를 상기 송신단자(220)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송신단자(220)는 상기 터치 펜(200)이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장치(100)의 수신단자(190)와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송신단자(220)는 상기 버튼 부(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 부(210)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전자장치(100)의 수신단자(19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2b에서는 전자장치(100)와, 자체적으로 터치 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는 터치 펜(200)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장치(100)는 RF부(123), 데이터처리부(120), 오디오 처리부(125), 키 입력부(127), 메모리(130), 제어부(110), 카메라부(140), 영상처리부(150), 표시부(160), 전원 공급부(170), 터치 펜 감지부(180) 및 송신단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부(123), 상기 데이터처리부(120),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 상기 키 입력부(127), 상기 메모리(130), 상기 카메라부(140), 상기 영상처리부(150), 상기 표시부(160), 상기 터치 펜 감지부(180) 및 송신단자(190)는 도 2a의 전자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전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이 장착되면 상기 터치 펜(200)에 구비된 버튼 부(210)를 상기 전자장치(100)의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펜(200)의 송신단자(220)와 연결되는 수신단자(190)를 통해 상기 터치 펜(200)의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70)는 상기 전자장치(100)의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200)은 버튼 부(210), 송신단자(220) 및 전원공급 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210) 및 상기 송신단자(220)는 상기 도 2a의 터치 펜(200)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부(230)는 상기 터치 펜(200)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 펜(200)와 연결될 충전기를 통해 전원이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된 전원을 상기 터치 펜(200)의 상기 버튼 부(210)에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210)는 상기 도 3a - 상기 도 3b와 같은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펜(200)의 전원공급 부(230)는 VCC를 통해 상기 버튼 부(2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부(230)는 상기 터치 펜(200)의 장착 또는 탈착과 상관없이 상기 버튼 부(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공급 부(230)는 상기 터치 펜(200)이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버튼 부(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도 2a - 상기 도 2b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장치 및 터치 펜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에서 터치 펜의 버튼 부를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사용하는 동작을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터치 펜의 버튼 부를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사용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을 참조하며, 전자장치(100)에 터치 펜이 장착되면, 상기 터치 펜 감지 부(180)는 이를 감지하고, 터치 펜(200)의 장착을 알리는 장착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 감지 부(180)로부터 상기 장착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401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
4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된 터치 펜(200)의 전원공급 부에 대한 구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부가 구비된 터치 펜(200)이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100)의 터치 펜 감지부(180)는 상기 터치 펜(200)의 전원공급 부로부터 특정 전원 값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럼으로 상기 터치 펜 감지부(180)는 상기 전원공급 부가 구비되지 않은 터치 펜(200)의 장착 때와는 상이한 장착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4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된 터치 펜(200)이 상기 도 2a와 같이 전원공급 부가 구비되지 않은 터치 펜(200)임을 알리는 제1 장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405동작에서 상기 터치 펜(200)의 버튼 부(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407동작에서 상기 터치 펜(200)으로부터 버튼 입력신호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4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자장치(100)에 장착된 터치 펜(200)이 상기 도 2b와 같이, 전원공급 부가 구비되어 상기 터치 펜(200) 자체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터치 펜(200)임을 알리는 제2 장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647동작에서 상기 터치 펜(200)으로부터 버튼 입력신호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이 장착되면, 상기 전자장치(100)의 수신단자(190)와 상기 터치 펜(200)의 송신단자(220)가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100)에 상기 터치 펜(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 펜(200)의 버튼 부(210)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버튼 부(210)에서는 버튼 입력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버튼 입력신호는 상기 송신단자(220)를 통해 상기 수신단자(19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200)의 상기 터치 펜(200)의 상기 송신단자(220)로부터 상기 버튼 입력신호를 수신한 상기 전자장치(100)의 수신단자(190)는 상기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407동작에서 상기 수신단자(190)로부터 상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4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자장치(100)의 현재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410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리(130)에서 상기 전자장치(100)의 현재모드에 미리 설정된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검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410 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터치 펜이 장착된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장치(500)는 상기 전자장치(500)에 상기 터치 펜(600)의 장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600)에 구비된 버튼 부(610)를 상기 전자장치(500)의 버튼으로 추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500)는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된 터치 펜(600)으로부터 버튼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로써 제1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부로써, 블루투스 통신 또는 적외선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500)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된 터치 펜(600)으로부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600)은 상기 터치 펜이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500)이 노출되는 단부에 버튼 부(6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펜(600)은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500)의 제1 통신부와 통신이 연결되는 송신부로써 제2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부로써, 블루투스 통신 또는 적외선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600)이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버튼 부(610)로부터 발생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전자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5와 같은 전자장치(500)와 터치 펜치(600)의 구성을 도 6a - 도 6b를 통해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도 6a -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6a에서 전자장치(500)와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터치 펜(600)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장치(500)는 RF부(523), 데이터처리부(520), 오디오 처리부(525), 키 입력부(527), 메모리(530), 제어부(510), 카메라부(540), 영상처리부(550), 표시부(560), 전원 공급부(570), 터치 펜 감지부(580) 및 제1 통신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부(523), 상기 데이터처리부(520), 상기 오디오 처리부(525), 상기 키 입력부(527), 상기 메모리(530), 상기 카메라부(540), 상기 영상처리부(550), 상기 표시부(560), 상기 전원 공급부(570) 및 상기 터치 펜 감지부(580)는 상기 도 2a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510)는 전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5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500)에 상기 터치 펜(600)이 장착되면 상기 터치 펜(600)에 구비된 버튼 부(610)를 상기 전자장치(500)의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는 터치 펜(600)의 제2 통신부(620)와 통신이 연결되는 제1 통신부(590)를 통해 상기 터치 펜(600)의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 펜 감지부(580)로부터 상기 터치 펜의 장착을 알리는 장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원공급 부(570)를 통해 상기 터치 펜(600)의 버튼 부(610) 및 제2 통신부(620)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터치 펜 감지부(580)로부터 상기 터치 펜의 장착을 알리는 장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신부(59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590)는 상기 전자장치(500)에 상기 터치 펜(600)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터치 펜(600)의 제2 통신부(6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부(590)는 상기 터치 펜(600)의 제2 통신부(620)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600)은 버튼 부(610)와 제2 통신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610)는 상기 도 2a의 터치 펜(200)의 버튼 부(210)와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 통신부(620)는 상기 터치 펜(600)이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장치(500)의 제1 통신부(590)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620)는 상기 버튼 부(6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 부(610)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전자장치(500)의 제1 통신부(59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6b에서는 전자장치(100)와, 자체적으로 터치 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는 터치 펜(200)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장치(100)는 RF부(523), 데이터처리부(520), 오디오 처리부(525), 키 입력부(527), 메모리(530), 제어부(510), 카메라부(540), 영상처리부(550), 표시부(560), 전원 공급부(570), 터치 펜 감지부(580) 및 제1 통신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부(523), 상기 데이터처리부(520), 상기 오디오 처리부(525), 상기 키 입력부(527), 상기 메모리(530), 상기 카메라부(540), 상기 영상처리부(550), 상기 표시부(560), 상기 터치 펜 감지부(580) 및 상기 제1 통신부(590)는 도 6a의 전자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510)는 전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5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500)에 상기 터치 펜(600)이 장착되면 상기 터치 펜(600)에 구비된 버튼 부(610)를 상기 전자장치(500)의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는 터치 펜(600)의 제2 통신부(620)와 통신이 연결되는 제1 통신부(590)를 통해 상기 터치 펜(600)의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570)는 상기 전자장치(500)의 구성 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600)은 버튼 부(610), 제2 통신부(620) 및 전원공급 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610) 및 상기 제2 통신부(620)는 상기 도 6a의 터치 펜(600)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부(630)는 상기 터치 펜(200)에 구비되어, 상기 터치 펜(200)와 연결될 충전기를 통해 전원이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된 전원을 상기 터치 펜(600)의 상기 버튼 부(610)에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610)는 도3a 도 3b와 같은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펜(600)의 전원공급 부(630)는 VCC를 통해 상기 버튼 부(6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부(630)는 상기 터치 펜(600)의 장착 또는 탈착과 상관없이 상기 버튼 부(6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공급 부(630)는 상기 터치 펜(600)이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500)의 제어부(510)의 제어 하에 상기 버튼 부(6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도 6a - 상기 도 6b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장치 및 터치 펜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에서 터치 펜의 버튼 부를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사용하는 동작을 도 7을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장치에서 터치 펜의 버튼 부를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사용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며, 전자장치(500)에 터치 펜(600)이 장착되면, 상기 터치 펜 감지 부(580)는 이를 감지하고, 터치 펜(600)의 장착을 알리는 장착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5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 감지 부(580)로부터 상기 장착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701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자장치(500)에 상기 터치 펜(60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
7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된 터치 펜(600)의 전원공급 부에 대한 구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부가 구비된 터치 펜(600)이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전자장치(500)의 터치 펜 감지부(580)는 상기 터치 펜(600)의 전원공급전원부터 특정 전원 값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럼으로 상기 터치 펜 감지부(580)는 상기 전원공급 부가 구비되지 않은 터치 펜(600)의 장착 때와는 상이한 장착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5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7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된 터치 펜(600)이 상기 도 6a와 같이 전원공급 부가 구비되지 않은 터치 펜(600)임을 알리는 제1 장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705동작에서 상기 전원공급 부(570)를 통해 상기 터치 펜(600)의 버튼 부(610) 및 상기 제2 통신부(6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707동작에서 상기 터치 펜(600)으로부터 버튼 입력신호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703동작에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전자장치(500)에 장착된 터치 펜(600)이 상기 도 6b와 같이, 전원공급 부가 구비되어 상기 터치 펜(200) 자체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터치 펜(600)임을 알리는 제2 장착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707동작에서 상기 터치 펜(600)으로부터 버튼 입력신호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500)에 상기 터치 펜(600)이 장착되면, 상기 제어부(510)는 제1 통신부(590)를 활성화 시켜서 상기 제1 통신부(590)가 상기 터치 펜(600)의 제2 통신부(320)와 통신이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500)에 상기 터치 펜(6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 펜(600)의 버튼 부(610)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버튼 부(610)에서는 버튼 입력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버튼 입력신호는 상기 제2 통신부(620)를 통해 상기 제1 통신부(59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펜(600)의 제2 통신부(620)로부터 상기 버튼 입력신호를 수신한 상기 전자장치(500)의 제1 통신부(590)는 상기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707동작에서 상기 제1 통신부(590)로부터 상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709동작에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전자장치(500)의 현재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710동작에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메모리(330)에서 상기 전자장치(500)의 현재모드에 미리 설정된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검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710 동작에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검출된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입력장치의 장착을 감지하는 입력장치 감지부와,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전자장치에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입력장치에 구비된 버튼 부를 상기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기 입력장치의 송신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송신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에게 전송하는 수신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기 입력장치의 제2 통신부와 통신이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에게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기 입력장치가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고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장치가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부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단자를 포함할 때, 상기 입력장치가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부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제1 통신부를 포함할 때, 상기 입력장치가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부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 부 및 제2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모드에 미리 설정된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며,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8.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전자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설정되어 사용되는 버튼 부와,
    상기 버튼 부에서 수신되는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전자장치에게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입력장치가 노출되는 단부에 구비되는 입력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장치의 수신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 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전자장치의 수신단자에게 전송하는 송신단자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장치의 제1 통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버튼 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버튼 입력신호를 상기 전자장치의 제1 통신부에게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송신단자를 포함할 때, 상기 입력장치가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상기 입력장치의 전원공급 부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 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입력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제2 통신부를 포함할 때, 상기 입력장치가 전원공급 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상기 입력장치의 전원공급 부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 부 및 상기 제2 통신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입력장치.
  14.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 입력장치의 장착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장치에 구비된 버튼 부를 상기 전자장치의 버튼으로 설정하는 동작과,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에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수신단자와 상기 입력장치의 송신단자가 연결되는 동작과,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부가 입력되면, 버튼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동작과,
    상기 버튼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장치의 수신단자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의 송신단자로 전송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에 입력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제1 통신부와 상기 입력장치의 제2 통신부가 연결되는 동작과,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부가 입력되면, 버튼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동작과,
    상기 버튼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장치의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의 제1 통신부로 전송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입력장치의 버튼 부 및 상기 제2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버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모드를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장치의 현재모드에 미리 설정된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는 동작과,
    상기 버튼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방법
KR1020140021186A 2014-02-24 2014-02-24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27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186A KR102279396B1 (ko) 2014-02-24 2014-02-24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US14/628,671 US9696824B2 (en) 2014-02-24 2015-02-23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input device
EP15156103.2A EP2911037B1 (en) 2014-02-24 2015-02-23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186A KR102279396B1 (ko) 2014-02-24 2014-02-24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971A true KR20150099971A (ko) 2015-09-02
KR102279396B1 KR102279396B1 (ko) 2021-07-21

Family

ID=5269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186A KR102279396B1 (ko) 2014-02-24 2014-02-24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96824B2 (ko)
EP (1) EP2911037B1 (ko)
KR (1) KR102279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3268B2 (en) * 2020-12-04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thereof
US11630489B2 (en) * 2021-08-25 2023-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with stylus reten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7775A (ja) * 1998-05-20 1999-11-30 Nec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40042923A (ko) * 2002-11-14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보조 디바이스 구동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7121A (en) * 1989-11-20 1994-02-15 Louis William M Integrating graphics input device
JPH0863437A (ja) * 1994-08-23 199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情報端末機
KR20000074397A (ko) * 1999-05-20 2000-12-15 윤종용 스타일러스의 결합 분리로 전원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20030231168A1 (en) * 2002-06-18 2003-12-18 Jory Bell Component for use as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pointing device in a modular computing system
US20040100457A1 (en) * 2002-11-21 2004-05-27 Mandle Thomas C.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power and loading and closing applications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ing a removable pointing device
US7138977B2 (en) * 2003-01-15 2006-11-21 Motorola, Inc. Proportional force input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0548610B1 (ko) 2003-02-14 2006-01-31 주식회사 팬택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US7102626B2 (en) * 2003-04-25 2006-09-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function pointing device
US7356769B2 (en) * 2003-10-07 2008-04-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s to a communication or computing device
US20060044288A1 (en) * 2004-06-18 2006-03-02 Hiroshi Nakamura Multi-functional electronic device utilizing a stylus pen
US8988357B2 (en) * 2006-08-10 2015-03-24 Sony Corporation Stylus activated display/key-lock
US7825914B2 (en) * 2007-03-20 2010-11-02 Giga-Byte Communications, Inc. Trigger opera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63766B1 (ko) * 2007-12-10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 입력 장치
US8280461B2 (en) * 2009-03-25 2012-10-02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unction button operable by a stylus or similar device
TW201142663A (en) * 2010-05-24 2011-12-01 Unihan Corp Touch pen and electronic apparatus
CN202838218U (zh) 2012-09-10 2013-03-27 李攸兴 实用鼠标笔
US9013455B2 (en) * 2012-09-18 2015-04-21 Blackberry Limited Rechargeable active pen and electronic device with corresponding charging dock
US8890855B1 (en) * 2013-04-04 2014-11-1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2241994B1 (ko) * 2013-04-18 2021-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을 이용한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203232384U (zh) 2013-04-22 2013-10-09 陕西理工学院 一种新型鼠标笔
KR20160023163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펜에 의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7775A (ja) * 1998-05-20 1999-11-30 Nec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040042923A (ko) * 2002-11-14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보조 디바이스 구동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396B1 (ko) 2021-07-21
US20150241992A1 (en) 2015-08-27
EP2911037B1 (en) 2017-09-13
US9696824B2 (en) 2017-07-04
EP2911037A1 (en)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204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통신연결방법
US2015009584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electronic device
EP32624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images from a lock screen
KR102229006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26520B1 (ko) 광고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82824A (ko)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US942660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pairing in electronic apparatus
KR102482324B1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6001792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표시 제어 방법
US201700832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102157858B1 (ko)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156917B2 (en) Inpu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60338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문자인식 방법
KR20150029254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KR102279396B1 (ko) 전자장치, 입력장치 및 입력장치를 이용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060275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데이터서비스 제공방법
US20150285976A1 (en)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04327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ing of electronic device
EP2856765B1 (en) Method and home device for outputting response to user input
KR20140113314A (ko) 전자 장치에서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73611B2 (en)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2677355U (zh) 一种操作可遥控式的电子白板
CN202677354U (zh) 一种可监控式的电子白板
KR20140086141A (ko)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