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833A - Fusion splicing work table - Google Patents

Fusion splicing work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833A
KR20150099833A KR1020157019896A KR20157019896A KR20150099833A KR 20150099833 A KR20150099833 A KR 20150099833A KR 1020157019896 A KR1020157019896 A KR 1020157019896A KR 20157019896 A KR20157019896 A KR 20157019896A KR 20150099833 A KR20150099833 A KR 20150099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usion splicing
base portion
strap
shoulder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0004B1 (en
Inventor
요시유키 니시자와
히로야스 도요오카
히로유키 소토메
유타카 이토
Original Assignee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0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융착 접속 작업대(1)는, 융착기 본체(5)를 탑재하고,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대이며, 융착기 본체(5)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부(10)와, 브래킷부(10)를 탑재하는 탑재부(21)와 작업자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지부(22)를 갖고, 융착 접속을 실행할 때 탑재부(21)와 지지부(22)가 L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부(20)를 구비한다. 브래킷부(10) 및 베이스부(20) 중 어느 한쪽은, 작업자의 목에 주회 되는 목 스트랩(3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2a)를 갖고, 브래킷부(10)는,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1 is a workbench for mounting the fusion splitter body 5 and performing fusion splicing of optical fibers and includes a bracket portion 10 for fixing the fusion splitter body 5, And a support portion 22 supported by a worker and having a base portion 20 having an L-shaped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1 and the support portion 22 when performing fusion splicing. Either the bracket portion 10 or the base portion 20 has an engaging portion 22a for engaging the neck strap 30 to be carried around the neck of the worker and the bracket portion 10 has the base portion 20 Of the mounting portion 21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융착 접속 작업대{FUSION SPLICING WORK TABLE}{FUSION SPLICING WORK TABLE}

본 발명은 융착기 본체를 탑재하고,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bench for mounting a fusing device main body and performing fusion splicing of an optical fiber.

FTTH의 보급에 따라서,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하기 위한 소형의 융착기를 탑재한 상태로 운반이 가능하여, 작업 환경을 가리지 않는 융착 접속 작업대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및 2에는, 이러한 종류의 융착 접속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A fusion splicing workbench capable of carrying a small fusion splicer for performing fusion splicing of an optical fiber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 of FTTH and capable of carrying the fiber bundle is known. 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 fusion splicing workbench of this kind.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융착 접속 작업대는, 작업자의 복부에 의해 지지되는 기재(2), 기재(2)로부터 앵글(3)을 거쳐서 작업자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융착 접속기 탑재용 고정구(4), 기재(2)로부터 작업자의 허리에 둘러지는 것에 의해서, 기재(2), 앵글(3) 및 고정구(4)를 지지하기 위한 작업 벨트(6), 및 기재(2)로부터 작업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것에 의해서, 기재(2), 앵글(3) 및 고정구(4)를 지지하는 매달림 벨트(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융착 접속 작업대에 의하면, 작업자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융착 접속기를 탑재한 상태로 운반이 가능하며, 또한 작업자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로, 융착 접속기에 의한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할 수 있다.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base material 2 supported by the operator's abdomen, a fusion connector attachment fixture 4 extending from the base material 2 through the angle 3 to the front of the operator, The work belt 6 for supporting the base material 2, the angle 3 and the fixture 4 by being wrapped around the waist of the worker from the work 2 A base 2, an angle 3 and a hanging belt 8 for supporting the fastener 4. According to such a fusion splicing workbench, since it is supported by the operator, it can be carried with the fusion splicer mounted thereon, and fusion splicing of the optical fiber by the fusion splicer can be carried out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operator.

또한, 이러한 융착 접속 작업대에 의하면, 고정구(4)에 대하여 융착 접속기가 예를 들어 90도, 180도로 회전 가능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으로의 대응성이 배려되고 있다. 또한, 이 융착 접속 작업대에 의하면, 앵글(3)과 고정구(4) 사이에 마련된 힌지(5)에 의해서 절첩 가능하여, 운반의 안전성이 배려되고 있다.Further, according to such a fusion splicing workbench, the fusion splicer can be rotated 90 degrees or 180 degrees,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fastener 4, so that the response to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is considered. Further, according to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the hinge can be folded by the hinge 5 provided between the angle 3 and the fastener 4, so that safety of transportation is considered.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융착 접속 작업대는, 융착 접속기를 수납하는 본체부(3)와 덮개부(6)로 이루어지는 작업 상자(1)와, 작업 상자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19)와, 작업자의 목에 걸치는 것에 의해서 작업 상자를 지지하기 위한 목걸이 벨트(2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융착 접속 작업대에 의하면, 덮개부(6)를 폐쇄하면, 손잡이(19)에 의해서, 융착 접속기를 탑재한 상태로 운반이 가능하며, 또한 덮개부(6)를 개방하면, 목걸이 벨트(21)에 의해서, 작업자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융착 접속기에 의한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할 수 있다.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work box 1 composed of a body portion 3 for housing a fusion splicer and a lid portion 6, a handle 19 for carrying a work box, And a necklace belt (21) for supporting the work box. When the lid part 6 is closed, the necklace belt 21 can be transported with the fingers 19 mounted thereon, and the lid part 6 is opened, It is possible to perform fusion splicing of the optical fiber by the fusion splicer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operator.

일본 특허 제 4413870 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413870 일본 특허 공개 제 2006-201305 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201305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융착 접속 작업대에서는, 융착기 본체를 작업대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융착 접속의 포인트 근방까지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실제의 작업 환경에서는, 작업자가 융착 접속의 포인트 근방까지 접근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In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since the fusion splicer body is fixed to the workbench,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approach the vicinity of the fusion splicing point. However, in an actual working environment, it has sometimes been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approach the vicinity of the point of fusion splicing.

그래서, 본 발명은 융착 접속의 포인트와 작업자의 거리가 종래에 비하여 커도, 융착 접속이 가능한 융착 접속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sion splicing workbench capable of fusion splicing even if the points of fusion splicing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user are large.

본 발명은, 그 일 측면으로서, 융착 접속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융착 접속 작업대는, 융착기 본체를 탑재하고,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대로서, 융착기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부와, 브래킷부를 탑재하는 탑재부와 작업자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지부를 갖고, 융착 접속을 실행할 때에 탑재부와 지지부가 L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부를 구비한다. 브래킷부 및 베이스부 중 어느 한쪽은, 작업자의 목에 주회(周回)되는 목 스트랩, 또는 작업자의 어깨에 주회되는 어깨 스트랩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갖는다. 브래킷부는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탑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As one aspect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ion splicing workbench.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includes a bracket portion for fixing the fusion-splicing body,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bracket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operator, And has a mounting portion and a base portion having an L shape when the connection is performed. Either the bracket portion or the base portion has a neck strap around the neck of the worker or a joining portion for engaging a shoulder strap around the shoulder of the worker. The bracket portion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in the base por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융착 접속의 포인트와 작업자의 거리가 종래에 비하여 커도, 융착 접속이 가능한 융착 접속 작업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sion splicing workbench capable of fusion splicing even when the point of fusion splicing connection and the distance of the operator are larg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옆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뒤에서 본 배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탑재부를 일부 확대하여 아래에서 본 저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브래킷부 및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탑재부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브래킷부 및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탑재부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장척 형상의 구멍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위에서 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옆에서 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뒤에 본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의 스트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의 스트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의 스트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의 브래킷부로서, 융착기 본체 탑재시의 브래킷부를 옆에서 본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브래킷부로서, 융착기 본체 비탑재시의 브래킷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로서, 도 14에 도시하는 브래킷부 및 융착기 본체 탑재시의 융착 접속 작업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융착 접속 작업대로서, 융착기 본체 비탑재시의 브래킷부를 탑재한 상태로 수용할 때의 융착 접속 작업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1 is a plan view of a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shown in Figs. 1 to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4, and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mounting portion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4, and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n the base por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long hole shown in Fig. 4,
8 is a plan view of a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of a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rear view of a fusing and connecting workbench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p of a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p of a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p of a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portion of the fusion splicing device when the fusion splicer body is mounted,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portion shown in Fig. 14 showing the bracket portion when the fusing device main body is not mounte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fusion splicing workbench shown in Fig. 14,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sion splicing workbench when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shown in FIG. 16 is received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portion is mounted when the fusion splicer body is not mounted;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처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내용을 나열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ont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sted and described.

본 발명은, 그 일 측면으로서, 융착 접속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융착 접속 작업대는, 융착기 본체를 탑재하고,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대로서, 융착기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부와, 브래킷부를 탑재하는 탑재부와 작업자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지부를 갖고, 융착 접속을 실행할 때에 탑재부와 지지부가 L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부를 구비한다. 브래킷부 및 베이스부 중 어느 한쪽은, 작업자의 목에 주회되는 목 스트랩, 또는 작업자의 어깨에 주회되는 어깨 스트랩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갖는다. 브래킷부는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탑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As one aspect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ion splicing workbench.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includes a bracket portion for fixing the fusion-splicing body,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bracket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operator, And has a mounting portion and a base portion having an L shape when the connection is performed. Either the bracket portion or the base portion has a neck strap wrapped around the neck of a worker or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a shoulder strap wrapped around the shoulder of an operator. The bracket portion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in the base portion.

이러한 융착 접속 작업대에 의하면, 브래킷부가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탑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브래킷부에 고정되는 융착기 본체를,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지지부를 지지하는 작업자에 대하여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융착 접속의 포인트와 작업자의 거리가 종래에 비하여 커도, 융착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fusion splicing workbench, since the bracket portion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ount portion in the base portion, the welder main body fixed to the bracket portion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operator who supports the support portion in the base portion. Therefor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of fusion splicing and the distance of the operator is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one, fusion splicing becomes possible.

상기한 베이스부는 융착 접속을 실행하지 않을 때에 절첩 가능한 형태라도 좋다.The above-described base portion may be a form that can be folded when the fusion splicing is not performed.

또한, 상기한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탑재부 및 브래킷부 중 어느 한쪽은 장척 형상의 구멍을 갖고,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탑재부와 브래킷부는 장척 형상의 구멍에 끼워지는 단차 나사에 의해서 결합하는 형태라도 좋다.Either on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may have a long hole and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a stepped screw that is fitted in a long hol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차 나사가 장척 형상의 구멍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브래킷부가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탑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bracket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mounting portion in the base portion by moving the long hole of the stepped screw.

또한, 상기한 융착 접속 작업대는 어깨 스트랩을 더 갖고, 어깨 스트랩은 작업자의 좌우의 어깨 각각에 대응하는 좌측 어깨용 스트랩과 우측 어깨용 스트랩을 포함하며, 좌측 어깨용 스트랩 및 우측 어깨용 스트랩은, 작업자의 등부(背部)에서 교차하도록, 작업자의 좌측 어깨, 우측 어깨를 각각 주회하고, 좌측 어깨용 스트랩의 일단은, 베이스부의 좌상부(左上部)에 위치하는 결합부 중 좌상 결합부로서, 작업자의 좌측 어깨측에 위치하는 상기 좌상 결합부에 결합하고, 좌측 어깨용 스트랩의 타단은, 베이스부의 우하부(右下部) 또는 브래킷부의 우측부에 위치하는 결합부 중 우하 결합부로서, 작업자의 우측 겨드랑이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우하 결합부에 결합하고, 우측 어깨용 스트랩의 일단은, 베이스부의 우상부에 위치하는 결합부 중 우상 결합부로서, 작업자의 우측 어깨측에 위치하는 상기 우상 결합부에 결합하며, 우측 어깨용 스트랩의 타단은, 베이스부의 좌하부 또는 브래킷부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결합부 중 좌하 결합부로서, 작업자의 좌측 겨드랑이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좌하 결합부에 결합하는 형태라도 좋다.The shoulder strap includes a left shoulder strap and a right shoulder strap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of the worker. The left shoulder strap and the right shoulder strap include a shoulder strap, The left shoulder and the right shoulder of the worker are respectively turned around so as to intersect at the back of the worker. One end of the left shoulder strap is an upper left engaging part of the engaging part located at the upper left part of the base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left shoulder strap is a lower right engaging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located at the right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right lower portion) or the bracket portion, and the right lower engaging portion of the left shoulder strap And one end of the right shoulder strap is connected to the right-hand lower engaging portion located at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right shoulder strap is a lower left engaging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located at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or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bracket portion, And may be coupled to the left lower coupling portion located at the lower left coupling por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의 좌상부와 베이스부의 우하부 또는 브래킷부의 우측부가 서로 당겨맞춰지고, 또한, 베이스부의 우상부와 베이스부의 좌하부 또는 브래킷부의 좌측부가 서로 당겨맞춰지므로, 융착 접속 작업대의 종방향 흔들림 및 횡방향 흔들림, 수직축에 대한 회전 흔들림, 수평축에 대한 회전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or the right side portion of the bracket portion are pull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left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or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bracket portion are pull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rectional shake and the lateral shake, the rotational shak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and the rotational shak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또한, 상기한 브래킷부 및 베이스부 중 어느 한쪽은 어깨 스트랩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갖고, 브래킷부 및 베이스부 중 어느 한쪽은 작업자의 몸통에 주회되는 몸통 스트랩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갖는 형태라도 좋다.Either one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may have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shoulder strap and either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may have a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a torso strap running around the torso of the worker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지지부 및 어깨 스트랩에 부가하여 몸통 스트랩에 의해서, 융착 접속 작업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융착 접속 작업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can be supported by the body strap in addition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houlder strap in the base portion, the stability of the fusion splicing operation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한 브래킷부 및 베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자성체 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라도 좋다.At least one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may include a magnetic body portion.

광 파이버를 보지하는 파이버 홀더는 하면에 자석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융착 작업 중에, 광 파이버를 임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fiber holder for holding the optical fiber may have a magnet on the bottom surface.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temporarily arrange the optical fibers during the fusion welding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등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지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 fusion splicing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equival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but is represented by the claims, and is intende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meaning and scope equivalent to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옆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를 뒤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융착 접속 작업대(1)는, 브래킷부(10)와, 베이스부(20)와, 목 스트랩(30)과, 몸통 스트랩(40)과, 결합 부재(50)를 구비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 작업대(1)와 함께 융착기 본체(5)도 기재되어 있다.2 is a side view of a fusing and connecting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fusing and connecting workben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is a rear view of the connection workbench from behind.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1 shown in Figs. 1 to 3 includes a bracket portion 10, a base portion 20, a neck strap 30, a trunk strap 40, and a coupling member 50 Respectively. 1 to 3 also describe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together with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브래킷부(10)는 융착기 본체(5)를 베이스부(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브래킷부(10)에 있어서의 저면부(11)는 완충재(60)를 개재하여 융착기 본체(5)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 저면부(11)에 있어서의 전방측 가장자리, 좌우 횡측 가장자리, 및 후방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되접힘부(12, 13, 14)가 형성되어 있다.The bracket portion 10 is for fixing the fuser main body 5 to the base portion 20. The bottom face portion 11 of the bracket portion 10 supports the bottom face of the fusing device body 5 via the cushioning material 60. [ The front side edge, left side, right side edge, and rear side edge of the bottom face portion 11 are provided with folded back portions 12, 13, and 14, respectively.

되접힘부(12)는, 저면부(11)에 있어서의 전방측 가장자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되접힌 부분(12a)과, 부분(12a)으로부터 저면부(11)의 일부와 대향하도록 되접힌 부분(12b)을 갖는다. 즉, 부분(12a)은 저면부(11)에 있어서의 전방측 가장자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중앙부로부터 융착기 본체(5)의 전면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중앙부를 따라서 연장되며, 부분(12b)은 부분(12a)으로부터 융착기 본체(5)의 상면의 전면측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되접힘부(12)는 완충재(60)를 개재하여 융착기 본체(5)의 전면 및 상면의 전면측의 일부를 지지한다.The folded back portion 12 has a folded portion 12a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ccupying about one third of the front side edge of the bottom face portion 11 and a folded portion 12b extending from the portion 12a toward the bottom face 11 And a folded portion 12b facing the portion. That is, the portion 12a extends from the central portion occupying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front side edge of the bottom face portion 11 to the center portion occupying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front face of the fuser body 5, (12b) extends from the portion (12a) to cover a part of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user body (5). The folded back portion 12 supports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user body 5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user body 5 via the cushioning material 60.

또한, 되접힘부(13)는, 저면부(11)에 있어서의 횡측 가장자리의 약 5분의 3을 차지하는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되접혀져 있으며, 완충재(60)를 개재하여 융착기 본체(5)의 측면을 지지한다.The folded back portion 13 is folded back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ccupying about three-fifths of the lateral edges of the bottom face portion 11 and is folded upwardly along the side face of the fuser body 5 Lt; / RTI >

또한, 되접힘부(14)는, 저면부(11)에 있어서의 후방측 가장자리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는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되접혀져 있다. 되접힘부(14)의 상부에는 나사(14a)가 마련되어 있으며, 나사(14a)의 선단은 완충재(60)를 개재하여 융착기 본체(5)의 후면을 지지한다.The folded back portion 14 is folded back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ccupying about one-fifth of the rear edge of the bottom portion 11. A screw 14a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turn folded portion 14 and the front end of the screw 14a supports the rear face of the fusing device body 5 via the buffer material 60. [

이들 되접힘부(12, 13, 14)에 의해서, 융착기 본체(5)가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융착기 본체(5)의 전면을 되접힘부(12)에 걸면서, 융착기 본체(5)를 저면부(11)에 탑재하고, 되접힘부(14)의 나사(14a)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브래킷부(10)에 융착기 본체(5)가 고정된다. 또한, 나사(14a)로서는, 단차 나사 등을 이용하여, 이송량을 제한해도 좋다(과체결 방지).By the folded back portions 12, 13 and 14, the fuser main body 5 is fixed. More specifically,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is mounted on the bottom face portion 11 while the front face of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is hooked on the folded portion 12, and the screw 14a of the folded back portion 14 is fastened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is fixed to the bracket portion 10. As the screw 14a,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tepped screw or the like to restrict the amount of conveyance (prevention of over-tightening).

이러한 브래킷부(10)는 베이스부(20)에 탑재된다. 베이스부(20)는 탑재부(21)와, 지지부(22)와, 힌지(23)를 갖는다.The bracket portion 10 is mounted on the base portion 20. The base portion 20 has a mounting portion 21, a support portion 22, and a hinge 23.

탑재부(21)는 브래킷부(10)를 탑재하고,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대략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탑재부(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부(10)를 착탈 가능하고, 또한 탑재 상태에서 브래킷부(10)를 전후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그 때문에, 탑재부(21)의 전후 방향(X)의 길이는 브래킷부(10)의 전후 방향(X)의 길이, 즉 융착기 본체(5)의 전후 방향(X)의 길이보다 길다.The mounting portion 21 is a portion for mounting and fixing the bracket portion 10,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The mount portion 21 is detachably mountable to the bracket portion 10 as described later and fixes the bracket portion 10 movab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in the mounted state. The length of the mounting portion 2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racket portion 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fuser main body 5.

또한, 탑재부(21)는 횡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되접힌 되접힘부(21a)를 갖는다. 이러한 되접힘부(21a)는, 브래킷부(10)를 전후 방향(X)으로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하며, 브래킷부(10)의 횡방향 어긋남이나 회전을 방지한다.Further, the mounting portion 21 has a folded back portion 21a which is folded upward from the transverse edge. The folded back portion 21a functions as a guide for moving the bracket portion 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and prevents lateral displacement and rotation of the bracket portion 10. [

지지부(22)는 작업자에 의해서 지지되기 위한 부분으로서, 대략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지지부(22)는 상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에 구멍(결합부)(22a)을 갖고, 구멍(22a)에는,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이 결합된다.The support portion 22 is a portion to be supported by an operator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The support portion 22 has a hole (engagement portion) 22a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upper end portion and a neck strap 30 and a body strap 40 are coupled to the hole 22a.

목 스트랩(30)은, 작업자의 목에 주회되는 것에 의해, 융착 접속 작업대(1)를 매달아올려 지지하는 것이다. 몸통 스트랩(40)은, 작업자의 몸통에 주회되는 것에 의해, 융착 접속 작업대(1)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몸통 스트랩(40)은 반드시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몸통 스트랩(40)은 후크 등의 착탈 가능한 결합 부재를 거쳐서 결합된다. 한편, 목 스트랩(30)은 링 등의 착탈 불가능한 결합 부재를 거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은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서, 그 길이를 조정 가능해도 좋다.The neck strap 30 is held on the neck of the worker to suspend and support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1. The body strap 40 supports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1 by being pivoted around the body of the worker. Further, the body strap 40 is not necessarily provided. For this reason, for example, the body strap 40 is joined via a detachable coupling member such as a hook.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neck strap 30 is coupled via a non-removable joining member such as a ring. The neck straps 30 and the body straps 40 may be adjustable in length depending on the worker's physique.

본 실시형태에서는,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은 지지부(22)에 있어서의 동일한 구멍(22a)에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목 스트랩(30)의 지점(支點)과 몸통 스트랩(40)의 지점을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융착 작업대의 종방향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are coupled to the same hole 22a in the support portion 22. [ As a result, the fulcrum of the neck strap 30 and the position of the body strap 40 can be made the same, and longitudinal shaking of the fusing workbench can be suppressed.

이들 탑재부(21)와 지지부(22)는 힌지(23)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융착 접속 작업시에는, 베이스부(2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고정되어, 작업자에 지지된 상태로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미작업시에는, 베이스부(20)는 융착기 본체(5) 및 브래킷부(10)를 탑재한 상태로, 대략 V자 형상으로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융착기 본체(5) 및 브래킷부(10)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베이스부(20)를 대략 I자 형상으로 둘로 접을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21 and the support portion 2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23. Thus, at the time of fusion splicing operation, the base portion 20 is fixed in a substantially L-shaped configuration,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work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operator.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not working, the base portion 20 can be folded in a substantially V-shape with the fuser body 5 and the bracket portion 10 mounted thereon. 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and the bracket portion 10 are separated, the base portion 20 can be folded in two in a substantially I-shape.

힌지(23)로서는, 프리스톱 힌지(free stop hinge)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베이스부(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의 자유도가 보다 증대된다.As the hinge 23, a free stop hinge may be used. According to this, the angle of the base portion 20 can be adjusted,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operation is further increased.

다음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브래킷부(10)를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를 일부 확대하여 아래에서 본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브래킷부(10) 및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브래킷부(10) 및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Next, a structure for fixing the bracket portion 10 to the mount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partially enlarged and viewed from the bottom.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4 and shows the bracket portion 10 and the base portion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4 and shows a mounting portion 21 in the bracket portion 10 and the base portion 20, (21).

브래킷부(10)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는 단차 나사(51)와, 너트(52)와, 와셔(53)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50)에 의해서 결합된다.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bracket portion 10 and the base portion 20 is engaged by the engaging member 50 comprising the stepped screw 51, the nut 52 and the washer 53. [

구체적으로는, 브래킷부(10)의 저면부(11)는 대략 중앙부에 구멍(11a)을 갖는다. 한편, 베이스부(20)의 탑재부(21)는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는 장척 형상의 구멍(21b)을 갖는다. 이러한 구멍(21b)에 단차 나사(51)가 보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20)에 대하여 나사(51)의 헤드와 반대측에 와셔(5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이 구멍(21b)에 단차 나사(51)가 보지된다. 브래킷부(10)와 베이스부(20)는, 이 단차 나사(51)가 구멍(11a)에 삽입되어 너트(52)에 의해서 결합된다. 또한, 와셔(53)는 브래킷부(10)와 베이스부(20) 사이에 개재되게 된다. 와셔(53)는 나사(51)와 탑재부(21) 사이에 있어도 좋다.Specifically, the bottom face portion 11 of the bracket portion 10 has a hole 11a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thereof.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has an elongated hole 21b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A stepped screw 51 is held in this hole 21b. Specifically, by providing the washer 53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ead of the screw 51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20, the stepped screw 51 is held in the hole 21b. The stepped screw 51 is inserted into the hole 11a of the bracket portion 10 and the base portion 20 and is engaged by the nut 52. Further, the washer 53 is interpos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10 and the base portion 20. The washer 5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crew 51 and the mounting portion 21. [

이것에 의해, 구멍(11a)을 통하여 브래킷부(10)에 결합된 단차 나사(51)는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의 장척 형상의 구멍(21b)을 이동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브래킷부(10)는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차 나사(51) 및 너트(52)에 의해서, 브래킷부(10)는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된다.The stepped screw 51 coupled to the bracket portion 10 through the hole 11a can move through the elongated hole 21b of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As a result, the bracket portion 10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 The stepped screw 51 and the nut 52 enable the bracket part 10 to be detachable from the mounting part 21 of the base part 20. [

또한, 브래킷부(10)로서는 경량인 재료가 이용되고, 베이스부(20)로서는 기계 강도가 강하고, 보다 인체에 피팅되는 재료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작업대 전체를 최적인 중량으로 하는 동시에, 작업대의 중심을 작업자측에 대하여 관성 모멘트를 작게 억제할 수 있어, 융착 접속 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 lightweight material is used for the bracket portion 10 and a material that has strong mechanical strength and is more fitting to the human body is used as the base portion 20.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entire working table can be made to have the optimum weight, and the center of the work table can be suppressed to a small inertia moment with respect to the worker side,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fusion splicing operation.

또한, 베이스부(20)로서 자성체 재료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광 파이버를 보지하는 파이버 홀더의 하면에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융착 접속 작업 중에, 광 파이버를 임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a magnetic material may be used as the base portion 20. As a result, when the magnets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ber holder for holding the optical fibers,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optical fibers temporarily during the fusion splicing operation.

또한, 탑재부(21)와 브래킷부(10) 사이에는, 미끄럼운동재(70)가 개재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미끄럼운동재(70)로서는, 전후 방향(X)으로의 이동의 용이함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마찰 계수가 낮은 재질을 이용해도 좋고, 안전성 확보를 중시하여 부주의하게 미끄럼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을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미끄럼운동재(70)는 브래킷부(10)측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브래킷부(10)의 저면의 쿠션성을 높여서, 브래킷부(10)를 베이스부(20)에 장착하지 않는 형태에서도, 융착기 본체(5)를 사용할 수 있다.Further, a sliding member 7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21 and the bracket portion 10. For example, when the ease of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is emphasized, a material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may be used as the sliding member 70. In order to prevent inadvertent sliding,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sliding member 70 is mounted on the bracket portion 10 side.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cushioning propert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racket portion 10 so that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can be used even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racket portion 10 is not mounted on the base portion 20.

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 작업대(1)에 의하면, 브래킷부(10)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브래킷부(10)에 고정되는 융착기 본체(5)를,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를 지지하는 작업자에 대하여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융착 접속의 포인트(예를 들면, 클로저(closure) 등)와 작업자의 거리가 종래에 비하여 커도, 융착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예를 들어 소형, 박형의 융착기에서 더욱더 발휘된다.Since the bracket portion 10 can be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mount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according to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5 can be spaced apart from an operator who supports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 Therefor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usion splicing point (for example, a closure or the like) and the operator is lar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fusion splicing becomes possible. This effect is further exerted, for example, in a small and thin fusion welding machine.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 작업대(1)에 의하면, 융착기 본체(5)를 브래킷부(10)에 고정하고, 베이스부(20)에 대한 결합 구조를 브래킷부(10)에 마련했으므로, 융착기 본체(5)에 장착(및 슬라이드)을 위한 기구(예를 들면, 나사 구멍)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결과, 융착기 본체(5)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작업대를 이용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소형·경량의 이점을 살려서 융착기 본체(5)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대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각각에 있어서, 최적의 사용 환경에서 융착기 본체(5)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using device body 5 is fixed to the bracket portion 10 and the coupling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20 is provided on the bracket portion 10,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mechanism (for example, a screw hole) for mounting (and sliding) in the main body 5.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main body 5 of the fusing device. For example,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workbench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use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by taking advantage of its small size and light weigh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se the fusing device body 5 in the optimum use environment in each of the case of using the workbench and the case of not using the workbench.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 작업대(1)에 의하면, 브래킷부(10)와 베이스부(20)가 분리 가능하므로, 융착기 본체(5)와 대략 동일한 작은 면적이 되도록 브래킷부(10)를 설계하는 것에 의해, 수용시, 브래킷부(10)를 장착한 상태로 융착기 본체(5)를 수용 케이스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20)는, 둘로 접어서 수용 케이스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시에는, 베이스부(20)를 L자 형상으로 개방하여 장착하고, 그 후, 융착기 본체(5)와 일체화된 브래킷부(10)를 결합 부재(50)에 의해서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bracket portion 10 and the base portion 2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bracket portion 10 can be designed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can be housed in the accommodating case with the bracket portion 10 mounted thereon. Further, the base portion 20 can be folded in two an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case.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bracket portion 10 integrated with the fusing device body 5 by the engaging member 50 after the base portion 20 is opened and mounted in an L shape at the time of use .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 작업대(1)에 의하면, 복수의 융착기 본체(5)를 사용하는 경우에, 융착기 본체(5) 각각에 대응한 브래킷부(10)를 복수 준비하여 각각 장착해 두는 것에 의해, 하나의 베이스부(20)에서 복수의 융착기 본체(5)를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fusion machine bodies 5 are used, a plurality of bracket parts 10 corresponding to each fusion machine body 5 are prepared and attached , It is possible to easily use a plurality of fusing unit bodies 5 in one base portion 20. [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 작업대(1)에 의하면, 단차 나사(51)가 베이스부(20)의 탑재부(21)의 구멍(21b)에 보지되므로, 베이스부(20)의 탑재부(21)에 대한 브래킷부(10)의 착탈, 이동이 용이해진다.Since the stepped screw 51 is held in the hole 21b of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according to the fusion bonding work tab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Detachment and movement of the bracket portion 10 with respect to the base 10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없이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척 형상의 구멍(21b)이 베이스부(20)측에 마련되었지만, 브래킷부(10)측에 마련되어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long hole 21b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20, but it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racket portion 10 as well.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부재(50)가 베이스부(20)측에 보지되었지만, 브래킷부(10)측에 보지되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에는, 장척 형상의 구멍(21b)을 대신하여, 장척 형상의 구멍(21b)의 한쪽이 개구된 형상의 홈이 마련되어도 좋고(도 7의 (a)), 장척 형상의 구멍(21b)의 한쪽이 단차 나사(51)의 헤드 직경보다 커진 형상의 장척 형상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도 7의 (b)).Although the engaging member 50 is held on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held on the bracket portion 10 side. In this case, in place of the elongated hole 21b,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one of the elongated holes 21b opened (Fig. 7 (FIG. 7 (a)) and a long hole having a shape in which one of the elongated holes 21b is larger than the head diameter of the stepped screw 51 (FIG. 7 (b)).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목 스트랩(30)과 몸통 스트랩(40)의 양쪽을 마련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목 스트랩(30)을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융착 접속 작업의 안정화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 스트랩(40)은 반드시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In this embodiment, both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are provided.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stabilization of the fusion splicing operation can be achieved by simply providing the neck strap 30, 8 to 10, the body strap 40 is not necessarily provided.

또한,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에 마련되는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을 위한 구멍(결합부)(22a)은 장척 형상의 구멍(슬릿)이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띠 형상의 목 스트랩(30) 또는 몸통 스트랩(40)은 후크나 링 등의 결합 부재를 거치지 않고,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장척 형상의 구멍(22a)에 직접 장착 가능하게 된다.The neck strap 30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and the hole (engagement portion) 22a for the body strap 40 may be elongated holes (slits). In this case, the neck strap 30 or the body strap 40 of the belt-like shape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22a of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engagement member such as a hook or a ring And can be mounted directly.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에는, 구멍(22a)을 대신하여,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을 위한 링 등의 결합 부재(21c)가 마련되어도 좋다.8 to 10, a ring 22a for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is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in place of the hole 22a. The engaging member 21c may be provid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이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에 장착되어도 좋다. 또한,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은 브래킷부(10)측에 장착되는 형태라도 좋다. 이와 같이, 융착 접속 작업의 안정성이 얻어지면 좋고,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의 장착 위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ar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However, as shown in Figs. 8 to 10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 Further,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may be mounted on the bracket portion 10 side. In this manner, it is sufficient that the fusion splicing operation is stable,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목 스트랩(30)의 지점과 몸통 스트랩(40)의 지점을 동일하게 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목 스트랩(30)의 지점과 몸통 스트랩(40)의 지점을 다르게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에는, 상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에 추가로 1개씩 구멍(결합부)(22a)이 마련되며, 목 스트랩(30)과 몸통 스트랩(40)이 상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에 있어서 각각의 구멍에 결합되면 좋다. 혹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에는, 하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에 추가로 1개씩 구멍(결합부)(22a)이 마련되며, 몸통 스트랩(40)은 하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의 구멍에 결합되면 좋다.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may be made the sam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point of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In this case, the supporting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is provided with one hole (coupling portion) 22a at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upper end portion thereof, and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And may be coupled to the respective hole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upper end.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is provided with one hole (coupling portion) 22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portion thereof, and the body strap 40 is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 of the lower end portion It is good to be connected to the hole.

이하에서는, 도 11의 (a) 및 도 11의 (b)을 참조하여, 이들 구성에 의한 이점을 비교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목 스트랩(30)의 지점과 몸통 스트랩(40)의 지점이 동일 위치인 경우(본 실시형태), 및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상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에 있어서 근접하는 경우, 작업자의 가슴 주위 부분이 안정되어, 융착 접속 작업대의 종방향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반면, 베이스부(20)의 하부, 즉 탑재부(21)의 횡방향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전후 방향(X)에 직교하는 Y축, 즉, 탑재부(21)의 주면에 직교하고, 지지부(22)의 주면을 따라서 좌우 대략 중앙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수직축)에 대한 회전 흔들림(도면 중 화살표 표시)을 억제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다. 또한, 전후 방향(X) 및 Y축에 직교하는 Z축, 즉, 탑재부(21)와 지지부(22)의 결합 라인을 따라서 연장되는 Z축(수평축)에 대한 회전 흔들림(도면 중 화살표 표시)을 억제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1 (a) and FIG. 11 (b), the advantages of these structures will be compared and explained.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point of the neck strap 30 and the point of the body strap 40 are the same position as shown in FIG. 11A and the support portion 22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rator's chest can be stabilized and the longitudinal shaking of the fusing and connecting workbench can be sup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0, that is, th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21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suppress lateral shaking. In this case, a Y-axis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X, that is, a Y-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surface of the mount 21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substantially the center at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main surface of the support 22 (Indicated by an arrow in the figur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Rotation fluctuations (indicated by arrows in the figure) with respect to the Z-axis perpendicular to the Y-axis, that is, the Z-axis (horizontal axis) extending along the joining line between the mount portion 21 and the support portion 22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suppress.

한편,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목 스트랩(30)의 지점과 몸통 스트랩(40)의 지점이 떨어져 있는 경우, 작업자의 허리 주위가 안정되어, 융착 접속 작업대의 회전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Y축 및 Z축에 대한 회전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경우, 융착 접속 작업대의 종방향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다. 예를 들면, 목 스트랩(30)의 지점과 몸통 스트랩(40)의 지점이 떨어져 있으므로, 앞으로 경사지기 전에 쓰러지기 쉽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int of the neck strap 30 and the point of the body strap 40 are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11 (b), the circumference of the waist of the operator is stabilized and the rotation of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is suppres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otation fluctuation with respect to the Y-axis and the Z-axis. However, in such a case,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suppress longitudinal shaking of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For example, since the point of the neck strap 30 and the point of the body strap 40 are apart, they tend to collapse before slanting forward.

그래서,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상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 및 하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몸통 스트랩(40)을 갖고 있어도 좋고,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상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으로부터 하단부의 좌우 겨드랑이측에 걸쳐서 결합되는 띠 형상의 몸통 스트랩(40)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의 몸통 주위 및 허리 주위가 안정되어, 융착 접속 작업대의 종방향 흔들림 및 회전 흔들림도 억제할 수 있어, Y축 및 Z축에 대한 회전 흔들림도 억제할 수 있다.Thus, as shown in Fig. 12 (a), two body straps 40,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2 in the base portion 20 and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lower end portion, Like body strap (not shown)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2 in the base portion 20 as shown in Fig. 12 (b) 4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se configurations, it is possible to stabilize the circumference of the operator's body and the periphery of the waist, and also to suppress longitudinal shaking and rotational shake of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and also to suppress the rotational shaking with respect to the Y axis and the Z axis.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목 스트랩(30) 및 몸통 스트랩(40)을 대신하여, 어깨 스트랩(80)이 이용되어도 좋다. 어깨 스트랩(80)은, 작업자의 좌우의 어깨 각각에 대응하는 좌측 어깨용 스트랩(81)과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을 포함하며, 좌측 어깨용 스트랩(81) 및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은, 작업자의 등부에서 교차하도록, 작업자의 좌측 어깨, 우측 어깨를 각각 주회하고 있다. 즉, 좌측 어깨용 스트랩(81)은 작업자의 좌측 어깨로부터 등을 지나 우측 옆구리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은 작업자의 우측 어깨로부터 등을 지나 좌측 옆구리까지 연장되어 있다(비스듬히 교차함).13, a shoulder strap 80 may be used in place of the neck strap 30 and the body strap 40. [0064] The shoulder strap 80 includes a left shoulder strap 81 and a right shoulder strap 8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of the operator and includes a left shoulder strap 81 and a right shoulder strap 82, The left shoulder and the right shoulder of the worker are respectively circulated so as to intersect at the back part of the worker. That is, the left shoulder strap 81 extends from the left shoulder of the operator through the back to the right side, and the right shoulder strap 82 extends from the right shoulder of the operator through the back to the left side box).

좌측 어깨용 스트랩(81)의 일단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상단부의 좌측 겨드랑이측에 위치하는 구멍(22a) 중 좌상측의 구멍으로서, 작업자의 좌측 어깨측에 위치하는 구멍에 결합하고 있으며, 좌측 어깨용 스트랩(81)의 타단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하단부의 우측 겨드랑이측에 위치하는 구멍(22a) 중 우하측의 구멍으로서, 작업자의 우측 겨드랑이 하방에 위치하는 구멍에 결합하고 있다.One end of the left shoulder strap 81 is an upper left hole of the hole 22a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and is located on the left shoulder side of the operator And the other end of the left shoulder strap 81 is a hole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hole 22a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And is coupled to a hole located below the right side of the operator.

한편,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의 일단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상단부의 우측 겨드랑이측에 위치하는 구멍(22a) 중 우상측의 구멍으로서, 작업자의 우측 어깨측에 위치하는 구멍에 결합하고 있으며,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의 타단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하단부의 좌측 어깨측에 위치하는 구멍(22a) 중 좌하측의 구멍으로서, 작업자의 좌측 겨드랑이 하방에 위치하는 구멍에 결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right shoulder strap 82 is a hole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hole 22a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of the right shoulder strap 82 is connected to the hole located at the left shoulder sid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And is engaged with a hole located below the left armpit of the operator.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의 좌상부와 베이스부의 우하부가 서로 당겨맞춰지고, 또한, 베이스부의 우상부와 베이스부의 좌하부가 서로 당겨맞춰지므로, 융착 접속 작업대의 종방향 흔들림 및 횡방향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Y축 및 Z축에 대한 회전 흔들림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re pulled together, and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re pulled to each other. Thus, longitudinal and lateral shak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suppress the rotation fluctuation with respect to the Y-axis and the Z-axis.

또한, 좌측 어깨용 스트랩(81)의 타단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하단부의 우측 겨드랑이측을 대신하여, 베이스부(20)의 하부에 위치하는 탑재부(21)의 우측 겨드랑이측, 또는 브래킷부(10)의 우측 겨드랑이측에 결합하고 있어도 좋으며, 또한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의 타단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하단부의 좌측 겨드랑이측을 대신하여, 베이스부(20)의 하부에 위치하는 탑재부(21)의 좌측 겨드랑이측, 또는 브래킷부(10)의 좌측 겨드랑이측에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좌측 어깨용 스트랩(81) 및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은 작업자의 등부에서 교차하지 않고, 작업자의 좌측 어깨, 우측 어깨를 각각 주회하고 있어도 좋다. 즉, 좌측 어깨용 스트랩(81)의 타단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하단부의 좌측 겨드랑이측에 결합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의 타단은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의 하단부의 우측 겨드랑이측에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The other end of the left shoulder strap 81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21 located below the base portion 20 in place of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 And the other end of the right shoulder strap 82 may be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It may be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21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0 or to the left side of the bracket portion 10 instead of the base portion 20. In addition, the left shoulder strap 81 and the right shoulder strap 82 may alternately run around the left shoulder and the right shoulder of the worker without crossing at the back of the worker. That is, the other end of the left shoulder strap 81 may be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of the right shoulder strap 82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20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2. [

또한, 좌측 어깨용 스트랩(81)과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은 교차부(83)에서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결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결합 부재를 이용해도 좋고, 접착이나 봉착(縫着)을 이용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좌측 어깨용 스트랩(81)과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에 의해 목을 주회하는 루프가 형성되므로, 융착 접속 작업대의 낙하를 방지하는 작용이 얻어진다.The left shoulder strap 81 and the right shoulder strap 82 may be joined at the intersection 83. As the bonding method, for example, a bonding member may be used, or bonding or sealing (sewing) may be used. According to this, since the loops around the neck are formed by the left shoulder strap 81 and the right shoulder strap 82, an action of preventing the falling of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is obtained.

또한, 좌측 어깨용 스트랩(81) 및 우측 어깨용 스트랩(82) 각각에는, 2분할을 위한 결합 부재(84)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결합 부재(84)로서는, 버클(buckle)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융착 접속 작업대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경우, 좌측 어깨용 스트랩(81)의 일단 및 타단, 및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의 일단 및 타단은 베이스부(20) 또는 브래킷부(10)에 대하여 착탈 불가능하게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교차부(83)의 작용을 고려하면, 결합 부재(84)는, 결합한 교차부(83)보다 하측(예를 들면, 작업자의 허리에 상당하는 위치, 또는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와 지지부(22)의 경계 근방)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left shoulder strap 81 and the right shoulder strap 82 may each be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84 for two-division. The coupling member 84 may be a buckle or the like. This makes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In this cas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eft shoulder strap 81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ight shoulder strap 8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portion 20 or the bracket portion 10, respec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action of the intersection 83 described above, the engaging member 84 is positioned below the intersection 83 (for examp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ist of the operator, (I.e., 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21 and the supporting portion 22).

또한, 좌측 어깨용 스트랩(81) 및 우측 어깨용 스트랩(82) 각각에는,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 부재(85)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조정 부재(85)로서는, 러더 버클(rudder buckle)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서, 그 길이를 조정 가능하다. 또한, 조정 부재(85)에 의해, 좌측 어깨용 스트랩(81) 및 우측 어깨용 스트랩(82)을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되므로, 조정 부재(85)는 상기한 결합 부재(84)의 대체 부재로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정 부재(85)는, 결합 부재(84)와 마찬가지로, 교차부(83)보다 하측(예를 들면, 작업자의 허리에 상당하는 위치, 또는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와 지지부(22)의 경계 근방)에 마련되어도 좋고, 교차부(83)의 상측에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조정 부재(85)는 결합 부재(84)의 상측에 마련되어도 좋고, 하측에 마련되어도 좋다.Each of the left shoulder strap 81 and the right shoulder strap 82 may be provided with an adjusting member 85 for adjusting the length. As the adjustment member 85, a rudder buckle or the like may be used. Thus,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er's physique. The adjusting member 85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lengthening the left shoulder strap 81 and the right shoulder strap 82 by the adjusting member 85. Therefore, As shown in Fig. The adjustment member 85 is disposed at a position below the intersection 83 (for examp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ist of the operator, 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21 and the support portion 21 in the base portion 20) (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of the intersection portion 22), o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tersection portion 83. Further, the adjusting member 85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member 84 or on the lower sid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부(10)로서, 되접힘부(14)에 마련된 나사(14a)에 의해서 융착기 본체(5)를 고정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융착기 본체(5)의 고정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프링의 힘을 이용해도 좋다. 즉,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부(10)의 저면부(11)와 되접힘부(14)를 분리하는 동시에, 스프링 힌지(15)를 거쳐서 접속한다. 또한, 되접힘부(14)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14b)으로부터 대략 L자형 형상으로 되접힌 부분(14c)을 갖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힌지(15)의 힘을 이용하여, 되접힘부(14)의 부분(14c)에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sing device body 5 is fixed by the screw 14a provided on the folded back portion 14 as the bracket portion 10, but the fixing method of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orce of a spring may be used. That is, as shown in Figs. 8 to 10, the bottom surface portion 11 of the bracket portion 10 is separated from the folded back portion 14 and connected via the spring hinge 15. Further, the folded back portion 14 has a substantially L-shaped folded portion 14c extending from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14b. Thus, a pressing force can be generated on the portion 14c of the return-back portion 14 by using the force of the spring hinge 15.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20)가 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브래킷부(10)가 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베이스부(20) 또는 브래킷부(10)의 일부가 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져도 좋다 또한, 비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20) 또는 브래킷부(10)에, 자성체 부재를 장착하는 형태라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portion 2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but the bracket portion 1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e base member 20 or a part of the bracket member 1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e magnetic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base member 20 or the bracket member 10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탑재부(21)에, 되접힘부(21a), 즉 브래킷부(10)를 전후 방향(X)으로 이동할 때의 가이드를 마련했지만, 베이스부(20)에 대하여, 브래킷부(10), 즉 융착기 본체(5)를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이러한 되접힘부(21a)가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ortion 21 is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base portion 20 so as to guide the folded back portion 21a, that is, the bracket portion 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such a folded back portion 21a in order to make the bracket portion 10, that is,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rotatable,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융착 접속 작업대에는, 공구의 수납을 위한 포켓 등을 장착하기 위한 구멍을 적절히 마련해도 좋다.In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of the present embodiment, a hole for mounting a pocket or the like for housing a tool may be suitably provid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부(10)와 베이스부(20)를 분리하고, 브래킷부(10)를 융착기 본체(5)에 장착한 상태에서 수용한 동시에, 베이스부(20)를 둘로 접어서 수납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융착기 본체(5)를 분리한 브래킷부(10)는 베이스부(20)에 장착한 상태에서 수용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하에, 그 일례를 나타낸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cket portion 10 and the base portion 20 are separated, the bracket portion 10 is accommodated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using device body 5, and the base portion 20 is folded in two The bracket portion 10 from which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is detached may be accommodated in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portion 10 is mounted on the base portion 20. [ Hereinafter, an example thereof will be shown.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브래킷부(10)로서, 융착기 본체(5) 탑재시의 브래킷부(10)를 옆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브래킷부(10)로서, 융착기 본체(5) 비탑재시의 브래킷부(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융착 접속 작업대로서, 도 14에 도시하는 브래킷부(10) 및 융착기 본체(5) 탑재시의 융착 접속 작업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융착 접속 작업대로서, 융착기 본체(5) 비탑재시의 브래킷부(10)를 탑재한 상태로 수용할 때의 융착 접속 작업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4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portion 10 when the fuser body 5 is mounted and FIG. 15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portion 10 shown in FIG. 14 in a bracket portion 10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is embodiment. , Which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cket portion 10 when the fuser main body 5 is not mounted.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sion splicing workbench when the bracket portion 10 and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are mounted as shown in Fig. 14 as a fusion splicing workbas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is embodiment.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sion splicing workbench when the fusion splicing workbench shown in FIG. 16 is accommodated in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portion 10 at the time of non-mounting of the fusion machine body 5 is mounted.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예의 브래킷부(1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면부(11)와 되접힘부(12)를 분리하는 동시에, 스프링 힌지(16)를 거쳐서 접속한다. 한편, 되접힘부(14)는 나사(14a)를 이용하지 않고, 완충재(60)를 거쳐서 융착기 본체(5)의 후면을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기 본체(5) 탑재시(사용시)에는, 융착기 본체(5)의 후면을 되접힘부(14)에 걸면서 융착기 본체(5)를 저면부(11)에 탑재하고, 스프링 힌지(16)의 힘을 이용하여 되접힘부(12)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브래킷부(10)에 융착기 본체(5)가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bracket portion 10 of the modified examp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11 and the folded back portion 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On the other hand, the folded back portion 14 supports the rear face of the fusing device body 5 via the cushioning material 60 without using the screw 14a. 14, when the fuser main body 5 is mounted (in use), the fuser main body 5 is fixed to the bottom face portion And the fusing device body 5 is fixed to the bracket portion 10 by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the folded back portion 12 by using the force of the spring hinge 16. [

한편,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착기 본체(5) 비탑재시(수용시), 융착기 본체(5)를 분리하면, 스프링 힌지(16)의 힘에 의해 되접힘부(12)가 저면부(11)측으로 절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래킷부(10)를 장착한 상태로, 브래킷부(10)를 탑재부(21)와 지지부(22) 사이에 끼워넣도록, 베이스부(20)를 둘로 접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융착 접속 작업대 전체를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15, when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is detached at the time of non-mounting (receiving) the fusing device main body 5, the force of the spring hinge 16 causes the return- (11). With this configuration, the base portion 20 can be folded in two so that the bracket portion 10 is sandwich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21 and the support portion 22 with the bracket portion 10 mounted. As a result, the entire fusion splicing workbench can be accommodated compactly.

그 때, 브래킷부(10)는 되접힘부(14)가 베이스부(20)의 지지부(22)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면 좋다. 이와 같이, 절첩하는 구조를 필요 최소한으로 하는 것에 의해, 부품 점수를 극히 줄여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portion 10 may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folded back portion 14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In this manner, by minimizing the structure for folding, the number of parts can be extremely reduced and the cost can be suppressed.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는 횡측 가장자리에 되접힌 되접힘부(22b)를 갖고, 이러한 되접힘부(22b)에 의해서 탑재부(21)의 되접힘부(21a)를 덮도록 베이스부(20)를 둘로 접어도 좋다.16 and 17,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olded back portion 22b which is folded back on the lateral edge, and the folded back portion 22b The base portion 20 may be folded in two so as to cover the folded back portion 21a of the mounting portion 21. [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부(20)에 있어서의 지지부(22)는 작업자 몸통체측의 면에 쿠션성이 높은 완충재(60)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16 and 17,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base portion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60 having a high cushioning property on the side of the worker's body side.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부(20)는 탑재부(21)와 지지부(22)의 결합부에 있어서의 작업자 몸통체측을 덮는 보호 부재(24)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16 and 17, the base portion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rotection member 24 that covers the worker's body side at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mount portion 21 and the support portion 22 There may be.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융착기 본체를 탑재하고,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대에 적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orkbench on which a fusing device main body is mounted and which performs fusion splicing of an optical fiber.

1 : 융착 접속 작업대 5 : 융착기 본체
10 : 브래킷부 11 : 저면부
11a : 구멍 12, 13, 14 : 되접힘부
12a, 12b : 되접힘부(12)의 부분 14a : 되접힘부(14)의 나사
14b, 14c : 되접힘부(14)의 부분 15, 16 : 스프링 힌지
20 : 베이스부 21 : 탑재부
21a : 되접힘부 21b : 장척 형상의 구멍
21c : 링(결합부) 22 : 지지부
22a : 구멍(결합부) 22b : 되접힘부
23 : 힌지 24 : 보호 부재
30 : 목 스트랩 40 : 몸통 스트랩
50 : 결합 부재 51 : 단차 나사
52 : 너트 53 : 와셔
60 : 완충재 70 : 미끄럼운동재
80 : 어깨 스트랩 81 : 좌측 어깨용 스트랩
82 : 우측 어깨용 스트랩 83 : 교차부
84 : 결합 부재 85 : 조정 부재
1: fusion splicing workbench 5: fusion splicing body
10: bracket part 11: bottom part
11a: holes 12, 13, 14: backward folded portion
12a, 12b: part of the back folded part 12: a screw of the back folded part 14
14b, 14c: portions 15, 16 of the back folded portion 14: spring hinge
20: base portion 21: mounting portion
21a: back folded portion 21b: long hole
21c: ring (coupling portion) 22: support
22a: hole (engaging portion) 22b:
23: hinge 24: protective member
30: Neck strap 40: Trunk strap
50: engaging member 51: stepped screw
52: Nut 53: Washer
60: cushioning material 70: sliding member
80: Shoulder strap 81: Left shoulder strap
82: Right shoulder strap 83: Intersection
84: coupling member 85: adjusting member

Claims (6)

융착기 본체를 탑재하고, 광 파이버의 융착 접속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융착기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부와,
상기 브래킷부를 탑재하는 탑재부와 작업자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융착 접속을 실행할 때에 상기 탑재부와 상기 지지부가 L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부 및 상기 베이스부 중 어느 한쪽은 작업자의 목에 주회되는 목 스트랩, 또는 작업자의 어깨에 주회되는 어깨 스트랩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갖고,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상기 탑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융착 접속 작업대.
A work table for mounting a fusion-bonding machine main body and performing fusion splicing of an optical fiber,
A bracket portion for fixing the fusion body,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bracket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an operator,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form an L-shaped base portion when performing the fusion splicing,
Wherein either one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has a neck strap or a shoulder strap around the neck of a worker,
Wherein the bracket portion is movable relative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portion
Fusion splicing workben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융착 접속을 실행하지 않을 때에 절첩 가능한
융착 접속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oldable portion
Fusion splicing workbench.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상기 탑재부 및 상기 브래킷부 중 어느 한쪽은 장척 형상의 구멍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상기 탑재부와 상기 브래킷부는 상기 장척 형상의 구멍에 끼워지는 단차 나사에 의해서 결합하는
융착 접속 작업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either on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in the base portion has an elongated hole,
The mount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a stepped screw that is fitted in the elongated hole
Fusion splicing workbench.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스트랩을 더 갖고,
상기 어깨 스트랩은 작업자의 좌우의 어깨 각각에 대응하는 좌측 어깨용 스트랩과 우측 어깨용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어깨용 스트랩 및 상기 우측 어깨용 스트랩은, 작업자의 등부에서 교차하도록, 작업자의 좌측 어깨, 우측 어깨를 각각 주회하고,
상기 좌측 어깨용 스트랩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좌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부 중 좌상 결합부로서, 작업자의 좌측 어깨측에 위치하는 상기 좌상 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좌측 어깨용 스트랩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우하부 또는 상기 브래킷부의 우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부 중 우하 결합부로서, 작업자의 좌측 겨드랑이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우하 결합부에 결합하며,
상기 우측 어깨용 스트랩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우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부 중 우상 결합부로서, 작업자의 우측 어깨측에 위치하는 상기 우상 결합부에 결합하고, 상기 우측 어깨용 스트랩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좌하부 또는 상기 브래킷부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부 중 좌하 결합부로서, 작업자의 좌측 겨드랑이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좌하 결합부에 결합하는
융착 접속 작업대.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the shoulder strap,
The shoulder strap includes a left shoulder strap and a right shoulder strap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houlders of the operator,
The left shoulder strap and the right shoulder strap are respectively arranged around the left shoulder and the right shoulder of the worker so as to intersect at the back of the worker,
Wherein one end of the left shoulder strap is connected to the left upper portion of the left shoulder of the operator as the left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located at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left shoulder strap A lower right coupling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located at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or the rightward portion of the bracket portion and coupled to the lower right coupling portion located below the left armpit of the operator,
One end of the right shoulder strap is an upper right engaging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located at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upper right engaging portion located on the right shoulder side of the operator and the other end of the right shoulder strap A lower left engaging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located at a left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or a left side portion of the bracket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left lower engaging portion located below the left armpit of the operator
Fusion splicing workbench.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 및 상기 베이스부 중 어느 한쪽은 상기 목 스트랩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갖고,
상기 브래킷부 및 상기 베이스부 중 어느 한쪽은 작업자의 몸통에 주회되는 몸통 스트랩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갖는
융착 접속 작업대.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either one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has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neck strap,
Either one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has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a body strap to be carried around the body of the worker
Fusion splicing workbench.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 및 상기 베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자성체 부분을 포함하는
융착 접속 작업대.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includes a magnetic body portion
Fusion splicing workbench.
KR1020157019896A 2012-12-26 2013-12-26 Fusion splicing work table KR1021000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2878 2012-12-26
JP2012282878 2012-12-26
JPJP-P-2013-012429 2013-01-25
JP2013012429A JP6130151B2 (en) 2012-12-26 2013-01-25 Fusion splicing work table
PCT/JP2013/084858 WO2014104180A1 (en) 2012-12-26 2013-12-26 Fusion splicing work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833A true KR20150099833A (en) 2015-09-01
KR102100004B1 KR102100004B1 (en) 2020-04-10

Family

ID=5102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896A KR102100004B1 (en) 2012-12-26 2013-12-26 Fusion splicing work tab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30151B2 (en)
KR (1) KR102100004B1 (en)
CN (1) CN104903765B (en)
WO (1) WO201410418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336A1 (en) * 2019-01-29 2020-08-06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Storage case
WO2022080375A1 (en) 2020-10-15 2022-04-21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Tray for fusion splicing work and fusion splicer set
CN112923194B (en) * 2021-04-19 2022-02-11 深圳市林普世纪通信技术有限公司 Connecting structure of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base and aerial work platfor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6692A (en) * 1997-01-23 1998-08-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Fixing base for fusion connector
JP2005131146A (en) * 2003-10-31 2005-05-26 Lucky Kogyo Kk Baby carrier
JP2006201305A (en) 2005-01-18 2006-08-03 Fujikura Ltd Work box
JP2007193097A (en) * 2006-01-19 2007-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Work base for mounting fusion splic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2785A (en) * 2009-11-25 2011-06-09 Sumitomo Electric Ind Lt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machine and fusion splicing method
CN201926773U (en) * 2011-02-14 2011-08-10 中国通信建设第三工程局有限公司 Improved operating platform for fusion splicer
CN202230220U (en) * 2011-08-16 2012-05-23 北京信维科技股份有限公司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carrying box possessing multifunctional box cov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6692A (en) * 1997-01-23 1998-08-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Fixing base for fusion connector
JP2005131146A (en) * 2003-10-31 2005-05-26 Lucky Kogyo Kk Baby carrier
JP2006201305A (en) 2005-01-18 2006-08-03 Fujikura Ltd Work box
JP2007193097A (en) * 2006-01-19 2007-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Work base for mounting fusion splicing machine
JP4413870B2 (en) 2006-01-19 2010-02-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Worktable for fusion splicer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42565A (en) 2014-08-07
CN104903765B (en) 2018-06-19
WO2014104180A1 (en) 2014-07-03
KR102100004B1 (en) 2020-04-10
JP6130151B2 (en) 2017-05-17
CN104903765A (en)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52990A1 (en) Wearable Body Supported Computer
KR20150099833A (en) Fusion splicing work table
US9861183B2 (en) Equipment carrier with extensible tether
US20180272524A1 (en) Assist device
KR20170000583U (en) Neck strap structure and auxiliary member thereof
JP6338844B2 (en) Pet container
JP2011145528A (en) Housing case for fusion splicing machine, and portable fusion splicing system
US20160260942A1 (en) Back carried battery pack having a carrying arrangement
GB2493333A (en) A power tool and battery pack safety device
WO2012105549A1 (en) Mobile apparatus holder, as well as attachment and operation method of mobile apparatus
JP3113958U (en) Glasses mask
JP5960484B2 (en) Shoulder harness for portable work machines
JP3190133U (en) Connection structure of harness-type safety belt and trunk belt
JP3135160U (en) Umbrella fixing tool
JP7485514B2 (en) Fan holder
JP5975277B2 (en) Back load type power supply
WO2022080375A1 (en) Tray for fusion splicing work and fusion splicer set
JP2017226452A (en) Package
KR101879139B1 (en) 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
JP2008200760A (en) Loop for tool holder
JP2023156757A (en) Worker mounting fixture
US20220117382A1 (en) Detachable pendulum style tool carrier
JP6139981B2 (en) Supporter belt
KR101562919B1 (en) Connecting device for camera strap
JP2017192473A (en) Back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