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139B1 - 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 - Google Patents

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139B1
KR101879139B1 KR1020170127163A KR20170127163A KR101879139B1 KR 101879139 B1 KR101879139 B1 KR 101879139B1 KR 1020170127163 A KR1020170127163 A KR 1020170127163A KR 20170127163 A KR20170127163 A KR 20170127163A KR 101879139 B1 KR101879139 B1 KR 101879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addle
motorcycle
frame fixing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102017012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1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1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4Separate pillions
    • B62J1/16Separate pillions for children
    • B62J1/162Child seat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4Separate pillions
    • B62J1/16Separate pillions for children
    • B62J1/167Child seats attachable in front of the driver sad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a motorcycle saddle that is installed in the saddle which can open or close an upper rear portion of a motorcycle, the detachable auxiliary seat including: a body frame seated on a top surface of the saddle to safely support a back and both sides in a state in which a passenger sits on the saddle; and a frame fixing part for fixing a lower portion of the body frame to the saddle in a state in which the saddle is opened, and strongly supporting the body frame on the saddle in the state in which the saddle is closed. Since the detachably auxiliary seat is fixed only by rounding the frame fixing part fixed to the body frame around the saddle, installation is very easy, so that a woman or a minor can easily mount or demount the detachably auxiliary seat. The length of the frame fixing part can be adjusted to mount the seat, irrespective of the shape or size of the saddle, thereby improving versatile application.

Description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보조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여 여성이나 미성년자도 쉽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탈착성이 매우 뛰어나며, 안장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길이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매우 뛰어난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eat for a motor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cycle auxiliary seat capable of easily mounting and dismounting a woman or a minor so that it is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heet which is very versatile.

오토바이는 대표적인 개인용 이동수단이자 운송수단인데, 특히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에서는 많은 수의 국민이 오토바이를 애용하고 있어 그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Motorcycles are a common means of personal transportation and transportation. In the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Vietnam, a large number of people use motorcycles and their use is generalized.

그러나 오토바이는 차량과 달리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으며, 더구나 어린아이와 같이 동승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보호장치 없이 운전자의 앞에 태우고 다닐 수밖에 없어 교통사고나 안전사고 등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However, unlike a motorcycle, a motorcycle is inconvenient for many people to use at the same time. Moreover, when a person rides together with a child, there is a danger of a traffic accident or a safety accident.

따라서, 차량의 유아용 시트와 같이, 오토바이용 유아 시트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나 오토바이 자체의 협소한 구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fant seat for a motorcycle such as a baby seat of a vehicle, or a narrow structure of the motorcycle itself, so that a proper solution is not proposed.

한편, 오토바이용 유아시트로 전용할 수 있는 짐받이 구조는 이미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어 왔다.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various types of cargo structures that can be dedicated to baby seat for motorcycles.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389539호 "오토바이용 짐받이 구조"는 소형 오토바이 (통상 기름탱크가 안장 밑에 설치된 것, 일명 '스쿠터')의 후미에 장착되어 지지봉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일측 저면에는 인장스프링에 의해 절도 있게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장착된 버팀봉에 체결되는 짐받이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는 짐받이가 오토바이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오토바이마다 안장 또는 후미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자를 통해서만 작업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단 설치된 후에는 짐받이가 필요없는 상황에서도 항상 짐받이가 설치된 상태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No. 20-0389539, entitled "Motorcycle Carrier Structure", is mounted on the rear of a small motorcycle (usually an oil tank installed under a saddle, aka "scooter") and fixed by a support rod. A load-bearing structure to be fastened to a load-bearing rod mounted so as to be capable of folding or unfolding. However, the above structure is problematic in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not easy because the platform is fixedly mounted on the motorcycle, and the shape of the saddle or tail is different for each motorcy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work only through a skilled worker. In addition, once installed, the load must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load is always installed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load is not needed, which inconveniences the user.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389539호Korea Practical Registration No. 20-038953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고정부를 안장을 둘러싸서 체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여 여성이나 미성년자도 쉽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탈착성이 매우 뛰어나며, 안장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프레임고정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매우 뛰어난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rame, which is easy to mount and detach from a female or a min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heet which is very versatile because it can be moun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rame fixing portion regardless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saddl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프레임을 안장에 고정하기 위하여 안장에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 사전 작업이 불필요하고, 오토바이의 외관을 변형시키지 않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which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reliminary operation and does not deform the appearance of a motorcycl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for the saddle to fix the main frame to the saddle hav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고정부가 안장을 감아 고정되는 것이므로, 착석자가 보조시트에 착석한 경우 안장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만큼 본체프레임이 안장에 더욱 고정되게 되므로 고정력을 향상시켜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ddle stitcher which is capable of holding a saddle and fixing the saddle when the saddle is seated on the sadd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heet that can be used for a motorcycl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토바이의 후미 상부에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 안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착석자가 상기 안장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 및 양 측면을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안장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안장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 일측을 상기 안장에 고정하며, 상기 안장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프레임이 상기 안장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는 프레임고정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In order to securely support the back and both sides of the saddle in a state where a seated person is seated on the saddle,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addle- A main body frame mounted on the main body frame; And a fram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lower one side of the main frame to the saddle while the saddle is opened and for allowing the main frame to be firmly supported on the saddle when the saddle is closed do.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착석시 착석자의 양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side cov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frame so as to protect both sides of the seated person when the main body frame is seated.

상기 본체프레임은,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부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상기 안장의 상부면을 따라 상기 오토바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과, 상기 각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A pair of lower frames extending forwardly of the motorcycle along upper surfaces of the saddle at both side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And a pair of upper frames extending at opposite ends of the backrest fram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frame.

상기 각 측면커버는, 상하로 위치하는 각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고정되는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와 하부결합부를 연결하며 착석자의 양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측면부를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side covers has an upper engaging portion and a lower engaging portion to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vertically fixed and a side portion for connecting the upper engaging portion and the lower engaging portion and protecting both sides of the seated person have.

상기 각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일자형 봉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에는 상기 각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전방 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상기 각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부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하는 측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each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ortions are provided with engaging grooves in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inserted, And a side fixing part fixing the side part to the main frame in a state where the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arts.

상기 각 하부결합부에는 상기 프레임고정부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Each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s may be provided with a frame fixing groove for coupling the frame fixing portion to the main body frame.

상기 프레임고정홈은 상기 하부결합부에 2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frame fixing groove may be provided in two or more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s.

상기 프레임고정부는 유연한 끈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각 프레임고정홈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의 하부면으로 각각 연장되어 체결구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rame fixing part may be formed in a flexible string shape so that one end of the frame fixing part is fixed to each of the frame fixing grooves and the other end of the frame fixing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addle.

상기 복수의 프레임고정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부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에 2개로 마련되되, 상기 2개의 상기 프레임고정홈은 그 상하 위치가 설정거리만큼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One of the plurality of frame fixing grooves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 and the two frame fixing grooves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thereof are shif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하부결합부에 인접한 상기 측면부의 일단은 착석자의 좌우 다리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프레임측의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lower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only at a portion of the back frame side so as to allow the left and right leg flow of the seated person.

상기 측면부는 판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은 사이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pair of lower frames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in spacing.

상기 본체프레임은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측면커버는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The body frame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side cover may be made of a soft plastic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에 의하면, 본체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고정부를 안장을 둘러싸서 체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여 여성이나 미성년자도 쉽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탈착성이 매우 뛰어나며, 안장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프레임고정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main body frame is only required to be enclosed by the saddle,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and detach a female or a minor And the length of the frame fixing part can be adjusted irrespective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saddle, so that it is advantageous to have excellent general versat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에 의하면, 본체프레임을 안장에 고정하기 위하여 안장에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 사전 작업이 불필요하고, 오토바이의 외관을 변형시키지 않는 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on the saddle for securing the main body frame to the saddl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reliminary work and an advantage of not de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motorcycl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는, 프레임고정부가 안장을 감아 고정되는 것이므로, 착석자가 보조시트에 착석한 경우 안장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만큼 본체프레임이 안장에 더욱 고정되게 되므로 고정력을 향상시켜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motorcycle saddle detachable auxiliar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fixing portion is fixed by winding the saddle, when the seated person is seated on the auxiliary seat, the body frame is further fixed to the saddle by the load of the seated person, So that the stability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가 안장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의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를 안장 하부 측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의 장착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shown in Fig. 1 mounted on the saddle,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in the state shown in Fig. 2 on th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saddl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1)는, 오토바이(100)의 후미(120) 상부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 안장(1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착석자가 안장(130)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 및 양 측면을 안전하게 지지도록 안장(13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본체프레임(10)과, 본체프레임(10)을 안장에 고정하는 프레임고정부(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motorcycle saddle detachable auxiliary sea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addle 130 provided to open and close on a rear portion 120 of a motorcycle 100, A main body frame 10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ddle 130 so as to securely support the back and both sides of the saddle 130 while being seated on the saddle 130, ).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1)가 장착되는 오토바이(100)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a motorcycle 100 to which a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1)가 장착된 오토바이(100) 전체 장착도가 개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re is shown an entire mounting view of a motorcycle 100 equipped with a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오토바이(100)의 후미(120)는 일반적으로 오토바이(100) 구동에 필요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통이 마련되며, 상측 공간에는 작은 부피의 짐들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기도 한다. The rear portion 120 of the motorcycle 100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fuel cell for storing fuel required for driving the motorcycle 100, and a space for loading a small volume of luggage is provided in the upper space.

안장(130)은 오토바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착석하는 공간으로 통상 착석위치인 상부면은 푹신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addle 130 is a space in which a motorbike driver or a passenger seats, and the upper surface, which is usually the seating position,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soft material.

또한, 안장(130)은, 후미(120)의 상부에 일측이 경첩과 같은 구성에 의해 회동되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열고 닫을 때의 회동방향은 무관하며, 일반적으로 안장(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The saddle 130 is provided so that one side of the saddle 130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one side of the saddle 130 is rotated by a hinge-like structure. The saddle 130 has no rotation direction when the saddle 130 is opened and closed, And is rotated about either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along the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을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본체프레임(10)은, 착석자가 안장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 및 양 측면을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안장(130)의 상부면에 안착된다. The main body frame 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ddle 130 so as to securely support the back and both sides while the saddle is seated in the saddle.

본체프레임(10)은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1)(이하 간단히 "보조시트(1)"라 기재한다.)의 뼈대를 구성하는 구성으로서, 오토바이(100) 운전시 착석자가 보조시트(1) 내에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착석상태를 견고히 지지한다. The main frame 10 constitutes a frame of a motorcycle saddle detachable auxiliary seat 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uxiliary seat 1"), So that the seat can be safely positioned within the seat.

본체프레임(1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프레임(11)과, 한 쌍의 하부프레임(13)과, 한 쌍의 상부프레임(15)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body frame 10 may be variously provided. The body frame 10 includes a backrest frame 11, a pair of lower frames 13, a pair of upper frames 15, .

등받이프레임(11)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한, 도 1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As long as the backrest frame 11 can support the back of a seated person, the backrest frame 11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to the shape shown in Fig. 1, and the size thereof can be variously modified.

또는, 등받이프레임(11)에 플라스틱 또는 섬유재질의 등받이커버를 씌울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광고판 부착 등 사업적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Alternatively, the backrest frame 11 may be covered with a plastic or textile back cover. In this case, the appearance of the backrest frame 11 can be improved while it can be used for business purposes such as adboards.

하부프레임(13)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등받이프레임(11)의 하부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안장(130)의 상부면을 따라 오토바이(100)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The lower frame 13 is provided in a pair and extends forward of the motorcycle 100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addle 130 at both side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11. [

하부프레임(13)은 보조시트(1)가 안장(130)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프레임고정부(30)를 통해서 보조시트(1) 전체를 안장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frame 13 allows the auxiliary sheet 1 to be seated on the saddle 130 and allows the entire auxiliary seat 1 to be fixed to the saddle through the frame fixing portion 30

하부프레임(1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면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착석자는 하부프레임(13)에도 불구하고 안장(130)에 직접 앉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착석자는 푹신한 안장(130)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의 안장(130)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보조시트(1)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1, since the lower frame 13 does not form a seating surface, the occupant sits directly on the saddle 130 in spite of the lower frame 13. Therefore, the seated person can use the fluffy saddle 130 as it is, and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the saddle 130 of various sizes, and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seat 1 can be simplified.

그러나, 도 1의 도시 및 상기 설명은 하부프레임(13)의 일실시예에 대한 것이므로, 하부프레임(13)이 착석면을 형성하는 것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However, since the illustration of FIG. 1 and the above description are for one embodiment of the lower frame 13, it is clear that it is not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lower frame 13 forms a seating surface.

한편, 한 쌍의 하부프레임(13)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의 안장(130)에 적용이 더욱 용이하도록 사이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lower frames 13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saddles 130 of various sizes, if necessary.

상부프레임(15)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하부프레임(13)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등받이프레임(11)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프레임(13)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upper frames 15 are provided in a pair and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frame 13 at both side ends of the backrest frame 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lower frames 13. [

상부프레임(15)은 착석자의 옆구리 또는 겨드랑이 쪽을 지지하는데, 상부프레임(15)의 길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이 용이하도록 하부프레임(13)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The upper frame 15 supports the side or side of the seated person, and the length of the upper frame 15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frame 13 so as to facilitate seating as shown in Fig.

하부프레임(13) 또는 상부프레임(15)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ength of the lower frame 13 or the upper frame 15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needed.

본체프레임(10)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가볍고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frame 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frame 10 is made of a light and high-strength metal material.

프레임고정부(30)는, 안장(130)이 열린 상태에서 본체프레임(10)의 하부 일측을 안장(130)에 고정하며, 안장(130)이 닫힌 상태에서 본체프레임(10)이 안장(130)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한다. The frame fixing part 30 fixes the lower side of the main frame 10 to the saddle 130 while the saddle 130 is opened and the main frame 10 is fixed to the saddle 130 ).

프레임고정부(3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산가방 또는 백팩 등에 사용되는 적정한 강도 이상을 갖는 유연한 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끈으로 된 프레임고정부(30)는 안장(130)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서 그 길이를 조정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frame fixing portion 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and may be provided with a flexible cord having a proper strength or m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for use in a climbing bag or a backpack. In this case, the string-shaped frame fixing part 3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saddle 130.

또는, 프레임고정부(30)는 상기와 같은 플렉서블한 끈 이외에도 고정된 형상의 브라켓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ernatively, the frame fixing part 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fixed bracket, in addition to the flexible cord as described above.

프레임고정부(30)가 끈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후술할 프레임고정홈(57)을 경유 또는 고정되고, 타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130)의 하부면으로 각각 연장되어 체결구(31)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frame fixing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strap, as shown in Fig. 2, one end of the frame fixing groove 57 is dually or fixed, and the other end is a saddle 130, respectively,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31.

도 3은, 안장(130)이 열린상태에서 프레임고정부(30)가 안장(130)의 하부면에서 체결구(31)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끈의 종류나 체결구(31)의 종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한없이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ame fixing portion 30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hole 3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addle 130 in a state in which the saddle 130 is opened. Here, the type of the string and the type of the fastening tool 31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and can be changed and used without restriction if necessar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에 의하면, 본체프레임을 안장에 고정하기 위하여 안장에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 사전 작업이 불필요하고, 오토바이의 외관을 변형시키지 않는 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in the saddle for securing the main body frame to the saddle, so that no advance work is required and the advantage of not de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motorcycl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는, 본체프레임에 고정된 프레임고정부를 안장을 둘러싸서 체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여 여성이나 미성년자도 쉽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탈착성이 매우 뛰어나며, 안장의 형상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프레임고정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torcycle saddle-detachable auxiliar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only a fram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main frame to surround the saddle and fasten the saddle, the installation work is very simple, so that a female or a minor can easily mount and detach, And the length of the frame fixing part can be adjusted irrespective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saddle, so that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very versati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는, 프레임고정부가 안장을 감아 고정되는 것이므로, 착석자가 보조시트에 착석한 경우 안장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만큼 본체프레임이 안장에 더욱 고정되게 되므로 고정력을 향상시켜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motorcycle saddle detachable auxiliary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fixing portion is fixed by winding the saddle, when the seated person is seated on the auxiliary seat, the body frame is further fixed to the saddle by the load of the seated person, So that the stability can be maximized.

측면커버(50)는, 착석자가 본체프레임(10)에 착석시 착석자의 양 측면(즉, 양 옆구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0)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된다. The side cover 5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10 so that the occupant can protect both sides (i.e., both sides) of the seated person when the occupant sits on the body frame 10.

측면커버(5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결합부(53), 하부결합부(51), 측면고정부(59) 및 측면부(56)를 포함한다. The side cover 50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and may include an upper engaging portion 53, a lower engaging portion 51, a side fixing portion 59, and side portions 56).

상부결합부(53), 하부결합부(51) 그리고 측면고정부(59)는 측면커버(50)를 본체프레임(10)에 결합한다. The upper engaging portion 53, the lower engaging portion 51, and the side fixing portion 59 engage the side cover 50 with the main frame 10.

상부결합부(53)는 상부프레임(15)에 결합되며, 하부결합부(51)는 하부프레임(13)에 각각 결합되고, 측면고정부(59)는 측면부(56)를 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한다. 이에, 상부결합부(53) 및 하부결합부(51)에 별도의 고정구조가 없다고 하더라도 측면고정부(59)에 의해 측면커버(50)가 본체프레임(10)에 고정된다. The upper fixing portion 53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15 and the lower engaging portion 51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13 respectively and the side fixing portion 59 is fixed to the backrest frame 11, . The side cover 50 is fixed to the body frame 10 by the side fixing part 59 even if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arts 53 and 51 have no separate fixing structure.

상부결합부(53) 및 하부결합부(51)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5) 및 하부프레임(13)이 일자형 봉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부결합부(53) 및 하부결합부(51)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5) 및 하부프레임(13)의 전방 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각 상부결합부(53) 및 하부결합부(51)가 상부프레임(15) 및 하부프레임(13)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고정부(59)를 측면부(56)에 형성된 반대편에 스크루 등으로 체결하고 나면, 측면커버(50)가 본체프레임(10)에 완전히 결합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 when the upper frame 15 and the lower frame 13 are provided in a straight bar shape,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ortions 53 and 53 and the lower engaging portion 51 may be provided with an engaging groove into which the front ends of the upper frame 15 and the lower frame 13 are inserted.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gaging portions 53 and the lower engaging portions 51 are engaged with the upper frame 15 and the lower frame 13, respectively. 1, the side cover 50 is completely engaged with the main frame 10 when the side fixing portion 59 is fasten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portion 56 with screws or the like.

여기서, 전술한 상부결합부(53), 하부결합부(51) 및 측면고정부(59)는 고정방법의 일예를 설명한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부결합부(53), 하부결합부(51) 또는 측면고정부(59)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만으로 측면커버(50)의 고정이 완료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외없이 포함됨은 물론이다. Here, the above-described upper engaging portion 53, lower engaging portion 51 and side fixing portion 59 are examples of fixing methods, and various known method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Or when the fixing of the side cover 50 is completed with only one of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ortions 53, 51 or the side fixing portions 59,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프레임고정홈(57)은 하부결합부(51)에 마련되어 프레임고정부(30)를 본체프레임(10)에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The frame fixing groove 57 is provided in the lower engaging portion 51 and is provided to engage the frame fixing portion 30 with the body frame 10. [

프레임고정홈(57)은 프레임고정부(30)의 일단을 하부결합부(51)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프레임고정홈(57)의 종류, 형상 및 크기는 프레임고정부(30)의 종류에 따라 달리 마련된다. The frame fixing groove 57 is provided to fix one end of the frame fixing part 30 to the lower engaging part 51. The type, shape and size of the frame fixing groove 57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rame fixing part 30 .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고정부(30)가 끈 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 프레임고정홈(57)은 프레임고정부(3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고정부(30)는 일단이 프레임고정홈(57)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프레임고정부(30)가 프레임고정홈(57)을 경유하여 프레임고정부의 다른 부분에 고정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 when the frame fixing portion 30 is provided in a string type, the frame fixing groove 57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frame fixing portion 30 . Here, the frame fixing part 30 may be fixed to the frame fixing groove 57 at one end, but may be fixed to the other part of the frame fixing part via the frame fixing groove 57 Modification is possible.

프레임고정홈(57)은 하부결합부(51)에 2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3)의 전방 및 후방에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frame fixing groove 57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engaging portion 51 in two or more.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1, two pieces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lower frame 13.

복수의 프레임고정홈(57) 중 어느 하나는 하부결합부(51)의 상부 및 하부에 2개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2개의 프레임고정홈(57)은 그 상하 위치가 설정거리만큼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고정홈(57b, 57c)이 상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이렇게 2개가 마련되면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다른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고정홈(57c)는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고정홈(57b)에 대하여 a만큼 상하 위치가 어긋나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프레임고정부(30)가 2개의 프레임고정홈(57b, 57c)을 모두 경유하게 되면, 프레임고정부(30)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rame fixing grooves 57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 51. In this case, It can be arrang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2, the frame fixing grooves 57b and 57c may b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If two frames are provided, one of them may be damaged, but another one may be used. Further, the frame fixing groove 57c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shif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rame fixing groove 57b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In this case, the frame fixing portion 30 may be formed in two frame fixing grooves 57b, and 57c, the fixing force of the frame fixing portion 30 can be further improved.

측면부(56)는 상부결합부(53)와 하부결합부(51)를 연결하며 착석자의 양 측면을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하부결합부(51)에 인접한 측면부(56)의 일단은 착석자의 좌우 다리 유동이 가능하도록 등받이프레임(11) 측의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착석자의 다리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side portion 56 connects the upper engaging portion 53 and the lower engaging portion 51 and is provided to protect both sides of the seated person. In this case, one end of the side surface portion 56 adjacent to the lower engaging portion 51 may be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back frame 11 side so as to allow the right and left leg flow of the seated person.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g position of the seated person can be freely changed.

측면부(56)에는 판면에 다수의 관통홀(5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부(56) 제작에 소요되는 원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부(56)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착석자와의 사이에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61 may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portion 56 of the plate surface. In this case, not only the raw material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side surface portion 56 can be reduced, but also the strength of the side surface portion 56 itself can be improved and ventilation can be ensured between the seat portion 56 and the seat occupant.

측면커버(5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오토바이 사고 등의 이유로 측면커버(50)가 부러지거나 깨지는 등 파손되는 경우에 파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The side cover 5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may be made of plastic having flexibility.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condary accident that may be caused by the debris when the side cover 50 is broken, broken or broken due to a motorcycle accident or the like.

추가로, 상기 본체프레임(10)에는 착석자를 본체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한 안전벨트(미도시)를 추가로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벨트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끈 타입 등 다양한 종류가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Further, a seat belt (not shown) for fixing the seat occupant to the body frame 1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body frame 10, and the seat belt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strap type, .

1 :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
10 : 본체프레임 11 : 등받이 프레임
13 : 하부프레임 15 : 상부프레임
30 : 프레임고정부 31 : 체결구
50 : 측면커버 51 : 하부결합부
53 : 상부결합부
56 : 측면부 561 : 관통홀
57 : 프레임고정홈 59 : 측면고정부
100 : 오토바이
120 : 후미 130 : 안장
1: Motorcycle saddle detachable seat
10: main frame 11: backrest frame
13: lower frame 15: upper frame
30: Frame fixing part 31: Fastening part
50: side cover 51:
53:
56: side portion 561: through hole
57: frame fixing groove 59: side fixing portion
100: Motorcycle
120: tail 130: saddle

Claims (13)

오토바이의 후미 상부에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 안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부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상기 오토바이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이 상기 안장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과, 상기 각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되, 착석면을 구비하지 아니하여 착석자가 직접 상기 안장에 착석하도록 마련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착석시 착석자의 양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 측면에 한쌍으로 마련되되, 각각 상하로 위치하는 각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고정되는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와, 상기 상부결합부와 하부결합부를 연결하며 착석자의 양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측면부를 갖는 측면커버와;
유연한 끈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안장의 하부를 둘러싸며 양단이 상기 각 하부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을 상기 안장에 고정하는 벨트 타입의 프레임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고정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안장이 열린 상태에서 각각 상기 안장의 하부면을 둘러싸며 장착되고, 상기 안장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안장 및 착석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이 상기 안장에 대하여 상하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각 프레임고정부는 일단 각각 하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장의 하부면으로 각각 연장되어 체결구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장의 크기에 따라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각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일자형 봉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에는 상기 각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전방 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상기 각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부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하는 측면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
It is installed on the saddle which is opened and cl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tail of the motorcycle,
A pair of lower frames extending forward of the motorcycle at both side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frame and guiding the backrest frame to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addle, And a pair of upper fram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frames at both side ends of the backrest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rest frame.
An upper engaging portion and a lower engaging portion which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so as to protect both sides of the seated person when the user seated on the body frame, A side cover having side portions fo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ortions and protecting both sides of the seated person;
And a frame-like fixing part of a belt type which is provided in a flexible string shape and surrounds the lower part of the saddle and has both ends fixed to the respective lower frames to fix the body frame to the saddle,
Wherein the frame fixing parts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frame fixing parts, and the saddle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when the saddle is opened, and when the saddle is closed, And is fixed so as to prevent the flow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in each of the frame fixing portions is fixed to a lower frame at one end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addle at a lower end thereof so as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and is adjustable in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addle,
Wherein each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ortions are provided with engaging grooves in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inserted, And a side securing portion for securing the side portion to the main frame in a state where the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engaging por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부결합부에는 상기 프레임고정부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고정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lower coupling portions is provided with a frame fixing groove for coupling the frame fixing portion to the main body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고정홈은 상기 하부결합부에 2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rame fixing groove is provided in at least two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s.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고정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부결합부의 상부 및 하부에 2개로 마련되되, 상기 2개의 상기 프레임고정홈은 그 상하 위치가 설정거리만큼 어긋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ame fixing grooves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two frame fixing grooves are shif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부에 인접한 상기 측면부의 일단은 착석자의 좌우 다리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프레임측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lower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ly at a portion of the back frame side so that the left and right legs of the seated person can f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판면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 a surface of the motorcy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프레임은 사이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lower frames are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in spacing between the pair of lower fra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측면커버는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안장 착탈식 보조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fram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side cover is made of a soft plastic material.
KR1020170127163A 2017-09-29 2017-09-29 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 KR101879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163A KR101879139B1 (en) 2017-09-29 2017-09-29 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163A KR101879139B1 (en) 2017-09-29 2017-09-29 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139B1 true KR101879139B1 (en) 2018-08-16

Family

ID=6344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163A KR101879139B1 (en) 2017-09-29 2017-09-29 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1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36B1 (en) 2020-11-27 2021-12-15 문재웅 functional backrest for motorcy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41880U (en) * 2010-11-18 2011-08-24 富声国际股份有限公司 Portable cushion structure for motorcycle
CN204037748U (en) * 2014-02-21 2014-12-24 李明秀 Multifunctional backrest frame and cushion protective cover for motorcy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41880U (en) * 2010-11-18 2011-08-24 富声国际股份有限公司 Portable cushion structure for motorcycle
CN204037748U (en) * 2014-02-21 2014-12-24 李明秀 Multifunctional backrest frame and cushion protective cover for motorcy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36B1 (en) 2020-11-27 2021-12-15 문재웅 functional backrest for motorcy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8188B2 (en) Infant seat combined car seat cover
JP5710204B2 (en) Child seat
JP6742164B2 (en) Vehicle seat
KR940006842A (en) Inflatable car seat
US6053580A (en) Personal restraint device
GB2512427A (en) Child seat having an anchoring harness
US20200307489A1 (en) Seat assembly with full seatback airbag
US20200307488A1 (en) Seat assembly with full seatback airbag
JP7018385B2 (en) Child seat system
JP6662196B2 (en) Back frame structure for vehicle seats
KR101879139B1 (en) Detachable Auxiliary Seat For Motorcycle Saddle
JP6904807B2 (en) Vehicle seat
KR101716568B1 (en) seat cover for vehicles
US7798527B2 (en) Over-the shoulder portable seatbelt
US4195879A (en) Infant's or child's seat for snowmobiles or the like
US7427104B2 (en) Child seat with recess for vehicle head rest
TWI654102B (en) Child seat
KR101747533B1 (en) Vehicle seat having a crash-modified trim holder
TWI654103B (en) Child seat
JPWO2021064837A5 (en)
JP6338910B2 (en) child seat
JP6558220B2 (en) Vehicle seat
KR200261829Y1 (en)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
JP7439795B2 (en) vehicle backrest structure
CN220757037U (en) Seat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