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974A -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974A
KR20150098974A KR1020140020398A KR20140020398A KR20150098974A KR 20150098974 A KR20150098974 A KR 20150098974A KR 1020140020398 A KR1020140020398 A KR 1020140020398A KR 20140020398 A KR20140020398 A KR 20140020398A KR 20150098974 A KR20150098974 A KR 20150098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divided
output
r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333B1 (ko
Inventor
손창균
김기철
박강열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3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단일 광원을 적용하여 다양한 분리광원을 형성하고, 이를 차량용 램프 등에 적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단일 광원을 사용하여 다수의 분할광원을 형성하여 하나의 조명 램프의 각 용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정해진 공간에서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며 램프의 점유공간을 축소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Lamp device and automobile lamp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단일 광원을 적용하여 다양한 분리광원을 형성하고, 이를 차량용 램프 등에 적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시장이 확대 되면서,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저전력/고효율 차량 의장용 광원들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들 중의 일예로 차량용 헤드 램프와 같은 조명을 살펴보면, 다수의 광원을 마련하고, 각 광원에 맞는 작용의 광을 출사하는 구조로 형성이 되어 있다. 이를 테면, 헤드램프에서 전방 램프를 담당하는 광원이나 상향등(High beam) 및 하향등(Low beam)에 각각 LED를 배치하여 상황에 맞는 조작에 의해 광을 출사하도록 조절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조명은 소비 전력을 증가 시키며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한정된 공간에 적용되어 공간 제약을 심하게 받는 문제, 이를테면 헤드램프가 장착되는 차량 전방 부분이 매우 협소한 점에 의해 공간상의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단일 광원을 사용하여 다수의 분할광원을 형성하여 하나의 조명 램프의 각 용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정해진 공간에서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며 램프의 점유공간을 축소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다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사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출사광의 광경로 또는 출력을 조절하여 분할광을 형성하는 광경로조절부; 및 상기 광경로조절부에서 나누어진 분할광을 출사하는 출사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광경로조절부는, 상기 광원부의 출사광을 경로를 분할하여 다수의 광경로로 변환시키는 경로조절부; 상기 분할되는 다수의 광경로에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를 포함하여 다수의 분할광을 구현하여 다양한 조명 개소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광원을 사용하여 다수의 분할광원을 형성하여 하나의 조명 램프의 각 용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정해진 공간에서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며 램프의 점유공간을 축소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헤드램프에 적용하는 경우, 헤드램프의 다양한 기능별로 배치되는 광원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상향등, 하향등 등의 다양한 기능에 대응되는 램프를 단일화하여 공간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광원을 분할하여 출사하는 발광모듈에 장착되는 형광체 플레이트의 구조를 형광체를 포함하는 광변환부의 표면이나 근접한 위치에 특정 파장을 선별할 수 있는 광선택부가 마련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광변환부로 입사되는 광원의 광 투과율을 높이고 광원이 입사된 방향으로 되돌아 나가는 것은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조명 시스템 광 설계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광변환부에서 변환된 변환광이 모든 방향(omnidirectional)으로 발산하는 것을 제어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출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변환광을 사용하는 차량용 등기구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전체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발광유닛에서 출사한 광의 광경로조절부 및 출사부를 거쳐서 출사되는 경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광선택부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택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과 출사광변환부를 구비한 구조의 조명장치를 차량용 헤드램프에 적용된 구조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전체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출사광을 방출하는 광원부(110), 상기 출사광의 광경로 또는 출력을 조절하여 분할광을 형성하는 광경로조절부(120) 및 상기 광경로조절부(120)에서 나누어진 분할광을 출사하는 출사부(130)을 포함하는 발광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부(110)는 여기광을 출사하는 다양한 광소자인 광원(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광원부(110)는 다양한 광원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일예로 고체발광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체발광소자는 LED, OLED, LD(laser diode), Laser, VCSEL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적용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차량에 적용되는 광원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하면, 차량에 적용되는 광원으로 필라멘트(filaments), 할로겐(halogen), 제논(xenon), LED등이 있으며, 차세대 광원으로 OLED, Laser, Laser Diod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가 차량 램프에 적용되는 경우에 광원은 LED와 같은 SSL( solid state light emitter) 광원 중의 하나인, Laser Diode (이하 LD)와 Laser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LD와 Laser는 LED에 비해 직진성이 강하며, 넓게 퍼지지 않으며, 편광된 빛을 갖는 특징이 구현된다. 특히 LD와 Laser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경로의 조절 및 출사광의 변환에 더욱 효율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광원부(110)는 광형상조절부(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형상조절부(112)는 상기 광원부(110) 내의 광소자 등의 광원(111)에서 출사되는 광을 평행광(collimated beam)으로 바꾸며, 일정한 크기를 갖는 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을 포함하는 광의 형태로 출사광을 조절하게 할 ㅅ 있도록 한다. 아울러, 광의 단면을 고려하는 경우, 전체 면적에서 균일한 세기(square curve)를 갖도록 여기 광원 내부의 광학장치 들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인위적으로 균일한 세기가 아니라 가우시안(gaussian) 형태의 광으로 출사될 수도 있다. 상기 광형상조절부(112)는 이러한 형상 조절을 위해 볼록렌즈, 오목렌즈, 실리더 렌즈와 시준기(collimator), 커플러(coupl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광원에서 출사한 광은 공기층(air)을 경유하여 이후 광경로조절부(120)으로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구조로 변형설계도 가능하다.
상기 광경로조절부(120)는 상기 광원부(110)에서 출사하는 광의 경로를 용도에 맞게 여러 갈래로 나누어 분할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광원부(110)에서 여기되는 여기광의 경로를 다양한 갈래로 분할하여 하나의 광원에서 다양한 광출사 유닛으로 광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테면, 차량용 헤드램프를 고려하면, 상기 광경로조절부(120)에서 분기되는 광을 하이빔용, 로우빔용, 안개등용으로 나누어 각 램프로 전달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경로조절부(120)에서는 광의 경로를 분기하기 위하여 다양한 광학장치를 포함하는 구조의 경로조절부(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로조절부(121)은 빔스프리터(beam splitter), 미러mirror), 렌즈, 광섬유 등의 다양한 광학계에 적용되는 기기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분할되는 광에 대한 출력을 조절하여 적정한 출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광경로조절부(120)에는 출력조절부(122)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출력조절부(122)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용 헤드램프의 각각의 역할(상향등, 하향등, 안개등 등)에 맞도록 출력(power)의 세기를 조정하는 신호를 전달받고, 이에 따라 출력조절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외부의 광량감지부(150)에 따른 외부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게 되는 경우에도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맞는 출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경로조절부(120)에서 분할되는 광은 상기 출사부(130)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하는 광으로 출사하게 된다. 차량용 헤드램프를 예를 들면, 상향등 기능을 수행하는 광량을 가지는 광을 출사하는 제1출사부(131), 하향등기능을 하는 광을 출사하는 제2출사부(132), 안개등 기능을 하는 광을 출사하는 제3출사부(133)과 같이 분할되는 각각의 광을 개별적으로 출사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1출사부 내지 제3출사부의 배치는 분할되는 광의 출사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배치각도를 가지게 될 수 있으며, 출사부의 수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제1출사부 내지 제3출사부에서 분할되는 광이 출사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광출사부에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구조의 출사광변환부(B)로 광을 보낼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출사광변환부(B)는 상기 분할광의 광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분할광을 흡수하여 변환광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이를 위해 상기 분할광을 흡수하여 변환광으로 변환하는 인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광변환부(200) 및 상기 출사광의 파장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상기 변환광의 파장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광선택부(300)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출사부(130)는 다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출사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출사광변환부(B)에서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광변환부의 표면이나 근접한 위치에 특정 파장을 선별할 수 있는 광선택부를 형성하여, 광변환부로 입사되는 광원의 광 투과율을 높이고 광원이 입사된 방향으로 되돌아 나가는 것은 억제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도 1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장치의 발광유닛(100)에서 출사한 광의 광경로조절부 및 출사부를 거쳐서 출사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렇게 출사되는 광이 출사광변환부(B)를 통해 변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광변환부(200)는 상기 발광유닛(100)의 출사부(130)에서 출사되는 출사광의 광경로상에 배치되며, 출사광을 흡수, 여기, 방출하여 변환시켜 변환광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광변환부(200)은 인형광(lumiphor)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광변환부(2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유닛(100)에서 여기되는 광이 도달할 수 있는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것과 같이 다수의 출사부(130)의 광출사면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광변환부(200)과 상기 발광유닛(100) 사이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변환부(200)는 상기 발광유닛(100)에서 생성된 얇은 스펙트럼 폭으로 발광하는 저파장의 출사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하여 변환광(B)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변환부(200)에서 변환된 변환광은 광변환부(2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발산될 수 있다. 이때, 사방으로 발산되는 변환광은 후술하는 광선택부(300)에 의해 반사되어 특정 방향으로 광경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선택부(300)는 상기 발광유닛(100)과 이격되며, 상기 광변환부(200)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선택부(300)은 상기 광변환부(200)과 직접 밀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상기 광선택부(300)은 상기 광변환부(200)로 입사되어 변환되는 변환광(B) 사방으로 방출되는 경우, 반사를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광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택부(300)는, 상기 광변환부(200)의 일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특히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층이 2 이상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층되는 물질의 굴절율이 다층구조로 적층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구조는 박막구조의 적층만을 예시로 하였으나, 박막과 주기적인 격자 형태의 박막층, 또는 일정한 패턴구조를 가지는 박막층의 적층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층구조는 상기 광변환부(200)에서 변환되는 변환광의 반사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광투과율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효율적인 광강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구조는 광변환부(200)의 표면, 즉 발광유닛(100)에 대향하는 면의 표면에 2층의 박막구조물을 적층하는 예를 제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광선택부(300)은 제1굴절율을 가지는 제1물질층(310)과 제2굴절율을 가지는 제2물질층(320)의 적층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물질층(310)과 제2물질층(320)의 굴절율은 상호 상이하며, 특히 굴절율의 차이가 0.1 이상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굴절율의 차이가 0.1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적층구조로 반사율이 떨어지게 되며, 투과율의 제어가 어렵게 되며, 적층구조의 특수성을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광선택부(300)의 적층구조에서는 광변환부의 표면과 밀착하는 부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낮은 물질이 적층되고, 이후 굴절율이 높은 물질이 적층되는 구조가 교번하여 적층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테면, 제1물질층(310)의 굴절율이 1.4인 경우, 제2물질층(320)의 굴절율은 1.5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층 구조의 굴절율이 상이한 물질이 다층으로 구현되는 구조로 다양하게 적층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굴절율의 차이가 0.1 이상 나는 제1물질층(310)과 제2물질층(320)이 상호 교번하여 적층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반사율을 높일 수 있으며, 광 컨트롤 면에서 매우 유리하게 된다. 즉, 다층구조로 형성하는 광선택부(300)는 상기 광변환부(200)으로 진입하는 출사광(A)의 중심파장(I_max)의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광변환부(300)의 내부에서 파장 변환된 변환광(B)의 반사율을 변환광 주파장의 60% 이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구현예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층의 수를 상술한 제1물질층(310)과 제2물질층(320)의 교번 적층시 5층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장비의 박형화를 위해서는 5층 이상 30층 이하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선택부(300)은 [(L/2)H(L/2)]S의 형태로 박막을 생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L은 저굴절물질의 광학두께, H는 고굴절물질의 광학두께, S는 본문 수식에 대한 교번적층수를 의미). 일예로, 상기 광선택부를 구현하는 경우, L-S-H (Low index material/Substrate/High index material) 중 S가 이미 1.5 정도, L은 1.45, H는 자유도의 폭이 큰바 2.3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L과 H의 차이는 크면 클수록 좋은데, H가 L+0.1 이하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을 가정하는 경우라면, L=1.45, S=1.50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양하게 설정 범위를 다르게 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광선택부는 TiO2, SiO2 등의 반사율과 투과율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층의 방법은 스퍼터링이나 증착, 디핑(dipping), 스프레이(spray) 코팅 등의 공정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선택부(3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구조는 독립적인 필름이나 플레이트 부재 등의 기판(400) 상에 광선택부(300)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400)을 접착부재(410)을 매개로 상기 광변환부(200)에 접착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기판(400)은 광투과성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유리기판이나 수지재질의 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판(400)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재질이면 상술한 광선택부(200)의 박막구조물을 스퍼터링이나 증착, 디핑(dipping), 스프레이(spray) 코팅 등의 공정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접착부재(410)은 상기 기판(400)을 투과한 출사광이나 변환광이 상기 광변환부(2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광투과성재질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접착부재(410)는 투명 고분자 시트로서, PMMA, A-PET, PETG, P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광성능이 좋은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400)을 채용하여 상기 광변환부(200)와 접착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경우, 직접 광선택부(300)을 광변환부(200) 상에 적층하는 것보다 기판 자체에 적층구조를 별도로 구현하여 접착하는바, 공정이 용이해지며 광선택부과의 접착신뢰성이 좋은 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전체적인 접합성이 좋아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100)과 출사광변환부(B)를 구비한 구조의 조명장치를 차량용 헤드램프에 적용된 구조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발광유닛(100)에서 출사한 광이 다수의 분할광으로 분할되어 차량용 헤드램프의 다양한 출사부(상향등, 하향등, 안개등)로 출력이 제어되는 상태로 전달되며, 이후 각각의 출사부에서 출사되는 광은, 광변환부(200)에서 변환되어 일부의 변환광이 리플렉터(500)으로 진행하며, 발광유닛쪽으로 변환되어 진행하던 변환광의 일부는 광선택부(30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리플렉터(500)로 회귀하여 출사(X)되는바, 광의 집중도를 향상시키며 광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헤드램프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박막화한 광선택부의 구성은 하우징(Y)등의 구조물에 국부적인 설치만으로 구현이 가능한바, 전체적인 램프 하우징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단일 광원을 사용하여 다수의 분할광원을 형성하여 하나의 조명 램프의 각 용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정해진 공간에서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며 램프의 점유공간을 축소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발광유닛
110: 광원부
120: 광경로조절부
130: 출사부
140: 제어부
150: 광량감지부
B: 출사광변환부
200: 광변환부
300: 광선택부

Claims (10)

  1. 출사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출사광의 광경로 또는 출력을 조절하여 분할광을 형성하는 광경로조절부; 및
    상기 광경로조절부에서 나누어진 분할광을 출사하는 출사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여기광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여기광의 형상을 조절하는 광형상조절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조절부는,
    상기 광원부의 출사광을 경로를 분할하여 다수의 광경로로 변환시키는 경로조절부;
    상기 분할되는 다수의 광경로에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광 또는 상기 분할광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 외부의 광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의 출력조절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광량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사부는,
    상기 분할광의 광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분할광을 흡수하여 변환광으로 변환하는 출사광변환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사광변환부는,
    상기 분할광을 흡수하여 변환광으로 변환하는 인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광변환부; 및
    상기 출사광의 파장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상기 변환광의 파장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광선택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출사광변환부는,
    상기 다수의 출사부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조명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선택부는,
    상기 광변환부의 일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층이 2 이상 적층되는 조명장치.
  10. 청구항 4의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40020398A 2014-02-21 2014-02-21 조명장치 KR102225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398A KR102225333B1 (ko) 2014-02-21 2014-02-21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398A KR102225333B1 (ko) 2014-02-21 2014-02-21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974A true KR20150098974A (ko) 2015-08-31
KR102225333B1 KR102225333B1 (ko) 2021-03-09

Family

ID=5406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398A KR102225333B1 (ko) 2014-02-21 2014-02-21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3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565A (ko) * 2010-01-18 2011-07-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판
JP2013020104A (ja) * 2011-07-12 2013-01-31 Sony Corp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3134887A (ja) * 2011-12-26 2013-07-0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565A (ko) * 2010-01-18 2011-07-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형광판
JP2013020104A (ja) * 2011-07-12 2013-01-31 Sony Corp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3134887A (ja) * 2011-12-26 2013-07-0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333B1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3562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JP5641332B2 (ja) 灯具
US8919977B2 (en) Lamp comprising a phosphor, radiation source, optical system and heatsink
CN105864647B (zh) 发光装置
CN104576881A (zh) 发光二极管封装结构
EP3399226B1 (en) Light emitting device, optical module comprising same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module
JP2012216326A (ja) 車両用灯具
US20170299798A1 (en) Light-Emitting Apparatus and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139067B2 (en) Laser car lamp
US20160109100A1 (en) Lighting apparatus
KR102366387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TWI487864B (zh) 輻射發光裝置及其用途
US10371337B2 (en) Light-emitting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KR102266738B1 (ko) 조명 장치
US20130272025A1 (en) Lighting device and cove lighting module using the same
ATE329204T1 (de) Dünne, plattenförmige kraftfahrzeugleuchte
WO2017002723A1 (ja)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1619832A (zh) 照明装置
JP5110387B2 (ja) 車両用灯具、及び、多光源制御レンズ
KR20150098974A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50090458A (ko) 광변환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차량용 램프
WO2009157098A1 (ja) 光加算装置
WO2021012883A1 (zh) 一种照明装置及汽车大灯
KR102201047B1 (ko) 조명장치
CN210511473U (zh) 用于车辆的灯具和具有该灯具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