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862A -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 Google Patents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862A
KR20150098862A KR1020140020213A KR20140020213A KR20150098862A KR 20150098862 A KR20150098862 A KR 20150098862A KR 1020140020213 A KR1020140020213 A KR 1020140020213A KR 20140020213 A KR20140020213 A KR 20140020213A KR 20150098862 A KR20150098862 A KR 2015009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oling water
heater
heat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3024B1 (en
Inventor
장길상
김준수
박수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024B1/en
Publication of KR2015009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8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failure of detection or safety means; Diagnostic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n intermediate liq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6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2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 B60H2001/223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for proper or safe operation of the 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8Connectors, water supply, housing, mounting brack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ant heating type heater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coolant heating type heater wherein an outlet is extended from a top to allow bubbles to smoothly be discharged from an inside of a heating pipe. As such, the coolant heating type heater has improved stability.

Description

냉각수 가열식 히터{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0001]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0002]

본 발명은 냉각수 가열식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출구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연장됨으로써 발열파이프 내부의 기포가 용이하게 배출되어 안전성을 더욱 높인 냉각수 가열식 히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ant-heated heater that extends from an upper portion thereof with an outlet portion mounted thereto, thereby easily discharging bubbles inside the heat-generating pipe, thereby further enhancing safety.

본 발명은 냉각수 가열식 히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 난방을 위한 냉각수를 가열하는 냉각수 가열식 히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ant-heated h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ant-heated heater that heats coolant for heating the vehicle interior.

휘발유, 경유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이 현재 가장 일반적인 차량의 형태이나, 이러한 차량용 에너지원 역시 환경오염 문제 뿐 아니라 석유 매장량의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새로운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는 바, 현재 가장 실용화 단계에 가까운 기술 중 하나가 연료 전지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구동되는 차량이다.Vehicles powered by engines powered by gasoline, diesel, and other energy sources are currently the most common forms of vehicles, but these automotive energy sources also require new sources of energy due to a variety of cause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reduced oil reserves.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is near to the practical use stage is a vehicle driven by a fuel cell as an energy source.

그런데, 이와 같은 연료 전지를 사용하는 차량에서는 종래의 석유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엔진을 가지는 차량과는 달리 냉각수를 이용한 히팅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석유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의 경우 엔진에서 매우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고,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순환 시스템이 구비되며, 냉각수가 엔진으로부터 흡수한 열을 실내 난방에 이용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엔진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많은 열이 연료 전지를 사용하는 차량의 구동원에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난방 방식을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a vehicle using such a fuel cell, a heating system using cooling water can not be used unlike a conventional vehicle having an engine using oil as an energy source. That i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vehicle using an engine using an oil as an energy source as the driving source, a lot of heat is generated in the engine, a cooling water circulation system for cooling the engine is provided, . However, since a large amount of heat such as that generated by the engine does not occur in the driving source of the vehicle using the fuel cell, there has been a limit to such a conventional heating method.

이에 따라 연료 전지 차량에서는, 공조 시스템에 열펌프(heat pump)를 추가하여 이를 열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전기 히터와 같은 별도의 열원을 구비하거는 등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전지 히터는 공조 시스템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냉각수를 가열할 수 있어 현재 광범위하게 실제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in the fuel cell vehicl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uch as adding a heat pump to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using it as a heat source, or providing a separate heat source such as an electric heater. Among them, the battery heater can heat the cooling water more easily without greatly affect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actual use is widely practiced at present.

도 1은 종래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 중 하나인 일본특허공개 제2008-056044호("열매체 가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2008.03.13)를 도시하였다.Fig. 1 show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056044 ("heating medium heat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using the same, " 2008.03.13), which is one of conventional cooling water heating type heaters.

상기 일본공개특허공개 제2008-056044호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는, 발열원인 PTC 전극판의 상하부에 판형 핀을 배치하고, 냉각수가 상기 판형 핀을 통과하여 유통되도록 하여, PTC 전극판으로부터 냉각수로의 열전달효율을 높여 냉각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The cooling water heater of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8-056044 has plate-shaped fins dispos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TC electrode plate causing heat generation, cool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plate-shaped fins, and heat transfer efficiency So that the cooling water can be heated more effectively.

그런데, 이와 같은 냉각수 가열식 히터의 경우 충분한 냉각수 가열 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포함한 문제점을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However, such a coolant-heated heate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effect of heating the coolant, and the problem including this is described below again.

첫째, 발열원(PTC 전극판)이 별도의 부품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부품 수가 많아지고, 부피 및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PTC 전극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냉각수로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고 일부가 바깥쪽으로 전달되어 열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셋째, PTC 전극판으로부터 냉각수로의 열전달 경로 상에 절연층 등 여러 물체들이 존재하여 열저항이 커지고, 따라서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넷째, 이러한 형태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를 차량에 장착할 때 냉각수 파이프라인이나 전기 공급선 회로 등의 설계가 복잡해지며, 또한 냉각수 가열식 히터 자체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실제 장착이 어려워진다.
First, since the heat source (PTC electrode plate) is inserted into a separate component,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nd the volume and weight increase. Seco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TC electrode plate can not be completely transferred to the cooling water, and a part of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o generate heat loss. Third, there exist various objects such as an insulating layer on the heat transfer path from the PTC electrode plate to the cooling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heat resistance and thus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inferior. Fourth, the design of the cooling water pipeline and the electric supply line circuit becomes complicated when the cooling water heater of this type is mounted on the vehicle. Moreover, since the size of the cooling water heater is large, actual mounting becomes difficult.

즉,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장착이 용이하면서도, 부피, 중량,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냉각수 가열식 히터가 요구되고 있다.
That is, there is a demand for a coolant-heated heater that can effectively cool cooling water,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can reduce volume, weight, unit cost, and can secure safety.

일본특허공개 제2008-056044호 ("열매체 가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2008.03.13)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056044 ("Heat medium hea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using the same, " 2008.03.13, 200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 가열식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출구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연장됨으로써 발열파이프 내부의 기포가 용이하게 배출되어 안전성을 더욱 높인 냉각수 가열식 히터에 관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water heat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water he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water heating type heater in which air bubbles are easily discharged to further enhance safety.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냉각수센서, 및 제2냉각수센서와, 발열부센서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센싱된 정보를 통해 발열부를 제어함으로써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높인 냉각수 가열식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cooling water, which includes a first cooling water sensor, a second cooling water sensor and a heating unit sensor and which can effectively heat cooling water by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through information sensed therethrough, .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과열방지수단이 구비되어 과열에 의한 화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기판과 발열부 사이의 열을 차단하는 열전달방지판이 구비되어 발열부의 열에 의한 기판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열부센서의 장착이 용이한 냉각수 가열식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verheat preventing unit that prevents fire due to overheating and prevents heat damage to the substrate due to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And a coolant-heated heater that can easily be mounted on the heater unit.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실내 난방을 위한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파이프(210)와, 상기 파이프(210) 외면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발열부(220)를 포함하는 발열파이프(200); 상기 파이프(2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입구부(310);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210)의 타측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출구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oling water heat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ase 100a and an upper case 100b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ertain space therein. A heating pipe 200 including a pipe 210 provid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nd a heating unit 22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ipe 210, ; An inlet 31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ipe 210 and protruding outside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nd an outlet 320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nd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pipe 210 in a mounted state.

또한, 상기 입구부(310)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2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nlet part 310 is extended from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pipe 210 in a mounted state.

또, 상기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b) 내부에 구비되는 기판(600); 상기 기판(600)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부(220) 외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발열부센서(400); 및 상기 발열부센서(400)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통해 상기 발열부(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heater 1000 may include a substrate 600 disposed inside the upper case 100b; A heater unit 400 provided on the substrate 60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er 22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220 through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heating unit sensor 400.

아울러, 상기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기판(600)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부(3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냉각수센서(510) 및 상기 기판(600)에 구비되어 상기 출구부(3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냉각수센서(5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냉각수센서(510) 및 제2냉각수센서(520)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통해 상기 발열부(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ling water heater 1000 may include a first cooling water sensor 510 provided on the substrate 600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310 and a second cooling water sensor 510 provided on the substrate 60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outlet 32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through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first cooling water sensor 510 and the second cooling water sensor 520, To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또한, 상기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발열파이프(200) 상측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발열파이프(200) 외면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발열부(2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열방지수단(800); 및 상기 기판(600)과 발열부(220) 사이를 차단하는 판형태로,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이 장착되도록 중공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열전달방지판(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generating pipe 200 rises above a reference temperature, the cooling-water-heated heater 1000 is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generating unit 220 Overheating prevention means 800; And a heat transfer prevention plate 700 in the form of a plate for blocking the gap between the substrate 600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and having a hollow hollow portion for mounting the overheat preventing unit 800 thereon .

또,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은 상기 몸체(810)의 하측을 차단하며, 외면이 상기 발열부(220)의 외면에 접하는 곡면형태의 캡(820)과, 상기 몸체(810)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메탈(830)과, 상기 바이메탈(830)의 변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핀(840)과, 상기 브라켓(85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핀(840)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단자(860)와, 상기 이동단자(860)와 접촉하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발열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단자(870)와, 상기 접촉단자(87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8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811)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220)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바이메탈(830)이 변형되고, 상기 이동단자(860)와 접촉단자(870)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발열부(22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verheat preventing unit 800 includes a curved surface cap 820 that blocks the lower side of the body 810 and has an outer surface contacting an out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A pin 840 which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deformation of the bimetal 830 and a pin 840 which is fixed by the bracket 850 and which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pin 840, A contact terminal 870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heating unit 220 when the contact terminal 860 contacts the contact terminal 860, The bimetal 830 is deformed and the contact 870 between the moving terminal 860 and the contact terminal 870 is deform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220 rises above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power supply to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is interrupted.

또, 상기 발열부(220)는 상기 파이프(210)의 일정 영역에 형성되는 절연층(221)과, 상기 절연층(221)의 상측 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222)과, 상기 절연층(221)의 상측 면에 상기 전극(222)과 통전되도록 형성되는 탄소나노튜브 발열층(223)과, 상기 절연층(221)의 상측 면에 상기 전극(222) 및 발열층(223)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층(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221 form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pipe 210 and a pair of electrodes 2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21, A carbon nanotube heating layer 2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21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222 and a carbon nanotube heating layer 2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21, And a protective layer 224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protective layer 223.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는 출구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연장됨으로써 발열파이프 내부의 기포가 용이하게 배출되어 안전성을 더욱 높인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bubbles in the heat pipe are easily discharged by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in a state where the outlet is mounted, thereby further enhancing safety.

또,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는 제1냉각수센서, 및 제2냉각수센서와, 발열부센서를 포함하여 이를 통해 센싱된 정보를 통해 발열부를 제어함으로써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높인 장점이 있다. The cooling water heating type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oling water sensor, a second cooling water sensor, and a heating unit sensor, and can control the heating unit through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first cooling water sensor, the cooling water can be effectively heated, .

아울러,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는과열방지수단이 구비되어 과열에 의한 화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기판과 발열부 사이의 열을 차단하는 열전달방지판이 구비되어 발열부의 열에 의한 기판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열부센서의 장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heating type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to prevent a fire or the like due to overheating, and is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prevention plate for blocking heat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it is easy to mount the sensor of the heating unit.

도 1은 종래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가열식 히터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냉각수 가열식 히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가열식 히터의 횡방향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가열식 히터의 종방향 단면도.(도 5은 과열방지수단이 구비되는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발열부센서가 구비되는 영역의 단면도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가열식 히터의 발열파이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가열식 히터의 과열방지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가열식 히터의 다른 횡방향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oling water heat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er for cool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water heater shown in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heater for cool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of a coolant-heated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gion where overheating prevention means is provided, and FIG. 6 is a cross-
7 is a view showing an exothermic pipe of a cooling water heating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uperheating prevention means of a cooling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other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ooling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oling water heat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의 횡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과열방지수단이 구비되는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발열부센서(400)가 구비되는 영역의 단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ant-heated heat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shown in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gion where the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is provided,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gion where the heating portion sensor 400 is provided.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실내 난방을 위하여 냉각수를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하부케이스(100a), 상부케이스(100b), 발열파이프(200), 입구부(310) 및 출구부(320)를 포함한다. The cooling water heat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ase 100a, an upper case 100b, an exothermic pipe 200, an inlet 310 and an outlet 320, .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는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를 구성하는 기본 몸체로서, 나머지 구성들이 구비되도록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한다.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constitute a basic body constituting the coolant heating type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ertain space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provided.

더욱 상세하게,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는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발열부(220) 형성 영역을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단부에 상기 입구부(310) 및 출구부(32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include a region for form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20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therein.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r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inlet 310 and the outlet 320.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상기 발열부(220)로 전원을 공급함을 제어하는 기판(600)(및 다른 전자 기기)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부케이스(100b)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부(140)가 형성된다. A substrate 600 (and other electronic equipment)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may be provid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nd a connector unit 140 for connecting a power line for power supply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0b.

상기 발열파이프(200)는 관형태로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되는 파이프(210)와 상기 파이프(210)의 외면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발열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내부에 구비된다. The heating pipe 200 includes a pipe 210 in which cooling water flows in a tubular shape and a heating unit 22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ipe 210 to generate heat, And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00b.

즉, 상기 발열파이프(200)는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되며, 외면의 발열부(220)가 작동되어 상기 냉각수를 가열한다. That is, the cooling water flows in the heating pipe 200, and the heating unit 220 on the outer surface operates to heat the cooling water.

상기 발열부(22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층(221), 전극(222), 탄소나노튜브 발열층(223), 및 보호층(224)을 포함할 수 있다. 7, an insulating layer 221, an electrode 222, a carbon nanotube heating layer 223, and a protective layer 224 (not shown) ar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221, ).

다시 말해, 상기 발열부(220)는 상기 파이프(210)의 일정 영역에 형성되는 절연층(221)과, 상기 절연층(221)의 상측 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222)과, 상기 절연층(221)의 상측 면에 상기 전극(222)과 통전되도록 형성되는 탄소나노튜브 발열층(223)과, 상기 절연층(221)의 상측 면에 상기 전극(222) 및 발열층(223)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층(2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generating unit 220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221 form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pipe 210 and a pair of electrodes 2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21, A carbon nanotube heating layer 2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21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222; And a protective layer 224 formed to surround the layer 223.

상기 입구부(310) 및 출구부(320)는 상기 파이프(2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된다. The inlet 310 and the outlet 320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pipe 210 and protrude out of the case 100.

즉, 상기 입구부(310), 파이프(210) 및 출구부(3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냉각수가 누설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That is, the inlet 310, the pipe 210, and the outlet 320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the cooling water can be reduced.

이 때, 상기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입구부(310), 발열파이프(200), 및 출구부(320)가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입구부 영역(A1)과, 내경이 증가되는 확관 영역(A2)과, 상기 발열부(220)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내경이 동일한 발열파이프 영역(A3), 내경이 감소되는 축관 영역(A4), 및 출구부 영역(A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참조)At this time, the coolant-heating type heater 1000 has the inlet portion 310, the exothermic pipe 200, and the outlet portion 320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let region A1, And an outlet region A5 form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20 and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heat generating pipe region A3, the inner diameter reducing inner diameter region A4, and the outlet region A5 . (See Fig. 4)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발열부(220)가 형성된 발열파이프(200)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coolant can be effectively heated by sufficiently securing the space of the heat-generating pipe 200 in which the heat-generating unit 220 is formed.

이 때, 상기 출구부(320)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210)의 타측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외부로 돌출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outlet portion 320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pipe 210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즉, 상기 출구부(320)는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파이프(210) 상측 부분에서 그대로 연장되며, 상기 축관 영역(A4)은 상기 파이프(210) 하측 부분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4 및 도 9 참조)That is, the outlet 320 directly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ipe 210 of the heat-generating pipe 2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210 is inclined upward. 4 and Fig. 9)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출구부(3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연장됨으로써 발열파이프(200) 내부의 기포가 용이하게 배출되어 안전성을 더욱 높인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bubbles in the heat-generating pipe 200 are easily discharged by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in a state where the outlet 320 is mounted, thereby further enhancing safety.

또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구부(310) 역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2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4, the inlet 310 may also extend from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pipe 210 in a state where the inlet 310 is mounted.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입구부(310), 발열파이프(200) 및 출구부(320)는 상측 부분이 동일한 선을 갖도록 형성된다.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inlet 310, the exothermic pipe 200, and the outlet 320 are form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has the same line.

상기 발열파이프(200) 내부의 기포는 냉각수의 가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국부적인 과열의 원인이 되므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출구부(3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연장됨으로써 내부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과열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bubbles in the heating pipe 200 not only hinder the heating of the cooling water but also cause a local overheating. Therefore, the cooling water heating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in a state where the outlet portion 320 is mounted, The inner bubbles can be easily discharged, and the risk of overheating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기판(600), 발열부센서(400),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600, a heater unit 400, and a controller (not shown).

상기 기판(600)은 상기 발열부센서(400) 등의 전원이 필요한 부분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발열부센서(400)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ubstrate 600 is a part to which power for supplying the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 or the like is supplied and a configuration for storing or transmitting the sensed informa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 is mounte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othermic pipe (200).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발열부(22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기판(600)이 손상될 가능성을 차단하도록, 상기 기판(600)과 발열부(220) 사이에 판형태의 열전달방지판(700)이 구비될 수 있다.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600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to prevent the substrate 600 from being damag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A heat transfer prevention plate 700 may be provided.

상기 발열부센서(400)는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발열부(220) 외면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이다. The heating unit sensor 400 measures a temperature of an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unit 220 of the heating pipe 200.

이 때, 상기 발열부센서(40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부(220)의 양측 단부에 제1발열부센서(400a) 및 제2발열부센서(400b)를 포함하여 2개 형성될 수 있으며, At this time,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part sensors 400 may be provided, and a first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a and a second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b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eat generating part 220, Lt; / RTI >

이는 차량 운행 중에 차량 위치에 따라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가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경우, 특정 영역에서 냉각수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른 과열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is is so that when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is positioned to be tilted according to the vehicle position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it is possible to sense overheating due to the absence of coolant in a specific area.

물론, 상기 발열부센서(400)의 개수 및 위치는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Of course,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heat generating part sensors 400 may be variously formed.

상기 발열부센서(4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상기 제1발열부센서(400a) 및 제2발열부센서(400b)가 상기 열전달방지판(700)에 센서장착홈(702)이 형성되고, 이에 고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a and the second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b may be fixed to the heat transfer prevention plate 700 by a sensor The mounting groove 702 is formed and can be fixed thereto.

도 4,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발열부센서(400a) 및 제2발열부센서(400b)는 센싱부(410)와 보스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보수부의 일정영역이 상기 센서장착홈(702)에 삽입되어 별도의 고정볼트(430)에 의해 열전달방지판(700)에 고정될 수 있다. 4, 6 and 9, the first heating sensor 400a and the second heating sensor 400b include a sensing unit 410 and a boss unit 420, A predetermined region may be inserted into the sensor mounting groove 702 and fixed to the heat transmission prevention plate 700 by a separate fixing bolt 430.

상기 센싱부(410)는 상기 발열부(220) 표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며, 상기 보스부(420)는 상기 센싱부(4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단부 일정영역이 상기 센서장착홈(702)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The boss unit 42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ensing unit 410 so that a predetermined area of the end of the sensing unit 410 contacts the sensor mounting groove 702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즉, 상기 제1발열부센서(400a) 및 제2발열부센서(400b)는 상기 보스부(420)의 열전달방지판(700)이 상측으로 돌출된 영역에 상기 고정볼트(430)가 체결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heating part sensor 400a and the second heating part sensor 400b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xing bolt 430 is fastened to a region where the heat transfer prevention plate 700 of the boss part 420 protrudes upward .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부센서(400)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통해 상기 발열부(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220 through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heating unit sensor 400.

또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냉각수센서(510) 및 제2냉각수센서(5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냉각수센서(510) 및 제2냉각수센서(520)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통해 상기 발열부(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oling water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cooling water sensor 510 and a second cooling water sensor 52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cond cooling water sensor 520.

이 때, 상기 제1냉각수센서(510)는 상기 입구부(310)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2냉각수센서(520)는 상기 출구부(320)의 온도를 측정하여 냉각수의 가열이 필요한지, 냉각수가 충분히 가열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cooling water sensor 510 is position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310, and the second cooling water sensor 52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outlet 32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oling water is sufficiently heated.

또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입구부(310) 또는 출구부(320)에 상기 커넥터부(140)와 전선(340)을 통해 연결되는 그라운드단자부(3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cooling water heat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terminal part 330 connected to the connector part 140 through the electric wire 340 to the inlet part 310 or the outlet part 320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 May be further provided.

도 3에서, 상기 그라운드단자부(330)는 상기 출구부(320)에 형성되는 예를 나타냈으며, 상기 출구부를 감싸는 형태이다. 3, the ground terminal portion 330 is formed at the outlet portion 320, and the outlet portion is enclosed.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그라운드단자부(330)가 형성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safe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forming the ground terminal portion 330.

또,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안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발열파이프(200) 외면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발열부(2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열방지수단(8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 ~ 내지 도 5 및 도 8 참조)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verheat preventing unit 800 for sh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rises above a reference temperature, ) May be further provided. (See Figs. 4 to 5 and 8)

다시 말해,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은 상기 제어부의 작동과는 별개로,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발열부(220) 온도(외면)를 직접 센싱하여 일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에, 상기 발열부(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In other word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art 220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is directly sensed by the overheat preventing device 800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art 220 is over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he power supply to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is cut off.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은 상기 기판(600)에 고정되어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외면에 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800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6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은 바이메탈(830)을 이용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도 6에 그 일 예를 나타내었다. A means using the bimetal 830 may be used as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800, and an example thereof is shown in FIG.

상기 도 8에 도시한 과열방지수단(800)은 몸체(810)와, 상기 몸체(810)의 하측을 차단하며, 외면이 상기 발열부(220)와 접하는 캡(820)과, 상기 몸체(810)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메탈(830)과, 상기 바이메탈(830)의 변형에 의해 상ㆍ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핀(840)과, 브라켓(85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핀(840)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단자(860)와, 상기 이동단자(860)와 접촉되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발열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단자(8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8 includes a body 810 and a cap 820 that cuts off the lower side of the body 810 and has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A pin 840 which is mov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by the deformation of the bimetal 830 and a pin 840 fixed by the bracket 850 and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pin 840 And a contact terminal 870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heating unit 220 when the moving terminal 860 is in contact with the moving terminal 860.

더욱 상세하게, 도 8을 참조로, 바이메탈(810)을 이용하는 과열방지수단(8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 8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부(22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바이메탈(830)의 변형에 의해 상기 핀(840)이 상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단자(860)가 상기 접촉단자(87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단자(860)와 접촉단자(870) 간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발열부(22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8, the operation of the overheat preventing unit 800 using the bimetal 81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8A,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pin 840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deformation of the bimetal 830 and the moving terminal 860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ontact terminal 87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act between the movable terminal 860 and the contact terminal 870 is released and the power supply to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is interrupted.

반대로, 도 8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작동 시에는 상기 핀(840)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단자(860)와 접촉단자(870)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발열부(210) 및 제2발열부(310)의 작동이 유지된다. 8 (b), the pin 840 is moved downward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 movable terminal 860 and the contact terminal 87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21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310 is maintain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발열부센서(400), 제1냉각수센서(510), 및 제2냉각수센서(520)와 제어부가 연동됨으로써 제어가 용이하고, 제어부의 작동과는 별개로 과열방지수단(800)이 작동됨으로써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controlled by interlocking the control unit with the heat-generating-portion sensor 400, the first coolant sensor 510, and the second coolant sensor 520, There is an advantage that safety can be further increased by operating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800 separately.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열전달방지판(700)은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의 높이를 고려하여 일정영역이 중공되는 중공부(70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판(600)에도 일정 영역이 중공되는 중공부(601)가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overheat preventing unit 800 is provided, the heat transfer preventing plate 700 may be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701 hollow in a predetermined region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800, A hollow portion 601 hollow in a certain region may be formed.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은 몸체(81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고정수단(900)이 하부케이스(100a)에 고정되어 장착된 예를 나타내 것으로서, 이 외에도 다양한 고정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4 and 5,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800 is an example in which the fixing means 900, which is installed to enclose the body 810, is fixed to the lower case 100a, Can be used.

또한,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은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되, 상기 발열부센서(400)가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에 인접한 측면에서 발열부(2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발열부센서(4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verheat prevention unit 800 is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art 220 on the side adjacent to the overheating prevention unit 800 And a third heater sensor 400c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상기 제3발열부센서(400c)는 상기 제1발열부센서(400a) 및 제2발열부센서(400b)와 같이 발열부(220)의 온도를 측정가능한 수단으로서,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에 인접하여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의 작동 이전에 발열부(22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third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c is a means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art 220 such as the first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a and the second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b,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is controlled before the operation of the overheat preventing unit 800 is performed.

이 때, 상기 제3발열부센서(400c)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이 구비됨을 방해하지 않도록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rd heat generating part sensor 400c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so as not to obstruct the provision of the overheating preventing part 800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는 제1실링부재(110), 제2실링부재(120), 및 제3실링부재(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aling member 110, a second sealing member 120, and a third sealing member 130.

상기 제1실링부재(11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가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사이의 밀폐성을 높이는 구성이다. The first sealing member 110 is provided on a surface where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enhance airtightness between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는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입구부(310) 및 출구부(320)가 안착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맞닿아 결합되므로, 상기 제1실링부재(110)는 상기 발열파이프(200)를 사이에 두고 내부 일정 공간을 감싸는 "ㄷ"자 형태의 제1-1실링부(111) 및 제1-2실링부(113)와, 상기 제1-1실링부(111)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연장부(112)와, 상기 제1-2실링부(113)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14)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xcept for a region where the inlet 310 and the outlet 320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are seated, 110 has a "1-1" sealing part 111 and a 1-2 sealing part 113 which surround the internal fixed space with the heat pipe 200 interposed therebetween, A pair of first extending portions 112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ealing portion 111 i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and a pair of second extending portions 112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portions 113, And a second extension 114 extending in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200.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제1-1실링부(111) 및 제1-2실링부(113)를 통해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입구부(310) 및 출구부(320)가 안착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하부케이스(100a)와 상부케이스(100b)가 맞닿는 영역을 밀폐하며, 상기 제1-1실링부(111)의 양단부에 상기 제1연장부(112) 및 상기 제1-2실링부(113)의 양단부에 상기 제2연장부(11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실링부재(110)의 형성 영역이 연장되어 밀폐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oling water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inlet 310 and the outlet 310 of the heat pipe 2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parts 111 and 113, The first extension part 11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1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parts 111 and 111, respectively,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114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portions 113 and 113 so that a region where the first sealing member 110 is formed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Can be further increased.

이 때,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는 하나 또는 양측에 상기 제1실링부재(110)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101)이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have a first seating groove 101 on one or both sides on which the first sealing member 110 is seated to facilitate assembly of the sealing member .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제1안착홈(101)이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양측에 모두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5 and 6 show examples in which the first seating groove 10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상기 제1실링부재(1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The first sealing member 110 may be formed a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ay be modified to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상기 제2실링부재(120)는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입구부(31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와 맞닿는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제3실링부재(130)는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출구부(320)가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와 맞닿는 둘레에 구비된다. The second sealing member 120 is provided around the inlet 310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to contact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nd the third sealing member 130 An outlet 320 of the heat pipe 200 is provided around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상기 제2실링부재(120) 및 제3실링부재(130)는 상기 발열파이프(200)의 입구부(310) 및 출구부(32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와 맞닿는 영역을 밀폐한다. The second sealing member 120 and the third sealing member 130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inlet 310 and the outlet 320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and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

이 때, 상기 발열파이프(200)는 상기 입구부(310)에 상기 제2실링부재(120)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입구부(310) 둘레에 오목 또는 볼록한 제1장착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출구부(320)에 상기 제3실링부재(130)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출구부(320)에 상기 제3실링부재(130)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출구부(320) 둘레에 오목 또는 볼록한 제2장착부(321)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heat pipe 200 has a concave or convex first mounting portion 311 around the inlet portion 310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econd sealing member 120 is seated in the inlet portion 310 The third sealing member 130 is formed in the outlet 320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third sealing member 130 is seated in the outlet 320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third sealing member 130 is seated in the outlet 320. [ A concave or convex second mounting portion 321 is formed arou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20.

도 4 및 도 9는 상기 제1장착부(311) 및 제2장착부(321)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예를 나타내었다. 4 and 9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mounting portion 311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21 protrude outward.

즉, 상기 입구부(310) 및 출구부(320)는 상기 파이프(210)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부분이므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입구부(310)에 제1장착부(311) 및 상기 출구부(320)에 제2장착부(3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실링부재(120) 및 제3실링부재(130)의 정확한 구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since the inlet portion 310 and the outlet portion 320 are extended from the pipe 210, the coolant-heating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mounting portion 311 on the inlet portion 310,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21 is formed at the outlet portion 320, the accurate position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120 and the third sealing member 130 can be determined.

이 때,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는 상기 제2실링부재(120)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제3실링부재(130)가 안착되는 제3안착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re formed with the second seating groove 102 on which the second sealing member 120 is seated, and the third sealing member 120 on which the third sealing member 130 is seated. 3 seating grooves 103 can be formed.

또한, 도 4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구부(310)에 제1장착부(31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출구부(320)에 제2장착부(321)가 돌출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안착홈(102)은 상기 제1장착부(311)와 제2실링부재(12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안착홈(103) 역시 상기 제2장착부(321)와 제3실링부재(13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4 and 9, when the first mounting portion 311 is protruded from the inlet portion 310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21 is protruded from the outlet portion 320, The second seating groove 102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receive the first seating portion 311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120 and the third seating groove 103 is also formed i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21 and the third sealing member 130, as shown in FIG.

또,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발열부(220)가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00a)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210) 하측 일정 영역이 돌출되는 회전방지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00a)에 상기 회전방지부(230)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회전방지홈(10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도 6, 및 도 9 참조)
The cooling water heate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preventing part 230 protruding from a certain lower area of the pipe 210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art 220 can be fixed to the lower case 100a at an accurate position. And a recessed rotation preventing groove 104 may be formed in the lower case 100a to insert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230 into the lower case 100a. (See Figs. 4, 6, and 9)

한편, 도 9에 도시한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형태와 동일하되, 발열파이프(200)의 상기 출구부(320)만 상기 파이프(210)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된 예를 나타내었다.
9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4 except that only the outlet 320 of the heat generating pipe 200 is exten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ipe 210 Respectively.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발열부센서(400), 제1냉각수센서(510), 및 제2냉각수센서(520)를 통해 발열부(220)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과열됨에 따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보다 높인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control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through the heat-generating-portion sensor 400, the first coolant sensor 510, and the second coolant sensor 520 The cooling water can be effectively heated, and problems caused by overheating can be prevented beforehand, thereby improving safety.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0 : 냉각수 가열식 히터
100a : 하부케이스
100b : 상부케이스
101 : 제1안착홈 102 : 제2안착홈
103 : 제3안착홈
104 : 회전방지홈
110 : 제1실링부재 111 : 제1-1실링부
112 : 제1연장부 113 : 제1-2실링부
114 : 제2연장부
120 : 제2실링부재
130 : 제3실링부재
140 : 커넥터부
200 : 발열파이프 210 : 파이프
220 : 발열부 221 : 절연층
222 : 전극 223 : 탄소나노튜브 발열층
224 : 보호층
230 : 회전방지부
310 : 입구부 311 : 제1장착부
320 : 출구부 321 : 제2장착부
330 : 그라운드단자부 340 : 전선
400 : 발열부센서 410 : 센싱부
420 : 보스부 430 : 고정볼트
400a : 제1발열부센서 400b : 제2발열부센서
400c : 제3발열부센서
510 : 제1냉각수센서 520 : 제2냉각수센서
600 : 기판 601 : 중공부
700 : 열전달방지판 701 : 중공부
702 : 센서장착홈
800 : 과열방지수단 810 : 몸체
820 : 캡 830 : 바이메탈
840 : 핀 850 : 브라켓
860 : 이동단자 870 : 접촉단자
900 : 고정수단
A1 : 입구부 영역 A2 : 확관 영역
A3 : 발열파이프 영역 A4 : 축관 영역
A5 : 출구부 영역
1000: Cooling water heater
100a: Lower case
100b: upper case
101: first seating groove 102: second seating groove
103: Third seating groove
104: anti-rotation groove
110: first sealing member 111: first sealing member
112: first extension part 113: first and second sealing parts
114:
120: second sealing member
130: third sealing member
140:
200: exothermic pipe 210: pipe
220: heat generating portion 221: insulating layer
222: electrode 223: carbon nanotube heating layer
224: Protective layer
230:
310: inlet part 311: first mounting part
320: outlet portion 321: second mounting portion
330: ground terminal part 340:
400: heating part sensor 410: sensing part
420: boss unit 430: fixing bolt
400a: first heating part sensor 400b: second heating part sensor
400c: third heat generating portion sensor
510: first cooling water sensor 520: second cooling water sensor
600: substrate 601: hollow
700: Heat transfer prevention plate 701: Hollow portion
702: Sensor mounting groove
800: overheat preventing means 810: body
820: cap 830: bimetal
840: Pin 850: Bracket
860: Mobile terminal 870: Contact terminal
900: fixing means
A1: inlet area A2: expansion area
A3: Heat pipe area A4: Axial area
A5: exit area

Claims (7)

실내 난방을 위한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파이프(210)와, 상기 파이프(210) 외면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발열부(220)를 포함하는 발열파이프(200);
상기 파이프(2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입구부(310);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210)의 타측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a) 및 상부케이스(100b)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출구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히터.
In a coolant-heated heater (1000) for indoor heating,
A lower case 100a and an upper case 100b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heating pipe 200 including a pipe 210 provid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nd a heating unit 22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ipe 210, ;
An inlet 31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ipe 210 and protruding outside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And an outlet part (320)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pipe (210) in a mounted state and being protruded outside the lower case (100a) and the upper case (100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310)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2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히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let portion (310) extends from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pipe (210) in a mount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b) 내부에 구비되는 기판(600);
상기 기판(600)에 구비되어 상기 발열부(220) 외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발열부센서(400); 및
상기 발열부센서(400)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통해 상기 발열부(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히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A substrate 600 disposed inside the upper case 100b;
A heater unit 400 provided on the substrate 60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er 220; And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220 through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heating unit sensor 4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기판(600)에 구비되어 상기 입구부(3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냉각수센서(510) 및
상기 기판(600)에 구비되어 상기 출구부(3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냉각수센서(5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냉각수센서(510) 및 제2냉각수센서(520)로부터 측정된 온도 정보를 통해 상기 발열부(2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히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A first cooling water sensor 510 provided on the substrate 60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310,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oling water sensor (520) provided on the substrate (600)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outlet (320)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220) through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first cooling water sensor (510) and the second cooling water sensor (5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가열식 히터(1000)는
상기 발열파이프(200) 상측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발열파이프(200) 외면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발열부(2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열방지수단(800); 및
상기 기판(600)과 발열부(220) 사이를 차단하는 판형태로,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이 장착되도록 중공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열전달방지판(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히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olant-heated heater (1000)
An overheat prevention unit 8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heat pipe 200 to shut off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or 22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pipe 200 rises above a reference temperature; And
Further comprising a heat transfer prevention plate (700) formed in a plate shape to block the substrate (600)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20) and having a hollow hollow portion for mounting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800) Heated hea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방지수단(800)은
상기 몸체(810)의 하측을 차단하며, 외면이 상기 발열부(220)의 외면에 접하는 곡면형태의 캡(820)과,
상기 몸체(810)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메탈(830)과,
상기 바이메탈(830)의 변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핀(840)과,
상기 브라켓(85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핀(840)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단자(860)와,
상기 이동단자(860)와 접촉하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발열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단자(870)와,
상기 접촉단자(87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8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811)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220)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바이메탈(830)이 변형되고, 상기 이동단자(860)와 접촉단자(870)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발열부(22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히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800)
A cap 820 which cuts off the lower side of the body 810 and has an outer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part 220,
A bimetal 830 provided inside the body 810,
A pin 840 which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deformation of the bimetal 830,
A movable terminal 860 fixed by the bracket 850 and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pin 840,
A contact terminal 870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heating unit 220 when the moving terminal 860 is contacted,
And a connection portion 811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 870 and protruding outside the body 810,
The bimetal 830 is deformed and the contact between the movable terminal 860 and the contact terminal 870 is released so that the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unit 220 And the supply of the coolant is interrup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220)는 상기 파이프(210)의 일정 영역에 형성되는 절연층(221)과, 상기 절연층(221)의 상측 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222)과, 상기 절연층(221)의 상측 면에 상기 전극(222)과 통전되도록 형성되는 탄소나노튜브 발열층(223)과, 상기 절연층(221)의 상측 면에 상기 전극(222) 및 발열층(223)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층(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히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unit 220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221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pipe 210 and a pair of electrodes 2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arbon nanotube heating layer 223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21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222 and an electrode 222 and a heating layer 223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21 And a protective layer (224)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heater (230).
KR1020140020213A 2014-02-21 2014-02-21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2053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13A KR102053024B1 (en) 2014-02-21 2014-02-21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13A KR102053024B1 (en) 2014-02-21 2014-02-21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62A true KR20150098862A (en) 2015-08-31
KR102053024B1 KR102053024B1 (en) 2020-01-07

Family

ID=5406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213A KR102053024B1 (en) 2014-02-21 2014-02-21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02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53A1 (en) * 2017-08-31 2019-03-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ant heater
KR20190142978A (en) * 2018-06-19 2019-12-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Induction Heater for a Motor Vehicle
WO2021010550A1 (en) * 2019-07-16 2021-01-21 대우전자부품(주) Battery-cooling water heating device improved in thermal fuse coupling struc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1387A (en) * 1931-03-17 1934-08-28 Frank E Scoville Electrical heating device
KR20030085678A (en) * 2002-04-30 2003-11-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The Assembling Structure for Heat-sink Assembly use PTC of Pre-heater
JP2008056044A (en) 2006-08-30 2008-03-13 Mitsubishi Heavy Ind Ltd Heating device for heat medium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ing the same
KR20130020977A (en) * 2011-08-22 2013-03-05 한라공조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er
KR20140004470A (en) * 2012-07-03 2014-01-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1387A (en) * 1931-03-17 1934-08-28 Frank E Scoville Electrical heating device
KR20030085678A (en) * 2002-04-30 2003-11-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The Assembling Structure for Heat-sink Assembly use PTC of Pre-heater
JP2008056044A (en) 2006-08-30 2008-03-13 Mitsubishi Heavy Ind Ltd Heating device for heat medium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ing the same
KR20130020977A (en) * 2011-08-22 2013-03-05 한라공조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er
KR20140004470A (en) * 2012-07-03 2014-01-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53A1 (en) * 2017-08-31 2019-03-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ant heater
US11628706B2 (en) 2017-08-31 2023-04-18 Hanon Systems Coolant heater
KR20190142978A (en) * 2018-06-19 2019-12-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Induction Heater for a Motor Vehicle
WO2021010550A1 (en) * 2019-07-16 2021-01-21 대우전자부품(주) Battery-cooling water heating device improved in thermal fuse coupl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024B1 (en)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256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1998270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2411276B1 (en) Cooling water heater
KR101764598B1 (en) Cooling-Water Heater
KR102476376B1 (en) Cooling water heat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KR101463892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JP5999631B2 (en) Heating device
KR102148527B1 (en) Cooling water heating device for battery with insulation shielding structure for thermal fuse
KR20150098862A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1894465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20160091002A (en) Safet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the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20150098879A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2134236B1 (en) Cooling water heating device for battery with improved bonding structure of thermal fuse
KR20150098863A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1998262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1895480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1435668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2134233B1 (en) Cooling water heating device for battery with water temperature sensor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KR102092137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20210025243A (en) Cooling water heating device for battery with plate thermal deformation preventing structure
KR20210025245A (en) Cooling water heating device for battery with heat transfer structure for improving thermal fuse reaction rate
KR102544525B1 (en) Induction Heater for a Motor Vehicle
KR101973522B1 (en) Coolant heater
KR20150082869A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077474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