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570A - 매질 분리를 구비하는 유방쉴드 유닛 - Google Patents

매질 분리를 구비하는 유방쉴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570A
KR20150097570A KR1020157017876A KR20157017876A KR20150097570A KR 20150097570 A KR20150097570 A KR 20150097570A KR 1020157017876 A KR1020157017876 A KR 1020157017876A KR 20157017876 A KR20157017876 A KR 20157017876A KR 20150097570 A KR20150097570 A KR 20150097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shield
medium separating
breast shield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504B1 (ko
Inventor
에티엔 퓨러
마리오 리게르트
앙드레 슐링거
Original Assignee
메델라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델라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메델라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9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 A61M1/004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 A61M1/066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7Pump accessories with means for hands-free operation

Abstract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은 유방(B)을 수용하기 위한 유방쉴드(2) 및 유방쉴드(2)의 내부에 진공을 전달하기 위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를 갖는다. 유방쉴드(2)는 유방(B)의 유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33)을 갖는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는 진공을 전달하기 위해 2 개의 위치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매질 분리막(9)을 갖는다. 매질 분리막(9)은 상기 2 개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수용 영역(33)에 위치된다. 일체형 매질 분리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은 극히 콤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고, 사용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질 분리를 구비하는 유방쉴드 유닛{BREAST SHIELD UNIT HAVING MEDIA SEPARATION}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 및 특허 청구항 16의 각각의 전제부에 따른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breastpump)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breastshield) 유닛 및 특허 청구항 15의 전제부분에 따른 매질 분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음압을 이용하여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는 주지되어 있다. 수동식 착유펌프 및 모터-구동식 착유펌프가 시판되고 있다. 이것은 직접적으로 또는 진공 라인을 경유하여 유방쉴드에 접속된다. 유방쉴드는 유방의 적어도 유두 및 또한 대부분의 경우 유륜(areola) 및 주위 조직을 밀봉상태로 수용하도록 모유가 착출될 유방 상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유방쉴드는 직접적으로 또는 모유 라인을 경유하여 모유 수집 용기에 접속되므로 착출된 모유는 이 용기 내에 직접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더욱이, 착유펌프를 위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진공 펌프에 모유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US 2004/0087898는 착유펌프에 접속되는 결합 부품을 구비하는 유방쉴드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가요성 매질 분리막은 이 부착구 부품에 배치되고, 가해진 진공을 유방쉴드 깔때기의 중공의 내부에 전달하고, 동시에 진공 커넥터 개구로부터 유방쉴드 내의 모유 유동 경로를 분리한다.
WO 2008/057218과 WO 2011/0387841는 마찬가지로 결합 부품 내에 배치되는 이러한 종류의 매질 분리막을 개시한다.
비록 이러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가 흡인 라인 및 착유펌프의 보호에 관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이것은 유방쉴드의 체적을 크게 증가시킨다. 이것은 유방쉴드가 옷속의 브라 내에 착용되는 이른바 "핸즈-프리" 솔루션에서 특히 부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콤팩트하고 작은 매질 분리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유방쉴드 유닛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특허 청구항 1 및 특허 청구항 16의 각각의 특징을 갖는 유방쉴드 유닛에 의해, 그리고 특허 청구항 15의 전제부분에 따른 매질 분리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은 유방을 수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및 유방쉴드의 내부에 진공을 전달하기 위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를 갖는다. 유방쉴드 유닛은 유방의 유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을 갖는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진공의 전달을 위해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가능한 매질 분리막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질 분리막은 상기 2 개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의 수용 영역에 위치되거나 이것이 수용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수용 영역과 접촉한다.
매질 분리막이 유두의 영역에 배치되므로 유방쉴드 유닛은 매질 분리 디바이스에도 불구하고 극도로 콤팩트하고 작게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중요한 이점은 사용적(dead volume), 즉 모유의 착출 중에 유방쉴드 내의 배기될 체적이 더욱 최소화된다는 점이다.
유두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 및 진공을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매질 분리막의 이동의 영역은 동일한 물리적 공간을 부분적으로 공유한다. 그러나, 이동이 동조하여 발생하므로 유두와 분리막은 상호 간섭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분리막이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유두는 수용 영역으로 전달되는 진공으로 인해 분리막을 향하여 이동하고, 또한 분리막이 수용 영역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동되었으므로 팽창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갖는다. 그러면 진공 펌프의 주기적 펌핑 운동으로 인해 분리막이 수용 영역 내로 다시 팽창하여 들어가는 경우, 유두는 수용 영역 내의 압력의 증가로 인해 대략 유두의 자연적인 길이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분리막은 그 이동 시에 방해를 받지 않고, 수용 영역 내로 최대 범위까지 팽창될 수 있다. 매질 분리막의 기능이 손상될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다. 더욱이, 매질 분리막이 유두에 접촉하거나 유두에 부착되어 모유의 유동을 억제할 위험이 실제로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매질 분리막은 유방에 연속하여 유방쉴드 디바이스의 후면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유방쉴드 유닛은 쉽고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수용 영역을 형성하고, 단부를 갖는 튜브형 스터브가 제공되고, 매질 분리막은 이 단부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된다. 스터브는 바람직하게 유방쉴드 또는 유방쉴드 삽입체의 일부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방쉴드 유닛은 모유 수집 용기에 접속하기 위한 부착구를 갖고, 매질 분리막은 이 부착구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대략 수직하게"는 직각으로부터 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만큼 상이한 각도로서 이해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방쉴드의 수용 영역으로부터 모유 수집 용기에 접속용 부착구까지 이어지는 모유 유동 경로가 제공되고,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이 모유 유동 경로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매질 분리막은 주기적으로 가해지는 음압(underpressure)에 따라 모유 유동 경로를 차단 및 재개방시킨다. 이것은 사용적(dead volume)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수용 영역, 특히 유방쉴드의 수용 영역 또는 유방쉴드 삽입체의 수용 영역은 구멍을 구비하는 벽을 갖고, 여기서 매질 분리막은 이 벽의 외면 상의 상기 구멍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질 분리막이 유두에 부착될 위험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방쉴드 유닛은 모유 수집 용기에 접속하기 위한 부착구를 갖고, 매질 분리막은 이 부착구에 대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대략 수평으로"는 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의 경사 각도로서 이해된다.
위의 3 가지 변형례는 유방쉴드 유닛이 유방쉴드의 길이 방향으로 극도로 짧고 콤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유두의 수용 영역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유방쉴드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변형례는 브라 내에 착용되는 "핸즈-프리" 유닛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변형례는 또한 극히 저렴하게 생산되므로 일회용 제품으로서 판매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모유 수집 용기에 접속하기 위한 부착구로부터 수용 영역을 분리시키는 체크 밸브가 제공되고, 여기서 체크 밸브는 매질 분리막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것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전체적으로 유방쉴드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독립적인 발명으로서, 여기서 매질 분리막은 또한 유두를 위한 수용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람직하게, 유방쉴드 유닛은 유방쉴드 내에 고정될 수 있는 유방쉴드 삽입체를 또한 갖고,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유방쉴드 내에서 유방쉴드 삽입체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현수(suspended)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방쉴드는 유방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슬릿을 갖고, 이 안내 슬릿을 따라 매질 분리 디바이스가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은 이러한 방식으로 안내 및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하우징을 갖고, 여기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매질 분리막이 이동가능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방쉴드는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단부에 후방 개구를 갖고, 그 결과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후방 개구를 통한 접근에 의해 유방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수동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특히 가요성 유방 패드를 구비한 유방쉴드 또는 유방쉴드 삽입체가 사용되는 경우에 유방에 유방쉴드 유닛을 적용 및 적합시키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가요성 유방 패드에 의해 하우징 상에 현수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현수는 유방쉴드의 플랜지 상에 터닝 백(turned back)되는 유방 패드의 주변 고정용 칼라에 의해 달성된다. 유방 패드는 유방쉴드로부터 전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심지어 이것은 그 형상에 따라 안팎을 뒤집을 수 있다. 그러므로 유방 패드가 유방에 적용되면 이것은 자동으로 유방의 형상을 취한다. 다음에 형상에 따라 이것은 유방에 적합되는 이 형상으로 복귀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방쉴드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것일 있다. 유방쉴드 유닛은 또한 유방쉴드 내에 삽입하기 위한 가요성 유방쉴드 삽입체를 갖고, 유방쉴드는 유방 상에 배치하기 위한 제 1의 개방된 유방쉴드 단부를 갖고, 유방쉴드 삽입체는 길이 방향을 규정하는 제 1 삽입체 단부 및 제 2 삽입체 단부를 갖는다. 제 1의 개방된 유방쉴드 단부는 유방쉴드 삽입체가 고정될 수 있거나 제 1 삽입체 단부에 의해 고정되는 주연부를 갖고, 유방쉴드 삽입체는 조립된 상태에서 유방쉴드(2)의 내부에서 이 제 1 삽입체 단부로부터 제 2 삽입체 단부까지 연장된다. 유방쉴드 삽입체는 제 1 삽입체 단부와 제 2 삽입체 단부 사이에서 유방쉴드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되도록 연장되고, 제 2 삽입체 단부는 유방쉴드 삽입체의 조립된 상태에서, 유방쉴드에 상대적인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제 2 삽입체 단부에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는 엄마가 유방쉴드에 그러므로 유방에 과도한 압력 및/또는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예방한다. 결국 이것은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유방으로부터의 모유의 최적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하우징 및 이것의 내부에 배치되는 매질 분리막을 갖는다. 하우징은 유방쉴드를 수용하기 위한 튜브형 수용체 또는 유방쉴드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가요성 유방쉴드 삽입체를 갖고, 여기서 이 수용체는 유방의 유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을 형성하고, 그리고 여기서 매질 분리막은 이 수용체에 인접하거나 그 내부에 돌출한다.
추가의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고, 도면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서 모유 수집 용기 상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제 2 실시형태에서 모유 수집 용기 상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확대도로 도 2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을 도시하고;
도 4는 제 1 위치에서 도 2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유방 상에 배치되었을 때 도 3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을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위치에서 유방쉴드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유방 상에 배치되었을 때 도 3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을 도시하고;
도 8은 경사진 위치에서 도 3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을 도시하고;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서 모유 수집 용기 상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서 모유 수집 용기 상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도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의 제 1의 실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것은 유방쉴드(2) 및 이것에 접속된 매질 분리 디바이스(7)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방쉴드(2)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제의 치수적으로 안정한 또는 강성의 메인 바디(25)를 갖는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7)의 하우징(70)은 이 메인 바디(25) 내에 유지된다. 이하의 실례의 실시형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70)은 메인 바디(25)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메인 바디에 견고하고 이동 불가능하게 접속될 수도 있다.
메인 바디(25)는 모유 수집 용기(5)에 접속하는 역할을 하는 모유 유출구를 구비하는 모유 부착구 부품(28)을 갖는다. 모유를 착출할 때 사용적을 제한하고,착출된 모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질 분리 디바이스의 하우징(70) 상에 또는 모유 부착구 부품(28) 상에 밸브(8), 바람직하게는 체크 밸브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덕빌(duckbill) 밸브가 도시되어 있다.
모유 부착구 부품(28) 및 모유 수집 용기(5)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모유 부착구 부품(28)은 매질 분리 디바이스(7)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고, 또는 모유 수집 용기의 뚜껑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병 또는 백(bag)이 모유 수집 용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방쉴드 삽입체(3)는 유방쉴드(2) 내에 배치된다. 이것은 가요성 재료, 특히 실리콘(silicone)으로 제조된다. 이것은 여기서 깔때기의 형상인 유방 패드(30)를 갖고, 유방에 인접하는 유방 패드의 단부는 메인 바디(25) 상에 지지되거나 메인 바디(25) 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유방 패드(30)는 본 실시예에서 매질 분리 디바이스(7)의 하우징(70) 상에 고정되는 스터브(32)와 일체로 병합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고정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매질 분리 디바이스(7)가 유방쉴드(2)의 메인 바디(25)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 고정은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터브(32)는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그리고 하우징(70)의 대응하는 수용체 내에 특히 스냅 끼워맞춤으로 유지되는 플랜지(320)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유방 패드(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치수적으로 안정하거나 심지어 강성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스터브(32)는 이것이 유방 패드(30)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었더라도 이것이 더 큰 벽 두께를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치수적으로 더 안정한 것일 수 있다.
유방 패드(30)는 유방의 유두가 스터브(32) 내에 직접 연장되는 상태로 유방 상에 배치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터브(32)는 그것의 중공의 내부를 이용하여 유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33)을 형성한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7)의 하우징(70)은 바람직하게 강성이거나 치수적으로 안정한 것일 수 있고,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7)의 하우징(70) 상에 진공 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하기 위한 진공 커넥터(71)가 제공된다. 접속은 직접적으로 또는 흡인 라인을 개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 펌프는 수동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하우징(70) 상에는 또한 모유 유출구(77)가 있고, 이것은 상기 밸브(8)에 의해 폐쇄된다.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실시형태에서, 이 모유 유출구는 매질 분리 디바이스의 유방쉴드 삽입체 수용체(74)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착출된 모유가 수용 영역(33)으로부터 모유 유출구(77), 밸브(8) 및 메인 바디(25)의 모유 유출구(28)를 통해 모유 수집 용기(5) 내로 이동할 수 있는 모유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7)는 매질 분리막(9)을 갖고, 이것은 하우징(70)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것은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스터브(32)의 단부에서 하우징(70)과 플랜지(320)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매질 분리막(9)은 펌프 체임버(90)의 유방-측벽을 형성하고, 하우징(70)은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펌프 체임버(90)의 벽을 형성한다. 매질 분리막(9)은 바람직하게 실리콘으로 제작된다.
이것은 진공 커넥터(71)를 통해 가해지는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음압이 유방쉴드 삽입체(3) 또는 유방쉴드(2)의 수용 영역(33) 내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음압이 진공 커넥터(71)를 경유하여 펌프 체임버(90) 내로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매질 분리막(9)은 이것과 동조하여 이동하고, 유방쉴드 삽입체(3)와 유방(B)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의 공간 내에 음압을 전달한다. 모유가 착출된다. 매질 분리막(9)은 착출된 모유가 펌프 체임버(90) 내로, 그리고 이곳에서 진공원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대신, 모유는 분리막(9)의 이전에 배치된 모유 유출구(77)를 통해 모유 수집 용기(5) 내로 유동한다.
따라서 매질 분리막(9)은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한다. 제 1 위치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되고, 음압이 가해지는 경우에 도달되는 위치이다. 이 제 1 위치에서, 매질 분리막(9)은 펌프 체임버(90)의 후방 영역에, 즉 하우징(70)의 후방 벽에 위치된다. 제 2 위치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유방을 향하는 방향이다.
매질 분리막(9)은 이들 2 개의 위치 중 하나에서 적어도 수용 영역(33)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이것은 적어도 유방을 향해 향하는 제 2 위치에서 이 수용 영역(33) 내로 돌출하고, 따라서 이것은 상기 중공의 공간 내의 사용적을 최소화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다른 실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마찬가지로 유방쉴드(2)는 하우징-형상의 메인 바디(25)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유방쉴드(2)는 유방(B) 상이 지지하는 기능 및 동시에 모유 수집 용기(5)에 접속되는 기능을 한다. 이것은 마찬가지로 모유 수집 용기(5)에 접속될 수 있는 모유 부착구 부품(28)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유방쉴드(2)는 강성이거나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메인 바디(25)에 배치되는 매질 분리 디바이스의 하우징(70)도 마찬가지이다.
체크 밸브(8)를 구비하는 모유 유출구(77)는 메인 바디(25)의 관통개구(29)를 통해 모유 수집 용기(5) 내로 이어진다.
유방쉴드 삽입체 수용체(74)는 매질 분리 디바이스(7)의 하우징(70)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체(3)의 스터브(32)를 위한 수용하는 스터브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스터브(32)는 자유 단부로서 설계되고,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플랜지를 갖지 않는다. 삽입체(3)의 스터브(32)는 사용 중에 이 수용체(74) 내에서 변이될 수 없도록 유지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억지끼워맞춤으로 유지되고, 세척 또는 교환을 위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파괴되지 않고는 해제될 수 없도록 매질 분리 디바이스(7)에 접속될 수 있다. 삽입체(3)의 제 1 삽입체 단부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용 칼라(31)는 유방쉴드(2)의 메인 바디(25)의 플랜지(22) 상에 터닝 백된다.
바람직하게 삽입체(3)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삽입체와 유사한 설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패드 영역(30)은 약간 깔때기-형상의 구성을 갖는다. 이것은 또한 다소 또는 전적으로 평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패드 영역(30)의 길이는 비교적 짧다. 즉 삽입체(3)의 전체 길이보다 다수 배만큼 더 짧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매질 분리막(9)은 심지어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대략 또는 정확하게 삽입체(3)의 스터브(32)의 단부까지 도달한다. 도 7에서 스터브(32)는 표준 범위의 크기의 유방 및 유두의 경우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유두에 의해 충전되는 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유의 착출 중에, 매질 분리막(9)은 바람직하게 유두에 접촉하지 않고, 대신 매질 분리막은 동일한 방향으로 동조하여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매질 분리 디바이스(7)는 이동가능하게, 특히 유방쉴드(2)의 메인 바디(25) 내에서 변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것은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 목적을 위해, 메인 바디(25)는 안내 슬릿(24)을 갖고, 이것에 하우징(70)의 안내 러그(76)가 맞물림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도 4에서 볼 수 있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7)는 이들 슬릿(24)을 따라 변위될 수 있다. 슬릿(24)은 직선형 또는 만곡형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것은 직선형이다. 관통개구(29)는 밸브(8) 및 모유 유출구(77)보다 크므로 밸브(8) 및 모유 유출구(77)는 메인 바디(25)에 대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7)의 모든 위치에서 모유 수집 용기(5) 내에 접속된다. 바람직하게 관통개구(29)는 길쭉한 구멍으로서 설계된다.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메인 바디(25)의 후방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7)는 이 후방 개구(23)를 경유하여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 경우에 특히 슬릿(24)을 따라 변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유방쉴드 유닛은 아직 미사용 상태로 또는 현재 사용 중이 아닌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매질 분리 디바이스(7)는 후방 개구(23)를 통해 돌출하거나, 적어도 후방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삽입체(3)의 유방 패드(30)는 이완되거나 비편향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 약간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유방쉴드 유닛을 사용하기 위해, 매질 분리 디바이스(7)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으로 전방으로 밀려진다. 삽입체(3)의 유방 패드(30)는 요구조건에 따라 전방으로 밀려진 상태에서 유방(B)을 향해 연장된다. 유두는 수용 개구(33) 내에 최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제 하우징(70) 상의 수동 압력이 정지되었으나, 전과 같이 메인 바디(25)가 손에 의해 또는 다른 유지 디바이스에 의해 브라 내에서 유방 상에 유지되는 경우, 하우징(70)은 슬릿(24)을 따라 역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삽입체(3)는 유방(B) 상에 밀봉상태로, 그러나 과도한 압력없이 배치된다. 이것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모유의 착출이 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방쉴드 삽입체(3)의 제 2 삽입체 단부, 즉 스터브(32)는 유방쉴드(2)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 이동은 매질 분리 디바이스(7)와 함께 발생한다.
안내 슬릿(24)의 형상에 따라, 유방쉴드(2)에 대해 매질 분리 디바이스(7)를 경사시킬 수도 있다. 이것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이것은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전술한 2 개의 실시형태에서, 매질 분리막(9)은 부착구 부품(28)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즉 유방쉴드(2) 및 유방쉴드 삽입체(3)의 길이 방향(a)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배치된다.
대조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2 개의 실례의 실시형태에서, 매질 분리막은 대략 수평으로, 즉 모유 부착구 부품에 대해 또는 모유 유동 경로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9는 마찬가지로 매질 분리막(9)이 모유 수집 용기(5) 상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유방쉴드(2)를 도시한다.
유방쉴드(2)는 마찬가지로 모유 수집 용기(5) 상에 고정하기 위한 모유 부착구 부품(28)를 구비한 치수적으로 안정한, 바람직하게는 강성의 메인 바디(25)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메인 바디(25)에 가요성인 유방쉴드 삽입체(3)가 배치된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치수적으로 안정한 것, 특히 강성의 것일 수 있다. 유사하게, 이것은 유방쉴드(2)와 일체로 설계될 수 있다. 삽입체(3)는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그 폐쇄된 단부(26)에서 수용 영역(33)을 형성한다. 삽입체(3) 또는 유방쉴드(2)의 하벽은 관통개구(36)으로서 설계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벽은 부분적으로 관통개구로서 설계된다. 매질 분리막(9)은 이 개구의 하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이것은 유방쉴드(2)와 삽입체 요소(3) 사이에 클램핑된다. 매질 분리막(9)은 개구(36)를 폐쇄하고, 가해지는 음압에 따라, 폐쇄를 제거하여 수용 영역(33)과 모유 수집 용기(5) 사이의 모유 유동 경로를 개방한다.
관통개구(36) 및 매질 분리막(9)의 하측에는 펌프 체임버(90)가 위치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외측까지 진공 채널(250)이 이어진다. 펌프 체임버(90)의 벽의 나머지는 메인 바디(25)나 모유 부착구 부품(28)에 의해 형성된다. 진공 채널(250)은 메인 바디(25) 또는 모유 부착구 부품(28) 내에 연장된다. 따라서, 유방쉴드(2)는 또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모유 유동 경로 또는 모유 채널(251)은 관통개구(36)로부터 모유 수집 용기(5)까지 이어진다. 이것은 매질 분리막(9)으로 인해 횡방향으로 편향되고, 바람직하게 유방에 인접하는 영역 내에서 펌프 체임버(90)의 측면까지 연장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이것은 사용의 위치에서 매질 분리막의 최하 지점을 통해 연장하므로 분리막 상에는 모유가 잔류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모유 채널(251)은 체크 밸브(9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크 밸브(91)는 매질 분리막(9)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10에 따른 실시형태는 도 9에 따른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그러나, 여기서 삽입체(3)의 하벽은 몇 개의 구멍(35)을 제외하고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질 분리막(9)의 상한이 제공되고, 유두는 이 분리막(9)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일체형 매질 분리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은 극히 콤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고, 사용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유방쉴드
22: 플랜지
23: 후방 개구
24: 안내 슬릿
25: 메인 바디
250: 진공 채널
251: 모유 채널
26: 폐쇄된 단부
28: 모유 부착구 부품
29: 관통개구
3: 유방쉴드 삽입체
30: 유방 패드
31: 고정용 칼라
32: 스터브
320: 플랜지
33: 수용 개구
34: 제 1 삽입체 단부
35: 구멍
36: 관통개구
5: 모유 수집 용기
7: 매질 분리 디바이스
70: 하우징
71: 진공 커넥터
74: 유방쉴드 삽입체 수용체
76: 안내 러그
77: 모유 유출구
8: 밸브
9: 매질 분리막
90: 펌프 체임버
91: 체크 밸브
B: 유방
T: 사용적
a: 길이 방향

Claims (16)

  1.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breastpump)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breastshield) 유닛으로서, 상기 유방쉴드 유닛은 유방(B)을 수용하기 위한 유방쉴드(2) 및 상기 유방쉴드(2)의 내부에 진공을 전달하기 위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를 갖고, 상기 유방쉴드 유닛은 상기 유방(B)의 유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33)을 갖고, 상기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는 상기 진공의 전달을 위해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매질 분리막(9)을 갖고, 상기 매질 분리막(9)은 상기 2 개의 위치 중 하나에서 적어도 상기 수용 영역(33)에 위치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영역(33)을 형성하고, 상기 유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단부를 갖는 튜브형 스터브(32)가 제공되고, 상기 매질 분리막(9)은 바로 상기 단부 상에 배열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쉴드 유닛은 모유 수집 용기(5)에 접속하기 위한 부착구(28)를 갖고, 상기 매질 분리막(9)은 상기 부착구(28)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영역(33)으로부터 모유 수집 용기(5)에 접속하기 위한 부착구(28)까지 통하는 모유 유동 경로가 제공되고, 상기 매질 분리막(9)은 상기 모유 유동 경로에 배치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 분리막(9)은 주기적으로 가해지는 음압(underpressure)에 따라 상기 모유 유동 경로를 차단 및 재개방시키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6.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영역(33)은 구멍(35)을 구비하는 벽을 갖고, 상기 매질 분리막(9)은 상기 구멍(35)의 영역에서 상기 벽의 외면 상에 배치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7. 제 1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쉴드 유닛은 모유 수집 용기(5)에 접속하기 위한 부착구(28)를 갖고, 상기 매질 분리막(9)은 상기 부착구(28)에 대해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유 유동 경로 내에 체크 밸브(91)가 배치되고, 상기 체크 밸브(91)는 상기 매질 분리막(9)과 일체로 형성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는 전체적으로 상기 유방쉴드(2)의 내측에서 상기 유방쉴드(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쉴드 유닛은 또한 상기 유방쉴드(2) 내에 고정될 수 있는 유방쉴드 삽입체(3)를 갖고, 상기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는 상기 유방쉴드(2) 내에서 상기 유방쉴드 삽입체(3)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현수(suspended)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쉴드(2)는 상기 유방쉴드(2)의 길이 방향(a)으로 연장되는 안내 슬릿(24)을 갖고, 상기 안내 슬릿(24)을 따라 상기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가 전체적으로 이동가능한,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하우징(70)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매질 분리막(9)이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쉴드(2)는 유방(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단부에 후방 개구(23)를 갖고, 그 결과 상기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는 상기 후방 개구(23)를 통한 접근에 의해 상기 유방(B)을 향해 수동으로 이동가능한,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쉴드(2)는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상기 유방쉴드 유닛은 또한 상기 유방쉴드(2) 내에 삽입하기 위한 가요성 유방쉴드 삽입체(3)를 갖고, 상기 유방쉴드(2)는 상기 유방(B) 상에 배치하기 위한 제 1의 개방된 유방쉴드 단부를 갖고, 상기 유방쉴드 삽입체(3)는 길이 방향(a)을 규정하는 제 1 삽입체 단부(34) 및 제 2 삽입체 단부(32)를 갖고, 상기 제 1의 개방된 유방쉴드 단부는 상기 유방쉴드 삽입체(3)가 상기 제 1 삽입체 단부(31)에 의해 고정가능하거나 고정되는 주연부(22)를 갖고, 상기 유방쉴드 삽입체(3)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유방쉴드(2)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삽입체 단부(34)로부터 상기 제 2 삽입체 단부(32)까지 연장되고, 상기 유방쉴드 삽입체(3)는 상기 제 1 삽입체 단부(34)와 제 2 삽입체 단부(32) 사이에서 상기 유방쉴드(2)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 2 삽입체 단부(32)는 상기 유방쉴드 삽입체(3)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유방쉴드(2)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a)으로 이동가능한,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방쉴드 유닛에서 사용하기 위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로서,
    상기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는 치수적으로 안정한 하우징(70) 및 그 내부에 배치되는 매질 분리막(9)을 갖고, 상기 하우징(70)은 유방쉴드(2)를 수용하기 위한 튜브형 수용체(74) 또는 상기 유방쉴드(2)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가요성 유방쉴드 삽입체(3)를 갖고, 상기 수용체(74)는 유방(B)의 유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33)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매질 분리막(9)은 상기 수용 영역(33)에 인접하거나 그 내부로 돌출하는, 유방쉴드 유닛에서 사용하기 위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
  16.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으로서, 상기 유방쉴드 유닛은 유방(B)을 수용하기 위한 유방쉴드(2) 및 상기 유방쉴드(2)의 내부에 진공을 전달하기 위한 매질 분리 디바이스(7, 9)를 갖고, 상기 유방쉴드 유닛은 상기 유방(B)의 유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33)을 갖고, 상기 매질 분리 디바이스는 상기 진공의 전달을 위해 2 개의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매질 분리막(9)을 갖고, 상기 매질 분리막(9)은 상기 2 개의 위치 중 하나에서 적어도 상기 수용 영역(33)에 인접되고, 상기 매질 분리막(9)은 완전히 상기 수용 영역(33)의 하측에 위치되는, 사람의 모유를 착출하기 위한 착유펌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방쉴드 유닛.
KR1020157017876A 2012-12-18 2013-12-12 매질 분리를 구비하는 유방쉴드 유닛 KR102218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2839/12A CH707363A1 (de) 2012-12-18 2012-12-18 Brusthaubeneinheit mit Medientrennung.
CH2839/12 2012-12-18
PCT/CH2013/000220 WO2014094187A1 (de) 2012-12-18 2013-12-12 Brusthaubeneinheit mit medientren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570A true KR20150097570A (ko) 2015-08-26
KR102218504B1 KR102218504B1 (ko) 2021-02-23

Family

ID=4747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876A KR102218504B1 (ko) 2012-12-18 2013-12-12 매질 분리를 구비하는 유방쉴드 유닛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149929B2 (ko)
EP (1) EP2934615B1 (ko)
KR (1) KR102218504B1 (ko)
CN (1) CN104936630B (ko)
AU (1) AU2013362765B2 (ko)
CH (1) CH707363A1 (ko)
HK (1) HK1213516A1 (ko)
IL (1) IL239216A0 (ko)
TW (1) TWI636802B (ko)
WO (1) WO20140941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492A (ko) * 2017-06-15 2020-02-19 애나벨라 테크 엘티디 모유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7227B2 (en) 2006-11-01 2012-05-29 Medela Holding Ag Self returning contamination barrier
US9616156B2 (en) 2013-03-24 2017-04-11 Naya Health,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xpression and quantification of human breast milk
CH708400A1 (de) * 2013-07-16 2015-01-30 Medela Holding Ag Brustpumpeneinheit.
US20160000981A1 (en) * 2014-03-20 2016-01-07 Naya Healt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bating noise during expression of human breast milk
US10617805B2 (en) 2014-03-20 2020-04-14 Exploramed Nc7, Inc. Fluid measuring reservoir for breast pumps
EP3193587A4 (en) 2014-09-19 2018-04-18 Naya Health, Inc. Quantification and inventory management of expressed human breast milk
EP3258981B1 (de) 2015-02-20 2020-03-18 Medela Holding AG Adapter mit medientrennmembran für eine brusthaube
EP3058966A1 (de) * 2015-02-20 2016-08-24 Medela Holding AG Brusthaube
USD785160S1 (en) * 2015-02-20 2017-04-25 Medela Holding Ag Membrane for a breastshield of a breast pump
USD783803S1 (en) * 2015-02-20 2017-04-11 Medela Holding Ag Breastshield connector for breast pump
EP3506958B1 (de) * 2016-09-02 2021-06-23 Medela Holding AG Brusthaube
US11850339B2 (en) 2016-12-22 2023-12-26 Koninklijke Philips N.V. Expression kit for a breast pump device
US11904077B2 (en) * 2017-10-24 2024-02-20 Medela Holding Ag Breastpump
CN109833533B (zh) * 2017-11-27 2021-09-03 黄士哲 隐形挤乳装置
EP3536359A1 (de) * 2018-03-06 2019-09-11 Medela Holding AG Brusthaubeneinheit
EP3597229A1 (de) * 2018-07-17 2020-01-22 Mam Babyartikel Gesellschaft m.b.H. Elektrische brustpumpe
US11504260B2 (en) 2018-10-04 2022-11-22 Lipocosm, Llc Rigidifying brace
US11540894B2 (en) 2018-10-04 2023-01-03 Lipocosm, Llc Rigiditying brace
CN110025462B (zh) * 2019-05-15 2023-12-12 宁波市瑞尔芭比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刮痧仪
SG10202000332TA (en) * 2020-01-14 2021-08-30 Perfect Nature Pte Ltd Hand-free mobile app operating wearable breast pump with human breast contour ensure air tightness support by nursing bra for expressing milk while continuing work tasks and daily activities.
US20220111128A1 (en) * 2020-10-13 2022-04-14 Lansinoh Laboratories, Inc. Breastmilk collection system
US11547155B2 (en) * 2020-12-07 2023-01-10 Lipocosm, Llc External vacuum expander with non-adhesive rim
CN116600836A (zh) * 2020-12-15 2023-08-15 梅德拉控股公司 乳房护罩和乳房护罩单元
WO2023244481A1 (en) * 2022-06-13 2023-12-21 Nooshee Inc. Breast milk distribution system and uses thereof
WO2024082957A1 (zh) * 2022-10-17 2024-04-25 陈水云 一种一体式吸乳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8557A (ja) * 2001-06-22 2009-02-12 Medela Holding Ag 多圧力及び膨張可能なチャンバー構造を有する乳房シールド、関連した搾乳器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4807A1 (en) * 1998-03-06 2000-09-13 Ameda AG Suction bell for breast pump
US20040087898A1 (en) * 2002-11-01 2004-05-06 Gotthilf Weniger Breast pump assembly
US20070060873A1 (en) * 2005-09-15 2007-03-15 Katsuyuki Hiraoka Milking apparatus
US8187227B2 (en) 2006-11-01 2012-05-29 Medela Holding Ag Self returning contamination barrier
JP5079364B2 (ja) * 2007-03-27 2012-11-21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CN201431661Y (zh) * 2009-06-25 2010-03-31 潘嘉卓 一种吸奶器
EP2324868A1 (en) * 2009-07-28 2011-05-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drive for breast pump
AU2010300011C1 (en) * 2009-09-22 2014-05-08 Medela Holding Ag Breast shield for expressing human breast milk
GB0917069D0 (en) 2009-09-29 2009-11-11 Nokia Siemens Networks Oy A method and apparatus
EP2441481A1 (en) * 2010-10-15 2012-04-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breast pump
CN201969093U (zh) * 2011-01-26 2011-09-14 上海福契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负压可调式平衡吸乳器阀膜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8557A (ja) * 2001-06-22 2009-02-12 Medela Holding Ag 多圧力及び膨張可能なチャンバー構造を有する乳房シールド、関連した搾乳器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492A (ko) * 2017-06-15 2020-02-19 애나벨라 테크 엘티디 모유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8380A1 (en) 2015-11-19
HK1213516A1 (zh) 2016-07-08
CN104936630B (zh) 2017-04-26
AU2013362765A8 (en) 2015-07-23
IL239216A0 (en) 2015-07-30
AU2013362765B2 (en) 2018-05-31
KR102218504B1 (ko) 2021-02-23
CN104936630A (zh) 2015-09-23
US10149929B2 (en) 2018-12-11
TW201427730A (zh) 2014-07-16
EP2934615B1 (de) 2018-10-24
EP2934615A1 (de) 2015-10-28
CH707363A1 (de) 2014-06-30
TWI636802B (zh) 2018-10-01
AU2013362765A1 (en) 2015-07-02
WO2014094187A8 (de) 2015-07-09
WO2014094187A1 (de)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7570A (ko) 매질 분리를 구비하는 유방쉴드 유닛
KR20150097571A (ko) 유방쉴드 유닛
CN214181303U (zh) 母乳挤奶器
KR101729635B1 (ko) 사람의 모유를 짜내기 위한 가슴 막이
AU2012286462B2 (en) Breastshield unit
US9333283B2 (en) Breast pump
KR101617873B1 (ko) 핸즈프리 유축기
US6887217B1 (en) Hands-free breast pumping system
KR20090089884A (ko) 수동 유축기
KR20100015999A (ko) 배액 펌프 유닛
US8915880B2 (en) Funnel for a breast pump
CN110099702B (zh) 用于吸奶泵设备的挤出套件
US11717599B2 (en) Breast shield for a breast pump system
RU2769177C9 (ru) Комплект для сцежива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молокоотсоса
CN113395986A (zh) 可佩戴吸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