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005A -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005A
KR20150096005A KR1020140016731A KR20140016731A KR20150096005A KR 20150096005 A KR20150096005 A KR 20150096005A KR 1020140016731 A KR1020140016731 A KR 1020140016731A KR 20140016731 A KR20140016731 A KR 20140016731A KR 20150096005 A KR20150096005 A KR 20150096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out
gui
user
gui screen
edi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훈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존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존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존다스
Priority to KR102014001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6005A/ko
Publication of KR2015009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한정된 개수의 어휘 풀(pool)에서 금융상품의 매매 주문 시 필요한 호가 음성 및 매매수량 음성을 음성인식을 수행함으로써 호가 및 매매수량에 대한 음성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그 주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매매 대상이 되는 특정 종목 및 상기 특정 종목의 주당 가격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종목의 한정된 개수의 제시 가능 호가 각각에 상응하는 호가 발음열을 특정하는 단계, (b) 특정된 상기 호가 발음열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종목의 매매 호가에 상응하는 제1 음성 정보를 음성인식하여 상기 특정 종목의 매매 호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특정 종목을 상기 매매 호가에 매매하기 위한 주문을 소정의 거래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주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Graphic user interface layout edit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데이터를 조회하고 등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GUI의 레이아웃을 간편하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성을 향상하고 업무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에서는 재무, 생산, 재고와 같은 회사의 경영, 관리에 필요한 수많은 데이터를 취급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업의 경영 및 관리에 관한 업무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인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솔루션 소프트웨어를 도입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인 ERP 솔루션의 경우 해당 솔루션을 사용하는 기업 내의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어느 하나의 기능이라도 빠져 있는 경우에는 해당 솔루션 전체가 미완성된 솔루션으로 취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통상적인 ERP 솔루션의 경우 획일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가지고 디자인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기업 내의 부서마다 취급하는 데이터의 종류가 모두 다르고, 기업이 상대하는 대상 업체에 따라서도 취급/관리해야하는 데이터의 종류가 조금씩 다름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ERP 솔루션은 특정 사용자에게만 이용되며, 어떠한 사용자에게는 전혀 이용되지 않은 요소까지 모두 포함하는 획일적인 UI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UI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이는 사용성의 저하 및 입력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ERP 솔루션과 같은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의 UI를 실사용자 자신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성을 향상하고 업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요구가 날로 커져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소프트웨어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내에 배치되는 UI 오브젝트의 레이아웃을 실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에게 최적화되도록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내에 기 배치되거나 추가적으로 배치될 적어도 하나의 UI 오브젝트(User Interface Object) 각각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명령입력모듈,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의 대상이 된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의 변경이 반영된 상기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GUI 화면에 대한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되는 경우,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된 상기 GUI 화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태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은, 저장된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로딩하는 로딩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로딩한 상기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가 그에 상응하는 배치상태로 배치된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치상태 편집명령은, 신규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명령, 상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된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명령, 또는 상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된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에서 제거하기 위한 삭제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모듈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I 오브젝트는,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표시 UI 오브젝트 및 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을 위한 입력 UI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소정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 UI 오브젝트 및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소정의 중앙 서버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a)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되거나 추가적으로 배치될 적어도 하나의 UI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의 대상이 된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의 변경이 반영된 상기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상기 GUI 화면에 대한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되는 경우,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된 상기 GUI 화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태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은, 저장된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로딩한 상기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가 그에 상응하는 배치상태로 배치된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I 오브젝트는,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표시 UI 오브젝트 및 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을 위한 입력 UI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소정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 UI 오브젝트 및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소정의 중앙 서버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ERP 솔루션 등 복잡한 데이터를 취급하는 각종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GUI 화면을 각 사용자 또는 회사 별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하므로 업무 진행 시 데이터의 입력 및 조회의 용이성과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 없는 데이터 필드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업무의 정확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가 작성한 GUI 화면 레이아웃을 손쉽게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 UI 오브젝트의 편집 권한을 특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면 부여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에 대한 안정성 및 일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의 구성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 내지 도 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을 통해 GUI 레이아웃을 편집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편집된 GUI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의 구성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GUI 화면의 레이아웃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의 GUI 화면은 복수의 UI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GUI 화면의 레이아웃은 상기 GUI 화면에 포함된 개별 UI 오브젝트의 배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I 오브젝트는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그래픽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ERP 솔루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UI 오브젝트를 가지는 어떠한 형태의 소프트웨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적용을 받는 ERP 솔루션 시스템은 기업의 경영 및 관리에 관한 업무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인사, 재무, 생산 등 기업의 전 부문에 걸쳐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각종 관리시스템의 경영자원을 통합한 통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ERP 솔루션은 기업에서의 여러가지 자원의 흐름, 용도를 감시하며, 경영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경리, 영업, 재고 관리 등의 업무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하여, 보다 나은 경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편집된 GUI 화면의 레이아웃에 관한 레이아웃 정보를 DB(300)에 저장하여, 다른 사용자의 단말(예를 들면, 210)이 이를 공유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특정한 권한을 가진 사람만이 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이 가능한 UI 오브젝트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고 및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 21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21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210)에 구비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컴퓨팅장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 및 210)은 컴퓨터, 랩탑, 데스크탑, 타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전화, 위성 전화, 무선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스마트폰, 기타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컴퓨팅 장치 또는 다른 무선 모뎀에 연결된 프로세싱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명령입력모듈(110), 디스플레이모듈(120), 저장모듈(130) 및 로딩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예를 들면, 명령입력모듈(110), 디스플레이모듈(120), 저장모듈(130) 및/또는 로딩모듈(14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resource)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입력모듈(110), 디스플레이모듈(120), 저장모듈(130) 및/또는 로딩모듈(14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명령입력모듈(110), 디스플레이모듈(120), 저장모듈(130) 및/또는 로딩모듈(140) 등 각각의 모듈을 구성하는 세부구성들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세부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명령입력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되거나 추가적으로 배치될 적어도 하나의 UI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배치상태 편집명령은 상기 GUI 화면 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신규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명령, 상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된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명령 또는 상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된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에서 제거하기 위한 삭제명령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별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어떠한 명령도 상기 배치상태 편집명령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GUI 편집 과정 중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태와 편집이 완료된 후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각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태가 동일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의 대상이 된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의 변경이 반영된 상기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을 통해 GUI 레이아웃을 편집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모듈(120)은 편집대상이 되는 GUI 화면(20)을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모듈(120)은 상기 GUI 화면(20)에 추가 배치될 수 있는 각종 배치가능 UI 오브젝트(10)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치가능 UI 오브젝트(10)는 다른 UI 컨트롤의 이름표 역할을 하는 LABEL 오브젝트, 텍스트를 표시/입력받기 위한 TEXT BOX 오브젝트, 메뉴 컨트롤을 표시하기 위한 MENU 오브젝트, 콤보박스 오브젝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배치가능 UI 오브젝트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표, 그래프와 같은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UI 오브젝트, 여러 개의 단위 UI 오브젝트가 그룹을 이룬 그룹 오브젝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GUI 화면(20)에 기 배치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새로 배치하고자 하는 상기 GUI 화면(20) 내의 위치로 드래그/드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입력모듈은 이를 기 배치된 UI 오브젝트의 이동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MENU CONTOL 1(5)를 선택한 후 이를 상기 GUI 화면(20) 상의 새로운 위치로 드래그한 후 드롭함으로써, 상기 MENU CONTOL 1(5)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위치 이동 명령에 응답하여, 변경된 위치에 상기 MENU CONTOL 1(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GUI 화면(20)에 기 배치된 UI 오브젝트(예를 들면, LABEL 2(3) 및 TEXT BOX 2(4))를 선택하고 삭제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0)은 상기 GUI 화면(20)에서 삭제명령의 대상이 된 UI 오브젝트(즉, LABEL 2(3) 및 TEXT BOX 2(4))를 상기 GUI 화면(20)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GUI 화면(20)에 신규 UI 오브젝트를 추가하기 위하여, 배치가능 UI 오브젝트(10)에 포함된 UI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GUI 화면(20) 내의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드래그/드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명령입력모듈은 이를 상기 UI 오브젝트의 삽입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배치가능 UI 오브젝트(10)에 포함된 LABEL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GUI 화면(20) 내의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드래그한 후 드롭할 수 있으며, 신규로 배치된 LABEL 오브젝트의 텍스트를 LABEL 3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0)은 신규로 배치된 UI 오브젝트인 LABEL 3을 상기 GUI 화면(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과 같은 GUI 화면(20)에서 MENU CONTOL 1(5)의 위치가 변경되고, LABEL 2(3) 및 TEXT BOX 2(4)가 삭제되고, LABEL 3(6), TEXT BOX 3(7), LABEL 4(8) 및 TEXT BOX 4(9)가 신규로 배치된 경우의 GUI 화면(2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명령입력모듈(110)은 상기 GUI 화면(20)에 배치된 2 이상의 UI오브젝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그룹생성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황에서, LABEL 1(1) 및 TEXT BOX 1(2)을 선택한 후 그룹 생성명령을 입력하여 이 두 UI 오브젝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으며, LABEL 3(6) 및 TEXT BOX 3(7)을 선택한 후 그룹 생성명령을 입력하여 이 두 UI 오브젝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으며, LABEL 4(8) 및 TEXT BOX 4(9)을 선택한 후 그룹 생성명령을 입력하여 이 두 UI 오브젝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GUI 화면(20)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크기를 변경하고자 하는 UI 오브젝트의 일 측 모서리 부분을 클릭한 후 원하는 크기로 드래그 함으로써 상기 UI 오브젝트의 크기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명령입력모듈(120)은 이를 상기 UI 오브젝트에 대한 크기 변경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0)은 변경된 크기가 반영된 상기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모듈(120)은 상기 GUI 화면(20)에 대한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되는 경우,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된 상기 GUI 화면(20)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태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로컬 저장소(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등)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고, 구현 예에 따라, 상기 DB(300)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각 UI 오브젝트의 위치정보 및 그룹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편집된 GUI 레이아웃을 저장하는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GUI 화면(20)이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GUI 레이아웃 정보는 LABEL 1(1) 및 TEXT BOX 1(2)으로 구성된 Group 1의 레이아웃 정보, LABEL 3(6) 및 TEXT BOX 3(7)으로 구성된 Group 2의 레이아웃 정보, LABEL 4(8) 및 TEXT BOX 4(9)으로 구성된 Group 3의 레이아웃 정보 및 그룹으로 묶이지 않은 MENU CONTROL 1의 레이아웃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UI 오브젝트(예를 들어, MENU CONTROL 1)의 레이아웃 정보는 상기 UI 오브젝트의 상기 GUI 화면(20) 내에서의 위치정보 및 각 UI 오브젝트의 크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130)은 상기 GUI 레이아웃 정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GUI 레이아웃 정보를 XML 형태로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모듈(120)에는 XML DOM(Document Object Model)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딩모듈(140)은 저장된 레이아웃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상기 로딩모듈(140)이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로딩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로딩한 상기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가 그에 상응하는 배치상태로 배치된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딩모듈(14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아웃 정보를 로딩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GUI 화면(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유자 단말(210)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공유자 단말(210) 역시 상기 로딩모듈(140)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작성된 상기 GUI 화면에 대한 레이아웃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GUI 화면 레이아웃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타인의 사용자 단말에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GUI 화면에 포함되는 UI 오브젝트는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표시 UI 오브젝트 및 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을 위한 입력 UI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을 위한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편집 권한을 모든 사용자에게 허여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의 일관성 및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특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입력 UI 오브젝트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모듈(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소정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 한해 상기 표시 UI 오브젝트 및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만을 입력받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데이터의 조회가 가능한 표시 UI 오브젝트만을 포함하는 GUI 화면은 각 사용자 개인만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데이터의 입력/수정이 가능한 입력 UI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GUI 화면은 모든 사용자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저장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로컬 저장소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소정의 중앙서버(예를 들면, DB(300))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ERP 솔루션 등 복잡한 데이터를 취급하는 각종 소프트웨어의 실행화면에 포함된 GUI 화면을 각 사용자 또는 회사 별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하므로 업무 진행 시 데이터의 입력 및 조회의 용이성과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 없는 데이터 필드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업무의 정확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사용자 단말로부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되거나 추가적으로 배치될 적어도 하나의 UI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의 대상이 된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의 변경이 반영된 상기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GUI 화면에 대한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되는 경우,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된 상기 GUI 화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태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사용자 단말로부터,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내에 기 배치되거나 추가적으로 배치될 적어도 하나의 UI 오브젝트(User Interface Object) 각각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명령입력모듈;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의 대상이 된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의 변경이 반영된 상기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GUI 화면에 대한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되는 경우,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된 상기 GUI 화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태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은,
    저장된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로딩하는 로딩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로딩한 상기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가 그에 상응하는 배치상태로 배치된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상태 편집명령은,
    신규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 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명령,
    상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된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명령, 또는
    상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된 UI 오브젝트를 상기 GUI 화면에서 제거하기 위한 삭제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모듈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오브젝트는,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표시 UI 오브젝트 및 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을 위한 입력 UI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소정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 UI 오브젝트 및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소정의 중앙 서버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7. (a)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GUI 화면 내에 기 배치되거나 추가적으로 배치될 적어도 하나의 UI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배치상태 변경명령의 대상이 된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의 변경이 반영된 상기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이, 상기 GUI 화면에 대한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되는 경우, 레이아웃 편집이 완료된 상기 GUI 화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의 배치상태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은,
    저장된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로딩한 상기 레이아웃 정보에 포함된 각 UI 오브젝트가 그에 상응하는 배치상태로 배치된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I 오브젝트는,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표시 UI 오브젝트 및 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을 위한 입력 UI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소정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표시 UI 오브젝트 및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 UI 오브젝트에 대한 배치상태 변경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소정의 중앙 서버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상기 권한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제공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이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KR1020140016731A 2014-02-13 2014-02-13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50096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731A KR20150096005A (ko) 2014-02-13 2014-02-13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731A KR20150096005A (ko) 2014-02-13 2014-02-13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005A true KR20150096005A (ko) 2015-08-24

Family

ID=5405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731A KR20150096005A (ko) 2014-02-13 2014-02-13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60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7807A (zh) * 2015-09-23 2017-03-29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数据分析方法与装置
WO2020112865A1 (en) * 2018-11-28 2020-06-04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Audible authentic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7807A (zh) * 2015-09-23 2017-03-29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数据分析方法与装置
US11086881B2 (en) 2015-09-23 2021-08-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data
WO2020112865A1 (en) * 2018-11-28 2020-06-04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Audible authentication
US11315571B2 (en) 2018-11-28 2022-04-2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Audible authent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2425A1 (en)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updating documents with data from linked files in collaborative work systems
US9268562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ally generating mobile application layouts using client-independent configuration
US8712953B2 (en) Data consumption framework for semantic objects
US7984115B2 (en) Extensible application platform
US20170344895A1 (en) Intelligent Workspace
AU20142027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forms to native mobile applications
US202102088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odels with auto-wiring
US20220100479A1 (en) Universal application framework for streamlined frontend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applications
US110825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assistance for contact center applications
US11194450B2 (en) Defini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dashboard created with manually input code and user selections
US10489167B2 (en) Dynamically binding data in an application
CN113168356A (zh) 用于联络中心的统一支持框架
CN108475267B (zh) 用于可执行内容和可执行内容流分发的系统和方法
Snell et al. Microsoft Visual Studio 2012 Unleashed: Micro Visua Studi 2012 Unl_p2
US20180089602A1 (en) Transformation of process model specification between formats
US118869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to-app content reconfiguration
KR20150096005A (ko) Gui 레이아웃 편집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13111632A (zh) 电子稿纸的可视化配置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735530B1 (ko)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자 화면에서의 계층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20140019211A1 (en) Operation State Display Method
KR102160795B1 (ko) 사용자 별 확장 가능 관리 테이블을 이용한 erp 펑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erp 펑션 제공 시스템
KR20200057173A (ko) 소프트웨어 설계서 생성 시스템 및 방법
Guerrero et al. Consuming Data in Fiori Applications
US11526366B2 (en) Dynamically binding data in an application
US20240020606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dynamic workflows to address the needs of supply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