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968A -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 - Google Patents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968A
KR20150094968A KR1020140015926A KR20140015926A KR20150094968A KR 20150094968 A KR20150094968 A KR 20150094968A KR 1020140015926 A KR1020140015926 A KR 1020140015926A KR 20140015926 A KR20140015926 A KR 20140015926A KR 20150094968 A KR20150094968 A KR 20150094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pool
pilot
fluid
mai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182B1 (ko
Inventor
고장훈
Original Assignee
고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장훈 filed Critical 고장훈
Priority to KR102014001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1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6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and remaining closed after return of the norm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럿밸브에 의해 감지되는 유체의 유입 압력에 따라 메인밸브의 피스톤을 승강시켜 메인밸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방출을 단속하는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럿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메인밸브의 유체 방출량을 복잡한 분해조립 과정 없이 허용범위 내에서 간편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는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측과 일측에 상호 연통하는 유입구와 방출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실과 압력실이 구분되게 구획되며 상기 작동실의 내부에서 피스톤이 상기 압력실의 압력과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승강 운동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켜 상기 방출구로의 유체 방출을 단속하는 메인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와 작동실에 각각 연결되는 주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대기압이 작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파일럿밸브바디, 상기 파일럿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승강 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와 배기구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스풀, 상기 스풀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스풀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스풀과 함께 승강 운동하여 상기 스풀과의 사이에서 상기 주입구와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유로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노즐, 상기 파일럿밸브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캡, 및 상기 캡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을 가압하여 작동압을 조절하는 작동압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파일럿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노즐의 상단에 상기 파일럿밸브바디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설치되는 나사봉, 및 상기 나사봉의 외측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나사봉과 함께 상하로 유동하는 상기 노즐의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제2유로의 상하 폭을 조절하는 회전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유로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메인밸브의 유체 방출량을 제어하는 방출량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비례제어식 파일럿 압력방출밸브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Proportional acting pilot pressure relief valve with easily controlling blow down amounts}
본 발명은 파일럿밸브에 의해 감지되는 유체의 유입 압력에 따라 메인밸브의 피스톤을 승강시켜 메인밸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방출을 단속하는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럿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메인밸브의 유체 방출량을 복잡한 분해조립 과정 없이 허용범위 내에서 간편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는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례제어식 파일럿 구동형 압력방출밸브는 유체를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이다.
즉, 압력실의 압력에 따라 피스톤이 승강 운동하면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방출구로 방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메인밸브와, 유입구의 압력에 따라 스풀과 노즐이 승강 운동하면서 압력실의 압력을 조절하여 메인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파일럿밸브가 일체로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거나 같으면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스풀과 노즐이 하강 운동하여 유입구의 압력이 메인밸브의 압력실로 작용하면서 피스톤을 하강시켜 유체를 차단하는 작동을 한다. 이와 반대로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으면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스풀과 노즐이 승강 운동하여 대기압이 메인밸브의 압력실로 작용하면서 피스톤을 상승시켜 유체를 방출하는 작동을 한다.
이에 따라 장치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때 유체를 방출하여 장치의 압력을 설정압력 이하가 되도록 하여 장치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밸브의 방출구에서 방출되는 유체의 방출량은 유입구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때 파일럿밸브의 스풀과 노즐에 의해 파일럿밸브의 내부에서 확보되어 메인밸브의 압력실에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유로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비례제어식 파일럿 구동형 압력방출밸브의 경우, 상기 유로의 상하 폭을 조절하여 유체의 방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전혀 설치되지 않아 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체의 유로 상에 설치되어 분해 조립 작업이 수반되며 유체의 방출 우려로 인하여 작업이 어렵고 미세조절도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46869호, 2006.11.09.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07833호, 2012.11.28.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메인밸브의 유체 방출량을 조절함에 있어서 복잡한 분해조립 작업이 수반되지 않고 유체의 방출 우려도 없어 작업이 용이하고 미세조절도 가능하도록 방출량제어수단이 파일럿밸브의 외부에 설치되는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비례제어식 파일럿 압력방출밸브는, 하측과 일측에 상호 연통하는 유입구와 방출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실과 압력실이 구분되게 구획되며 상기 작동실의 내부에서 피스톤이 상기 압력실의 압력과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승강 운동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켜 상기 방출구로의 유체 방출을 단속하는 메인밸브; 상기 메인밸브의 유입구와 작동실에 각각 연결되는 주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대기압이 작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파일럿밸브바디, 상기 파일럿밸브바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승강 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와 배기구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스풀, 상기 스풀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스풀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스풀과 함께 승강 운동하여 상기 스풀과의 사이에서 상기 주입구와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유로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노즐, 상기 파일럿밸브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캡, 및 상기 캡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을 가압하여 작동압을 조절하는 작동압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파일럿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노즐의 상단에 상기 파일럿밸브바디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설치되는 나사봉, 및 상기 나사봉의 외측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나사봉과 함께 상하로 유동하는 상기 노즐의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제2유로의 상하 폭을 조절하는 회전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유로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메인밸브의 유체 방출량을 제어하는 방출량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편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공이 일정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봉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편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편의 외주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먼저, 메인밸브의 방출구로 방출되는 유체의 방출량을 제어하는 방출량조절수단이 파일럿밸브의 외측에 설치됨에 따라 밸브의 분해조립 과정이 전혀 필요없이 공구를 이용하여 간단한 회전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출량조절수단은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는 회전편으로 구성됨에 따라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편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유체의 방출량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의 유체 차단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의 유체 방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는 메인밸브와 파일럿밸브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장치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를 방출하여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밸브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는 파일럿밸브에 의해 결정되는 메인밸브의 유체 방출량을 밸브의 분해 조립 작업 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메인밸브와 파일럿밸브로 구성되되, 상기 파일럿밸브의 외측에 상기 메인밸브의 유체 방출량을 조절하도록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과 나사결합되는 회전편으로 구성되는 방출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파일럿밸브의 외측에서 방출량조절수단의 회전편을 공구를 통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미세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메인밸브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상기 파일럿밸브를 통해 상기 메인밸브의 작동압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상기 파일럿밸브의 스풀과 노즐에 의해 확보되는 유로의 상하 폭을 간단하게 조절하여 상기 메인밸브의 유체 방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의 유체 차단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의 유체 방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밸브(100), 파일럿밸브(200), 및 방출량제어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밸브(100)는 장치와 연결되어 장치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단속하는 구성으로, 이는 메인밸브바디(110), 작동실(120), 피스톤(130), 및 압력실(14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메인밸브바디(110)는 장치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2)가 하측에 형성되고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방출구(114)가 일측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작동실(120)은 유입구(112)와 방출구(114)가 상호 연통되도록 메인밸브바디(110)의 내부에 구획된 것이다. 상기 피스톤(130)은 메인밸브바디(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실(120)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112)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압력실(140)은 피스톤(130)과 메인밸브바디(110)의 사이에 구획되고 내부에 탄성부재(142)가 설치되어 피스톤(130)을 일정압력으로 하방 가압하여 유체의 압력에 따라 피스톤(130)이 승강 운동하면서 유입구(112)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메인밸브(100)는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30)이 탄성부재(142)에 의해 하강 운동하면서 유입구(112)를 폐쇄하여 유체가 방출구(114)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동을 한다.
이와 달리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30)이 상승 운동하면서 유입구(114)를 개방하여 방출구(114)를 통해 유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작동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파일럿밸브(200)는,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메인밸브(100)의 압력실(140)의 압력을 조절하여 메인밸브(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는 파일럿밸브바디(210), 스풀(220), 노즐(230), 캡(250), 및 작동압조절수단(26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파일럿밸브바디(210)는 일측 상부와 하측에 각각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2)와 압력실(140)에 연결되는 주입구(212)와 배출구(214)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대기압이 작용하는 배기구(216)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스풀(220)은 파일럿밸브바디(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2)를 통해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승강 운동하면서 배출구(214)와 배기구(216)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22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230)은 스풀(2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풀(220)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40)에 의해 스풀(220)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스풀(220)과 함께 승강 운동하면서 스풀(220)과의 사이에서 주입구(212)와 배출구(214)를 연통시키는 제2유로(232)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것이다.
상기 캡(250)은 파일럿밸브바디(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노즐(23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파일럿밸브(200)의 작동압을 조절하는 상기 작동압조절수단(260)을 파일럿밸브바디(210)의 상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압조절수단(260)은 캡(250)의 내외측에 설치되어 노즐(230)을 가압하여 파일럿밸브(200)의 작동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노즐(230)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40), 탄성부재(240)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와셔(262)(264), 캡(250)의 상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조절되는 압력으로 상측의 스프링와셔(262)를 가압하여 탄성부재(240)의 압축량을 조절하는 조절스크루(26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파일럿밸브(200)는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압력이 작동압에 미치지 못하므로 스풀(220)과 노즐(230)이 하강 운동하면서 제2유로(232)는 폐쇄하고 주입구(212)를 메인밸브(100)의 압력실(140)과 연통시키는 제1유로(222)를 확보하여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2)와 압력실(140)에 의한 유체의 압력 면적 차이에 따라 메인밸브(100)의 피스톤(130)을 하강 운동시킴으로써 유체가 메인밸브(100)의 방출구(114)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동을 한다.
이와 달리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을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압력이 작동압을 초과하므로 스풀(220)과 노즐(230)이 상승 운동하면서 제1유로(222)는 폐쇄하고 배기구(116)를 메인밸브(100)의 압력실(140)과 연통시키는 제2유로(232)를 확보하여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2)와 압력실(140)에 의한 유체의 압력 차이에 따라 메인밸브(100)의 피스톤(130)을 상승 운동시킴으로써 유체를 메인밸브(100)의 방출구(114)로 방출하는 작동을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출량제어수단(300)은,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파일럿밸브(200)에 설치되어 파일럿밸브(200)에 의해 제어되는 매인밸브(100)의 유체 방출량을 외부에서 간편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는 나사봉(310), 및 회전편(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봉(310)은 노즐(230)의 상단에 설치되되 파일럿밸브바디(2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노즐(230)의 상단에 돌출된 형태로 일체로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회전편(320)은 내주면에 암사나가 형성되어 나사봉(31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나사봉(310)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나사봉(310)과 일체로 설치되는 노즐(230)의 높이를 미세하게 가변하는 것이다.
이때 회전편(320)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패너 등의 공구를 통해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사각, 육각, 팔각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방출량제어수단(300)은, 회전편(3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노즐(230)의 높이를 가변시키면서 노즐(230)과 스풀(220)의 사이에서 확보되는 제2유로(232)의 상하 폭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제2유로(232)는 그 상하 폭이 상대적으로 클수록 파일럿밸브(200)의 작동시간이 그만큼 느려지면서 메인밸브(100)에서의 유체 방출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그 상하 폭이 상대적으로 작을수록 파일럿밸브(200)의 작동시간이 그만큼 빨라지면서 메인밸브(100)에서의 유체 방출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편(320)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제2유로(232)의 상하 폭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메인밸브(100)의 유체 방출량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회전편(320)의 설치 높이에 대응되는 캡(25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공구를 삽입하는 공구삽입공(252)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구삽입공(252)은 공구를 통한 회전편(320)의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일정 반경을 이루면서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캡(250)을 분리하지 않고 공구삽입공(330)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회전편(320)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메인밸브(100)에서의 유체 방출량을 더욱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봉(310)의 단부에는 회전편(320)이 나사봉(3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나사봉(310)을 대신하여 작동압조절수단(260)의 스프링와셔(264)에 밀착되는 분리방지편(340)이 더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는, 분해조립 작업이 수반하지 않고 유체의 유출 우려도 없이 유체의 방출량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구조와 형태 및 목적이나 유체의 종류 등을 포함하는 설치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메인밸브
110: 메인밸브바디 112: 유입구
114: 방출구 120: 작동실
130: 피스톤 140: 압력실
142: 탄성부재
200: 파일럿밸브
210: 파일럿밸브바디 212: 주입구
214: 배출구 216: 배기구
220: 스풀 230: 노즐
240: 탄성부재 250: 캡
252: 공구삽입공 260: 작동압조절수단
262, 264: 스프링와셔 266: 탄성부재
268: 조절스크루
300: 방출량제어수단
310: 나사봉 320: 회전편
330: 분리방지편

Claims (4)

  1. 하측과 일측에 상호 연통하는 유입구(112)와 방출구(114)가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실(120)과 압력실(140)이 구분되게 구획되며 상기 작동실(120)의 내부에서 피스톤(130)이 상기 압력실(140)의 압력과 상기 유입구(112)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승강 운동하면서 상기 유입구(112)를 개폐시켜 상기 방출구(114)로의 유체 방출을 단속하는 메인밸브(100);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입구(112)와 (120)에 각각 연결되는 주입구(212)와 배출구(214)가 형성되고 대기압이 작용하는 배기구(216)가 형성되는 파일럿밸브바디(210), 상기 파일럿밸브바디(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따라 승강 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214)와 배기구(216)를 연통시키는 제1유로(222)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스풀(220), 상기 스풀(22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220)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40)에 의해 상기 스풀(220)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스풀(220)과 함께 승강 운동하여 상기 스풀(220)과의 사이에서 상기 주입구(212)와 배출구(214)를 연통시키는 제2유로(232)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노즐(220), 상기 파일럿밸브바디(2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캡(250), 및 상기 캡(250)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220)을 가압하여 작동압을 조절하는 작동압조절수단(260)으로 구성되는 파일럿밸브(200);로 구성되되,
    상기 노즐(220)의 상단에 상기 파일럿밸브바디(2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설치되는 나사봉(310), 및
    상기 나사봉(310)의 외측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나사봉(310)과 함께 상하로 유동하는 상기 노즐(220)의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제2유로(232)의 상하 폭을 조절하는 회전편(3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유로(232)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메인밸브(100)의 유체 방출량을 제어하는 방출량제어수단(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비례제어식 파일럿 압력방출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5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편(3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공(252)이 일정반경을 이루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비례제어식 파일럿 압력방출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310)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편(320)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편(3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비례제어식 파일럿 압력방출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320)의 외주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비례제어식 파일럿 압력방출밸브.
KR1020140015926A 2014-02-12 2014-02-12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 KR10157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926A KR101574182B1 (ko) 2014-02-12 2014-02-12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926A KR101574182B1 (ko) 2014-02-12 2014-02-12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968A true KR20150094968A (ko) 2015-08-20
KR101574182B1 KR101574182B1 (ko) 2015-12-11

Family

ID=5405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926A KR101574182B1 (ko) 2014-02-12 2014-02-12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452A (ko) * 2017-02-09 2018-08-20 맥스엔지니어링(주) 3 방향 2 위치 내충격성 고유량 재생 밸브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315B1 (ko) * 2018-09-07 2020-03-05 국방과학연구소 개도 조절 가능한 밸브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833B1 (ko) * 2010-09-14 2012-12-04 한국기계연구원 파일럿 밸브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일럿 작동식 안전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452A (ko) * 2017-02-09 2018-08-20 맥스엔지니어링(주) 3 방향 2 위치 내충격성 고유량 재생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182B1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6575B2 (ja) 平衡ポート付きパイロット作動型レギュレータ
KR101764709B1 (ko) 유량 및 압력 조절형 감압밸브
JPS624972A (ja) パイロツト作動式逃し弁装置 ピストン
CN203374967U (zh) 一种遥控溢流阀
KR101574182B1 (ko) 방출량 제어가 용이한 파일럿 구동형 비례제어식 압력방출밸브
KR101437080B1 (ko) 과압으로 인한 다이아프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압밸브
KR102349393B1 (ko) 가스 통과를 제어하고 조정하기 위한 제어 및 조정장치
US9664291B2 (en) Valve, in particular pilot-operated proportional directional poppet valve
KR102315806B1 (ko) 제어밸브 작동을 위한 파일럿 유압 시스템
WO2016149968A1 (zh) 回油结构
KR200383975Y1 (ko) 감압 및 릴리프 밸브장치
KR101453353B1 (ko) 정유량 밸브
KR102210085B1 (ko) 방폭 리프트 밸브
KR101576752B1 (ko) 벤트기능과 릴리프기능을 갖는 밸브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0891102B1 (ko) 유량조절카트리지
US9353883B2 (en) Excess pressure safety relief valve
CN205090033U (zh) 一种调压阀
KR101528531B1 (ko) 복합 정유량 밸브
KR101061244B1 (ko) 안전 방출 밸브
ITMI20001792A1 (it) Struttura di rubinetto temporizzato
WO2020065373A1 (en) Air release valve
US2899976A (en) Release relief valve
KR100584774B1 (ko) 공기압력 조절밸브
KR200216890Y1 (ko) 감압밸브
CN208221683U (zh) 止水阀调节水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