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91A -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91A
KR20150094291A KR1020140015392A KR20140015392A KR20150094291A KR 20150094291 A KR20150094291 A KR 20150094291A KR 1020140015392 A KR1020140015392 A KR 1020140015392A KR 20140015392 A KR20140015392 A KR 20140015392A KR 20150094291 A KR20150094291 A KR 2015009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event
sound
event dat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운들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운들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운들리
Priority to KR102014001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291A/ko
Publication of KR2015009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을 감지하는 마이크,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메모리에 로딩되어 상기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되면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를 받은 경우,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vent occurred in meeting}
본 발명은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향으로부터 의미 있는 이벤트만을 감지하여 관리하는 이벤트의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동일한 장소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고 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예를 들면 사용자들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근거리 통신용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추정된 위치, 또는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기지국을 이용하여 추정된 위치 등과 같이 각종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번호 2013-0142934 (2013.12.30)(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다수의 물리적 특징들을 사용한 다이내믹 미팅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는 동일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미팅을 검출하는 기술을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들은 회식, 축제, 회의 등과 같은 모임에서 의미 있는 이벤트들만을 감지하여 기록하고 이를 활용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임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향으로부터 의미 있는 이벤트만을 감지하여 관리하는 이벤트의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임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향으로부터 의미 있는 이벤트만을 감지하여 관리하는 이벤트의 관리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을 감지하는 마이크,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메모리에 로딩되어 상기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되면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를 받은 경우,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음향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고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를 받은 경우,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멤버로 하는 그룹의 멤버에게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모든 멤버로부터 재생 동의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가 감지한 음향에서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된 시점을 포함한 소정 시간길이의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향 데이터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고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멤버로 하는 그룹의 멤버에게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모든 멤버로부터 재생 동의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된 시점을 포함한 소정 시간길이의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서버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임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향으로부터 의미 있는 이벤트만을 감지하여 관리함으로써, 이후에 모임에 참석한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임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향으로부터 의미 있는 이벤트만을 감지하여 관리하되, 모임에 참석한 사용자들의 동의를 얻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인 정보가 보호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3은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7은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관리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멤버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5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멤버를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임에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서버(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서버와 각각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200)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셀룰러폰, 태블릿 PC, 노트북, 또는 안경/시계 등의 웨어러블 모바일 기기 등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서버 컴퓨터나 데스크탑 컴퓨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임"이라 함은 둘 이상의 사람이 동일한 장소에 모여서 적어도 음성을 포함한 통신 방식으로 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회식, 축제, 회의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서버(3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제공하기만 하면 어떤 종류나 형태의 네트워크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유선망 또는 무선망 중 어느 하나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인터넷망, 근거리 무선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예컨대 사용자인 멤버A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다수의 멤버(A 내지 D)로 구성된 그룹 모임에서 임의의 물리적 위치에 배치되어 음향(음파신호)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되는 음향은 멤버(A 내지 D) 및/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나오는 임의의 음파신호일 수 있으며, 예컨대 멤버들끼리의 대화, 웃음소리, 박수소리를 포함할 수 있고 폭죽소리 등과 같이 모임 주위 환경에서 발생되는 임의의 음파신호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음향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는 음향(음파신호)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기정의된 "이벤트"는 예컨대 박수소리, 웃음소리 등과 같이 특정 유형의 음향이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음향에서 미리 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는 것은, 예를 들어 감지되는 음향 중 소정 역치(threshold value) 이상의 세기를 가진 음향을 판별하고 이 역치 이상의 음향을 기준신호(기저장된 기준 이벤트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음향이 미리 정의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가진 음향”은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가진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음향"을 의미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위와 같이 이벤트를 인식하면 그 후 이벤트에 관한 데이터("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통신 가능한 임의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멤버A 내지 D 중 임의의 멤버일 수 있음)의 요청이 있으면 이벤트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이벤트 데이터를 멤버A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다른 임의의 멤버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이벤트 데이터를 재생하기 전에, 서버(300)가 이 이벤트 데이터의 재생에 동의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모든 멤버(A 내지 D)에게 전송하고 이 재생 동의 요청에 대한 모든 멤버의 동의를 받은 경우에만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이벤트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이벤트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의해 감지되어 생성된 이벤트 데이터를 모든 멤버의 동의 하에 저장, 재생,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멤버"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서버(300)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고, 이들 각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명확히 구별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멤버"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의미하거나 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멤버를 구성하는 그룹은 미리 설정될 수도 있지만 동일 시간에 일정 영역 이내에 모인 사용자들의 집합이 즉석에서 하나의 그룹이 되고 이 그룹 내의 사용자들(또는 사용자들의 모바일 단말기들)이 멤버가 될 수 있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마이크(10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103), 프로세서(107), 메모리(109), 및 저장장치(111)를 포함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벤트 감지부(105)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01)는 음향(음파신호)을 감지한다. 즉 수신되는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ADC(103)는 마이크(101)에서 감지한 아날로그 음파신호인 음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ADC(103)는 마이크가 감지한 모든 음파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ADC(103)는 기설정된 소정 역치(threshold value) 이상의 세기를 가진 음파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7)는 컴퓨터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범용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의미할 수 있으며 메모리(109)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09)는 랜덤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휘발성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동에 필요한 운영체제(OS),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메모리(109)에 로딩(load)될 수 있다. 저장장치(111)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로서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플래시 메모리,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05)는 감지된 음향이 미리 정의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 감지부(105)는 ADC(103)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음향 데이터가 소정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 역치 이상 세기를 갖는 경우 이 음향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이벤트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해당 음향 데이터가 상기 기정의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저장된 이벤트 기준신호는 예컨대 저장장치(111)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ADC(103)가 기설정된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가진 음파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 이벤트 감지부(105)는 ADC(103)를 통과한 모든 음향 데이터를 이벤트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기정의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벤트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0)은 예를 들어 저장장치(111)와 같은 임의의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다가 메모리(109)에 로딩되어 프로세서(107)의 제어하에 동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0)은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되면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이벤트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 서버(300)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벤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20)은, 서버(300)로부터 임의의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에게 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재생 동의 여부를 입력하면 이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20)은 마이크(101)에 의해 감지된 음향이 미리 정의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대안적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20)은 ADC(103)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음향 데이터가 소정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 역치 이상 세기를 갖는 경우 기저장된 이벤트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음향 데이터가 상기 기정의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120)은, ADC(103)가 기설정된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가진 음파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 ADC(103)를 통과한 모든 음향 데이터를 이벤트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기정의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120)은, ADC(103)를 통과한 모든 음향 데이터를 은닉 마코프 모델(HMM: 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 깊은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알고리즘 등의 공지된 인공지능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음향에서 이벤트를 인식할 수도 있다. 즉 이 대안적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20)은 이벤트 감지부(105)의 기능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당업자는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이벤트 감지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예컨대, 이벤트 감지부(105)로) 구현하든지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예컨대, 애플리케이션(120)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3은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마이크(101),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103), 프로세서(107), 메모리(109), 및 저장장치(111)를 포함한다. 이들 각 구성요소는 도2에 도시한 대응 구성요소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3의 대안적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이벤트 감지부(105)를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 이벤트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2와 상이하다. 즉 도3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벤트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130)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 이벤트 감지를 위한 음향신호 처리 프로그램(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30)은 이벤트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도2에서 상술한 애플리케이션(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신호 처리 프로그램(140)은 감지된 음향에서 이벤트를 인식하는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예시적 일 실시예에서 음향신호 처리 프로그램(140)은 은닉 마코프 모델 알고리즘, 깊은 신경망 알고리즘 등의 공지된 인공지능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음향에서 이벤트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3에서는 애플리케이션(130)과 음향신호 처리 프로그램(140)의 별개의 소프트웨어로 도시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의 경우 애플리케이션(130)과 음향신호처리 프로그램(140)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관리하는 예시적 방법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4 내지 도6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컨대 도2 또는 도3에 도시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도1에 도시한 것처럼 예를 들어 다수의 멤버로 구성된 그룹의 모임에서 임의의 물리적 위치에 배치되어 음향을 감지하도록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다수의 멤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120,130)이 설치되어 있어 동일 영역 내에서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음향을 감지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지만, 이하의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향 감지 및 이벤트 인식 기능은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만 활성화되어 있다고 전제한다.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S10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마이크(101)를 통해 음향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120 또는 130)이 마이크(101)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120,130)을 통해 마이크(101)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0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단계(S102)는, 감지된 음향이 기설정된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갖는지를 판단하고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갖는 음향을 기정의된 이벤트의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102)의 동작은 ADC(103) 및/또는 이벤트 감지부(105)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음향신호 처리 프로그램(140)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계(S102)에서 이벤트가 인식되면, 단계(S10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이벤트 데이터는, 감지된 음향에서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된 시점을 포함한 소정 시간길이의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정의된 이벤트가 특정 유형의 웃음소리라고 가정하면, 이벤트 데이터는 이 웃음소리를 인식한 시점의 전후로 10초간, 즉 총 20초 길이의 음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0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가 자신임을 알리는 식별정보도 함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서버(3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어떤 종류나 형식이어도 무방하며, 예컨대 MAC 어드레스, 전화번호 등과 같이 이미 부여되어 있는 식별정보이어도 되고 서버(300)에 의해 생성되어 각 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여된 별도의 식별정보이어도 무방하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이벤트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버(300)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104), 그 후 모든 멤버에게 이 이벤트 데이터의 재생에 동의하는지를 문의한다(단계 S108). 서버(300)는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각 멤버에게 전송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재생할 대상이 되는 이벤트 데이터도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이벤트 데이터는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전송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된다.
이 단계(S104)에서 서버(300)가 멤버에게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서버(300)가 모든 멤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알고 있다고 전제한다. 예를 들어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것처럼 서버(300)가 각 이벤트 및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11의 이벤트 관리 정보를 참조하면, 임의의 그룹("그룹1")의 모임에서 두 번의 이벤트("이벤트1" 및 "이벤트2")가 순차적으로 감지된 경우, 서버(300)는 각 이벤트의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그룹 내의 멤버들("그룹1"에는 멤버가 A, B, C만 있다고 가정한다)에게 전송하고 각 멤버들의 동의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300)는 동의 요청 메시지 및/또는 이벤트 데이터를 각 멤버들에게 전송하기 위해 그룹 단위로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예컨대 "그룹1"의 멤버가 A, B, C인 경우 이들 각 멤버에게 메시지 및/또는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관리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면에서 "멤버 ID"는 예컨대 각 멤버를 다른 멤버와 식별하는 임의의 식별 정보일 수 있고, "네트워크 주소"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넷망에서의 공인 IP 주소, 사설 IP 주소, 이동통신망에서의 사설 IP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실시 형태에 따라 서버(300)가 그룹, 멤버, 및 이벤트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4를 참조하면, 서버(300)가 모든 멤버에게 재생 동의를 요청하기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로부터 재생 명령을 수신하고(S105) 이 재생 명령을 수신한 사실을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재생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지만, 그룹에 속한 다른 멤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20,130)을 통해서도 재생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120,130)을 통해 재생 명령을 입력하면 애플리케이션(120,130)이 재생 명령의 입력 사실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음향 데이터 재생을 위한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애플리케이션(120,130)이 이를 인식하고 사용자 재생 명령의 입력 사실을 서버(300)로 통지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S107)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서버에 재생 명령의 입력 사실을 통지할 때, 필요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는 재생 명령 입력 사실을 통지하는 주체가 자신임을 알리는 식별정보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식별정보는 예컨대 위의 단계(S103)의 설명에서 언급한 식별정보 또는 도12에 도시된 멤버 ID일 수 있다.
또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단계(S105)에서 사용자가 재생 명령을 입력할 때 재생 동의를 받을 멤버들을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단계(S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그룹내의 모든 멤버가 아니라 사용자가 지정한 일부 멤버에게만 동의 요청을 보낼 수 있다. 이 대안적 실시예의 경우 애플리케이션(120,130)이 그룹 내의 전체 멤버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멤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자동으로 멤버를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감지하는 음향에서 음성을 인식하여 재생 동의를 구할 멤버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도11 또는 도12의 관리 정보에 각 멤버의 음성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그룹 모임에서 감지하는 음향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는 기저장된 멤버별 음성 정보를 참조하여 이 음향 데이터에서 해당 모임에 참석한 멤버를 추출하고 이들에게 재생 동의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09)에서, 서버(300)가 재생 동의 요청을 받은 모든 멤버로부터 동의를 받으면(S109-Y), 서버(300)는 이벤트 데이터를 저장한 뒤(S110)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며(S111),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받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를 재생한다(S112).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S111)에서 서버(300)는 예컨대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이벤트 데이터를 재생할 모바일 디바이스가 단계(S102 및 S103)에서 이벤트를 인식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한 디바이스인 경우에는 서버(300)가 이벤트 데이터를 다시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 전송 단계(S111)가 생략될 수 있다.
도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4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5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는 서버(300)가 멤버에게 동의를 구하는 시점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다.
즉 도5를 참조하면, 서버(3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05)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로부터 재생 명령을 수신한 사실을 서버(300)에 전송하는 단계(S210) 사이에, 서버(300)가 멤버들에게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동의를 구한다(S206). 이 때 서버(300)는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와 함께 재생 대상이 되는 이벤트 데이터도 전송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도5에 도시한 나머지 단계들은 도4의 대응 단계들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4 및 도5와 비교할 때 도6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역시 서버(300)가 멤버에게 동의를 구하는 시점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다.
도6의 제3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음향을 감지하는 단계(S301) 이전에 멤버들에게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03).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애플리케이션(120,130)을 실행시키면 애플리케이션(120,130)이 서버(300)에 실행사실을 통지하고, 서버(300)는 이 통지를 받는 즉시 멤버에게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벤트를 감지하기 전이므로 서버(300)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재생 동의가 아니라 향후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감지할 임의의 이벤트 데이터에 대해 일괄적으로 사전 동의를 구하는 것이다.
또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서버(300)가 동의 요청 단계(S303)를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가 재생 동의를 받을 멤버들을 선택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입력하고(단계 S301)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 입력된 멤버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는(단계 S30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S301, S302)는 도4의 단계(S106, S107)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303)에서 멤버에서 동의 요청을 구한 결과 멤버 모두 동의를 하면(S304-Y), 서버(300)는 향후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면(S307) 이를 저장한다(S308). 그 후 사용자 재생 명령 사실을 통지 받거나(S310) 혹은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통지가 없더라도, 필요에 따라 이벤트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S311).
만일 동의 요청을 구한 멤버들의 모두로부터 동의를 받지 못하면(S304-N) 상술한 단계로 진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그러나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벤트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300)는 제1 실시예(도4) 또는 제2 실시예(도5)에서와 같이 개별 이벤트 데이터 단위로 동의 여부를 멤버들에게 요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7은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마이크(101), ADC(103), 프로세서(107), 메모리(109), 및 저장장치(111)를 포함한다. 이들 각 구성요소는 도2 또는 도3에 도시한 대응 구성요소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7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벤트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150)을 포함하며, 이 애플리케이션(150)은 이벤트 인식 기능을 갖지 않는다. 도7의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벤트 인식 기능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서버(300)에서 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도7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할 때의 이벤트 관리 방법들을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S40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마이크(101)를 통해 음향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음향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한다(S402).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감지되는 음향을 필터링하지 않고 모두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고, 대안적 실시예에서 필터링을 수행한 뒤 예컨대, 소정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갖는 음향 데이터만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 뒤(S403) 음향 데이터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고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S404).
서버(300)가 음향 데이터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는 방법은 도2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 내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가 이벤트 감지부(105)와 유사한 기능부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이 기능부가 음향 데이터를 기저장된 이벤트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서버(300)가 도3에서 상술한 음향신호 처리 프로그램(140)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HMM 알고리즘 또는 DNN 알고리즘과 같은 인공지능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이를 실행하여 이벤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서버(300)가 음향 데이터로부터 이벤트를 감지하면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이벤트 데이터는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된 시점을 포함한 소정 시간길이의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한 후 단계(S405)에서, 필요에 따라 서버(300)가 이벤트 인식 결과 및/또는 이벤트 데이터 생성 결과를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서버(300)는 단계(S402)에서 음향 데이터를 전송해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게만 이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대안적 실시예에서, 그룹에 속한 모든 멤버에게 이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로부터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406) 내지 이벤틀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S413)의 각각은 도4에 도시한 단계들(S105 내지 S112)에 대응되며 이들 단계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9의 제5 실시예는 서버(300)가 음향 데이터로부터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S504)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도8의 제4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다. 또한 이벤트 감지 결과 및/또는 이벤트 데이터 생성 결과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하는 단계(S505) 이후에,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재생 명령을 수신받기 전에(단계 S510 이전에) 멤버들로부터 재생 동의 요청을 받는 점에서 도5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도9의 단계들(S506 내지 S512)은 도5에 도시한 단계들(S206 내지 S212)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도1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10의 제6 서버(300)가 음향 데이터로부터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S608)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제4 실시예(도8) 또는 제5 실시예(도9)와 동일 내지 유사하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음향을 감지하기 전에(즉 단계 S605 이전에) 멤버들로부터 사전 동의 요청을 받는다는 점에서 도6의 제3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도10의 단계들(S601~S604, 및 S610~S614)은 도6에 도시한 단계들(S301~S304, 및 S308~312)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이제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로서, 상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기 전에 서버(300)가 멤버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안적 실시예(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4의 제1 실시예의 음향 감지 단계(S102) 전에, 재생 동의 요청을 구할 멤버를 특정하는 단계(S701 내지 S703)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도4와 비교하면 도13은 멤버를 특정하는 예시적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집하고(S701) 이 수집된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S702) 그 후 서버가 멤버를 선정하는(S70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이후의 단계(S704~S714)의 각각은 도4의 제1 실시예에서의 각 대응 단계(S101~S112)와 동일 내지 유사하다. 다만 도4의 제1 실시예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의받을 멤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6)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도13의 제7 실시예에서는 단계(S701~S703)를 통해 멤버를 미리 특정하기 때문에 이 단계(S106)가 필요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멤버를 특정하는 예시적 방법(S701~S703)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14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멤버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단계(S7011)에서, 일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WiFi 액세스 포인트(AP)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을 위해서 자신에 관한 정보를 담은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개별 모바일 디바이스는 AP 스캐닝을 통해서 주변에 있는 AP의 식별정보 (네트워크 이름, MAC 어드레스, 비콘신호의 수신 크기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도 테더링을 통해서 자신이 AP처럼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고, 주위 모바일 디바이스가 AP 스캐닝을 하는 경우 테더링을 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AP로 발견하고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S701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자신의 주위의 AP의 각각의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벤트 관리와 상관없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배제하기 위해, 일정 세기 이상으로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AP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만 수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자신이 수집한 식별정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서버(300)로 전송하고(단계 S7021),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뿐만 아니라 이 모바일 디바이스 주변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자신들이 각기 수집한 식별정보 및 자신들 각각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서버(300)는 수신받은 모든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동의를 요청할 멤버를 선정할 수 있다(S7031). 일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수신받은 모든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된 식별정보(예컨대 MAC 어드레스)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멤버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가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제3 AP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1~3 AP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제3 디바이스로부터 제1~제4 AP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하면, 제1~제3 AP의 식별정보가 공통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서버(300)는 제1~제3 모바일 디바이스를 멤버로 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정 방법은 일 예시적 방법이며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멤버를 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은 WiFi 통신 외에 다른 무선통신방식(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ID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의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음향 출력장치(예컨대 스피커)을 통해 식별정보를 음파 ID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음파 ID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구별하는 식별정보로서 예컨대 MAC 어드레스, 전화번호 등과 같이 기기마다 고유하게 할당된 번호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 식별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해야 할 대상인 신호(즉, 기저대 신호로서 음파 ID)를 진폭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 주파수 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 또는 위상변조(PSK: Phase Shift Keying)와 같은 다양한 변조 방식 중 하나에 의해 변조하여 이를 반송파(carrier wave)에 실어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반송파로서 초저주파 신호, 가청주파수 신호, 및 초음파 신호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주파수 범위는 음향 출력장치(예컨대 스피커)와 음향 입력장치(예컨대 마이크)의 기계적 한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가 자신의 스피커를 통해 식별정보(음파 ID)를 출력하면, 단계(S7012)에서 각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신의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 출력되는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 때 이벤트 관리와 상관없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배제하기 위해, 일정 세기 이상의 식별정보만을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자신이 수집한 식별정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서버(300)로 전송하고(단계 S7022), 서버(300)는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각각 수신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동의를 요청할 멤버를 선정할 수 있다(S7032).
일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수집한 모든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된 식별정보(음파 ID)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멤버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도14에서 설명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멤버를 선정할 수 있으며 다른 대안적 방법으로 멤버를 선정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멤버 특정 단계(S701~S703)를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멤버 특정 단계는 상술한 도1 내지 도6 실시예의 어느 실시예와도 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13은 도4의 제1 실시예에 멤버 특정 단계가 포함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제2 내지 도6의 각각의 실시예에도 상술한 멤버 특정 단계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마이크
103: ADC
105: 이벤트 감지부
107: 프로세서
109: 메모리
111: 저장장치
120, 130, 150: 애플리케이션
140: 음향신호처리 프로그램

Claims (26)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음향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고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를 받은 경우,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감지된 음향에서 상기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된 시점을 포함한 소정 시간길이의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음향이 기설정된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갖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역치 이상의 세기를 갖는 음향을 상기 기정의된 이벤트의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멤버로 하는 그룹의 상기 멤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재생 동의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멤버로 하는 그룹의 상기 멤버로부터, 상기 그룹의 임의의 멤버에 의해 생성될 임의의 이벤트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재생 동의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6. 음향을 감지하는 마이크,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메모리에 로딩되어 상기 컴퓨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마이크에 의해 감지된 음향으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되면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를 받은 경우,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감지된 음향을 상기 기정의된 이벤트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는 이벤트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감지된 음향을 상기 기정의된 이벤트의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멤버로 하는 그룹의 상기 멤버로부터 동의받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서버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멤버로 하는 그룹의 멤버에게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모든 멤버로부터 재생 동의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가 감지한 음향에서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된 시점을 포함한 소정 시간길이의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멤버에게 상기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생 명령을 수신받기 전 또는 수신받은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그룹의 멤버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멤버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각각으로부터, 각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집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의 멤버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집한 디바이스 식별정보는,
    (i) 상기 각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일정 세기 이상으로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ii) 상기 각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일정 세기 이상의 수신신호로 감지되는 음파 ID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의 멤버를 선정하는 단계는,
    수집한 모든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된 MAC 어드레스 또는 음파 ID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그룹의 멤버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9. 서버에 의한 이벤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향 데이터로부터 기정의된 이벤트를 인식하고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멤버로 하는 그룹의 멤버에게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대한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은 모든 멤버로부터 재생 동의를 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 기정의된 이벤트가 인식된 시점을 포함한 소정 시간길이의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멤버에게 상기 재생 동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생 명령을 수신받기 전 또는 수신받은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그룹의 멤버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멤버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각각으로부터, 각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집한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의 멤버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집한 디바이스 식별정보는,
    (i) 상기 각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일정 세기 이상으로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P)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MAC 어드레스 정보; 또는
    (ii) 상기 각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일정 세기 이상의 수신신호로 감지되는 음파 ID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의 멤버를 선정하는 단계는,
    수집한 모든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공통으로 포함된 MAC 어드레스 또는 음파 ID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그룹의 멤버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관리 방법.
  26. 제 19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15392A 2014-02-11 2014-02-11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94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92A KR20150094291A (ko) 2014-02-11 2014-02-11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92A KR20150094291A (ko) 2014-02-11 2014-02-11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91A true KR20150094291A (ko) 2015-08-19

Family

ID=5405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392A KR20150094291A (ko) 2014-02-11 2014-02-11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2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8117B2 (en) Beacon addressing
CN107003969B (zh) 用于使用电子附件连接的连接属性促进定位附件的主设备
US201800633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CN105788599B (zh) 语音处理方法、路由器及智能语音控制系统
CN109473095B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20120224457A1 (en) Server for grouping devices based on sounds collected and method therefore
KR20150010517A (ko)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JP2020507943A (ja) 超音波近距離サービス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40117349A (ko) 스토리지 시스템들에서 컨텐트의 삭제
CN110740376A (zh) 改进的内容流式传输装置和方法
EP3836582B1 (en) Relay device for voice commands to be processed by a voice assistant, voice assistant and wireless network
KR101599165B1 (ko) 무선 기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787177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出力装置、音波の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489264A (zh) 用于个性化铃声的方法和电子设备
US10497368B2 (en) Transmitting audio to an identified recipient
KR20150094294A (ko)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94291A (ko)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94862A (ko) 모임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8088450A1 (ja) 音声提供装置、音声再生装置、音声提供方法及び音声再生方法
KR102365161B1 (ko) 모바일 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29847B1 (ko) Ap 보안 접속 서비스 제공장치 및 시스템 및 장치
JP6662590B2 (ja) 音声情報の送受に用いられる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データ管理システム
CN105722079B (zh) WiFi接入方法和装置
CN107111789B (zh) 用户设备确定标识数据的方法和用户设备
KR20160016513A (ko) 모바일 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