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17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172A
KR20150094172A KR1020140015121A KR20140015121A KR20150094172A KR 20150094172 A KR20150094172 A KR 20150094172A KR 1020140015121 A KR1020140015121 A KR 1020140015121A KR 20140015121 A KR20140015121 A KR 20140015121A KR 20150094172 A KR20150094172 A KR 2015009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state
sou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홍성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172A/ko
Priority to US14/567,229 priority patent/US20150228245A1/en
Publication of KR2015009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8Biomedical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치료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한편, 빛을 환자에게 비추어 환자의 심신을 안정시키고, 병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이후, 빛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소위 광치료(Light Therapy) 목적을 위한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로써, 광치료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적합한 광치료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베젤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는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발광 색상, 발광 휘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분할된 제2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치료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오디오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 휘도, 색상 및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기저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베젤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는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발광 색상, 발광 휘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분할된 제2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치료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오디오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 휘도, 색상 및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적합한 광치료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소자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분할하여, 분할 영역에 각기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
도 6은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오디오 출력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 입력받기 위해 OSD 메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의 제1 영역(210)에는 제1 영상(210)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220)에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일반적인 방송 영상, 동영상, 스틸 영상 등일 수 있다. 제2 영상은 광치료(Light Therapy) 목적의 영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영상은 청색 영상, 적색 영상, 갈색 영상, 흑색 영상의 단색으로 구성된 영상일 수 있다.
제2 영상의 디스플레이 특성 값은 기 설정되어, 사용자(U)의 심신 상태, 예를 들면, 사용자(U)의 통증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 통증에 대응되는 청색 영상을 제2 영역(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은 각각 다른 영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은 하나의 영상일 수도 있다. 다만,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휘도, 색상, 색온도, 명암, 콘트라스트 등의 디스플레이의 특성 값만 다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디스플레이(130),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 입력 장치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13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을 균등하게 분할하거나,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PBP(Picture By Picture) 방식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예로 TV,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모니터, 전자 액자,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PMP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을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입력을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및 음악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베젤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레임의 좌우측면, 하측면, 상측면 및 디스플레이(130)를 제외한 정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발광소자(310-1~310-7)가 배치된 영역이 상측면부에 해당되고, 발광소자(310-8~310-n)가 배치된 영역이 우측면부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리모컨의 키패드, 음성인식 모듈, 모션인식 모듈, 가상 키보드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신 상태는 사용자의 심적인 또는 육적인 상태를 통칭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심신 상태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로, 불면증, 우울증, 알츠하이머, 통증, 여드름, 피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 이외에도 광치료(Light Therapy)가 이용될 수 있는 경우라면, 사용자 심신 상태에 제한은 없다. 또한,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적용 가능한 광치료(Light Therapy)에 이용될 수 있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특성 값의 집합 혹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영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특성 값의 집합이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프레임을 직접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저장부(120)는 사용자 심신 상태에 광치료를 위한 디스플레이 특성 값, 이를테면, 영상의 픽셀당 색상, 색온도, 휘도, 콘트라스트, 명암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광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특성 값이라면, 상술한 예 이외에도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 및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DDR RAM, ROM, 플래쉬메모리, CD/DVD 등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 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기 전에도 임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에 반영될 수 있게 한다.
제어부(140)는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발광 상태는,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발광 색상, 발광 휘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입력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분할된 제2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치료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 입력이 될 수 있다.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 입력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설정된 동작이라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오디오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 휘도, 색상 및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소자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일 영상(3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 면에는 복수의 발광소자(310-1~310-n)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310-1~310-n)은 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발광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소자(310-1~310-n)의 발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 심신 상태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하여, 화면을 통해 광치료를 위한 빛을 발산할 수 있지만, 제어부(140)는 베젤 영역에 배치된 발광소자(310-1~310-n)를 제어하여, 발광소자(310-1~310-n)의 발광 세기, 발광 색상, 발광 휘도 및 색온도 등을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발광 상태는 상술한 예 이외에도 제어부(140)가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발광 상태라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분할하여, 분할 영역에 각기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의 제1 영역(410)에는 제1 영상(410)을 제2 영역(420)에는 제2 영상(420)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영역(420)에 디스플레이된 제2 영상(420)은 광치료를 위한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30)의 복수의 영역(410, 4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영상을 복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 영상 처리부(미도시)가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을 복수의 영역(410, 420)에 각각 디스플레이하지 아니하고, 디스플레이(130)의 패널의 디스플레이 특성 값만을 변경하여 도 4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영상(410) 및 제2 영상(420)을 각기 다른 영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영상(410) 및 제2 영상(420)은 하나의 영상일 수 있고, 다만, 제2 영상의 경우, 디스플레이 상태만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2 영상 및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상태의 차이는 색온도, 휘도, 색상, 콘트라스트, 명암차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치료 중에는 일정하게 빛을 발산시킬 수도 있으나, 주기적으로 빛을 조사해 주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광치료를 위한 빛을 주기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술한 발광소자 역시 주기적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서는 복수의 영상이 복수의 영역(410, 42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영상(410)만 디스플레이(130)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일정 주기에 따라 제2 영상(420)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디스플레이(130), 제어부(140), 영상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게 된다.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의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여, 비디오 신호의 경우, 스케일링을 거쳐 디스플레이(13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150)는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거쳐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영상처리부(140)를 제어하여,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130)의 분할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원 영상에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원 영상에 검출된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반영시킨다.
또한, 제어부(140)는 원 영상을 처리하지 아니하고, 디스플레이(130)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130)의 패널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130) 패널에 반영시킬 수 있다.
도 6(a),(b)은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 영상(610)을 디스플레이(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630)는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인식 및 분석하여, 사용자(U)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U)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13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는 기 입력되어, 감지부(630)가 사용자(U) 감지하는 순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6(b)의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b)는 검출된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130)에 반영된 도면이다. 도 6(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6(a)의 원 영상(610)을 영상 처리된 영상(620)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패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 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검출된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30)의 색온도, 휘도, 색상 및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오디오 출력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부(720-1, 7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오디오 정보가 사용자의 심신 상태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가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출력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 입력받기 위해 OSD 메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OSD 메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130)의 일 영역에는 OSD 메뉴(820)가 배치된다. OSD 메뉴(820)에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820-1~820-4)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컨(10)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심신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단,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다(S910).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는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심신 상태 이외에도 광치료가 가능한, 심신 상태라면 제한없이 저장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기저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한다.(S920).
그 후에,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한다(S930).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추가적으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베젤 영역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는,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발광 색상, 발광 휘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하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분할된 제2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치료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오디오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 휘도, 색상 및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저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입력부
120 : 저장부 130 : 디스플레이
140 : 제어부

Claims (16)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베젤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는,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발광 색상, 발광 휘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분할된 제2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치료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오디오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 휘도, 색상 및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기저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베젤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상태는,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 발광 색상, 발광 휘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제1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분할된 제2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치료용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대응되는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부의 오디오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 휘도, 색상 및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40015121A 2014-02-10 2014-02-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4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121A KR20150094172A (ko) 2014-02-10 2014-02-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567,229 US20150228245A1 (en) 2014-02-10 2014-12-1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121A KR20150094172A (ko) 2014-02-10 2014-02-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172A true KR20150094172A (ko) 2015-08-19

Family

ID=5377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121A KR20150094172A (ko) 2014-02-10 2014-02-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28245A1 (ko)
KR (1) KR201500941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7573B2 (en) 2017-08-16 2022-02-22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for adjusting an audio/visual device based on health and wellness dat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3222A1 (en) * 2001-10-03 2003-04-0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TV setting based on viewer mood
KR101427268B1 (ko) * 2007-12-21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화 연결 방법
US8072505B2 (en) * 2008-07-23 2011-12-0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Imaging apparatus
WO2010020924A1 (en) * 2008-08-20 2010-02-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portable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related to a user's physical state
US8462276B2 (en) * 2009-07-27 2013-06-11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a bezel
US8463317B2 (en) * 2009-11-17 2013-06-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20130283162A1 (en) * 2012-04-23 2013-10-24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ntent modification based on user re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28245A1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38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isplay brightnes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504461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063537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812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isplay brightnes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685608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201601485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412336B2 (en) Dynamic backlight control for spatially independent display regions
KR20160015925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8854308B2 (en) Illuminating colored keyboard backlights based on display portions
EP3419008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18918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7210024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401980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brightness and color optimization
US2018030112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KR201600742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8730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000411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134370A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콘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9012698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20125A1 (en) Lc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emperature
KR201500941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613159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integrating a fit-to-size scale factor in a sequence of scale factors
CN112740319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EP43801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90081138A (ko) 디스플레이의 밝기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